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촌토성의 비밀, 그 많은 뼈들은 무엇을 위한 걸까? (SUB)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베일에 싸여있는 한성 백제의 비밀을 품은 몽촌토성
    몽촌토성에서 발견 곰 발바닥 뼈는 무엇을 위한 것이었을까?
    대형 우물터에서 나온 말머리 뼈와 목간의 비밀🕵️
    몽촌토성의 주인은 백제가 아니었다?
    #발굴 #복원 #유적 #토성 #미스테리 #역사이야기 #history #전설
    #몽촌토성 #백제 #고구려 #역사 #고대비밀
    #국가유산 #미스토리 #국가유산채널
    ---------------------------------------
    국가유산채널 공식 홈페이지 www.k-heritage.tv
    국가유산채널 공식 블로그 blog.naver.com...
    국가유산채널 공식 인스타그램 / kheritagetv
    국가유산채널 공식 페이스북 / k.heritage.tv
    ---------------------------------------
    국가유산채널 공식 홈페이지 www.k-heritage.tv
    국가유산채널 공식 블로그 blog.naver.com...
    국가유산채널 공식 인스타그램 / kheritagetv
    국가유산채널 공식 페이스북 / k.heritage.tv

Комментарии • 56

  • @반윤서-y6s
    @반윤서-y6s 6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너무 멋있으세요 화이팅!!^^

  • @CY.ChoiYerin
    @CY.ChoiYeri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잘했어 👏🏻👏🏻👌🏻

  • @jjaspacedust
    @jjaspacedus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얼마나 많은 고대의 흔적들이 아직도 이 땅 속에 잠자고 있을까? 북한 땅에는 더욱 많을 것 같은데... 그저 아쉽다. 발굴하는 분들 고생이 많으십니다.

    • @깜운쿠스락
      @깜운쿠스락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르게
      생각하면 지구 곳곳 인류의 기원을
      알수있는 자료는 지구전체.
      의미없다고는 할수없지만 그렇다고
      큰의미도 없다고 봅니다.

  • @김영환-v2u
    @김영환-v2u 6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뼈를 버린 것이 아니라 중국 상나라처럼 건물 공사 때 기초에 동물을 희생으로 바치는 흔적인지 고려해 봐야 하지 않을까?

    • @P7ejfjr
      @P7ejfj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니면, 현대의 서양인들 부자들처럼, 과시의 목적으로 동물들을 집안에 전시한거아님?
      서양인 부자들 집보면, 상아같은거 보관해두고, 매머드 뿔 보관하고, 동물 표본들 전시하던데...

  • @전동헌-s2m
    @전동헌-s2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몽촌토성은 고구려 것이다

  • @전동헌-s2m
    @전동헌-s2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백제가 아닐 수도 있는데

    • @hongpund
      @hongpund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백제랑 관련없음

    • @river-ir5jm
      @river-ir5j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hongpund 백제 맞는데. 학자들보다 연구를 많이 하신건지?

    • @Minerva908
      @Minerva908 4 месяца назад

      백제꺼지 뭔 말도 안되는 음모론 ㅋㅋ

    • @전동헌-s2m
      @전동헌-s2m 4 месяца назад

      증거있나?

    • @hongpund
      @hongpund 4 месяца назад

      @@river-ir5jm 백제라는 프레임을 씌워놓고 하니깐 연구를 안해
      사서 읽어봐 전혀 아니라구

  • @사과장-g7i
    @사과장-g7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지금부터 120년쯤 전 아차산에 곰이 살았다는 증언을 들었습니다. 그만큼 곰이 흔했나봅니다.

  • @byoroo
    @byoroo 6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희생제, 번제는 고대사회의 기본이죠
    불교전파 이후 줄어드는 풍습

  • @망고의주말
    @망고의주말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하나도 풀리지 않는 유추와 해석, 전문가들의 답변 듣고 있으면 고구마 열개 먹은 것 처럼 더 답답해진다. 몽촌토성이 왕성이라고? 참 백제 역사 초라하다~ 역사학자들 학문 참 쉽다~!

    • @Minerva908
      @Minerva908 4 месяца назад

      백제가 초창기부터 경기충청전라도 다 먹고 시작한줄 아시나 ㅋㅋㅋ 온조가 처음 내려왔을땐 마한 목지국 주도로 엄청나게 많은 소국들이 자리잡고 있었고 백제도 그냥 그 많은 소국들 중 하나였을 뿐임. 초라하게 시작해서 하나씩 하나씩 점령하고 회유하고 결혼하고 하면서 덩치키우고 근초고왕때 마지막 전라도 마한 세력들을 소탕하고 우리가 아는 백제 영토가 완성된거. 그러니까 초기엔 당연히 초라하지 ㅋㅋ

  • @BKN910711
    @BKN91071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국K1 스무명 정도의 연봉 한 10년 투자하면 비용 될거 같은데... 어차피 하나의 목소리 낸다고 입법자들이 시위꾼처럼 피켓 드는데 차라리 그 돈 발굴조사에 투자합시다

  • @magnumxp
    @magnumx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백제가 부여계에서 출발해서 신기한거 하나 없는 내용

  • @전동헌-s2m
    @전동헌-s2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왕성인지 어찌 아나?

    • @river-ir5jm
      @river-ir5j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풍납토성을 왕성으로 보는 견해가 많음

    • @전동헌-s2m
      @전동헌-s2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river-ir5jm 추정이란 이야기네여

    • @river-ir5jm
      @river-ir5j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동헌-s2m역사에 100%가 아닐 때가 적지 않죠. 연구해서 가장 유력한 것을 찾는거죠. 풍납토성에서 나온 건물터, 성곽 형태, 유물, 특히 다량의 기와, 기록과의 대조 등으로 볼때 풍납토성이 가장 유력하다고 보는 거죠.

    • @kristoferkris3538
      @kristoferkris353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송파구 풍납동 도깨비시장 앞 반지하에서 검거

  • @jamesreal숭렬
    @jamesreal숭렬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유물 유적이 넘처나는 나라
    유물 유적의 분포도 집적ㄷ도에서 가장 조밀한 나라
    유구한 문화 민족 대한민국

  • @simje429
    @simje429 6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몽촌토성, 이성산성 등이 백제 한성이었다는 결정적 증거가 나오지 않았는데 섣부른 단정 아닌가?

    • @천상계군주
      @천상계군주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머릿속에 백제왕성이다 고정관념이 박혀 있으니 고구려유물만 나옴에도 저런 주장들을 하고 있음. 한성백제박물관 가보면 연관성도 없는 부여 등에서 출토된 금관, 금동신발 모조품을 한성에서 출토된 토기들 옆에 같이 전시해놓고 여기 한성의 토성들도 백재왕성들이야 이러고들 있음..

    • @hongpund
      @hongpund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백제랑 아무 연관이 없어요
      사서 읽어보면 관련없는거 금방 눈치채지만 백제는 서울경기에 무령왕릉 빼고는 흔적도 없어요

    • @river-ir5jm
      @river-ir5j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hongpund 백제 유적 수도권에 많은데요. 설마 유사역사학 믿으시는 건 아니죠?

    • @별나무-c8e
      @별나무-c8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hongpund 강남과 송파구 일대 수 많은 백제 고분이 있었습니다 이게 강남 개발로 다 파괴되고 말았지만요

  • @sunnyan151
    @sunnyan15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한성백제박물관 발굴성과 보고를 봤다.
    '왜'계 유물로 명명하고 전시하더라. 왜.... 삼국사기 초기 기록 따윈 무시하고 새로운 역사를 만들더라. 국고를 들여서..

    • @강신구-x9d
      @강신구-x9d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석연찮은 점이 여러 가지죠. 저도 이웃에 살며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습니다만, 한국사 전공자들은 왠지 믿음이 가지 않습니다. 역사가인지 소설가들인지...ㅠ

    • @BKN910711
      @BKN91071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일본만 관련되면 왜이리 다들 발작이야. 선물 받은 것일 수도 있고, 노략질해서 뺏어온 것일 수도 있고, 그쪽 기술자가 직접 와서 만들 수도 있고, 사실 우리가 먼저 만든건데 일본쪽에서 많이 발견되고 정리돼서 그런 명칭이 붙은 것일 수도 있고... 학문은 과거로부터 누적되어온 데이터에 의해서 일단 명칭을 붙여 놓고, 당장에 다시 연구 될 수도 있고, 한참 후에 새로 조명될 수도 있는 겁니다.

    • @sunnyan151
      @sunnyan15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BKN910711 발작이라.. 이런 분들이 계시니 사실의 역사가 왜곡된다.
      정작 본인이 발작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고질적으로 쫒아 다니며 이런 행위를 일삼는다.
      가야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으니 가야 유물을 왜계 유물, 중국 유물이라 해석해도 그러려니 하고 있는 현실이다.

    • @sunnyan151
      @sunnyan15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삼국시대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박사 학위를 받은 학자가 국내 단 2명.
      이 마저도 한 명은 식민사학자. 한 명은.. 이를 반박한 논문을 발표하자. 한국고고학학회는 숨기고 감추고...

    • @river-ir5jm
      @river-ir5j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sunnyan151진짜 단 두 명 맞아요? 아닐텐데요.

  • @재성전-f8v
    @재성전-f8v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무슨 근거로 백제왕성이냐?

  • @dyan9740
    @dyan974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부여는 은 정월을 썼고 우제점법이 있었다. 은나라의 영향을 받았다. 고구려나 백제는 부여계의 국가이니 그 우제점법의 흔적인 뼈들로 보인다.

  • @bangbang-if3ey
    @bangbang-if3ey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백제 왕성을 토성으로 짓겠나? 오월을 다스린 나라다.

    • @user-8279usj2nw
      @user-8279usj2nw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백제는 전통적으로 성을 지을때 토성으로 주로 지었습니다... 오월을 다스린 적도 없구요.

  • @mmmijuo5407
    @mmmijuo5407 6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 어차피 아파트로 다 밀꺼임 ㅋㅋ

  • @hwl4975
    @hwl4975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다량? 대량(大量) 아니면 다수(多數) 아닌가요?

    • @이경원-r1b
      @이경원-r1b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어휴...

    • @남기권-t7q
      @남기권-t7q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많고 적음을 논하는데 크고 작은 걸 들고 오는 게 말이 됩니까. 한자의 뜻을 안다면 굳이 하지 않아도 될 생각인데요.

  • @남영환-o1n
    @남영환-o1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까지꺼 조사 해서 뭐하그러 !! 세금을 아끼자 !! 쓰잘데기 없는거 조사 한다고 세금 낭비 하지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