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선시청회] 신은 곡선을 만들고 인간은 직선을 만들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 아날로그LP 70dB vs 디지털 96dB 다이내믹 레인지 비교청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디지털과 아날로그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오디오에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은 어떤 다름이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그리고 SN비가 70dB인 아날로그LP와 96dB인 디지털의 다이내믹 레인지 차이도 비교청음 해봅니다.
    영상의 음악은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을 소니 PCM-D100 마이크로 녹음한 음원입니다.
    =========================================
    하이파이클럽 유튜브 구독하기 : bit.ly/3sCuEEq
    하이파이클럽 홈페이지 바로가기 : hificlub.co.kr/
    오디오아울렛 홈페이지 바로가기 : www.audiooutle...
    #디지털오디오 #아날로그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린 #클라이막스 #LINN #klimax #dsm #lp12 #klimaxdsm #blindtest

Комментарии • 12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0:00 - 인트로
    0:36 - 아날로그LP와 디지털
    16:17 - 아날로그 70dB vs 디지털 96dB
    16:55 - March To The Scaffold - LINN KLIMAX DSM (디지털)
    19:54 - March To The Scaffold - LINN KLIMAX LP12 (아날로그)

  • @historychennel
    @historychennel 4 месяца назад +2

    * 이상한 내용인가? 해서 잊고 지나간 영상이 알고리즘으로 다시 떠서 잘 못 설명된 내용이 사실로 간주되지 않기를 바라며, 몇 가지 내용을 확인해보았습니다.
    07:42 자동차 모형이 1.5m, 레고가 1.5cm라고 하면 1/1,00 이며 2^8=128이니 8bit로 디지털 화 한 경우에 가깝네요
    CD는 16비트이므로 1.5미터를 2^16=65,535 로 (dBFS=0 인 크기의 신호를)디지털화 하면 1.5cm두께의 레고가 아니고 0.022mm 두께의 무엇으로 만든 모형에 비유해야 비슷합니다. 비트 해상도에 따른 분해능을 비트 분해능이라 하는데 이를 고려 않고 말한다면 벽돌이나 베게 또는 굵은소금으로 비교해도 아무 문제 없는 것입니까?
    09:19 화면 4행에서 CD 사양은 16bit, 이론적 Dynamic Range = 96dB인 것을 96dBFS로 잘못 표기 (FS=Full Scale에 대비한 전력의 크기)
    dBFS는 디지털변환시 Overflow가 일어나지않는 최대의 신호크기를 0dBFS로 정의한 상대 신호의 크기를 뜻합니다.

    09:57, 아나로그, 디지털 구분 없이 dB는 크기 비율을 뜻하며, dBFS는 바로 앞의 설명과 같이 디지털 신호 크기의 단위임.
    10:08 소리 크기는 에너지 10dB당 10배 커지며 음압의 단위인 dBSPL을 폄의상 SPL을 빼고 표기함. 라우드스피커의 출력음압은
    (선형구간에서는) 입력 전력에 비례하기때문에 전력비율로 따져 몇 배인지 계산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전력비 20dB면 10배, 40dB면 100배, 60dB명 1,000배... 96dB 차이는 10^(96/20) = 63,095배 가 됩니다.
    11:28 정상적인 CD라면 마스터링 시 18~20dB정도의 Headroom을 두기 때문에 최대 게인에서도 16bit해상도가 나오지는 않습니다.
    11:35 중간볼륨에서는 8비트로 해상도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고, 15비트에 상응한다고설명해야 맞음. (user-00766님 지적이 정확합니다.)
    또한 1/4 볼륨에서는 4비트라고 설명하려 하더라도 2^4=16단계이지 8단계가 아닙니다. 1/4볼륨에서는 14비트에 상응한다고 설명해야 맞아요.
    11:45 (지금까지 설명한 것을 종합해서) 디지털은 볼륨 설정에 따라 해상도가 가변한다고 단정적으로 설명하는데, 볼륨단 이후에는 아날로그 영역이므로 해상도 저하와는 무관합니다.. 음량조절된 뒷단을 디지털증폭하는 경우는 있어도, 16비트 디지털로 변환하는 엔지니어는 없을 것입니다. 그런 설계/제품 사례가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11:46 신호크기를 -80dB라고 비율로 말하면 안되며, -80dBFS, -60dBu 등 크기의 단위를 사용해야 하며, dBFS 단위는 Analog-to Digital 변환시에만 사용하는 디지털용단위이며, Analog에서는 dBu, VU 등의 단위를 사용합니다. 굳이 dBFS로 환산하면 +4dBu는 -20dBFS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단위도 적절하지 않고, 80이라는 숫자도 근거가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12:02 80dB Phono pre-amplifier가 디지털 증폭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80dB 증폭하는 동안에 해상도가 사라졌는가? 하는 질문 자체가 성립하지 않아요.
    또한 MC용이라 하여도 75dB 이상의 매우 큰 이득을 갖는 phonoamp가 어디 있는지 아시는 분 계시다면 정보 부탁 드립니다.
    12:30 96dBFS라면 파형이 화면 흰 바탕을 까맣게 채우는 정도의 큰 신호입니다. 생각하기 쉽게 1V를 0dBFS라고 한다면
    96dBFS는 1V * 10^(96/20) = 63.095kV의 신호예요. 96dBFS는 지하철을 움직이는 전압인 AC 27.5kV rms와 비슷한 정도의 신호크기이지요?
    13:17 4 bits라도2^4=16 레벨이 보여야 하는데, 페이드 인아웃부에서 아날로그 처리한 부분(페이드 인아웃부는 16레벨보다 훨씬 높른 해상도임)
    빼면 5~6레벨 많아 봐야 8레벨 밖에 안됨 (3비트 처리하여 녹음한 것을 LPF 처리한 신호로 보이며, 설정 정보와 보여준 파형 간에 괴리가 있습니다.
    14:45 인간 나이퀴스트님이 설정한 이론으로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더라도 20kHz 이상의 주파수 영역을 배제하는 로우패스필더가 사용되는 덕분에 신은 매끈한 곡선 사인파를 그려주니 커브를 재현하는 이슈는 걱정 안해도 되겠습니다.
    * 70~90dB 의 소리차이는 블라인더 착용한 상태로 동작하는 착암기 바로 옆에서 은행잎이나 서류클립이 바닥에 떨어지는 소리가 인식 가능한가 아닌가를 시험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겠네요. 무향실에서 밀폐형 헤드폰을 낀 상태도 아니고 주변 소음이 있는 다중이 있는 오픈된 공간에서 그 차이를 실험하겠다는 기획은 매우 창의적입니다.
    16:21 다시 반복, dB는 비율을 나타내며, dBFS는 Overflow가 발생하지 않는 최대 신호크기 이므로 m 또는 kg이 몇배라는 것과 어떻게 비교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므로 질문 자체가 성립하지 않아요.
    16:44 전력비와 전압비를 혼동해서 과대한 비율로 계산됨. 전력비율로는 60dB가 1,000배, 80dB는 10,000배, 100dB는 100,000배입니다.
    * Dynamic Range가 1비트 당 6dB로 산정하는 것이 전압이 두배(또는 1/2) 되었을 때 전력은 4배(1/4)가 되기 때문임을 연관 해보시면 바로 이해될 것입니다.
    이 글에 틀린 부분이 있거나 내용 중에서 요청 드린 정보(볼륨단 뒤에서 16비트로 A/D 변환하는 경우 또는 80dB 게인을 갖는 포노앰프) 가 있다면 댓글 주세요^^

  • @user-00766
    @user-00766 2 года назад +9

    중간크기면 8비트라고요?
    중간이 최대크기의 절반이라면 8비트가 이니라 15비트입니다.
    기초적인 사실에 오류와 과장을 하고있네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최고의 디지털 스트리밍 사운드 만들기" 시청회가 9월 4일(일) 오후 2:00에 진행됩니다.
    아울러 지난번 실시한 Ethernet Cable 음질변화 비교 시청회도 가져봅니다.
    참석을 원하시는 누구나 참석하실 수 있으며 인원은 30명 선착순 마감합니다. 많은 분들의 참석을 바랍니다.
    시청회 신청 링크 : bit.ly/3pNDBZa

  • @김종인-c3m
    @김종인-c3m Год назад

    신은 직선을 만들고 동물은 직진을 지향.

  • @user-00766
    @user-00766 2 года назад +1

    레고비유는 잘못된 비유입니다.

  • @user-00766
    @user-00766 2 года назад +2

    2만hz에서 두개의 점밖에 안찍혀서?
    참 직관적인 해석입니다.
    그럴지 않다는건 배운사람이라면 알아야 하는 사실입니다.

  • @gogma9967
    @gogma9967 2 года назад

    마지막에 말씀하신 effortless 물흐르듯 나오는 느낌은 디지털 필터 튜닝으로 앋을 수 없는 것인가요? 다이나믹스를 희생해서라도 얻는 방법이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Effortless를 만드는 것은 디지털 필터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른 영상 댓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외부 유입 노이즈가 문제입니다.
      Effortless를 만들려면 다이내믹스를 살려줘야 나옵니다.
      그 부분을 이번 일요일 시청회에 다룰 예정입니다.
      시간이 가능하시면 시청회에 참석하시면 현장에서 직접 저희가 Effortless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시청회 신청 링크 : bit.ly/3pNDBZa

  • @jaehoonchoi8472
    @jaehoonchoi8472 2 года назад +2

    LP 단점 무지무지 많죠
    그러나 시간과 공을 들이면 그만큼 보답해줍니다
    숫자 상으로는디지털이 분명 좋은데, 귀로 들어보면 아날로그가 좋으니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그렇죠. LP로 음악감상을 한다는 것은 참으로 번거로운 일이지만
      공을 들인만큼 더 큰 즐거움을 선사해준다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