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특정값과 존슨 네이만 출력 결과를 확인한 다음, 논문에 보고할 때에는 둘중 한가지로 보고하면 되는지, 어떻게 보고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또, 결과 마지막 부분에 있는 간접효과의 특정값도 논문에 보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세심한 강의 감사합니다. 논문 작성 중 내용과 관련해 어려움이 있어 댓글 드려요. 어떤 통계 책의 경우, 조건부 과정 분석에서 조절된 매개인지 매개된 조절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model 7번이나 model 14번을 돌려 유의성을 확인한 후에 '매개변수를 제외하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 조절변수의 효과가 유의한지 확인하는 것이라고 해서 다시 model 1번으로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하도록 나와 있더라고요. 조절효과가 유의하면 매개된 조절이고, 유의하지 않으면 조절된 매개라고 했습니다. 그럴 필요 없이 model 8번이나, model 15번에서 Int_1, Int_2 중 하나라도 유의하지 않으면 매개된 조절효과가 아닌 걸까요? 다른 책은 어떤 근거로 단순조절효과를 model 1로 확인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어서요. 간곡히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간접효과는 따로 유의확률이 나오지 않고 영상에서 설명했듯이 BootLLCI와 BootULCI 수치 사이에 0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됩니다. 예를들어 BootLLCI의 수치가 -.021이고 BootULCI 수치가 .055라면 이 수치들 사이에 0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고 판단합니다. 반면 BootLLCI 수치가 .021이고 BootULCI 수치사 .055라면 수치들 사이에 0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합니다.
안녕하세요
혹시 조절변수가 비연속성변수(성별, 학력, 연령등) 일때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특정값과 존슨 네이만 출력 결과를 확인한 다음, 논문에 보고할 때에는 둘중 한가지로 보고하면 되는지, 어떻게 보고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또, 결과 마지막 부분에 있는 간접효과의 특정값도 논문에 보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세심한 강의 감사합니다. 논문 작성 중 내용과 관련해 어려움이 있어 댓글 드려요. 어떤 통계 책의 경우, 조건부 과정 분석에서 조절된 매개인지 매개된 조절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model 7번이나 model 14번을 돌려 유의성을 확인한 후에 '매개변수를 제외하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 조절변수의 효과가 유의한지 확인하는 것이라고 해서 다시 model 1번으로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하도록 나와 있더라고요. 조절효과가 유의하면 매개된 조절이고, 유의하지 않으면 조절된 매개라고 했습니다.
그럴 필요 없이 model 8번이나, model 15번에서 Int_1, Int_2 중 하나라도 유의하지 않으면 매개된 조절효과가 아닌 걸까요? 다른 책은 어떤 근거로 단순조절효과를 model 1로 확인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어서요. 간곡히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안녕하세요 혹시 간접효과의 유의확률은 따로 알 수 없나요??
간접효과는 따로 유의확률이 나오지 않고 영상에서 설명했듯이 BootLLCI와 BootULCI 수치 사이에 0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됩니다. 예를들어 BootLLCI의 수치가 -.021이고 BootULCI 수치가 .055라면 이 수치들 사이에 0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고 판단합니다. 반면 BootLLCI 수치가 .021이고 BootULCI 수치사 .055라면 수치들 사이에 0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합니다.
@@tv-wl1xs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