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를 고장내고 주행실험해보니...실제 상황, 대형사고 났을까? - 알아야탄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5 сен 2023
  • * 본 영상엔 (주)가연결혼정보의 광고가 포함 돼 있습니다
    ---
    구독해주세요 : bit.ly/2NCioiE
    김한용 hy.kim@mocar.kr
  • Авто/МотоАвто/Мото

Комментарии • 896

  • @1분미만
    @1분미만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4

    좋은 영상 잘봤습니ㄷ

    • @mocar_official
      @mocar_officia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앗! 귀한 걸음 해주셨ㄴ

    • @pengpeng_pudding
      @pengpeng_puddin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박~!

    • @5875roger
      @5875roger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영상 좀 더뤄주세요 두발로 꾸욱 브레이크 밟으라고. 한발로도 가능하지만 두발이면 본인이 잘못밟았다는 사실도 인지하게 될테니까요

    • @big98901
      @big98901 Месяц назад

      1분미만에서 한번 다뤄줘야할듯
      하도 패달 블랙박스 팔이들이 많아서
      급발진 포비아가 만연한 상황
      그러니 대처못하고 우왕좌왕

  • @jason_cha
    @jason_ch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2

    미국에서는 해마다 16,000건의 페달 오인사고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하루에 44건이죠. 사고는 전진과 후진을 반복적으로 해야하는 주차장에서 주로 많이 발생했고요. 초보라고 할 수 있는 20세 이하 혹은 70세 이상의 고령 운전자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특히 2/3가 여성이었습니다. 여성들이 사고를 많이 일으키는 이유는 차 크기에 비해 몸이 작아서 페달에 발이 잘 안 닿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미국엔 큰 차가 많죠) 어쨌든 미국에서는 페달 오인사고를 흔한 유형의 사고로 분류하고 있습니다만, 우리나라는 유난히 페달 오인사고가 적습니다. 제 생각엔, 실제로 페달 오인사고가 적다기 보다는, 페달을 오인했다고 하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꼴이 되니 잘못을 회피하려는 경향과 본인이 운전을 잘 못한다는 걸 인정했을 때, 주변의 시선을 두려워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차가 고장이 났다. 차가 오작동을 했다. 급발진이다!" 라는 주장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 @warrenhm
    @warrenh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1

    이렇게까지 정성스레 설명해줘야할 정도로 대중의 불신이 커져만 가는 현 상황이 안타깝습니다. 또 한편으론 누가 이렇게까지 상세히 공부하고 또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해줄 수 있을까 싶기도 하구요. ^^ 자극적인 기사 나르기에 급급한 언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모카가 그 역할을 해주시네요. 애청자로서 또 한번 감사드립니다. ^^
    "브레이크가 말을 안듣는다 생각될땐! 무조건 두발로 힘껏밟기!" 이 방법은 현재로서 유사한 위기 상황 발생시 제일 효과적인 대처방안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방법을 캠페인으로도 알리고 운전면허 시험볼 때 의무 숙지사항으로 꼭 넣었으면 좋겠습니다.
    더 이상 급발진(오인)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잘 숙지하고 있다가 혹시모를 위기상황에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게 널리널리 알렸으면 좋겠습니다!! 응원합니다!

  • @ndychung007
    @ndychung00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현기차 해외로 4배로 많이 판매 한다는데 급발진 뉴스 아직 본작이 없네요. 캐나다에 사는데 주위에 급발진 걱정하는분들 본적이 없어요

  • @kenjo2210
    @kenjo221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3

    현재 브레이크 개발하고있는 연구원인데 기본적으로 설명 정말 잘해주셨네요
    말씀해주신대로 무식한 장치는 맞으나 많은인원이 안보이는 부분까지 열심히 개발하는 부품입니다. 브레이크는 안전과 직결되기때문에 겉으로 보기엔 발전이 더뎌보이지만 사실 매년 조금씩 개선 및 신기술 들어가고 있습니다 ㅎㅎ
    김한용 기자님께서 언급해주신 덕분에 감사한 마음으로 더욱 열심히 개발하겠습니다

  • @user-xe9pi7ql3u
    @user-xe9pi7ql3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브레이크 램프의 경우를 이야기 하자면 말 그대로 배터리-퓨즈-스위치-램프의 단순 구성회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영상에는 비접촉식이고 접촉식 스위치를 사용하는 차량들도 있는데 기능은 똑같아요. 물론 브레이크 스위치 신호는 ECU나 ABS 모듈 등 각종 통신을 주고 받는 모듈에도 들어갑니다. 그래서 만일 브레이크 스위치에서 모듈로 보내지는 회로가 끊어졌을 경우는 실제 브레이크는 작동하고, 각 모듈이 브레이크 신호는 없는데 빠르게 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인식해서 경고등을 띄울수도 있습니다.
    접촉식 스위치가 고장나서 브레이크를 밟지 않았는데도 브레이크 신호가 계속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엑셀페달을 밟으면 페달을 동시에 밟은거로 인식하거나, 오류로 인식해서 강제적으로 동력을 차단하도록 이미 프로그램과 설계가 짜여져 있습니다. 스위치만 교환하면 고쳐지는 단순한 증상이에요. 이런 경우는 브레이크를 밟았다 뗀후에 차뒤로 가서 브레이크등이 작동하는지 확인해보면 됩니다.

  • @user-nj8pd5ls6m
    @user-nj8pd5ls6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1

    너무 좋은 영상 같습니다 ㅎ
    요즘시대에 브레이크가 어느정도
    바꼈을꺼라 생각했는데 아직도
    20년전이랑 거진 똑같네요.

  • @rlafktm104
    @rlafktm10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3

    역시 운전하는 사람이라면 차에 대해서 잘 알아야 안전하다는게 느껴지네요

  • @bangi789
    @bangi78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정말 도움 되는 영상이네요 특히나 충돌 직후에 브레이크등 들어오는 궁금증을 해결했어요

  • @namelove8750
    @namelove875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2

    대부분 운전자들은 풀브레이킹(페달 부러질정도)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급발진시 대부분 페달 부러질까봐 풀브레이킹 했다 생각해도 완전한 풀브레이킹이 아닙니다.
    풀브레이킹 하면 abs까지 걸리는 거 느끼면서 더 세게 페달이 부러질듯이 밟아야 합니다.

    • @user-lb6zb6li2o
      @user-lb6zb6li2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시트포지션들이 다 달라서
      아마 부러질때까지 못 밟을겁니다.
      누워서 운전 사람들보면 진짜😅

    • @kyoungnamhong4637
      @kyoungnamhong463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공감합니다.
      운전면허시험 기능시험에 마스터실린더에 140~150bar 이상 압력을 가해 긴급제동하는 항목이 필요해보입니다.
      그 무겁고 큰차를 발목만 까딱거리면서 잘 안서네 한다는게 참..

    • @Yes_you_
      @Yes_you_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사고나기 직전에 드드드드드드득 하고 멈춘건데 이정도면 풀브레이킹이었을까요 ㄷㄷ

    • @-woochanbum969
      @-woochanbum96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Yes_you_ ABS가 켜진걸꺼에용

    • @sapoint1
      @sapoint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Yes_you_ 그 상황이 80% 일겁니다 거기서 더 때려 밟아야 100% 가 됩니다

  • @jhyu6755
    @jhyu675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최근 ev6 를 구매했는데 와이프가 급발진 어디서 보고와서 불안해 하더라고요. 이 영상 꼭 시청하게 해야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clguitar
      @clguita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인싸케이 일듯합니다.

  • @khu6207
    @khu620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8:58 저런 구조니깐 차량이 부딪히면서 브레이크 등 한번씩 들어오는게 이해가 감..

  • @dongjin0527
    @dongjin052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한용이형 영상은 너무너무 유익해요!!!
    오늘도 많이 배우고 확실하게 알아갑니다.
    좋은영상 많이많이 만들어주세요!!

  • @user-jg2qj2cg3i
    @user-jg2qj2cg3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유튜브에 사고 영상들, 모카 영상으로 풀브레이킹의 중요성을 보고 BMW 드라이빙센터에서 스타터팩 교육을 들었습니다 거기선 풀브레이킹을 직접 해볼 수 있는데요 내차로 풀브레이킹하기 쉽지 않은데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여자친구도 같이 갔는데 정말 힘들어하더라고요 그만큼 긴급제동에 필요한 힘이 크다는 걸 알았고, 이런 경험을 모두가 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면 좋겠어요 이런 정보전달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344523525325
    @34452352532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브레이크는 노말 온 스위치 입니다
    눌러서 켜는게 아니라 눌러서 점점이 떨어지면 켜지는 원리입니다
    기계장치 EMO 스위치처럼 접점이 떨어지면 켜지는 원리라
    브레이크등이 들어 오는건 신뢰성이 아주 높습니다.
    브레이크등이 안들어오는건 무조건 사용자 과실입니다. 사용자가 안밟았다는거죠
    참고로 상시전원이라 시동꺼도 밟으면 브레이크등은 들어옵니다.
    p.s 쉽게 설명하면 수도 꼭지를 돌리면 물이 나오는데
    브레이크등은
    수도꼭지를 이미 돌려놓고 앞에 구멍을 손으로 막은 상태라 손만 때면 물이 쏟아지는원리입니다

    • @noone9457
      @noone945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궁금한게 노후된 차량들에 브레이크등이 고장나는 경우가 꽤 흔한걸로 보이는데요
      어떤 경우인가요??

    • @user-oo9ch4fc7k
      @user-oo9ch4fc7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noone9457대부분 브레이크 등 전구가 수명을 다해서 고장 난 거 일 거예요

  • @KIA_salesman
    @KIA_salesma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진짜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integerp-a
    @integerp-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0

    강릉 급발진호소도
    영상 잘보면 교량올라서는순간 덜컹거리면서 하이스톱램프 잠깐 켜진거 볼수있었습니다

    • @user-yb1yf8pq1d
      @user-yb1yf8pq1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거긴 머 그렇게라도 삶을 살아갈 수 있으니까. 그거 인정해버리면 그 가족 살자 밖에 답이 없음

    • @rem5861
      @rem586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1:20 딱 이경우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inipapa02
    @minipapa0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이야... 웬만하면 댓글 안쓰는데.... 모카에서 이런 정보 좀 더 추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왠->웬

    • @minipapa02
      @minipapa0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vf1tj3vg6s 감사합니다. 좋은 지식 알게 되었네요

  • @user-tu2yd2zi1w
    @user-tu2yd2zi1w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급발진 호소인들 영상보면서 백날 말해줘도 현기 알바니 뭐니 하면서 죽일놈으로 만듬ㅋㅋㅋㅋ 답답해 죽을지경

  • @user-ij5iy4hz3k
    @user-ij5iy4hz3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모카님ᆢ
    확실하게 이해하기 쉽게 잘설명해주시네요ᆢ
    해박한 지식에 감탄합니다ᆢ

  • @user-dn2ij1jw9d
    @user-dn2ij1jw9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급발진 영상마다 제가 댓글로 달았던 내용들이 이렇게 영상으로 자세하게 설명해줘서 너무 속시원하네요
    급발진이 무조건 없을거다 라고 주장하는건 아니지만 최소한 당황해서 아무것도 못하고 사고 나는것보다 상황이 발생했을때
    보다 잘 대처하기 위해 그래서 교통사고의 피해 정도를 최대한 줄일수있도록 제대로 아는것이 필요합니다

  • @HYOFPVDRONE
    @HYOFPVDRON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많은분들이 궁금해하고 잘못알고있던부분들을 잘알려주셔셔감사합니다. 완벽히 이해했어요❤❤

  • @user-jk9oi1xc1x
    @user-jk9oi1xc1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9

    모카가 최고라고 생각되는 영상. 아직도 급발진 흉기차라고 말하는 분들 보면 안타깝기 그지 없고 유명 블박 유튜버가 기본 구조, 개념이라도 탑재하고 블박영상 올려주길 바램입니다. 역시 모카는 과학적으로 아주 쉽게 이해시켜 주네요... 특히 마지막 브레이크액 교체 추천에 대해 극찬하고 싶네요... 일명 브레이크액이 끓어올라 패드 압이 떨어질 수 있다는 생각조차 못하는 운전자 수두룩 합니다. 좋은 방향의 영상 추천합니다... 역시 원탑 모카입니다.

    • @rem5861
      @rem586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이미 수많은 엔지니어유튜버, 자동차유튜버 들이 자기차 망가지는거 감수하고 실제로 보여줘도 안들어 처먹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oon-xi4tp
      @Moon-xi4t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놔 블박 팔아야되는데.. 같은 유튜버끼리 이러실겁니까 진짜?

    • @biomass12
      @biomass1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 엄청난 유튜버인 블박tv 유튜버도 있는데요 뭐...

  • @ToSsGirLNo.1
    @ToSsGirLNo.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요즘 자동차 컨텐츠에는 급발진하는 차보다는 급발진하는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많음..

  • @user-sk3vn3xb5f
    @user-sk3vn3xb5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최근 전기차 급발진이라고 나오는 것들 주 원인이
    내연기관을 오래타던 사람들이 전기차로 바꾸고
    원페달드라이빙 하다 돌발상황에서 실수한것이라 봅니다
    하다못해 지금 판매되는 차량중 EPB 사양의 전자주차브레이크 달린 차도 주행중 작동시키면 삐삐 경고음 내면서 차 세워줍니다
    그것도 타이어 안잠기게 딱 맞게 제동 잡아주면서

  • @JOPOK-PANDA
    @JOPOK-PAND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8

    진짜 좋은 정보네요. 양발브레이크 교육은 운전면허취득시에도 있었으면 좋겠네요.
    내 생명 남의 생명을 가지고 운전을 하는건데
    면허취득도 너무 쉽고
    고령운전자 교통사고도 많고 참 문제입니다.

    • @nurungiiii
      @nurungiii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일본은 고령자분들이 운전면허를 반납하면 나라에서 혜택을 주는식으로 회수하고있는데, 우리나라도 그랬으면 좋겠음ㅠ

  • @dotkabi
    @dotkab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양발브레이크. 비상시를 위해 꼭 알아야할 운전상식이네요 고맙습니다.
    제 차의 브레이크 페달은 영상에서 설명하신 브레이크와 축이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습니다. (바닥에 고정)
    단순히 차량 제조사의 선호도인것인지 아니면 조건과 상황에 맞춰 그렇게 만드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jason_cha
      @jason_ch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오르간 페달로 검색하면 나옵니다. 발목 피로가 적지만 구조가 복잡해서, 고급 차종 혹은 스포츠카 차량에 주로 쓰입니다.

  • @bca528
    @bca52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정말 유익한 정보입니다! 듣고 싶은것만 듣고 보고싶은것만 보는 사람들도 제발 이걸보고 정신좀 차렸으면 좋겠네요

  • @KollHong227
    @KollHong22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ev6 테스트 좋네요
    저런 구조도 알고 있었고 시동을 꺼도 다른 내연차량처럼 브레이크가 무거워지질 않아서 제대로 작동 하는건가 싶었는데 도움이 됐습니다

  • @GOSEGYU733
    @GOSEGYU73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16

    얼마나 급발진사고에서 브레이크 안된다고 말하는게 보기 싫으시면 이런영상을 만드신겁니까 ㅋㅋ 진짜 유용한 영상입니다....

    • @user-xz9iv7st3p
      @user-xz9iv7st3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직설적으로 말하면 빼액될테니 돌려돌려돌려 유치원생 달래듯 자알 설명해주는 한용님

    • @hobbyholic_LoveLive
      @hobbyholic_LoveLiv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물리적으로 브레이크패드가 구동력 전체를 통제하는것은 불가능합니다. 구동력이 미쳐서 날뛰는 상황에 발생하는것이, 급발진입니다.

    • @user-xz9iv7st3p
      @user-xz9iv7st3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hobbyholic_LoveLive 물리적으로 어떻게 불가능한거죠? 구동력을 통제 및 제어하라고 존재하는게 브레이크인데

    • @user-hz1et6jj7y
      @user-hz1et6jj7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8

      ​@@hobbyholic_LoveLive와 이런사람이 실제로 있구나.... ㅋㅋ
      그래... 그래야지 그동안 믿고있던 급발진이 말이 되지...

    • @Generator11
      @Generator1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hobbyholic_LoveLive 엑셀을 풀로 밟은 상태에서 엑셀의 발은 유지한체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아보세요
      차가 과연 멈출까요? 계속 움직일까요?
      말이 되는 소릴 하셔야지....

  • @user-zt4rd1po5e
    @user-zt4rd1po5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좋은 내용의 콘텐츠 입니다. 모든 자동차 상식은 김한용의 모카!

  • @Garacer
    @Garace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모터 전자식 브레이크도 궁금했었는데 덕분에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didi12425
    @didi1242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지금까지 급발진이라고 나온 사고중에 브레이크등이 확실하게 나온영상이 한개도 없음, 그게 무슨말을 하는거냐면 실제로 브레이크쪽 영상이 cctv에 찍혔더라도 미리 봐서 윗쪽 브레이크등이 안들어오니 그영상을 삭제하고 제보하는거임

  • @user-tk9eu6id3v
    @user-tk9eu6id3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시는 모카!! 근데 어댑티브 크루즈 상태에서 브레이크등은 저거랑은 다른 원리로 들어올 거 같은데 그것도 궁금하네요

  • @ylj832
    @ylj83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김알자가 생각나는 영상이네요ㅎㅎ한편도 빠짐없이 봤었는데ㅎㅎ그 시절이 기억나네요^^ 기자시절부터 팬입니다

  • @bluesky3017
    @bluesky301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형님 덕에 제가 살아있습니다. 사고는 어이없는 상황에서 잘 일어나니...
    브레이크 밟았는데 알피엠도 올라간다면 , 그냥 오른발 때고 왼발로 브레이크 밟아야 합니다.

  • @user-fr5jq9ol5o
    @user-fr5jq9ol5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이걸보고 더이상 브레이크가안된다는 무식이들이 사라지길....

  • @bangsstube
    @bangsstub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지금까지 저에게 원드레곤님의 최고작은 에어콘필터실험 그리고 루프트의 발견…이었는데
    이 영상이 이긴듯…^^
    아 글고보니…에어콘필터 실험은 오토그래프 시절이니 모카설립 이후 최고의 영상이네요~!!
    좋아요는 한번만 누르지만 맘속으로 100만개 누르고 갑니다. 100만유튜버시니까~^^

  • @johncho1372
    @johncho137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2

    우리나라에 김한용 편집자 같은 자동차 유튜버가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자동차 회사에서 교육업무를 하는 제가 봐도 정말 완벽한 설명 이고, 필요한 컨텐츠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 @jhlee5737
    @jhlee573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besitolee
    @besitole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브레이크 스위치가 정상인 가정 하에 영상을 찍으셨는데,
    만약 브레이크 스위치가 고장 나 있다면???
    고장의 증상은 기본적으로 6 가지입니다. (항시 On, 항시 off, 발진, 서서히증가, 서서히감소, 랜덤하게 작동)
    버튼 시동 타입 차량들, 저 스위치 고장으로 시동 안 걸리는 문제점 많아서, 직접 8천원에 사서 교체하신 분들 많습니다. (저도 CM을 교체했었죠.)
    브레이크 스위치에서 오는 신호 가지고 여러 ECU에서 정보로 씁니다.
    요즘은 기능안전 때문에, 브레이크 스위치 외의 피스톤 압력이나 위치센서 등도 이용합니다만, 적용 안된 옛날 차량 많습니다.
    영상에서처럼 브레이크 등도, 달랑 그 스위치로만 작동합니다. 달랑 그 스위치 정보가지고만 ?
    브레이크 스위치만 가지고 불이 들어오면 안되고, 피스톤 압력이나 위치 등을 같이 활용해야 합니다.

    • @abcdefg-1244
      @abcdefg-124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브레이크등은 스위치만 가지고 동작해야하는게 맞음. 직관적이고 다른 요소들의 영향을 최소화 해야함. 매우 매우 기본적인 설계의 원리임. 엔지니어로 일해보면 왜 그래야 하는지 알수 있음.

  • @user-pt3fn4fz7q
    @user-pt3fn4fz7q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업계 현직입니다….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관련 업계 아니라도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잘 다뤄주셨네요.
    영상 후반부 내용처럼 브레이크 같은 중요 시스템은 가끔 신경써서 점검, 정비 해주는걸 추천드립니다.
    저는 장거리뛸때 리저버에 액레벨 확인합니다

  • @chomama4514
    @chomama451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이거는 정말 인정 침착하게 양발 풀브레이킹, 2-4년마다 브레이크액 교체 굳

  • @arzutur-gx3mc
    @arzutur-gx3m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좋은정보 배웠네요! 고맙습니다 😊

  • @qhedilee8097
    @qhedilee809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사실 면허 딸때 이런게 시험에 나와야하지않을까 싶네요 ㅋㅋ 뒤늦게라도 배울 수 있는 영상이 되어서 좋았습니다

  • @GogumaRing
    @GogumaRi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늘영상 정말 유익합니다

  • @First_law_of_Thermodynamics
    @First_law_of_Thermodynamic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 시간이 잴로 좋음.
    감사합니다.

  • @user-ds4qw6ho7x
    @user-ds4qw6ho7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3

    이래도 급발진무새 호소인들은 안믿겠지만, 유용한영상 감사합니다.

  • @_Kane_
    @_Kane_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23:46 엔진브레이크에 대한 설명이 빠져서 아쉽네요. 예전에 지리산 내려가는 길에 앞서가던 제네시스가 브레이크를 계속 밟으며 내려가는데 브레이크 타는 냄새까지 날 정도로 내려가던…😅 경적 울려서 앞 차 세우고 보니 아줌마 둘이 타고 있던…대화를 해보니 엔진브레이크가 뭔지도 모르더라고요😂 수동변속방법 알려줬던 기억이 나네요.

  • @tlqnfp
    @tlqnf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급발진뉴스에서 운전자가 하는 말이 스펀지 처럼 들어갔다.
    이런 경우는 세가지인데 하나는 호스에 구멍이나 브레이크액이 다 없어져서 압력이 하나도 없어질 때 둘은 브레이크 액이 끓어서 베이퍼록현상 때문에 마지막으로 악셀을 브레이크로 착각해서.

  • @techworks7723
    @techworks772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8

    정말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급발진(이 용어도 잘못된 거지만) 시 운전자 들이 자신의 실수를 빨리 인지 하고 브레이크를 밟을 수 있도록 이렇게 제대로 된 방송이 필요합니다. 얼마전 "[YTN 탐사보고서 기록] 급발진, 액셀 vs. 브레이크" 에서도 오로지 차량 결함 쪽으로만 편파적으로 방송하던데.. 최소한 운전자가 실수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공정하게 보도가 되어야 할 텐데 대 부분 언론이나 여론만 의식한 인기몰이 하는 전문가라고 자처하는 사람들 너무 무책임 한것 같습니다. 추후 EDR 에 대해서도 이런 기술적인 설명해주시면 많은 도움 될것 같습니다. 사고 당사자들은 ECU 가 미쳐서 EDR 이 잘못된 데이터를 받았을 것이기 때문에 EDR 데이터를 믿을 수 없다고 주장 하던데 이런 주장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 @mocar_official
      @mocar_officia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알겠습니다. 아 정말 심각한 문제네요. 다음번에는 EDR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user-tm3jl4un2i
      @user-tm3jl4un2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급발진 급증이유 한문x 인싸게x 의 급발진 선동영상을 봐서 차가 갑자기 풀악셀하면 자신이 잘못 밟았다가 아닌 어제유튜브에서 본 급발진이 나한테도 생겻구나 로 생각하게됨.

  • @jaekuhan2683
    @jaekuhan268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큰 도움이 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그런데 전에 어떤 영상에서 오토홀드 기능에 대해 부정적이셨던 걸로 기억하는데, 혹시 이유를 알려 주는 영상이 있을까요?^^

    • @mocar_official
      @mocar_officia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ruclips.net/video/Cnt19H-fGbU/видео.htmlsi=h4DApCqR-WVFF5Qq&t=997 요기 있습니다

  • @MsoundKhs
    @MsoundKh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믿음이 가네요

  • @user-jo8vi3ls7u
    @user-jo8vi3ls7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대한민국 운전자들이 모두 알아야 할 컨텐츠입니다
    브레이크는 철저하게 독립적이다 라는것과 정말 정말 보수적으로 설계한다는것

  • @user-ol3ul3ut3q
    @user-ol3ul3ut3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차량 정보 관련 영상이 정말 좋은 것 같아용~!

  • @abcdefg-1244
    @abcdefg-124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좋은 컨텐츠입니다. 급발딘 주장하는경우 브레이크 밟아도 급발진 상황이라 브레이크등도 안들어 온다고 주장하는데 영상으로 확실히 보여주셌네요. 브레이크등은 급발진 상화이라도 항상 들어온다.

  • @user-zt1nn3ph4y
    @user-zt1nn3ph4y Месяц назад

    차에 대한 믿음이 확 생기는 영상들... 역시~~ 최곱니다.

  • @OO_Ol-LlOF
    @OO_Ol-LlO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런 영상은 널리 퍼져야 한다

  • @ston.k444
    @ston.k44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늘은 정말 좋은 주제입니다.
    알아야 써먹죠

  • @lIIIlillIilllllllIilIiiIIIli
    @lIIIlillIilllllllIilIiiIIIl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진짜 수준낮고 엉망인사람들이 브레이크도 모르면서 댓다는게 답답했는데 감사합니다

  • @contizlee8634
    @contizlee863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4

    긴급상황에서 믿을 건 브레이크 밖에 없는게 맞습니다. 브레이크를 조목조목 잘 설명해 주시니 기존에 알던대로 꽤나 안전에 대해 신경써서 설계되었다는걸 재확인할 수 있네요.
    다만 여러가지 사례들을 보면 정말 상식적으로 이해가 불가능한 경우들도 많아서 희한합니다.

  • @PoPo-hb7kg
    @PoPo-hb7k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급발진무새들이 발작할 영상이네요.. 디젤엔진이 급발진 주장 통계 1위로 나오는 한국....... 디젤엔진이 과연 급발진에 적합한 엔진일런지 생각 좀 해봤으면 좋겠어요. 시동꺼진 차 브레이크 밟아도 작동하는거 직접 해봐서 잘 알고 있습니다. 사륜차 뿐만 아니고 이륜차도 시동꺼진 채 브레이크 당겨도 작동합니다. 앞,뒤 브레이크 모두 시동과 상관 없이 작동해요. 에어빠진 대형차 브레이크는 일시적으론 작동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동 켜자마자 에어 차구요.. 에어 없어도 딱딱한 브레이크 위에 올라타면 제동 거리가 길어져서 그렇지 작동하긴 합니다.. 일개 개인이 해봐서 아는거일 뿐인데, 이런 내용이 영상으로 증명이 되어 기쁘네요.

    • @user-mw9wd9qn4c
      @user-mw9wd9qn4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ruclips.net/video/cmTO_DLv458/видео.htmlsi=_t_-oLUJjSAJKcUX&t=2717 시간까지 해서 남깁니다 지금 모카영상에서는 충돌후에도 제동장치가 작동하여 2차 충돌을예방한다고 했지만 제가 퍼온 영상에서는 하이포지션스탑램프가 켜져있음에도 불구하고 1차충돌후 차가 계속 굴러갑니다. 설명해주세요

    • @user-ob1vb1vi9c
      @user-ob1vb1vi9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버런

    • @user-ob1vb1vi9c
      @user-ob1vb1vi9c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만 브레이크는 보조압이 없어도 죽을듯이 밟으면 잡히긴 하나 모두가 아는건 아니죠.. 현대나 정부가 나서서 대처 요령을 차량 사고등으로 제동보조가 고장나더라도 대처요령을 계속 주지시키면 좋지 않을까 싶네요

  • @signaturegesture
    @signaturegestur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감사합니다. 운전만 할 줄 알고 자동차에 대해서는 초심자인데.. 브레이크에 대해서 편하게 좋은 정보를 얻었습니다. 역시 모카모카 최고에용!!😊

  • @jhunterkim
    @jhunterki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오늘 영상은 널리 공유해야 겠습니다. 위급시 두발 제동 !!!
    브레이크 커넥터까지 빼고 테스트를 하는 하뇽님의 위염😵👍🤣

  • @user-uk1rp2vh8d
    @user-uk1rp2vh8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 : 브레이크를 밟아도 차가 안멈췄다니까요!!
    (엑셀을 밟으며)

  • @Jiwoojisung
    @Jiwoojisu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이 영상을 어느 유명하신 변호사님이 싫어합니다. 어느 정비 명장님도 싫어합니다.

    • @user-ghj3d8dgh
      @user-ghj3d8dgh Месяц назад

      어느 자동차학교 교수님도 싫어합니다. 3 세븅의 공통점: 페달 블랙박스를 팔고 있습니다

  • @youchankim
    @youchanki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면허 시험 학원에서 이런 영상을 꼭 보여주면 좋겠네요

  • @eric_in_the_states
    @eric_in_the_state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정말 유익한 영상입니다. 널리 퍼져야 합니다

  • @paper1796
    @paper179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반자율주행 때는 어떤 원리로 되나요?
    내리막길 지정속도(예 40)로 되어 있을 때 40을 넘으면 계속 브레이크 작동 되나요?
    운전자가 하면 브레이크를 밟았다가 놓았다가 하며 내려 갈텐데요.

    • @Moon-xi4tp
      @Moon-xi4t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밟아요 전기차는 회생제동 작동합니다 모자라면 브레이크 들어가교요 경험상

  • @user-em3pr3bm5v
    @user-em3pr3bm5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영상이내요
    두발사용법은 좋은방법이내요

  • @psybeenzz
    @psybeenz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photon_ring
    @photon_ri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정말 필요하고 유용한 내용입니다! 와이프 꼭 보여줘야 겠어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풀브레이킹, 내리막 엔진 브레이크 등 모르는 사람이 태반입니다
    이정도면 사람이 비명 소리 지르면 차가 인식해서 풀브레이킹 되도록 해야 하는건지 ㅋㅋㅋ
    아무튼 풀악셀 급발진 오인 사고는 없어졌음 좋겠네요~

    • @rem5861
      @rem586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어머 어머 어머 3번 나오면 풀브레이킹 하게 만들어야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kimdongwook850406
    @kimdongwook85040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전기차의 경우 엑셀과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으면 어떻게 되나요? 휘발유차는 엔진 출력에 따라 앞으로 나아가는 속도가 다른데 전기 차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또한 모터 출력이 강해서 앞으로 나아간다면 휘발유차 대비 얼마나 가속감이 있는지도 알고싶어요. 그리고 엑셀과 브레이크 동시에 밟고 주행시 브레이크 베이퍼락이 얼마만에 생기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Boradollee
    @Boradolle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급발진 영상에서 다들 하는 얘기 보면 브레이크를 밟아도 말을 듣지 않았다고 하는데 가끔 인터뷰 보면 브레이크가 수욱 하고 밟힌다는 얘기들을함. 브레이크는 쉽게 밟힐수가 없음 수욱 하고 쉽게 밟혔다? 그거는 엑셀레이터라고 보면됨
    + 브레이크가 너무 단단해서 안밟힌다? 안밟힐수 없음 그냥 운전자가 평소 주행하던대로 밟았을뿐 시동 꺼졌을때에는 ㅈㄴ 세게 밟으면 제동됨. 그리고 브레이크를 살짝 이라도 밟았다면 브레이크등이 들어와야하는데 급발진 의심영상 보면 하나같이 브레이크등이 안들어옴

  • @cyh25cyh
    @cyh25cyh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영상으로 지금 많이 이슈가 되고 있는 급발진이라고 하는 의심 사고들의 원인을 어느정도 짐작할수 있다고 봅니다. 저도 이걸 알기전까지는 이런일들이 나에게 생기면 대처를 못하겠구나 싶었지만 지금 영상을 보니 브레이크만 확실하게 밟아주면 제역할을 한다는걸 알았네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브레이크를 생각보다 확실하게 못밟는 경우가 많았구나 싶은걸 다시 한번 느끼게 됬습니다. 이거 진짜 중요한 영상입니다.

  • @user-jn8oi8ml5v
    @user-jn8oi8ml5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브레이크원리를 제대로 배우네요!

  • @user-bu6hy8ub9c
    @user-bu6hy8ub9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버스는 에어압력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한다는 점 일반 승용차와 다르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에어가 없으면 브레이크가 잠겨서 자동으로 후브레이크가 잡힙니다.

  • @user-os5nn8sx4m
    @user-os5nn8sx4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영상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 @gong1416
    @gong141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밌게 잘 봤습니다. 좋아요

  • @beyond-the-horizon
    @beyond-the-horizo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년에 한 번 교체하라고 하셨는데요, 주행거리가 길지 않을 경우에도 2년에 한번 교체해야 하나요? 브레이크액 색깔이 변하기시작하면 교체하라는 얘기도 있고, 신차구입 후 2년7개월 되었는데,, 주행거리는 24,000km 입니다.오일교환시까지 기다려야 하나요, 아니면 바로 교체해야 하나요?

    • @user-pv9zd5uq2e
      @user-pv9zd5uq2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4년에 한번~ 자막으로 정정하였음요

  • @user-hj6qy2qb5q
    @user-hj6qy2qb5q Месяц назад +1

    자동차 파워를 끄고 브레이크를 몇 번 밟으면 브레이크배력장치에 진공이 없어져 브레이크가 딱딱해지는데 제동거리가 생각 이상으로 길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브레이크를 밟을 때는 한번에 죽 밟아라고 하는데 당황해서 자꾸 여러 번 밟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만약 왼발로 밟는다면 절대로 엑셀을 밟은 일은 없을 것이고 이때 발을 때지 말고 오른발을 왼발에 붙여서 밟으면 실수하지 않을 것입니다.
    소비자가 차를 몰기 전에 사고 대처를 위해서 왼발로 브레이크 밟는 연습을 몇 번이라도 하고 차를 운행하는 습관을 키웠으면 합니다. 브레이크는 여러 번 밟을 것이 아니라 정확히 밟으면 제동거리를 확실히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양발 운전도 이런 문제를 대비해서 좋은 습관이 될 것 같습니다. 오른발로만 사용하다 보면 운전 미숙자들은 순간 헷갈리거나 연로한 분들이 깜빡하는 문제도 어느정도 해결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user-qu7mg6wd5t
    @user-qu7mg6wd5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늘 정말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hd2wu9tj2e
    @user-hd2wu9tj2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단하십니다 위험감수하시면서 실험을 직접하시고 지식도 풍부하시구요 오늘 브레이크액 교체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 @user-su5rt2dk8p
    @user-su5rt2dk8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그러니깐 엔진이 멈추든 전기차든 30년전 차든 브레이크 작동원리가 같으니깐 전자장비가 고장나던 갑자기 차에서 급발진이 발생한다고 쳐도 브레이크가 안먹을 일이 없다는 말이네요.

    • @user-ghj3d8dgh
      @user-ghj3d8dgh Месяц назад +1

      네 맞습니다. ECU가 미치고 차가 이상하면 오히려 차가 앞으로 못 가요. 가속페달 밟아도 반응이 없는 게 차량 결함이며 그게 고장이며 오작동입니다. 그리고 왜 자동변속기 자동차만 미치면 질주한다고 주장하는지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엔진으로 작동하는 다른 교통편들 예를 들면 비행기, 헬기, 보트, 항공모함, 전투기, 고속열차 등 많이 있는데.... 고장나면 에너지 공급을 못하므로 작동을 못 하는 것이 확률적으로 월등히 높으며, 고장나서 에너지 공급을 잘 받아서 오히려 발진을 일으킬 확률은 원숭이가 막 두들겨서 미국헌법 전체를 오타없이 칠 확률보다 작다고 하던데요...

  • @choiseon77
    @choiseon7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nightfallvii
    @nightfallvi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 @iviiz2z
    @iviiz2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이 영상을 급발진맹신론자가 싫어합니다.

  • @te-ty8ls
    @te-ty8l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지금까지 급발진 의심 사례들을 보면 패달 오인사고가 대다수 일거라 생각 됩니다.
    그렇기에 패달 오인으로 가속 패달을 밟더라도... 깊숙히 힘것 밟으면 브레이크가 작동 되던지.. 모타 구동용 전원이 차단 되던지 하는 안전 장치를 추가 한다면 패달 오인 사고로 인한 피해를 많이 감소 할수 있으거 같습니다. 연구자 분들 적극 검토 부탁드립니다.

  • @imjustplay1192
    @imjustplay119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이런 지식기반 컨텐츠 무조건 추천!

  • @user-yd2eq1wg9w
    @user-yd2eq1wg9w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매우 소비자입장에서 해주시는 리뷰덕분에 차결정에 큰도움을 받고있습니다
    내년에 결혼하는 예비신랑인데
    5500만원 아래로 살만한차가 뭐가있을까요?그랜저하이브리드로 맘 잡고있는데a6도 고민되기도 하고 그렇네요
    추천해주실만한 차량 있으실까요ㅠㅠ

  • @JungHanLove
    @JungHanLov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biomass12
    @biomass1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오일 혼입 등 엔진의 폭주, 센서고장, 미션의 고장, 브레이크 캘리퍼나 패드의 손실 같은 모든 상황이 합쳤을 때 극악의 확률로나 이론적으로 급발진이 가능하겟군요.

  • @user-se1on5yy1l
    @user-se1on5yy1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역시 모카는 유용한
    정보를 잘 알려주네요

  • @toyoung10
    @toyoung1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알아듣게 덧글 달아주면 제조사 알바라고 합니다 ㅋ

  • @LeeTravis-bh8td
    @LeeTravis-bh8t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가 영상에서 언급되었는데 놓쳤을 수도 있지만, 후미등 처럼 브레이크등 전구 혹은 램프가 수명이 다하거나 고장난 경우에는 어떨까요?

    • @user-gy8ih3xy4l
      @user-gy8ih3xy4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요즘차는 램프류 이상일때 계기판에 알림이
      뜨고 // 다 떠나서 등화류 관리 조작 책임도
      운전자에게 있음...
      그게 아니고서는... 멀쩡하던 램프류가
      딱 그때만 고장났다? 사고 이후 다 점검해보면
      램프 다 잘 들옴...
      한 천번의 케이스가 있다면 999건은
      사람이 실수 한거임.

    • @Robitteddy
      @Robittedd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하나가 안들어왔다고 해도 나머지 램프가 있고 특히 상단 스탑램프는 대부분 led라 나가도 한발이 나가서 이가 나가보이지 전부 나가는 경우는 잘 없어요

  • @navalistoh1759
    @navalistoh175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배력장치가 단순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있는것이라면 주차 후 4시간 정도밖에 되지 않았는데도 배력장치의 진공이 깨지는 차량은 불량으로 볼수가 없는건가요. 지금 5년째 그상태로 타고있는데 안전상엔 '전혀' 문제가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 @nsc8018
      @nsc801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이드로 백 안에 얇은 고무막이 존재합니다.
      그 부분에서 미세한 리크가 발생한다면 몇분~몇시간 상간에 진공이 빠지기도 합니다.
      운행중에는 어차피 필요한만큼 계속 진공이 만들어지니 지장없고요.

    • @adjective999
      @adjective99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배력장치가 유지가 안되는건 배력장치보단 마스터실린더나 브레이크 모듈에 문제가 잇는 경우가 많습니다. 배력장치에 문제가 있는경우 주행시 브레이크 밟으면 공연비 린번 경고등 들어옵니다.

  • @user-tj4de1ow4w
    @user-tj4de1ow4w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모카 애청자로 정말 시원한 영상 입니다 명확하고 정확한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 @laws4you
    @laws4yo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이해가 너무 잘 되네요. 한문철의 블랙박스에서도 법은 잘 알지만 자동차를 몰라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부분이 있었겠네요. 김한용의 블랙박스 프로그램 만들어야 할 듯.

  • @woonglee31
    @woonglee3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최근에 브레이크 관련 영상들 많이 보는데 우선 운전석을 바짝 땡겨 앉는 시트포지선이 중요한거 같습니다.
    진공상태로 들어가면 영상처럼 브레이크가 덜 밟히는 경우에도 더 밟아야하는데 꽤나 많은 분들이 누워서(?) 운전하시는데 책상 의자 앉듯이 거나 바짝 붙여서 앉는게 선행되어야 할거 같습니다. 최소한 손목이 핸들윗부분에 오게끔 타라는게 괜히 있는 이야기가 아니니까요.

  • @user-zb9yo3uv7l
    @user-zb9yo3uv7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