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을 주셨네요^^ 실제상황에서 추론통계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대한 질문이신데요... 이에 대한 예제는 너무나 많은데, 가장 흔하게 볼수 있는 것은 선거철에 어떤 후보의 지지율에 대한 예측같은 것입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A 후보의 지지율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전국에서 투표권을 가지고 있는 성인남녀 중 일부를 표본추출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특정 후보의 지지율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구하고, 해당 기술통계량(표본 지지율, 예를들어 40%)을 기반으로 모집단 전체에서의 실제 지지율에 대한 신뢰구간을 산출합니다. "95% 신뢰수준에서 A 후보의 지지율은 40% 플러스 마이너스 2퍼센트 포인트입니다."라는 방송멘트를 자주 들어 보셨을 겁니다. 그 외에도 일반 산업현장에서는 개선하고자 하는 품질특성에 어떤 인자가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분석을 할 때 추론통계를 자주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어떤 제품의 강도에 촉매의 종류가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할때, 각 촉매별 제품강도를 표본추출하고 두 모집단의 강도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2표본 t검정)하게 됩니다. 추론통계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통계적 가설검정", "상관 & 회귀분석", 그리고 "실험계획법"같은 내용을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글로 답변을 드리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느낍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귀한 영상 고맙습니다. 정말 잘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갓활코딩을 여기서 보네요 ㅋㅋ
대학원에서 통계적품질관리 수업듣다가 포기할뻔 했는데 홍샘 덕분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도움이 될수 있어서 다행입니다.^^
목소리 넘 좋아요^^
네, 감사해요~
재밌네요. 고맙습니다. 또 올려 주세요
네, 감사합니다.
통계에 대해서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유익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이태욱 대리님, 강의시간에 봐요~
목소리 조아요!!! 통계를 너무 쉽게 이해하게 알려주셔서 잼나요 감사합니다😍
누구신지 알것 같아요^^ 수업들으시느라 고생 많으셨어요^^
정말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강의를 너무 잘 하세요.. 감사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해요~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영어로 통계 수업 듣다 절망 중이였는데.. 완전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감사합니다
계속 해주세요
네, 감사합니다.~
기초를 이해하는데 매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어떤 말을 해야할까요 이해가 너무 잘됩니다 수학공부가 힘들었는데요 이영상을 보고 힘이 자신감이...정말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와 정말 쉽게 이해했어요 !!!! 더 없나요 ㅠㅠ 홍선생님
아직 올릴 내용은 많으나... 고민 중입니다.^^
선생님 질문있습니다.
야구팀 영화 예시를 보고, 실제 상황에서통계학을 쓴다면 기술통계적인 해석은 정확히 가능하지만 그 중에서 어떤 해석을 기준으로 추론통계를 하는 것은 직감적인 부분인가요?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을 주셨네요^^
실제상황에서 추론통계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대한 질문이신데요...
이에 대한 예제는 너무나 많은데, 가장 흔하게 볼수 있는 것은 선거철에 어떤 후보의 지지율에 대한 예측같은 것입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A 후보의 지지율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전국에서 투표권을 가지고 있는 성인남녀 중 일부를 표본추출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특정 후보의 지지율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구하고, 해당 기술통계량(표본 지지율, 예를들어 40%)을 기반으로 모집단 전체에서의 실제 지지율에 대한 신뢰구간을 산출합니다.
"95% 신뢰수준에서 A 후보의 지지율은 40% 플러스 마이너스 2퍼센트 포인트입니다."라는 방송멘트를 자주 들어 보셨을 겁니다.
그 외에도 일반 산업현장에서는 개선하고자 하는 품질특성에 어떤 인자가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분석을 할 때 추론통계를 자주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어떤 제품의 강도에 촉매의 종류가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할때, 각 촉매별 제품강도를 표본추출하고 두 모집단의 강도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2표본 t검정)하게 됩니다.
추론통계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통계적 가설검정", "상관 & 회귀분석", 그리고 "실험계획법"같은 내용을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글로 답변을 드리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느낍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