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도자에서 추격자가 된 삼성, 주도권 탈환 가능할까(박준영 전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원) | 곽수종의 경제프리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мар 2024
  • 💁🏻‍♂️출연: 박준영 전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원
    💁🏻‍♂️진행: 곽수종 박사
    저작권자(c) 연합뉴스경제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세익의 '고수들의 투자 철학' 구매하기
    👉product.kyobobook.co.kr/detai...
    📚김준송의 '투자의 기술' 구매하기
    👉 product.kyobobook.co.kr/detai...
    📚변정규의 '슈퍼달러 슈퍼리치' 구매하기
    👉 product.kyobobook.co.kr/detai...
    📢조재우의 '가상화폐 속성과외' 바로가기
    👉 infomaxclass.ncs-slp.com/m/co...
    📍 연합뉴스경제TV 홈페이지 www.yonhapnewseconomytv.com/
    📺 채널 : 지니TV 187번, BTV 167번, LGU+ 171번, BTV(알뜰) 199번, HCN 417번, 딜라이브 268번
    #연합뉴스경제tv #연합인포맥스 #삼성전자 #삼성반도체 #HBM #SK하이닉스

Комментарии • 281

  • @user-vx4tl2qz9z
    @user-vx4tl2qz9z 3 месяца назад +79

    수치에 0을 자꾸 하나 빼 먹으니 참 신뢰가.. 10배 차인데. Hbm 시장규모도 50억 달러가 아니라 500억 달러고 60조.
    마이크론 보조금도 20억 달런데 20조가 아니고 2조6천억.
    좀 정신차리고 방송합시다.

    • @user-fp6vz8st4i
      @user-fp6vz8st4i 3 месяца назад +9

      27년 51억불 가트너 예측치 맞습니다. 상식적으로 23년 20억불인데 4년 후 500억불이 나오겠나요? 역대급 실적인 엔비디아 4분기 매출이 220억달러입니다. 4분기 매출을 연매출로 해도 880억불. 아무리 4년 후래도 500억불 전망치면 올해 엔비디아 매출의 절반 이상입니다. 말이 안되죠.

    • @user-vx4tl2qz9z
      @user-vx4tl2qz9z 3 месяца назад +1

      AI 반도체와 뎌불어 ​Hbm 시장규모가 시시각각 엄청 변화하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 조사기관에서는 29년 50조원으로 예상합니다
      ​시장조사업체 욜그룹에 따르면, 올해 HBM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50% 성장한 141억달러(19조원)로 예상된다. 내년에는 199억달러(27조원)로 성장하고, 2029년에는 377억달러(50조원)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user-fp6vz8st4i

    • @vema384
      @vema384 3 месяца назад +12

      방송에서의 데이터가 틀렸습니다. 즉 맨위에 첨 말씀하신분 얘기가 맞습니다. HBM시장 2027년전망은 1년전에 모건스탠리전망이 330억달러입니다. 즉, $33Bn이었으니까 최근전망은 500억달러가 되는게 더 맞는얘기입니다. 이렇듯 한국은 HBM시장의 성장을 너무 간과하는 나머지 HBM을 일종의 단기 테마로 치부하기에, 그 중요성을 모르고 비전문적인 유튜브방송, 언론매체에 호도당하는것이지요 ㅠ

    • @aaa1e3x
      @aaa1e3x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fp6vz8st4i 국내 증권사나 가트너같은데는 진짜 신뢰가 안되는 이유 입니다. 옴디아 트랜드포스 피셜 올해 HBM시장 약 20조 초반찍고 내년 30조 초반 예상합니다. 2027년에는 50조 넘고요. 가히 폭발적으로 성장중입니다. 진짜 상상이상입니다. + AI서버에는 GDDR 그래픽 D램도 들어가죠? 이시장도 엄청나게 성장중 2030년 D램시장이 2000억 달러 예상된다네요.

    • @aaa1e3x
      @aaa1e3x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fp6vz8st4i Yole Group의 HBM 시장 전망 1. 2023년 최악의 불황을 경험했던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AI 혁명 덕분에 향후 5년 동안 CAGR 9% 성장(5년 누적 54%)하여 5년 뒤에는 약 2500억 달러 규모의 시장이 될 것.
      2.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는 것은 디램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HBM임. 23년 55억 달러 규모였던 HBM 시장은 24년 141억 달러로 거의 YoY 150% 성장하며, 25년에는 199억 달러로 YoY 4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그럼에도 HBM이 전체 디램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년 19%에서 25년 18%로 “오히려” 하락하는데, 일반 범용 디램 가격도 크게 반등하기 때문임. 덕분에 25년 디램 시장 규모는 약 1100억 달러로 기존 기록이었던 21년 920억 달러를 훨씬 뛰어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함.

  • @aaa1e3x
    @aaa1e3x 3 месяца назад +24

    올해 하이닉스의 HBM 매출은 10조 영업이익 4.7조원 전망(메리츠 증권)
    디울에서는 하이닉스 내년 전체 영업이익을 22.5조원으로 상향

  • @Ryan_Kim_
    @Ryan_Kim_ 3 месяца назад +7

    27:32 팸리스가 아니라, "팹리스(Fabless)" 라고 함
    제작, 제조 라는 뜻을 가진 Fabrication,반도체 생산 시설을 통한 제조 FAB(Fabrication)+ -less (없는) = 생산라인 없는 반도체 회사

  • @aaa1e3x
    @aaa1e3x 3 месяца назад +11

    HBM 이외에도 3DS 기반 HDM(High Density Module), CXL 등 AI 서버에 탑재되는 대용량 고부가가치 디램은 23년부터 29년까지 CAGR 39% 수요 빗그로스가 성장(같은 기간 동안 전체 서버 디램 수요는 CAGR 25%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이처럼 AI는 반도체 시장 성장의 아주 강력한 동인이며, 디램은 그 최대 수혜자 중 하나임이 명백함.

  • @BrianDIHong
    @BrianDIHong 3 месяца назад +19

    미래 변화에 통찰과 대응력이 삼류기업임...

  • @user-kx7he2ht3i
    @user-kx7he2ht3i 3 месяца назад +105

    오리지널 기술은 카이스트에서 개발해서 무료배포했죠. 삼성은 만들다 속도를 늦춘거고 하이닉스가 끈기있게 계속 개발해서 새로운 시대에 시장을 선점한거죠. 삼성 출신답게 오해없도록 정보 전달합시다. 경노당 할배 앉혀놓고 문화강연한다 생각치 마시고.

    • @iz6s
      @iz6s 3 месяца назад +31

      제가 알기로는 삼성에서 hbm 개발 하시던분들이 sk 로 많이 넘어간거로 압니다. hbm이 이렇게 갑자기 찾아올지 아무도 몰랐던때여서 삼성은 hbm 축소할때 sk는 계속해서 연구진을 대려온거로 알고있습니다.

    • @user-ec7gv1wp2t
      @user-ec7gv1wp2t 3 месяца назад +5

      네맞습니다

    • @minorityreport1338
      @minorityreport1338 3 месяца назад +30

      유투브 영상에 나온 박준영입니다. 네 말씀감사드립니다. 카이스트 김정호 교수님이시죠. 크게 두 가지 지점때문에 촬영중에는 말씀을 못드렸는데요. 먼저 댓글로 보완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첫번째로 관련 특허 개방에 대한 이야기 설명이 시간 소요가 된다는 점과 두번째로 큰 틀에서 MCP(multi chip package)개념 이후 기술이기 때문에 포괄적으로 생각을 했었습니다. 네 오해없도록 정보전달하겠습니다.^^

    • @user-ni7hc8sq5k
      @user-ni7hc8sq5k 3 месяца назад +25

      다 틀린 얘기입니다. hbm 에 대한 컨셉은 과거부터있어왓습니다. 카이스트에 제공햇다는건 학계에서 논의되온 tsv 관한 몇편의 논문일뿐..그러하논문은 하루에고 몇개씩 나옵니다. 또한 인력이 삼전에서 하닉으로 이동햇다는 얘기도 웃기는 얘기에요. 삼전 hbm 의 문제는 mr muf가 아닌 tc ncf 를 선택한 과거 의사결정의 문제이고 이제는 몇년의 격차가 생겨서 따라가시 힘들뿐입니다

    • @user-ni7hc8sq5k
      @user-ni7hc8sq5k 3 месяца назад +5

      잘못된 변명과 억지가 너무 많습니다. 그건 우리 시장과 언론관이 믾이 왜곡되어 잇기때문이죠

  • @user-kx7he2ht3i
    @user-kx7he2ht3i 3 месяца назад +13

    일본이 파운드리를 대만에 안 뺏김. Tsmc가 파운드리의 사실상 시초라 보는게 맞지. 저당시 일본이 파운드리를 주력으로 하지도 않았고 시장자체가 다들 지꺼 지가 만들었지.

  • @betoguim9195
    @betoguim9195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경제프리즘 이제 매주 챙겨봐야지요.. 곽수종 박사의 진행이 돋보이네요..많은 도움되었읍니다.

  • @user-rk2ku4qi6f
    @user-rk2ku4qi6f 3 месяца назад +11

    HBM의 시장규모가 0이 하나 빠졌고 삼성의 MCF가 발열문제가 있는데 반대로 되어 있군요
    핵심 데이터의 오류는 바로 수정이 되어야 합니다.

    • @minorityreport1338
      @minorityreport1338 3 месяца назад +5

      영상 촬영한 박준영입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 발열 - 곧 열전달 계수 - 문제가 댓글하신대로 NCF쪽보다는 정확히는 NCP - 실리카 입자가 포함된 , nun conductive paste - 가 더 낫기 때문에 약 3%정도의 열전달 개선을 보였습니다. 제가 방송중에 명확히 확인하지 못했던 점이네요.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현재 HBM 시장규모는 DRAM 전체시장의 2~5%정도인 50억불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AI Server용 HBM 정도이고, 이후에 디바이스쪽으로 퍼진다면 훨씬 커질 수 있겠죠. 감사합니다.

    • @H_H_H_H_H
      @H_H_H_H_H 3 месяца назад

      ​@@minorityreport1338 50억불이 아니라 500억 불 아닌가요? *_50billion $_*

  • @user-qr3zu6dg1u
    @user-qr3zu6dg1u 3 месяца назад +36

    선대 회장 시절과 비교되어 혁신과 선도하겠다는 의지가 몇% 부족하다는 느낌 지울수가 없어 아쉽습니다~
    삼성의 분발이 촉구되는 시점입니다 ~

    •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3 месяца назад +3

      그놈의 혁신과 선도 망상병에 결려서 삼성이 저러는 거임. 시장에 필요한 제품을 내놓는 게 아니라, 자기가 똑똑하니까 시장을 멱살 잡고 끌어가겠다는 주제 모르는 자만심이 지금의 삼성을 만들었고 앞으로도 이 방향으로 쭉욱 갈 것임. 이재용 부회장과 지금의 경영진으로는 불가능한 이야기.

    • @sia.T
      @sia.T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이건희의 유일하고도 치명적인 실수는 딸이 아닌 아들을 후계자에 앉힌걸 수도~ 지금까지 헛발질한거나 놓친게 한두가지가 아니고 보여준건 없이 직원들과 구내식당에서 식사를 했네~ 출장갔다 오면 큰 일이라도 이뤄낸 듯 칭송하는 언론들만 있었을 뿐

    • @user-eb7vn5fr4h
      @user-eb7vn5fr4h 3 месяца назад +3

      맨날 삼성 갈구면서
      왜 잘 못하냐고 하는건 웃기는 소리지.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3 месяца назад

      뭘 모르는 구나!
      반도체 산업은 하루하루가 중요한 전쟁터이다.
      삼성 수장 이재용이 문재인 민주당 집권시절 몇 년 씩이나 감방에서 썩은 것은 팩트!
      그런데도 지금 삼성이 이 정도 하는 것은 굉장히 잘하는 것이라는 것도 팩트!
      앞으로 정부와 국민들이 대만 일본 중국 미국이 하는 것보다 더 확실한 지원을 보내야 하겠지?

  • @user-dw6qx2zn2g
    @user-dw6qx2zn2g 3 месяца назад +8

    숫자 하나하나가 중요한건데;; 하아;; 너무 아쉽다 정말 실수한사람은 빨리 바꿔라

  • @akekskf
    @akekskf 3 месяца назад +32

    패널의 실력은 독보적이네요.
    사회자는 일본에 대해서 환상을 좀 가진 것 같고
    패키징이 일본이 잘한다? 그건 30년 전 이야기를
    지금은 3um TSV나 1024개 데이터 라인이나 12층 적층이나 그 당시에는 존재하지도 않던 개념인데
    예전의 패키징이 2층짜리 단독 주택 짓는 것이라면 지금의 패키징은 150층 짜리 집 짓는 수준의 복잡도

  • @user-ci3qu6iy6p
    @user-ci3qu6iy6p 3 месяца назад +7

    이건희 시대후 후광으로 이미지 관리로 먹고 살려는 공룡기업이
    된 느낌. 휴대폰 밧테리 발열로 두번 리콜등 기술의 발전이 더딘회사. 티비와 휴대폰 세계 1등 차지하는데 카리스마 리더쉽 보인
    최지성 비서실장 같은 분이 지휘 잡아야 할듯...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3 месяца назад

      반도체 산업은 하루하루가 중요한 전쟁터이다.
      삼성 수장 이재용이 문재인 민주당 집권시절 몇 년 씩이나 감방에서 썩은 것은 팩트!
      그런데도 지금 삼성이 이 정도 하는 것은 굉장히 잘하는 것이라는 것도 팩트!
      앞으로 정부와 국민들이 대만 일본 중국 미국이 하는 것보다 더 확실한 지원을 보내야 하겠지?

  • @aaa1e3x
    @aaa1e3x 3 месяца назад +4

    2.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는 것은 디램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HBM임. 23년 55억 달러 규모였던 HBM 시장은 24년 141억 달러로 거의 YoY 150% 성장하며, 25년에는 199억 달러로 YoY 4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그럼에도 HBM이 전체 디램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년 19%에서 25년 18%로 “오히려” 하락하는데, 일반 범용 디램 가격도 크게 반등하기 때문임. 덕분에 25년 디램 시장 규모는 약 1100억 달러로 기존 기록이었던 21년 920억 달러를 훨씬 뛰어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함.

    • @user-gj4zm2pe5y
      @user-gj4zm2pe5y 3 месяца назад

      삼전 12~13 가능한가요. 지금 하닉이 간 밴드상단 정도?

  • @user-yz1tc4zx9g
    @user-yz1tc4zx9g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시장점유울 보다도 기세가 꺽인게 중요합니다.

  • @user-lb9gw5kn9d
    @user-lb9gw5kn9d 3 месяца назад +3

    HBM이 제일 큰 문제가 아님.. .
    미국의 반도체전략에서 삼성을 버리는 데리고 가느냐의 문제가 가장 중요. . .

  • @user-qz7ec1nc9t
    @user-qz7ec1nc9t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삼성 계열사 다니면서 삼성 엔지니어 출신의 상사를 두고있습니다 말씀하신것에 적극 동의합니다 모든것에 관여하고 모든것이 자기 말이 맞다고 합니다 그래서 맞을때도 있지만 안맞을때가 훨씬 많아서 일의 능률이 너무 떨어집니다. 인력도 그에 말에 움직이기에 움직이는 인원이 더 많고요
    하물며 이런 작은 계열사 작은 조직에서도 이런데 이재용대표가 한마디하면 얼마나 많은 인원들과 회사가 움직여서 시간과 돈을 잡아먹을까요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3 месяца назад

      반도체 산업은 하루하루가 중요한 전쟁터이다.
      삼성 수장 이재용이 문재인 민주당 집권시절 몇 년 씩이나 감방에서 썩은 것은 팩트!
      그런데도 지금 삼성이 이 정도 하는 것은 굉장히 잘하는 것이라는 것도 팩트!
      앞으로 정부와 국민들이 대만 일본 중국 미국이 하는 것보다 더 확실한 지원을 보내야 하겠지?

  • @user-ue2lv9nv6z
    @user-ue2lv9nv6z 3 месяца назад +62

    삼성경영진으로 엔지니어출신으로 바꿔야함.
    일본 도시바처럼 천천히 몰락할수도있다.

    • @user-ms3oq1ff5t
      @user-ms3oq1ff5t 3 месяца назад +3

      돈줄을 쥐고 있는 경영진이 엔지니어를 기계적 소모품 정도로 보는게 현실!
      공학자들은 원리를 찾는 실체적 발전의 원동력입니다!!

  • @JJ-ih4fx
    @JJ-ih4fx 3 месяца назад +9

    곽박사님.... 경제포커스 진행 하셨을 때 부터 많은 부분 배우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heejuneAhn
    @heejuneAhn 3 месяца назад

    기존은 DRAM은 latency가 중요. HBM은 throughput이 더 중요

  • @user-wn7rw4gq4m
    @user-wn7rw4gq4m 3 месяца назад +4

    GDDR == > HBM 으로 교체 되는 것이다... 느린것은 GDDR을 계속 쓸것이고.. Ai 장비들은 HBM을 쓰는 것이다. 고성능들은 반드시 HBM으로 무장 해야 한다.. 특히 NPU들도 HBM으로 무장할 것이다..

  • @user-tj1to9cq4v
    @user-tj1to9cq4v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원천기술은 카이스트에서 2010년도부터 개발해온 겁니다

  • @MyChoi-wj2ou
    @MyChoi-wj2ou 3 месяца назад +6

    너무 진행자분이 분위기만 잡고 너무 모르는것 같습니다, ㅋㅋ 무게를 잡는게 생각보다 잘모르네요 전 이만 듣습니다 ㅋㅋ

  • @user-wn7rw4gq4m
    @user-wn7rw4gq4m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순간 입출력 -- 대역폭이 중요하고.. 차후 속도도 중요한 것이다..초당 1TB를 완성하라...

  • @valeron5115
    @valeron5115 3 месяца назад +8

    오늘 너무 많은 것들을 배웠습니다. 다른 방송에서 못 듣는 내용이 많네요.

    • @user-sc3te7vv2w
      @user-sc3te7vv2w 3 месяца назад

      뭉가가 이재용을 처넣으니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이다. 그래서 수장의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중요한 것이다.
      언제 삼성이 제품선택에 에러가 발생한적이 있었는가? 꼴난 얼마되지도 않는 말빌려준거 가지고 뇌물죄로 집어넣으니 의사결정에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 @user-kx7he2ht3i
    @user-kx7he2ht3i 3 месяца назад +6

    Cpu 아니고 gpu죠

  • @user-nn4ft5vm9q
    @user-nn4ft5vm9q 3 месяца назад +13

    내 느낌에는 이건희가 답을 찾을 능력이 있고 그걸 찾아서 소위 엔지니어들을 뺑뺑이 돌린 거임
    그런데 지금은 답을 못 찾고 있는 것 같은데 찾을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 아리까리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3 месяца назад

      반도체 산업은 하루하루가 중요한 전쟁터이다.
      삼성 수장 이재용이 문재인 민주당 집권시절 몇 년 씩이나 감방에서 썩은 것은 팩트!
      그런데도 지금 삼성이 이 정도 하는 것은 굉장히 잘하는 것이라는 것도 팩트!
      앞으로 정부와 국민들이 대만 일본 중국 미국이 하는 것보다 더 확실한 지원을 보내야 하겠지?

  • @KoreanChipmaker
    @KoreanChipmaker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삼성 관료주의가 너무 심한것깉네요. 미국회사는 고사하고 하이닉스에 비해서도...

  • @betoguim9195
    @betoguim9195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하지 못한다면, 영원히 경쟁력 우위는 요원한 것이겠죠..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3 месяца назад

      반도체 산업은 하루하루가 중요한 전쟁터이다.
      삼성 수장 이재용이 문재인 민주당 집권시절 몇 년 씩이나 감방에서 썩은 것은 팩트!
      그런데도 지금 삼성이 이 정도 하는 것은 굉장히 잘하는 것이라는 것도 팩트!
      앞으로 정부와 국민들이 대만 일본 중국 미국이 하는 것보다 더 확실한 지원을 보내야 하겠지?

  • @RE100_SOON
    @RE100_SOON 3 месяца назад +23

    삼성이 추격하는 동안 하이닉스는 그냥 있을까? 미래를 보는 투자에는 어느것 하나 흘려서는 안된다 삼성이 이런 점이 강했는데 언제부터인가 삼성은 모든 분야에서 쳐지고 있다. 오너 리스크가 있지만 삼성 내부적으로도...일본의 도시바꼴이 되지 말라는 법이 없을 듯...

    • @user-gj4zm2pe5y
      @user-gj4zm2pe5y 3 месяца назад +5

      그건 아니죠ㅋ
      삼성이 추격이 아니에요. 삼성이 수성이에요. 하닉이 추격이죠ㅋ
      그리고 지금 상황에서 하닉은 추격하지 않습니다. 결국 파이를 가져오려면 공장이 커져야 하고 생산시설이 늘어야 하는데 적자나서 서로 생산시설 잘 안늘릴거에요. 단가 꽤 올릴때까지 설비증설 안할겁니다.
      그러면 당연히 설비가 많은 삼성이 계속 그 파이를 먹게 될것이고, 삼성이 제일 많이 벌 수 밖에 없는거에요. hbm 밀렸다고 어떻게 삼성이 추격입니까.

    • @keijay3302
      @keijay3302 3 месяца назад +1

      @@user-gj4zm2pe5y ddr5 같은 범용제품도 밀렸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작년에 덤핑쳐서 점유율 쳐먹은걸로 빨아대는건 아니지?

    • @user-gj4zm2pe5y
      @user-gj4zm2pe5y 3 месяца назад

      @@keijay3302 님은 덩치를 생각을 못하나요?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이 붙으면 덩치 생각부터 해야하는거 아니에요?
      생각을 해봐요. 삼성이 공장캐파가 많겠어요 하이닉스가 많겠어요? 삼성이 압도적으로 많죠?
      수요가 살아나 디램 낸드 가격이 더 많이 상승을 꽤 했다 쳐볼게요. 그럼 삼성이 100개팔고 하이닉스가 50개파는데 삼성이 어떻게 집니까.
      삼성이 공장이 훨씬 많아요. 수요가 살아나면 당연히 삼성이 제일 많이 수익봅니다. 덩치가 다르거든요. 삼성이 하닉보다 수익을 못볼 것 같으면 삼성주가가 하닉 2배이상일 수가 없죠. 생각을 좀 해보세요.

    • @robfight2
      @robfight2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gj4zm2pe5y 삼성요? ddr5 공정문제와 불량률 보세요 ㅋㅋ 지금 계속 문제 생기고 있는데 ..

    •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gj4zm2pe5y 메모리 반도체 불량율이 너무 높아서 램 패키징 업체들이 절래절래 고개를 흔드는 삼성이 무슨 수성... 기술이 되어야지 수성을 하지. 기술이 안되는데?

  • @GhostCablo
    @GhostCablo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주인없어지고 경영능력 없는 사람이 주인되니 노비들끼리 밥그릇 싸움하느라. 파벌싸움으로 권고사직 희망퇴직으로 능력있는 사람등 다 내보냈는데. 절대 잘될리가 없죠

  • @user-kx7he2ht3i
    @user-kx7he2ht3i 3 месяца назад +9

    마이크론 8기가 삼성 12기가 가 아니고 8단 12단 아닌가요?

    • @minorityreport1338
      @minorityreport1338 3 месяца назад +11

      네 안녕하세요? 출연한 박준영입니다. 제가 8기가 12기가로 말을 했던것 같습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현재 HBM3E 기준으로 양산진행중인 마이크론과 SK 하이닉스가 8단, 16GB 이고 얼마전에 개발완료된 삼성 12단, 24GB이죠. 감사합니다!

    • @dogewoof6286
      @dogewoof6286 3 месяца назад

      zzzzzzzzzz

  • @aaa1e3x
    @aaa1e3x 3 месяца назад +6

    25년 이후에도 HBM 시장은 계속 성장하여 29년 시장 규모는 377억 달러(25~29년 CAGR 14%)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23년부터 28년까지 HBM CAPA가 Gb 용량 기준 CAGR 45% 성장하고(7년 누적 700%), 메이저 디램 3사의 양산기술이 평준화되면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지기 때문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때에도 여전히 HBM이 디램 시장의 중요한 성장 동력일 것이라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음.

  • @user-ku5wv3xi2g
    @user-ku5wv3xi2g 3 месяца назад +7

    첨부자료도 틀리고 진행도 엉망이네요.
    세상이 어떤 세상인데 엉성한 자료로 방송하는지.

  • @STEADY84
    @STEADY84 3 месяца назад

    Sk는 수직계열하도 너무좋음
    웨이퍼 sk실트론 소부장 sk머트리얼즈
    Idm sk하이닉스 등등

  • @user-yi7jk2pc1e
    @user-yi7jk2pc1e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삼성 그래봐도 기술기업인데 원가절감한다고 기술개발 등한시하면서 모든게 다 꼬여버림 현직자들말 들어보면 임원이 ㅂㅅ같은걸 요구하면 하이닉스는 아랫사람들이 들이박을수있는데 삼성은 그냥 상명하복 그러다보니까 삼성은 한번 잘못된 방향으로 가면 걷잡을수가 없는거같음 삼성은 그놈의 원가절감 좀 그만 말했으면 좋겠음 반도체도 그렇고 스마트폰도 노태문이 원가절감 노래를 부르면서 스펙 너프시켜버리니까 젊은층에서 이미지 개씹창나버림

  • @user-xw6fx5vh3e
    @user-xw6fx5vh3e 3 месяца назад

    반도체는 미국의 영향력주도하에이루어지는거라 아무리기술이좋아도 안사주면도루묵 미국과의 관계가 제일중요함.

  • @user-fi9yp3uz2y
    @user-fi9yp3uz2y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전 국가적으로 지원하는 업종ㅈ인데 기업총수 한명에게 모든 걸 다 건다는게 큰 도박이다. 지배구조가 내내 문제다. 집안관리도 제대로 안되는 사람들에게...

  • @Chego1
    @Chego1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서서히 망해가는 듯
    디램도 선두자리 곧 내주고
    파운드리는 시장점유율 더 하락하고
    사장이 부산 가서 떡볶이나 먹고 있으니

  • @user-vg1zo4kq1r
    @user-vg1zo4kq1r 3 месяца назад +1

    Hbm관련 하이닉스가 완승한 건 맞지요ㆍ노력이 많이 필요해 보입니다ㆍ

  • @user-gm4rl4fw1h
    @user-gm4rl4fw1h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수치 환율 모야 이건 하. 방송국 수준이

  • @user-ie3dj3sd2j
    @user-ie3dj3sd2j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삼성은 항상 먼저개발보다 남이개발하면 거액자금으로 추격해서 따돌리는 방식 안좋지요

  • @user-zr6gd2sf3i
    @user-zr6gd2sf3i 3 месяца назад +2

    db하이텍은 비젼 없나요...???

    • @minorityreport1338
      @minorityreport1338 3 месяца назад +7

      안녕하세요? 유튜브에 나온 박준영입니다. 참고로 댓글 남깁니다. DB하이텍이나 소위 파운드리 업계의 경우, 꼭 최신공정만으로 비즈니스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익률은 작을 수 있으나, 수 많은 제품 개발 이력이나 단가를 고려한다면, 소위 이전 공정 - 레거시 공정 - 으로도 비즈니스는 사라지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DB 하이텍 컨설팅을 했을 때, 기존 설비에 대한 유지보수, 개조개선 능력은 엔지니어들이 상당히 탁월하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DB 하이텍도 잘되시길 기원하며!

    • @user-vy1yn1cf4w
      @user-vy1yn1cf4w 3 месяца назад

      BCDMOS 공정 안정성은 국내 갑임
      공정 자체가 TI 공정으로 시작해서 파워 아날로그쪽 괜찮음

  • @user-wn7rw4gq4m
    @user-wn7rw4gq4m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위 그래프의 HBM 정체현상은........ 물량부족이다.. 하이닉스 혼자 커버 하고 있는 것이다...

  • @cheolhono9674
    @cheolhono9674 3 месяца назад +4

    곽수종씨, 경제 사이트 운영하면서 단위 환산을 못하면 어떻게 하나? 계속 거슬린다.

  • @AE-dx2pl
    @AE-dx2pl 3 месяца назад +15

    반도체 5400억불 시스템 3600억불 디램 1000억불(모바일 400억 서버 400억 피씨 200억) 낸드 800억불. Hbm 추후 500억불 규모로 커짐

    • @20cmusic
      @20cmusic 3 месяца назад

      어디에 그런 예측이 있는거죠?

    • @user-pu8tb4xu8p
      @user-pu8tb4xu8p 3 месяца назад +3

      hbm 500 억 불로 커질 때 레거시도 2000억 불 이상으로 커짐

  • @AE-dx2pl
    @AE-dx2pl 3 месяца назад +12

    수종아 아는 척 좀 그만하자.. 256k에서 빵 터졌다.

  • @20cmusic
    @20cmusic 3 месяца назад +5

    51억불이면 50조가 아니고 6조입니다. 작년 삼성 매출이 250조. 2~3프로 되겠네요.

  • @toyonkoo9552
    @toyonkoo9552 3 месяца назад +15

    불과 몇년전 삼성에서 초격차니 나발이니 책쓰고 거만을 떨더니, 쫓아가기 가랭이 찢어지겠다. 주주에 대한 실망 책임져라.

  • @user-ff5jc9pm9d
    @user-ff5jc9pm9d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삼성의 몰락은 이미진행중인데 지금. 언플엄청하고 있음 실적은 없고 언플만 하고 있음 개발.납품할것?
    유튜브나 뉴스 한번보세요 실적이 있나?
    누가 HBM 납품실적좀 알려주세요?
    M&A도 한다고 한게 몇년째인지 그 저렴하게 나온기업들 다 놓치고 에휴

    • @sia.T
      @sia.T 3 месяца назад

      다른 오너들도 다 다니는 출장 한번 갔다오면 아이돌마냥 귀국 공항 사진 올려놓고 무슨 거사라도 치루고 온 것처럼 난리를 치는 언론들. 구내식당에서 직원들과 식사한다며 홍보해 주는 걸 보며 마치 80~90년대 관선정치 시절을 보는것 같았음. 지금 시대가 어느 때인데 이런 촌스런 마인드로 뭘 하자는건지;;;

    • @sia.T
      @sia.T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재용 체재 이후로 거창한 구호만 있었을 뿐 아무것도 보여준게 없음. 오히려 날고 있는건 LG, 현대기아, SK

  • @yougiugheem8049
    @yougiugheem8049 3 месяца назад +42

    이재용 리더쉽 약량 부족..

    •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3 месяца назад +4

      노조 생기고 해고도 못하니 문제지 나 같아도 대충한다

    • @joseflada4449
      @joseflada4449 3 месяца назад +11

      이재용은 프로포폴 뽕쟁이라 약빨은 충분할 듯...

    • @yeomjiwon
      @yeomjiwon 3 месяца назад

      모리스 창.젠슨 황.리사수. 다 한 동네 엔지니어들. 게임 끝.​@@joseflada4449

    • @MrPersonabon
      @MrPersonabon 3 месяца назад +4

      결국 인사를 제대로 못 해서

    • @yeomjiwon
      @yeomjiwon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fz6hz3uc9x 현대 기아자동차는 귀족노조 몇십년째 지만 일인당 자동차 생산대수 세계 1,2위예요. 어려운 세계자동차환경에서도 잘 하고 있고. 노조는 문제의 핵심이 아닙니다. 리더쉽문제죠.

  • @jaeseokoh1514
    @jaeseokoh1514 3 месяца назад +12

    요즘은 PC용 DRAM도 하이닉스가 성능과 안정성이 더 좋음. 하이닉스 DRAM이 시장에서 10% 정도 비싼 것도 삼성전자의 현 주소를 보여줌.

    • @yungyuchoi5505
      @yungyuchoi5505 3 месяца назад +1

      ㅣㄱㅍ8😊478😊😊😊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하이닉스 메모리 안 좋음. 하이닉스 낸드 들어간 lg노트북 갑자기 먹통되서 데이터 다 날라갔음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3 месяца назад +6

    하이닉스는 왜 잘 하는거야?

    • @hohohohohoho1900
      @hohohohohoho1900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삼성은 ai시대가 늦게올거라 예상하고 돈을 파운드리에 투입
      하닉은 계속적으로 개발

    • @sia.T
      @sia.T 3 месяца назад +3

      판단을 잘 했고 뚝심있게 밀어붙혔으니까~ 삼성은 폰 OS부터 HBM까지 놓친게 한두가지가 아님. TSMC와 격차는 더 벌어지고~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3 месяца назад

      @@sia.T 폰 os는 만든 적 있음. 기술수준은 모르지만 안드로이드가 세계통일한 걸 극복할 수 없으니 안드로이드폰으로 간 거임

  • @sia.T
    @sia.T 3 месяца назад

    폰OS부터 시작해 HBM까지 삼성이 놓친게 몇개인지~ TSMC와 격차는 더 커졌고.. 조만간 이재용을 마이너스의 손이라 부르게 될지도~ 지금까지 보여준건 없고 오질나게 있는 돈 때려박으며 공장만 늘리는 중.

  • @user-zw5kt2qj3e
    @user-zw5kt2qj3e 3 месяца назад +2

    HBM 올해가 17조인데.. 표가 이상하다.

  • @jinshiksung
    @jinshiksung 6 дней назад

    이렇게 보니까 CPU가 한계에 달아 메모리 마더보드가 주가 되는듯 하이 레벨 보니까 메모리 마더보드가 바틀 펙터 던데 앞으로 그럴꺼 같은되

  • @user-ku1vl4jl5i
    @user-ku1vl4jl5i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삼성은 거니형님까지 ....

  • @user-rr6zs3hl4w
    @user-rr6zs3hl4w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재용! 아버지 반만이래도 했으면....!

    • @sia.T
      @sia.T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버지의 유일한 실수

  • @user-qm8uh2mc8j
    @user-qm8uh2mc8j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먹물좀 손에 묻히신분들
    타의견도 존중하며 ㆍ대중에게
    팩트만 전달해주시면ㅡ고품격

  • @dostoev-5092
    @dostoev-5092 3 месяца назад +6

    사회자와 패널 모두 해박한 지식과 시야로 설명해주니 이해가 쏙쏙 됩니다. 유익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3 месяца назад

      반도체 산업은 하루하루가 중요한 전쟁터이다.
      삼성 수장 이재용이 문재인 민주당 집권시절 몇 년 씩이나 감방에서 썩은 것은 팩트!
      그런데도 지금 삼성이 이 정도 하는 것은 굉장히 잘하는 것이라는 것도 팩트!
      앞으로 정부와 국민들이 대만 일본 중국 미국이 하는 것보다 더 확실한 지원을 보내야 하겠지?

  • @user-uu4yc3yc8m
    @user-uu4yc3yc8m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최근 삼성의 혁신(선도)의지가 약화되었다는 사실은 존재한다.

  • @user-ms3oq1ff5t
    @user-ms3oq1ff5t 3 месяца назад

    삼성은 이건희가 반도체로 방향을 잘 잡았다.
    그런데..삼성은 삼성맨 스타일 때문에 디테일에 빠져서 혁명적일 수 없다!
    작금의 sk하이닉스의 hbm기술을 능가할 혁명적 발상이 필요하다!!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3 месяца назад

    삼성은 반도체만 하지 말고 피규어AI에 대규모 투자를 해야함. 반도체 보다 로봇 시장이 더 크다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한국의 경쟁력은 애 많이 낳는 건데 저출산으로………ㅜㅜ

  • @user-rt5hu7zm2r
    @user-rt5hu7zm2r 3 месяца назад +8

    삼성은 오너쉽 하는 순간 망했다. 이건희 시대나 통하지 이제는 그런시대 지났음. ai시대에...
    걱정이다 울 나라는 오너자본주의인데...
    빨리 미국식으로 가야함.

    • @yeomjiwon
      @yeomjiwon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렇죠.M7오너중에 2세 3세 하나도 없죠. 다 개발자 엔지니어 전문가 출신들 천재들에 그들끼리의 네트워크. 한국이 그 중 하나라도 있나? 대만출신 미국 기업인들 배워야 함 군대 하나없이 대만을 지키고 전 세계 씹어 먹고 있음.

  • @user-vy1yn1cf4w
    @user-vy1yn1cf4w 3 месяца назад +1

    HBM에 있어서는 하이닉스 완성
    삼성한테 물어 봐라 ~~

  • @user-jj8lz6mk7e
    @user-jj8lz6mk7e 3 месяца назад +5

    삼성의 기업문화가 중소기업들 기술 실력 공짜로 ㅆ고 빼앗고 맘대로 하고 안되면 죽ㅇ고 하던 버릇 이제 안통하지 그런 마인드로 이제 힘들지 않을까 우리나라 대기업위주 밀어주기와 중소기업위주 대만과의 차이가 반도체에서 나타난거지 조금 덜 발전하드라도 지역균형 중심발전 중소기업 상생문화를 키웠으면 지금 훨씬 좋았을텐데 기득권 그룹ㄷㄹ의 자기들만의 자산지키고 키우기가 결국 수도권 집중투지 지역감정조작 등으로 나라를 병들게 했지

  • @user-ji3pg4wb8v
    @user-ji3pg4wb8v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승희 아나운서님 언제 방송 나오시나요?

  • @user-ri1rt1gv4c
    @user-ri1rt1gv4c 3 месяца назад

    댓글보고 채널 돌렸습니다~

  • @maanboman2606
    @maanboman2606 3 месяца назад

    이재용 경영 전면에 등장하고나서 맨 먼저 나온 뉴스가 전용기 매각이었다. 그때 아 이사람 그릇이 아버지 못따라 가겠구나였다. 신라호텔 경영에 적합한 사이즈.
    삼전 수년간 제자리. 앞날은 더 어둡다는게 문제다.

  • @kjblueskyjp
    @kjblueskyjp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삼성의 이병철 이건희는 한국에서의 1등은 아무것도 아니고 무조건 전세계에서 1등을 해야만 진짜 일등으로 대우 해 줄것이다 라는 말로 지금까지의 무조건 전세계 1위라는 타이틀을 지켜 왔다. 이재용 시대에 들어와 삼성이 전세계 1등의 자리를 빼앗기고 훨씬 후발주자인 한국의 sk에게도 뒤처지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재용아 삼성의 현재의 문제가 무었인지 경영 컨설팅 받아 보아라

    • @user-bj8ss8js8h
      @user-bj8ss8js8h 3 месяца назад

      뭉가ㅡㅠ

    • @seohyunkim4731
      @seohyunkim4731 3 месяца назад

      컨설팅 받아 망한 회사다니던 사람으로써(쬬콜렛폰)
      컨설팅은 고객이 원하는 방향대로 글써주는 사람입니다 예쁘게
      고객이 ㅂㅅ 이면 컨설팅결과도 ㅂㅅ 입니다.

  • @jae69lee
    @jae69lee 3 месяца назад

    아.. 곽수종.... 예전 시골의사 박경완의 mbc에 나오던 삼성경제연구소의 그 인물이... 이리 생겼구나...

  • @user-wn7rw4gq4m
    @user-wn7rw4gq4m 3 месяца назад

    삼성 잘 하자...... Ai 발전 최대 수혜국은 우리나라도 손까락 안에 들어가게 되었다.. 힘내자 삼성...... HBM3E, HBM4 빨리 양산하라..

  • @OREO_kr
    @OREO_kr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러한 상황이 오히려 삼성에게 재도약을 위한 기회라고 생각되네요.

  • @pinkdrop1995
    @pinkdrop1995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대기업을 파괴시켜야 선진국 되는 겁니다. 국민 여러분 깨어 나십시요.

  • @user-qe7lu8yo5s
    @user-qe7lu8yo5s 3 месяца назад

    엔비디아 GPU는 삼성과 관련사들이 개발하고 있는 온디바이스칩에 의하여 2024년 말부터 무너지게 되어 있는것 아닌가? 삼성의 반격은 이미 준비되었다고 들었는데

  • @user-fn6rt3ug1f
    @user-fn6rt3ug1f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엠디비아 올해말 MS 시가총액 넘어 1위 3.2조달러 됩니다

  • @user-dw6qx2zn2g
    @user-dw6qx2zn2g 3 месяца назад +8

    사회자;;; 진짜 역량 부족이다 꼰대야 꼰대
    그냥 그래프보면서 앞으로는 엔비디아가 언제쯤 멈춰질수있는지 알수있겠네요 이렇게 말해야지; 머저런;;사회자가 다있냐;; 반성해라

    • @davepark3177
      @davepark3177 3 месяца назад

      난 이 사회자분 정말 이상한 분이라 생각 합니다.
      뜬금없는 열폭도 잘 하시고 장황하고 패널하고 싸우기도 하고....

  • @__-hu6qd
    @__-hu6qd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정의선과 달리 이재용 경영능력은 진즉 입증된거 아닌감??
    재임 내내 법원만 왔다갔다가 하다가 자식 경영권 물려준다고 쌩쑈 또 하겠지... ㅎㅎㅎ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삼성은 해고를 맨날 했다간 일할 사람 못 구한다. 미국엔 인재가 넘치니까 한국과 다르다

  • @user-sk6co7od3l
    @user-sk6co7od3l 3 месяца назад +12

    삼성전자 임, 직원들 봉급 먹는 하마인가??
    엉금엉금 기는 거북이 인가?

    • @sia.T
      @sia.T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재용 측근으로 싹 바뀐거로 아는데요? 그리고 그 임직원을 선택하는게 누구일까요?

  • @littlestep7660
    @littlestep7660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재용 경영 무능력

  • @Kom386
    @Kom386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진행자가 문과출신인데 이공계박사랑 대화가 되는게 신기함 ㅋㅋㅋㅋ
    진행하려면 저 정도실력은 되야지

  • @user-ik7mt8di6m
    @user-ik7mt8di6m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사회자 맥을 끊네요. 전문가를 못 살리네.

  • @smallanda2269
    @smallanda2269 3 месяца назад +6

    전문 인터뷰를 하려면 어느정도 상식을 가지고 하던지 기초적인 공부를 해서 하던지.... ?
    박사라는 사람이 51억 달러가 50조라는 계산은 또 뭐지 ? 산술과 환율에 아무리 무지해도 그렇지...

  • @user-mi9ks2lu8o
    @user-mi9ks2lu8o 3 месяца назад +19

    무능한 CEO와 메모리출신 경영자들이 있는한.삼성은 기대난망임.

    • @user-sc4ci5kx1t
      @user-sc4ci5kx1t 3 месяца назад

      ㅋㅋ 어르신은 짐 뭐 하시나요? ㅎㅎ

    • @user-mi9ks2lu8o
      @user-mi9ks2lu8o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sc4ci5kx1t 어.엔비디아.하닉으로 벌고계신중.삼전엔지니어들에게 진즉 다 들었지 ㅋ.어떤꼬라지인지.

  • @user-ft9fd1dj3c
    @user-ft9fd1dj3c 2 месяца назад

    젠슨 황이 황창규후배라나. 초창기에 같은 중국계인줄 알았는데 한국인이라는 것을 알고 삼성을 다시 봤다 하는데 황창규가 나서라!!

  • @user-zp2tp6jb9l
    @user-zp2tp6jb9l 3 месяца назад +1

    마이크론에 기술유출한 sk하이닉스 직원 사형해야 하는데 법개정을 못해서 처벌을 못하니 답이 있나 민주당 제발 정신좀 차려라

  • @user-rj7dc9uo6d
    @user-rj7dc9uo6d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재용회장님힘네세요

  • @min-sehui
    @min-sehui 2 месяца назад

    기술수준 역전 불가능함. DRAM도 최상위 모델은 쳐발린지 오래임

  • @user-wh5lr6tj1g
    @user-wh5lr6tj1g 3 месяца назад +4

    삼전
    반도체Sk타라잡는거불가

  • @user-xt7kl4ld3h
    @user-xt7kl4ld3h 3 месяца назад +1

    폼만 잡지 말고 내용에 충실 하시오
    먼놈의 짧은 시간에 오류가 이리 많노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삼성은 그냥 반도체 연구소를 베트남 인도 미국에 짓는게 답이다.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3 месяца назад

      독일이 물리 잘하니 독일도 괜찮다

  • @H_H_H_H_H
    @H_H_H_H_H 3 месяца назад

    진행과 설명이 좀 아쉽네요... 전체적으로 매끄럽지 못해 보입니다...

  • @user-ql4gz2bm9c
    @user-ql4gz2bm9c 2 месяца назад

    상속만 챙기다 경쟁에서 이탈

  • @super-duper-wooper
    @super-duper-wooper 2 месяца назад

    인력 빼서 가는데 누구탓할게 뭐 있나 ㅋ

  • @jinypark7927
    @jinypark7927 3 месяца назад +8

    이게 다 이재용이를 정치가들이 못살게 굴어서 그런 겁니다. 빨리 무죄방면이 필요합니다. ㅋㅋ
    반도체 혁신을 가져왔던 엔지니어들이 이제는 뒷방 늙은이 나이고, MZ세대는 연봉이나 퇴근시간에만 관심이 있는 배부른 모범생들이니 혁신이 가능할까?? 10년만 더 지나면 그마져도 모두 정년퇴직.

    •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3 месяца назад +5

      헛소리 좀 그만하자. 경영계에서 무능의 대표 인물로 정몽키하고 이재용을 뽑는다.

    • @sia.T
      @sia.T 3 месяца назад +3

      ㅋㅋㅋ 정치타령하는 애들, 이재용이 솔로이던 시절 스스로 일으켰던 사업이 한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는건 알고 이러는걸까? 이재용 구속 시절에 삼전 주가가 얼마였는지는 알고 떠드는걸까? 폰OS부터 시작해 HBM까지 삼성이 놓친게 몇개인데 구속탓이니 정치타령이세요? 이건희의 유일하고 치명적인 실수는 딸이 아닌 아들을 후계자에 앉힌걸거임.

  • @youncheolshin6304
    @youncheolshin6304 3 месяца назад

    삼성이 무슨 팹리스를 잘 한다고......굳이 국내에서라면 그렇겠지만. 삼성 휴대폰에도 삼성AP 들어가지 않는다.

  • @user-fn8dq6cc4w
    @user-fn8dq6cc4w 3 месяца назад

    삼성의 수장이 뉘기니? 시장나들이 똘마니하러 다니는 재용이 아니니?

  • @X-file_1993
    @X-file_1993 2 месяца назад

    삼성아 그 동안 고생했고. 이제 쉬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