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방정식 근의 공식 말고, 창의적인 풀이 방법 / 근과 계수와의 관계, 두 근의 평균을 활용한 이차방정식 풀이 방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0 сен 2024
  • 근과 계수와의 관계, 두 군의 평균을 활용한 이차방정식의 풀이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차방정식 #근의공식 #창의수학

Комментарии • 13

  • @on30ji
    @on30ji Месяц назад +2

    요즘 근의공식따윈 개나줘버리라는
    자극적인 썸네일로
    평균을 이용한 풀이방법을 많이들 설명하는데
    1:18 이부분의 말씀이 정확한것 같습니다.
    물론 이제 반드시 "근의공식"이 아닌
    평균을 이용하는 방법도 생겼으니
    어느것이 맞다, 어느것이 더 쉽다 할게 아니라
    두 방법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한 후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면 되겠네요.

  • @PlayingSimulMT
    @PlayingSimulMT Год назад +2

    5:21 핵심포인트!!
    이거 아주 중요합니다~

  • @OLDHIPPO-s6i
    @OLDHIPPO-s6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차방정식을 함수로 그리면 포물선의 대칭이 나오는데 이 대칭성을 이용해서 푸는겁니다.
    판별실이 0 보다 클때 (두 근을 가질때) 포물선의 꼭지점의 x축을 기준으로 양옆으로 같은거리에 근이 2개 있는 것을 활용한 거지요 ^^

  • @PlayingSimulMT
    @PlayingSimulMT Год назад +1

    오랜만이네요!
    요즘 고등수학 상 하고 있어갔고 시간이 없었는데ㅎㅎ 이차부등식이 너무 어려워서 ㅋㅋ
    엊그제가 선생님 영상 보면서 공부했던거 같았었는데 벌써 고등학생이네요..
    여전히 유익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math4u
      @math4u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등 수학을 공부하시는군요. 곧 수학1, 미적분 등도 학습하시게 될텐데 내용이 심화되는 만큼 수학의 깊이와 재미도 느끼시게 될겁니다. 힘내세요!!~

  • @namkkim1283
    @namkkim128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근의공식은 완전제곱수를 이용한거고 이거는 두 근의 평균으로 이차방정식을 만들어서 하는거,,,,,,복잡하지않은 단순한 근 구하는데는 평균을 이용하는게 쉽겟죠ㅋ

  • @gjk2462
    @gjk2462 Год назад +1

    이건 이차함수 공부할때 나오는 이야기 인데요??
    아니 인수분해 할때만해도 나오는 이야기 인듯..
    수능 보는 사람중 이걸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싶은데.. 그럼에도 근의 공식을 쓰는 것은 복소수와 연계가 직관적이고,
    절차가 1번이므로 머리가 편하기 때문.

  • @박동해-b2r
    @박동해-b2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만능은 근의공식이 아니였네요.이게 훨씬 빠르고 쉽네요.원리를 알고 앞으로는 이걸로 끝.

    • @장장은우
      @장장은우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x의 계수가 1 3 5 7 9 11이런거면 어떻게 계산하나요?

  • @leeky2136
    @leeky213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3차방정식을 예전에는 근사값을 이용해서 풀었다고 하는데 그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기회 되시면 좀 알려주세요

  • @precious0205-d6y
    @precious0205-d6y Год назад +2

    (1)
    (-b/2a)축의방정식을 통해 두근의 곱을 식으로 표현하고 두근의차/2 값을 찾는다
    (2)
    두근의차/2 값+ (-b/2a),
    -두근의차/2 값+ (-b/2a) 가 해 라고 보면 되나요?^^

  • @Grt-H
    @Grt-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좀더 직관적인 설명이었으면 좋았을텐데요...
    이거 아이들이 헷깔려함

  • @장장은우
    @장장은우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럼 x의 계수가 홀수이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