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13강 사회·문화 지문 '문턱값과 재화의 도달 거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user-primrose
    @user-primrose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수요자 입장에서 문턱값은 왜 존재하지 않는 건가요?

    • @국어강사김남준
      @국어강사김남준  Год назад

      네 문턱값은 1문단에 따르면 공급자 입장에서 판매 수익이 총비용을 상회하기 시작하는 거리입니다. 즉 문턱값 이상부터 이윤이 실현되는 것이죠.
      그런데 수요자는 어떤 제품을 구매하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좋습니다. 다시 말해 지문의 그래프의 X축의 값이 작을수록 교통비가 들지 않기 때문에 수요량이 커집니다.
      그래서 수요자에게는 이윤이 실현되는 문턱값이 없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현재 수요자의 위치와 상점이 가장 가깝다면 이윤이 최대화 되기 때문입니다.

    • @user-primrose
      @user-primrose Год назад +2

      @@국어강사김남준 감사합니다!! 선생님 영상 정말 잘 보고 있어요 매번 쌤 강의력에 감탄하고 갑니다

    • @국어강사김남준
      @국어강사김남준  Год назад +1

      좋은 댓글 저야말로 정말 감사하네요ㅠㅠ 앞으로 더 열심히 준비해서 도움이 되는 강의 영상 만들겠습니다. 추석 명절 잘 보내세요!

  • @김수팽
    @김수팽 Год назад +1

    1번문제 4번에 문턱값보다 가까우면 이윤이 나고 안나고를 묻는게 아니라 이윤의 증가 경향을 묻는거니까 이윤은 중심지부터 A와B 가운데 까지는 중심지와 가까워질수록 감소하고 A와B가운데부터 B까지는 중심지와 가까워질수록 이윤이 증가하는거 아닌가요? 수익은 항상 중심지와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는거고요.

    • @국어강사김남준
      @국어강사김남준  Год назад +1

      답변이 늦었습니다. 1번에 4번 선지에서 확실한 것은 이윤은 중심지와 가까워질 때 항상 커지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질문자 분 말씀처럼 이윤 창출 구간 중 B~A와 B의 중간까지는 이윤이 커지는 게 맞고요. 선지에 내용이 중심지에 가까워질수록 이윤이 (항상) 커진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기에, 간단하게 이것이 틀렸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문턱값에서는 이윤이 없다는 것을 예시로 들어 설명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