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선시청회] 디지털 케이블 음질차이 없다구요 ? 그 진실을 직접 확인해보세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디지털케이블은 1.0의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절대로 음질차이가 날 수 없다는 주장들이 있습니다. 과연 그런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디지털케이블로 전송 데이터가 바뀌지 않습니다. 패킷방식의 USB나 Ethernet으로는 지터오류로도 설명이 잘 안됩니다. 음악과 음질이 바뀌는 부분과 디지털 오디오를 디지털로만 접근하면 그 음질차이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어떤 음질 차이가 있고, 음악의 어떤 부분이 바뀌는지 상세하게 알아봅니다.
    =========================================
    하이파이클럽 유튜브 구독하기 : bit.ly/3sCuEEq
    하이파이클럽 홈페이지 바로가기 : hificlub.co.kr/
    오디오아울렛 홈페이지 바로가기 : www.audiooutle...
    #케이블 #케이블음질차이 #디지털케이블 #오디오케이블

Комментарии • 214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1

    0:00 - 인트로
    0:32 - 경험과 추론
    1:10 - 이더넷은 절연이 되어있어서 노이즈가 못 넘어온다?
    2:10 - DAC와 케이블은 다르다?
    2:38 - 디지털이 문제가 아니라 아날로그가 문제다
    2:57 - 랜케이블 음질비교. TelluriumQ Ethernet 케이블
    6:01 - 일반케이블 음질
    9:05 - 음질차이 평가
    10:11 - 참석자 음질차이 평가
    11:39 - 디지털에서 음질차이 나는 이유
    14:59 - TelluriumQ Ethernet 재투입
    17:01 - 디지털케이블이 음질차이가 나는 조건
    17:28 - 음악별 음질차이 설명

  • @digica1
    @digica1 Год назад +16

    왜 선 사용을 미리 고지하죠? 그럼 느낌상 다르다고 느끼죠.

  • @genehong7985
    @genehong7985 4 месяца назад +4

    10만원에서 100만원짜리 USB케이블을 팔아야 하니 계속해서 디지탈도 다르다는 무리수를 두는거죠. 아니면 이미 너무 투자를 해서 지금와서 인정하면 그동안의 비용이 확정손실이 되니 차마 인정못하는 것일수도 있고요.

  • @카제-u6y
    @카제-u6y Год назад +22

    정보통신공학 전공한 전문가들이 어이없어합니다. 저또한 정통과 출신에 네트워크 전문 엔지니어로 기간망 설계하고 통신품질 테스트 전문으로 한 사람으로 좀 말이되는 이야기를 하셨으면 합니다. 아날로그는 당연히 케이블따라 영향을 주는게 맞는데 디지털은 데이터 전송 손실 (CRC, Collusion)만 영향을 줍니다. 기존 랜선에서 지직거리거나 끊김이 생기던걸 케이블 변경으로 해결되셨다면 그 케이블이 기본 품질 조차도 안되는 케이블을 사용한겁니다. 디지털 데이터가 어떤건지 조차도 모르는 분들이 케이블 구조나 TCP통신에 대한 주워들은 지식으로 데이터 구조를 논하지 말았으면 합니다. 앰프 구조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오디오 10~20년 하신분들 앞에서 집에 장비좀 있다고 꼴깝떠는 꼴이랑 똑같습니다. 데이터 손실률 측정할때 사용하는 장비만 1억이 넘습니다. 그런장비 취급해서 데이터 통신 오류 잡아내고 확인하는 사람들이 네트워크 전문가입니다. 영상 작성자분도 오디오 전문가이듯이 디지털 데이터 통신 전문가들의 전문성도 인정하고 받아들이실줄 아셔야 합니다. 님 말씀대로 데이터 품질이 변경된다면 음원파일의 hash값 자체가 변경되어야 합니다. hash가 변경된다면 그건 데이터 정합성이 깨진 파일이되버립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Год назад +1

      영상의 내용을 보시고 댓글 다시는 건가요?

    • @garabeen1
      @garabeen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모니터와 그래픽카드를 연결하는 디지털케이블도 같은 원리인가요? 제조사 마다 모두 색감도 다르고 고급케이블과 일반케이블은 암부의 표현 디테일 차이가 심하게 나는데 이런 건 왜그러는 걸까요? (참고로 저는 비쥬얼그래픽 관련 전문가입니다.) 음향케이블과 화면전송의 데이터 방식이나 형태는 다른 것인가요? 이 쪽으론 완전 문외한이라 정말 궁금하군요.

    • @김수-s1g
      @김수-s1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garabeen1 저도 잘은 모르지만 hdmi선을 말씀하시는 거라면 케이블에 따라서 호불호가 상당히 크더군요
      보통 영상감독 분들이 기기특성이라고 하는데 어떤 특정 기기나 특정 케이블은 같은 hdmi선이지만 작동 안하는경우가 종종 있다고 합니다
      (저도 atem 스위처를 사용하면서 한번 겪어 보았습니다)
      그래서 업을 삼으시는 분들은 sdi를 많이 사용하시는 듯하더라고요
      벌써 15미터 이상 올라가면 hdmi선은 화질에 손상이 있다고 합니다
      물론 최근에 제가 50미터 70미터까지 써보았는데 기술적으로 많이 발달해서 그런지 fhd정도에서는 큰 손실은 없더군요
      선을 이중 삼중으로 연결하면 전문적인 젠더도 필요하고 젠더를 쓰더라도 끊김이 일어날 확률이 매우 높더군요
      그렇기에 확실한건 선에 따라서 비디오는 차이가 있다는 점입니다
      저도 제 경험을 통한 내용이니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garabeen1
      @garabeen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김수-s1g 그렇군요.(HDMi 선이 맞습니다. 최근엔 대부분 DP선이라 부르는 디지털케이블을 씁니다.) 광케이블도 사용하지만 일반 소비자들의 그래픽환경과 너무 차별성이 있기에 범용하진 않습니다. 암튼 무식한 의견으로 모두 디지털 신호에 의한 전송이 기본이라고 하면 시각데이터 뿐 아니라 청각데이터 역시 차이가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청각데이터 역시 시각데이터 처럼 유의미한 실증자료가 나왔으면 좋겠네요.

    • @동이-c7c
      @동이-c7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럼 모든 디지털케이블의 소리가 같겠네??

  • @ss25339620
    @ss25339620 Год назад +16

    저급케이블에서는 못들어주겠다는 얘기에 웃음이나네요. 고급케이블 사용하면 더좋아진다고 얘기해야지 지금 시스템이 얼마인데, 비틀어진다니느 뭉친다는니 웃겨요.

  • @user-00766
    @user-00766 2 года назад +62

    신앙간증집회가 열렸네요.

  • @twotone4270
    @twotone4270 2 года назад +26

    오디오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HIFICLUB 유튜브 좋은 영상이라고 생각하고 많이 봐왔는데
    이 영상에서 모든 신뢰성에 의심이 가게 되었네요.
    DAC설명부터 앞뒤논리가 안맞고 포인트도 벗어나있고 ...그나마 개연성 있는게 노이즈 인데...것도 개연성일뿐.
    그냥 해설자의 뇌피셜인것 같고...그럴거다...그럴것이다..
    결론은 전혀 객관적이지 않은 경험...
    뭐 오디오에서 감성은 중요하죠. 그걸 부정하지는 않는데
    그래도 하이파이클럽에서 이렇게 공개적으로 과학적인 부분을 설명하려면 뭔가 근거가 제시되야하고
    듣는 사람은 고개가 끄떡여져야 하지 않을까요.
    전 관련 공학자이자 모 연구소 실무 유경험자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절대 뇌피셜이나 네이버 지식레벨에서 말씀드리는건 아닙니다.
    그리고 음질 테스트는 같은 음원을 가지고 A,B 테스트를 해야죠.
    케이블을 이거 씁니다 하고 다른 음악 틀어주면 그게 무슨 테스트가 되나요.
    저만 해도 음악듣다가 물한잔 먹고 다시 들으면 소리가 다르게 느껴지는데요.
    또한
    비싼 디지털 케이블이 음질이 좋다고 한참 설명하다가
    갑자기 어떤걸 쓰더라도 그냥 취향이니 블라인드 할 필요가 없다니 그게 무슨 논리인가요?
    의심되면 개인적으로 찾아오라니...바쁜데 왜 굳이.
    영상에서 사람많이 있을때 해야 더 객관적을거 같은데요.
    케이블 관련 이해할수 없는 것들....
    1. 수백만원짜리 케이블을 팔면서 노이즈가 그렇게 중요하다면서 어떻게 신호 특성이나 노이즈 차폐 정도에 대한 데이터는 전혀 볼수 없을까요.
    2' 노이즈가 문제라면 디지털 케이블은 차폐만 잘 하면 되는데 신호선을 비싼 은선으로 해놓는건 도데체 왜 인가요?
    전도성 좋은 은이 노이즈 유입은 더 잘될텐데요.
    3. 예전에 광케이블보다 코엑셜이 더 좋다는건 또 왜일까요.. 광케이블은 노이즈 유입이 전혀 없는데요.
    4. 아날로그 케이블에서 금을 넣어 엄청 비싸게 팔던데 왜 굳이 은이나 구리 전도성의 반밖에 안되는 금을 넣은걸까요.
    더 웃긴건 그걸 설명하는 어떤 글이었는데 구리 분자사이사이에 금을 넣어 밀도를 높여서 전도가 잘 되서 음질이 좋다나...
    아니 그럴려면 훨씬 전도성이 좋고 저렴한 은을 넣어야죠.
    금도금을 하거나 금을 사용하는 이유는 딱 하나입니다. 산화가 안된다는거...그래서 수명이 오래간다는거.
    전도성이 아니에요.
    사용기는 또 얼마나 화려합니까. 두툼해지고 해상력이 올라가고 등등...
    그렇게 만든 케이블이 착색효과를 줄수는 있겠지만 따져보면 참 웃긴 이야기거든요.
    이거 말고도 이해안되는게 많고 확실한 사기템도 많이 봤습니다.
    논쟁을 해보면 세상 모든 공학 이론은 다 꺼내들고서 따지고 들어옵니다. 뭘 대단한 이론을 찾아낸것처럼요.
    유의미한것고 무의미한것은 구분해야죠... 수십킬로 케이블에서 발생할까말까할 현상을 불과 2미터 안쪽에서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근데 어디서 듣고와서는 들이밉니다.
    이건 태양무게의 100배정도는 되야 유의미해지는 상대성 이론을 들고와서 뉴튼의 사과에 적용하는것과 같은 거에요.
    그리고는 실험데이터를 가지고 오랍니다.
    미쳤나요? 그 비싼 실험 장비를 왜 제가 사서 시간을 내서 실험을 합니까. 그건 그 비싼 케이블을 파는 업체가 제공해야 맞는겁니다.
    이러하니 진짜 미신이 있긴 있나보다 라고 느낄수밖에요.
    쓰다보니 길어졌는데
    그렇다고 비싼케이블 사는거 굳이 말리고 싶지도 않아요. 아날로그 케이블의 차이는 충분히 인정되는부분입니다. 다만 개중에는 분명 사기템도 있다는거죠.
    암튼 유의미한 논쟁 자체도 힘들고 오디오는 어디까지나 감성의 영역이니까 각자 알아서 사면 될거고.
    다만 모호성으로 위장한 사기템, 현혹템들도 많으니 동호인으로써 잘 따져보시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

    • @truth7861
      @truth7861 2 года назад +7

      당연히 미신인데 어떻게 근거가 있겠어요.... ^^;;; 너무 감정소비하신거같네요

    • @lifeseeker9777
      @lifeseeker9777 2 года назад +2

      "케이블을 이거 씁니다 하고 다른 음악 틀어주면 그게 무슨 테스트가 되나요."
      같은 노래들을 틀어줍니다. 순서만 바뀔 뿐. 이런 사소한 오류 자체가 영상을 보지도 않고 비판했다는 걸 증명하는 것 같네요.

    • @홍낭낭
      @홍낭낭 2 года назад +5

      다른 걸 차치하고.. 왜 블라인드 테스트가 아닌거죠? 한 곡 씩 블라인드 테스트로 AB 선택하고 다음 곡 AB 테스트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아주 간단한데 말이죠.. 타당도와 신뢰도가 개박살난 실험이 무슨 의미가 있다고.. 이런 동영상을 올린 건지 ..

    • @lifeseeker9777
      @lifeseeker9777 2 года назад

      @@홍낭낭 맛을 평가할 때 눈을 막고 하면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까요? 그림을 평가할 때 화가가 누구인지 모르고 평가하면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까요? 소설을 평가할 때 소설가를 모르고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까요?
      노벨상을 심사하는데 블라인드 테스트 합니까? 그런데 왜 노벨상의 신뢰도에는 의문을 표시하지 않죠?
      연주 콩쿠르 때 연주가의 정보를 블라인드 처리합니까? 연주 콩쿠르는 전부 신뢰성이 낮군요. 블라인드 테스트가 아니라 선입견에 의한 심리적 조작일테니까요.
      음악은 이과가 아니라 예술이고 그 감상은 인문학입니다. 감상은 언제나 문맥에서 출발합니다. 문맥이 없는 감상은 감상이 아니라, 그저 방황입니다.
      한 십수년 전에 국산 콜라가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코카 콜라를 이겼다고 소란을 피운 적이 있었죠. 그 결과는 뭐죠? 그 국산 콜라의 단종입니다. 블라인드 테스트라는 것이 그런 겁니다.
      사람은 정보가 적으면 올바른 판단을 내리지 못합니다. 기계가 아니거든요. 정보를 제한하고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건 기계입니다.

    • @peter-xv8um
      @peter-xv8um 7 месяцев назад

      ​@@lifeseeker9777이과의 영역이 맞다고 봅니다. 입시미술이랑 실용음악, 피아노 입시애서도 블라인드 테스트 하는데 이거는 심지어 예술의 영역이 아니라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하는 실험이잖아요. 저는 이 주제에 대해서는 딱히 관심이 없지만 님 의견에는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네요.
      실례가 됐으면 죄송합니다.

  • @cowboybebop3966
    @cowboybebop396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케이블과 무안단물의 공통점
    1. 효과가 있고 좋아진다고 하는데 정작 파는 놈들이 왜 좋아지는지 과학적으로 설명을 하지 않음
    2. 사용해보고 실제로 좋아졌다고 간증하는 사람들이 존재함
    3. 얼탱이 없이 비싼 가격에 팜
    케이블에 수천만원을 투자해서 좋은 음질을 느끼고 싶으신가요?
    차라리 돈 천만원 정도 주고 용한 무속인을 불러서 본인의 앰프와 스피커 앞에서 소리가 좋아지는 굿을 한판 하시는게 ㅋㅋㅋ

  • @106wednes
    @106wednes Год назад +4

    전 세계 공학자들이 미국 AES(Audio Engineering Society)에서 케이블 블라인드 테스트를 한 적 있었는데. 세탁소 옷걸이 안의 철사 같은 것을 연결했을 때나 카라레 모가미 등등…. 수백 수천만 원짜리 케이블을 연결했는데 아무도 구분하지 못했었습니다.
    정보를 갖고 들으면 다르게 들리지만 블라인드 테스트를 했을 때는 구분하지 못했습니다.
    아마 여기 계신 분들 역시 블라인드 테스트를 했다면 철사 케이블도 찾지 못했을겁니다. 수 미터의 짧은 거리에선 소리 차이 못느낍니다.

  • @jwk96
    @jwk96 2 года назад +19

    진짜 기가 막힙니다..못 믿겠으면 와서 들어 보라는게 어딨습니까..ㅎㅎ
    블라인드 테스트는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을 보여주면 되는 것이죠..
    차이가 없다는 사람들이 테스트에 참여해 무슨 방법으로 차이가 없다는 증명을 할수 있을까요..
    그리고 세상에 무슨 테스트를 이런 식으로 합니까? 변인통제가 전혀 안되어 있는 실험을 하면서 무슨 결과를 도출하고 싶은가요?
    음향심리학의 문제에요..기기로 측정되지 않는 차이를 사람 귀로 들을 수 있다는 건 뇌가 착각이나 보정을 한 결과물입니다..
    같은 시스템을 들어도 그날그날 몸상태나 기분에 따라 다르게 들리기도 합니다..
    다른 말 필요없고 차이를 느끼실수 있다면 블라인트 테스트 개최하세요..
    그리고 직접 참여하여 증명하시면 됩니다..노이즈니 뭐니 무슨 말이 그렇게 필요합니까..
    증명하시면 비싼 디지털케이블 수요 많아질겁니다..이제 그만 논란을 종결시켜 주시죠..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1

      디지털케이블 수요 많아지는 것 전혀 관심 없습니다. ㅎㅎ

    • @jwk96
      @jwk96 2 года назад +10

      @@hificlub_kr 아뇨..증명하고 디지털케이블 많이 파시라는게 논점이 아니라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시니 증명하는 방법을 알려 드린거에요..
      증명할수 있고 또 증명해야 하는 사람은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라니까요..
      노이즈 문제라면 노이즈 차단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자료를 제시하시든가요..
      미신이 아니라면 자연법칙이고 과학이란 소린데 그럼 과학적으로 증명하란 말이에요..
      이런 말들이 이해하기 어렵습니까?ㅎㅎ

    • @lafollia7241
      @lafollia724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뇌과학 (인지과학) 쪽 관심 있어서 좀 공부해본 사람이면 , 왜 이중맹검 블라인드 테스트가 필요한지 바로 알수 있어요. 우리의 뇌는 무시무시할 정도로 많은 변화와 착각들을 만들어 내거든요.
      블라인드 테스트시 청음자는 물론이고 시연하시는 분도 케이불 종류를 모른채로 해야 제대로 된 테스트 입니다. ( 케이블 교체는 케이블 반대론자에게 맡기고 )
      논란이 많은 디지털 케이블 청음을 이렇게 다 오픈해서 하면 음질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긴 어렵습니다. 스피커나 앰프처럼 그 차이를 확연히 느낄수 있고 논란의 여지도 별로 없는 경우엔 오픈해도 별 문제가 없겠지만요.

  • @eujin70
    @eujin7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디지털 케이블이 차이가 날 수 없다 것은 추론이 아니고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이에요.
    케이블이 규격에 안맞으면 음질이 나빠지는게 아니고 데이터 손실이 많이 생깁니다. 이 데이터 손실은 음질의 차이를 주는게 아니고 데이터가 빵꾸나서 그 순간에 데이터가 끊기느냐, 아니면 끊긴 데이터를 복구 보정하는 과정에서 싸구려 칩이 노이즈 같은 소리를 만드느냐 입니다. 데이터를 소리로 바꿔주는 DA 컨버팅 과정에서 DAC칩에 따라서, 혹은 DA 컨버팅 이후의 아나로그 신호 회로나 전송 케이블에 따라 음질 차이가 나는 겁니다.
    영상을 디지털 전송할때는 데이터가 워낙 커서 대부분의 영상 전송 칩들이 통신 대역폭을 감지해서 영상 품질을 낮춰서 보내도록 되어 있습니다. 영상이 끊기는거보다는 화질이 구린게 낫다는 생각이 영상을 제공하고 돈을 버는 방송사나 스트리밍 회사들의 입장이거든요. 유투브, 넷플릭스만 봐도 알수 있죠. 네트웍에 따라 화질이 엄청 구려질수 있다는 것을요. 하지만 디지털 전송에서는 영상이 끊기고 화질 구려지더라도 음질은 나빠지지 않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AV 동시 디지털 전송에서 음질은 영상 대비 데이터가 워낙 작아서 음질을 낮춰야 할 이유 조차 없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케이블을 비싸고 좋은 재료로 만들면 수명이 오래가긴 하겠죠. 하지만 서두에서도 얘기했듯이 규격이 제일 중요한데 디지털 케이블은 규격이 자주 바뀌기 때문에 중국산 브랜드도 없는 케이블만 아니면 되지 아나로그 케이블 처럼 고가를 사용할 이유가 있을까요. ㅎㅎ

  • @jaeshin91
    @jaeshin91 2 года назад +14

    디지털 data는 절대 바뀌지 않는다.
    디지털 통신으로 발샐한 노이즈가 아날로그에 영향을 미친다.
    스마트폰, 반도체, 디스플레이 관련 엔지니어로써 이건 둘다 fact 입니다. 스마트폰만해도 AP, 메모리, 기타 많은 반도체간에 수 Gbps 고속 디지털 통신을 하고 있고 그로인해 발생하는 EMI 신호가 안테나, 통화음질, 디스플레이 화질에 영향을 줍니다. 이걸 최소화 하기 위해 통신규격, 차폐, 레이아웃 변경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죠.
    이런 건 모두다 전문 장비로 측정되는 과학의 영역입니다.
    그래서 영상에서 시도하신 감성적인 테스트가 아닌 과학적인 실험과 데이타 분석이 충분히 가능하며 그걸로 논란을 정리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엔지니어적인 감으로만 봤을땐 오디오 데이타량이 많지 않기에 그정도 데이타 입출력으로 발생하는 EMI 및 기타 노이즈 수준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아날로그 회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듯 합니다. 만약 그게 귀에 들리는 차이를 발생한다면 고가의 랜케이블을 사용하는것보다 DAC 회로의 설계 변경만으로 해결 가능한 수준이라 생각합니다.
    과학의 영역이라 말해놓고 감으로 이야기했기에 제 주장이 틀릴 수 있으며 정확한건 측정해서 데이타 분석해보는게 필요합니다.
    업계 계신분들 중에 분석 가능하신분들이 충분히 계실것 같은데 말이죠.

    • @yoonseokchoi2981
      @yoonseokchoi2981 Год назад +1

      디지털 개념을 이해못하는 집단들인듯!랜 케이블 바꾸고 화질과 음질이 좋아졌다라 ! ㅋㅋㅋ

    • @스페이스-j2i
      @스페이스-j2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 전문 장비로 측정되는 과학의 영역인데 왜 측정 데이터 비교 제공하는 곳은 한곳도 없죠?

  • @rotssy
    @rotssy 2 года назад +28

    이런건 ㅋㅋㅋ블라인드로 해야죠ㅋㅋㅋㅋ 의미 없는 비교...

  • @davidnam6859
    @davidnam6859 Год назад +6

    해골물입니다….

  • @truth7861
    @truth7861 2 года назад +21

    전자공학자입니다. 이게 뭔 소립니까? 자신있으면 블라인드 테스트 하세요.
    오신분들한테 투표 받으시고요...
    투표받으면 소리 차이가 없는걸로 구별 못하는걸로 이미 다 밝혀졌는데
    왜 아직도 이러시는건지...

    • @truth7861
      @truth7861 2 года назад +8

      블라인드 테스트하면 아무도 몰라요...
      왜 실험 안하시고 느낌으로 이야기하십니까
      제발 과학으로나 측정으로만 이야기해주세요...

    • @truth7861
      @truth7861 2 года назад +4

      끝에 이야기하시던데 케이블로 소리 바뀐다고 생각하는사람에게 왜 강요하냐구요? 그럼 본인만 바꾸고 조용히 음감하면 되는데, 카페에 실제로는 그대로인 소리가 바뀌었다며 글올리고, 케이블을 바꿔야한다고 스피커 초보한테 혼동을 주니... 반박하려고 이 난리인거에요

    • @truth7861
      @truth7861 2 года назад +1

      @@audioview-l5l 외산 소고기 먹습니다

    • @truth7861
      @truth7861 2 года назад

      @@audioview-l5l ruclips.net/video/Or2A8sVSbXg/видео.html

    • @홍낭낭
      @홍낭낭 2 года назад

      @@audioview-l5l 뜬금없이 소고기가 왜 언급되는거죠?? 심승현님이 미식가라고 소개하셨나요?

  • @genehong7985
    @genehong7985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장담하건데 말해주지 않는다면 디지털이 아니라 아날로그 케이블이 바뀐것도 인지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카나레부터 몇백짜리 스피커케이블을 가지고 한곡을 여러케이블이 바뀌면서 교차녹음편집해서 들려주면 아무도 중간에 케이블이 바뀌었다는것을 모른다고 생각하네요. 전혀 인지할수 없는 영역의 것들을 감성이라 주장하는 것. 케이블은 미신이고, 설사 차이가 난다해도 인간이 구분할 영역이 아닙니다. 기기가격의 10%는 케이블에 투자하라는 미신을 심어줘서 창조경제를 하는사람들..

  • @곱슬고양이초코네-q1u
    @곱슬고양이초코네-q1u 2 года назад +17

    블라인드로 했으면 완벽했습니다

  • @장길현-n8e
    @장길현-n8e 2 года назад +12

    이왕 테스트를 하실거였으면 동일한 음원을 시간 차를 두지 않고 들려 주었다면 좋았을 텐데요. 시간 차가 있으면 앞의 음원을 기억했던 것에 왜곡이 있잔아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영상에도 말씀드렸지만 이런 음질차이는 기억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냥 지금 들리는 소리에 대한 느낌이지요.

    • @장길현-n8e
      @장길현-n8e 2 года назад +3

      @@hificlub_kr 물론 기억의 문제는 아닙니다만, 시간 차가 있으면 확연히 드러나는 차이의 대비가 쉽지 않다는 말이죠.
      이를테면, 처음 소리에 대한 느낌을 간직했다가 비교 대상의 소리를 느끼기까지의 느낌의 간직을 기억이라고 했던 것입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최고의 디지털 스트리밍 사운드 만들기" 시청회가 9월 4일(일) 오후 2:00에 진행됩니다.
    네트워크 스트리밍으로 음악을 들으시는 분들에게는 음질 향상 솔루션을 경험하실 의미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아울러 지난번 실시한 Ethernet Cable 음질변화 비교 시청회도 가져봅니다.
    참석을 원하시는 누구나 참석하실 수 있으며 인원은 30명 선착순 마감합니다. 많은 분들의 참석을 바랍니다.
    시청회 신청 링크 : bit.ly/3pNDBZa

  • @MwLee-j8r
    @MwLee-j8r Год назад +28

    이렇게 분명 차이가 있다는 분들이 왜 그걸 증명하는 실험에는 단 한명도 나타나질 않는걸까요? 정확하게 구별이 가능했으면 실험나가서 100% 정답찍는거 보여주고 본인 이름 걸고 케이블 장사를 했겠지 ㅋㅋㅋㅋㅋㅋ

    • @Abc0305
      @Abc0305 Год назад +2

      ㅇㅈ합니다

    • @스페이스-j2i
      @스페이스-j2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러게요 그 진실을 보여준데서 무슨 장비로 측정하려나 하고 들어와봤더니 사람들 모아놓고 또 최면술 걸고 있네 ㅋㅋㅋ

  • @owufdnxy
    @owufdnxy Год назад +7

    여기가 그 음질차이가 없다는 걸 인정 못한다는 채널인가요?

  • @nowaday8967
    @nowaday8967 Год назад +5

    음악을 만드는 프로듀서나 엔지니어들은 이메일이나 카톡으로 작업하는 웨이브 파일들 막 보내고. 랜선이 뭔지는 신경도 안쓰고 와이파이로도 보내고 하는데.
    뭐에 긁힌건지 저렇게까지 하는걸까 궁금하긴 하네.

  • @스페이스-j2i
    @스페이스-j2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런 케이블에 투자할 돈으로 스피커를 좋은 거 사세요 과학적으로 증명된 데이터가 보장하는 음질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왜 수많은 스피커 회사들은 다 음질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면서 제시하면서 영업하는데 케이블 회사들은 자사 케이블을 썼을 때와 타사 케이블을 썼을때를 비교해서 아니 비교 하지 않고 자기네 케이블만의 데이터를 내놓고 장사하는 곳이 한곳도 없을까요? 당장 이어폰만 해도 사람이 듣는 것과 비슷한 정밀 기계를 통해 이어폰간의 음질차이를 수치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같은 이어폰에 줄만 갈아끼고 테스트 해보세요. 그런 데이터 본 사람 있나요?

  • @TheDeejaytak
    @TheDeejaytak 2 года назад +16

    가정으로 들어오는 벽체안에 인터넷기사님이 전봇대에서 따오는 막선 보신적 있으신가요? 그 긴 막선을 지나 끝단에만 좋은 케이블 물리면 음상이 변할정도의 차이를 느낄수있다면... 한강물 떠다가 정수기에 넣어서 식용으로 마시는정도의 정류효과가 아닐지 궁금합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2

      아무리 막선이라도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전송되겠지요.
      그러니 인터넷도 하고 유튜브로 보는것 아니겠습니까?
      온라인 스트리밍도 요즘은 TCP로 전송을 하니 케이블 등으로 데이터 오류는 없다고 봐야겠지요.

    • @진실-g5r
      @진실-g5r 2 года назад +2

      인터넷 케이블 좋은걸 연결하니 화질 음질 모두 좋아짐을 느꼈습니다.

    • @최욱진-t8i
      @최욱진-t8i 2 года назад +1

      저는 아파트벽체 전기선도
      님께서 말한부분과 똑같다생각해여
      파워케이블 차폐트랜스등등 천단위로돈쓰면서 막상벽체전선은
      1m에 몇천원짜리...머하는건지

    • @lifeseeker9777
      @lifeseeker9777 2 года назад +2

      좋은 케이블은 랜선의 신호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랜선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끼어드는 전류를 잡아내는 겁니다. +가 아니라 방해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거죠.

  • @JamesBond-pm2lo
    @JamesBond-pm2lo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김도헌 교수는 목숨걸고 절대 디지털 케이블로 인해 음질 차이가 있을 수 없다고 경험과 이론을 다 얘기하는데 한번 서로 챌린지 해 보시죠.

    • @MampAud
      @MampAud 4 месяца назад

      음향공학자와 전기공학자는 다르죠...이건 전기공학 영역이죠.

    • @f91gundam
      @f91gundam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그래서 한번 와서 증명해보라고 판 깔아주니 아무도 안왔죠

  • @wellbeingkidoong
    @wellbeingkidoong 2 года назад +8

    영상에서 설명하신 내용 중에 가장 핵심이고 가장 공감하는 내용은 '시스템의 수준'에 따른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루키~미들급 시스템에서는 하다 못해 아날로그 스피커 케이블을 아무리 업그레이드 해도 차이 못 느끼시는 분들 많은게 어쩌면 당연할겁니다. 영상의 시청회에 직접 참석했다면 음질 차이를 느낄 수 있을 많은 분들도 본인들의 PC, DAC, 헤드폰앰프 등으로 열화된 유튜브 녹음을 아무리 좋은 리시버로 들어도 차이 못 느끼는게 이상할 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정성스럽게 준비하셨겠지만 어차피 이 영상의 녹음으로는, 설득은 기대하기 힘들다는 생각입니다. 제 개인적으로 디지털 커넥션 케이블 카테고리에서 가장 쉽게 차이를 느낄 수 있었던 건 USB, BNC, SPDIF 처럼 디지털 기기간 전송 케이블이었습니다. 저도 예전에 PC에 100만원 내외 DAC랑 앰프 연결해서 헤드파이 할때는 절대 차이 못느꼈었죠. 그런데 웃기는게 DAC 업그레이드 하면서 가장 먼저 느껴진게 PC 노이즈였습니다. 그래서 USB 케이블과 ifi idefender 등으로 노이즈를 잡았었는데, 근본적으로 PC에서 벗어나야겠다 싶어서 이후에 렌더러와 네트워크플레이어를 들이게 되고...디지털이 그렇더라구요^^ ;;; 아무튼 업그레이드의 영역이 분명히 있다는 걸 반복해서 체감하고 하나씩 업그레이드의 효과를 즐기는 것, 그게 취미 아닌가요? 맹신과 무작정 따라하기는 지양해야하겠지만, 그렇다고 한정된 틀 안에만 머무르는 걸 고집하는 태도 역시 지향할 바는 아닐 겁니다. 정성스러운 영상 잘 봤습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어차피 이번 영상은 녹음도 별도 녹음없이 시청회 진행하면서 동시녹음(녹음기 : 소니 PCM-D100)으로 했습니다.
      사실 하이엔드 오디오에서 들리는 케이블 음질차이는 유튜브 음질로 재현이 안되기 때문이죠.
      그런데 의외로 김광석의 흉성이나 Carolina Campbell 바이올린은 유튜브로도
      어느정도 차이를 느낀다는 분이 있어서 저도 의외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본인이 경험하지 못한 것을 믿고 받아드리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지요.
      그래서 그럴리 없다고 말씀들을 하는 거구요. 충분히 이해합니다.
      영상에서 말한것처럼 케이블로 음질차이 날수도 있고, 안 날수도 있습니다.
      뭐든 절대적인 것은 없지요.
      즐거운 음악생활 되세요.

    • @wellbeingkidoong
      @wellbeingkidoong 2 года назад

      @@hificlub_kr 앗. 답글 감사합니다 ^^. 제가 가끔 보는 미국 유튜버가 최근 오디오케이블에 따른 음질차이를 과학적으로 검증한 최신 논문에 대한 정보를 올렸길래 링크 보내드립니다~ 부디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ruclips.net/video/a4R6I_TtKQQ/видео.html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잘 보겠습니다. ^^

    • @oohora
      @oohora 2 года назад +1

      아이폰으로 들어도 차이가 느껴지는데요. Column 😀

  • @jspark2296
    @jspark2296 2 года назад +2

    라면에 대한 비유는 좀...
    라면은 대부분 가격이 비슷하고 성분도 거기서거기라 그 차이를 구분 못한다고 뭐라 할 사람은 없지만, 케이블은 가격이 몇배 또는 수십배가 차이 나니 확실한 구분이 가능 해야겠죠.
    이런 테스트의 신빙성을 높이려면 꼭 블라인드 테스트를 해야하고 음원도 테스트 참가자가 가져온 음원으로 해야 한다고 봅니다.

  • @지스카드-v7s
    @지스카드-v7s 2 года назад +16

    풉~
    블라인드 테스트를 안하고 미리 아는 케이블로 차이를 느낀다...
    이런걸 구라라 그러죠~
    당사자도 저신의 시스템에서 차이를 구별할 자신이 없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하네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창진-g1u
    @이창진-g1u 2 года назад +15

    디지털 데이터가 케이블때문에 바뀐다? 그럼 근거를 대고 얘기해라 니느낌은 중요하지 않다 데이터에 이상이 생기면 코드정정 까지한다 한계를 넘어서면 오류나고.....
    영업도 제대로 좀하자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3

      영상 좀 보고 이야기하시죠?

  • @zakk3461
    @zakk346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아무런 안내 없이 교체하고 차이를 느끼는지 테스트 해보면 더 재미있고 정확할거 같네요 ^^

  • @viamono8010
    @viamono8010 2 года назад +9

    음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복합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음악은 청자 입장에서 그 총합인 최종 결과일 뿐, 케이블 역시 긍정적인 변화 인자일 수도 있지만 그 자체로 저항이고 왜곡을 일으키는 요소임인 분명합니다. 특히 논리도 근거도 척박한 말도 안되는 가격의 케이블링 시장은 참으로 개탄스럽습니다. 현실적으로 살펴 보면, 소스기기 부터 최종 출력단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설계 방식과 케이블링이 전재하는 만큼 설계상의 최단 경로 채택이나 대단히 훌륭한 선재를 투입한 제조사를 선택하는 것이 차라리 타당합니다.
    아날로그 케이블이라면 일정 부분 관여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의 경우 단지 케이블링만으로 음질에 관여 혹은 튜닝의 방식으로 채택할 만한 설득력있는 존재감을 갖지 못합니다.
    역설적으로 난다긴다하는 제조사들 역시 단 한번도 제대로된 과학적 비청과 데이터를 통한 객관적 증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입니다.
    디지털 케이블링의 '음악성' 편차에 대한 유튜브 내에서의 갹관적 비교 실험 성사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압니다만 '현저한 차이가 난다'는 측에서 나타나지 않아 무산되기도 했습니다.
    결국 상당 부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 해도, 제조사 조차 제시하지 못하는 가격의 'Reason WHY'야 말로 미신이지요.
    오디오는 음악을 듣는 도구일 뿐. 바꿈질과 해부학적 담론들이 본령은 아닐겁니다.
    원 소스, 레코딩 품질, 마스터링, 재생 매체 등 보다 지배적인 근본적 요인들에 관심을 두는 편이 '더 음악적'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디지털은 아날로그가 아니며 거의 모든 음악은 디지털 코드를 전제로 하지만 디지털 케이블이 아니라 오디오 시스템 내부에 부속된 다양한 파츠들과 설계 방식에 따른 편차가 주도적인 영향읗 미치게되므로 '래알 오디오쟁이'는 보다 양질의 파츠로 업그레이드하거나 최소한 앰프 입출력 단자와 연결된 케이블만이라도 고품질 선재나 취향에 따라 튜닝하는 것이 '확실한 변화'를 꾀할 수 있는
    방식일 수 있습니다.
    결국 믿을 건 귀니까요.
    오디오 시장 만큼 브랜드 혹은 터무니없는 거품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하이 앤드 시장은 분명 정당한 사유와 품질감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존중되어야 하구요. 그러나 오디오 시스템은 취향과 매칭에 따라 얼마든지 결과값이 완전히 달라지는 '다양한 조합과 함수'가 공존하는 만큼 절대적 상대 우위나 압도적 기준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무엇 보다 지극히 주관의 영역이자 각자 기호가 있는 만큼 '더 좋다', '좋게 들인다'는 집단적 감각 역시 엄밀히 말해 편승된 감흥일 수 있고 손 들어 봅시다 같은 방식은 애매하고요.
    결론적으로 밑도 끝도 없이 '각자의 몫'으로 남는 듯 합니다.
    만일 '변화의 폭'이 '지불 가치', '만족감' 혹은 '더 좋을거야 라는 믿음 / 플라시보 / 안도감' 같은 것으로 등가될 수 있느냐 라는 질문 또한 모두의 선택인 듯 합니다.
    '음질 차이'를 만들어내는 근본적인 요인들이 있는 만큼, 단지 인터커넥트나 케이블의 관여도는 최대 5 - 10% 미만일 겁니다.
    파워케이블 > 아날로그 인터케넥트 > 디지털 관련 연결 정도 순이 아닐까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3

      말씀하신 대부분의 내용에 공감합니다.
      특히 하이엔드 케이블 시장의 거품, 레코딩 품질의 중요성, 케이블 관여도 등은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하지만 CD때와 달리 디지털이 네트워크 플레이로 넘어오면서 의외로 디지털 케이블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하는 케이블의 우선순위는
      파워케이블>스피커케이블>아날로그 인터커넥트=디지털케이블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____9101
      @____9101 2 года назад +1

      케이블에 관한 가장 멋진 댓글을 읽었습니다. 깊이있고 설득력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viamono8010
      @viamono8010 2 года назад +1

      @@____9101 감사합니다. 오디오 시스템은 소리가 아닌 음악을 듣는 도구라는 점에 많은 분들이 공감하시리라 생각합니다. '답'이 없기도 하지만, 자신만의 취향이나 기호를 찾아가는 기회로 삼아보는 것도 즐거운 여정이 아닐까 싶습니다.

  • @CYI-012
    @CYI-012 Месяц назад

    LAN 케이블 품질로 인한 문제는 단 한번도 없었고 USB 케이블 문제 때문에 연결 안정성이 생기기는 하더라고요.
    잘 듣다가 소리가 뚝 끊겨버리면 그것만큼 짜증나는 게 없죠..
    그러나 음질이 좋고 나쁘고의 문제는 제 기준에서는 미신에 가까울 정도로 회의적인 입장입니다.

  • @jongminkim2023
    @jongminkim2023 2 года назад +5

    여기 계신분들 얼마나 원통하실까요...
    이미 음악을 만드신분들은 케이블을 몇십만원에서 몇만원짜리로
    음악을 만드는데....
    그런데도 고음질의 음악을 만드는것을 보면 뭔가 느끼시는게 없나요?

    • @sungwonholman116
      @sungwonholman116 Год назад +1

      무에서 유를 창조.... 그분들은 신입니다~ 지름신

  • @bluemajesty7616
    @bluemajesty7616 Год назад +1

    블라인드 테스트라는건 자신이 모르게 누군가 선을 바꿔 놓았을때 .
    어느날 갑자기 어 어딘가 모르게 소리가 쫌 아상헌데 라고만 느껴도 인정 하겠습니다 .
    영상의 테스트는 블라인드는 당연히 아니고 .. 실제 현장에서 확실히 차이를 느꼈는지는 알 수 없지만 .

  • @폴스콜스-n2x
    @폴스콜스-n2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상위 0.1%의 황금귀분들만 모였군요. 저같은 막귀는 서러워서 울고갑니다. ㅜ

  • @surprisecode
    @surprisecode 2 года назад +14

    약장사네

  • @강경석-r7y
    @강경석-r7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분들 실제로 블라인드 테스트하면 하나도 못맞춥니다 ㅋㅋ

  • @jaeshin91
    @jaeshin91 2 года назад +1

    랜케이블로 음질이 바뀌었다는걸 인정하고 그게 왜 그렇게 되는지 이유가 궁금해지네요. 사용하신 음향기기들과 연결도를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영상에서 말씀드렸듯이
      디지털 오디오에서 케이블에 의해 바뀌는 음질은, 디지털의 데이터가 바뀌는 부분이 아니라
      아날로그단의 노이즈 영향으로 음질이 바뀐다는 것입니다.
      이는 BOP, Smarthub, LAN Noise Isolator 등 노이즈와 관련된 다양한 것들을 개발, 리뷰하며 얻어진 지식입니다. 노이즈 차단관련 기기와 디지털 케이블의 음질변화 성향이 비슷하게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연결기기는
      디지털 소스기기 : MSB Reference DAC
      프리앰프 : EMMLabs PRE
      파워앰프 : EMMLabs MTRX Power
      스피커 : Borresen-05
      노이즈 차단장치 : BOP Quantum Ground, Quantum Field, W Smarthub
      입니다.
      네트워크 연결은
      벽체 - W Smarthub - 랜케이블 - DAC 이며
      ROON Server인 Nuclleus는 다른 방(시청실1)에 있었습니다.

  • @sinnanda1818
    @sinnanda181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제임스랜디한테 가서 빨리 100만달러 타러 가세요.

  • @young-Yz
    @young-Yz 7 дней назад

    다른건 모르겠고 일단 기본 시스템(dac,스피커 등)이 좋아야(1000만원대가 넘어가야) 차이점이 들린다는 말씀은 공감함. 그리고 귀도 숙련이 되어 있어야 함. 최소한 100이 넘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는 들어봐야 함. 그런 조건이 갖춰지지 않으면 아무리 황금귀여도 시스템 자체에서 구별을 해줄 수가 없으니 들리지가 않음. 비숙련귀는 말할 것도 없고. 예를 들어 스피커가 그 차이를 표현을 못함. 차이를 표현해준다 해도 비숙련귀면 못듣거나. 그리고 현재시점의 과학이 모든걸 다 파악하고 설명하고 있는게 아님. 물질이 정확히 뭐로 이루어져 있는지 우리는 아직도 해답을 못찾았음.(원자라는 원시시대 얘기 하지 말고.) 그러니까 반대하거나 비판하는건 좋지만 조롱은 하지 말았으면 좋겠음.

    • @young-Yz
      @young-Yz 7 дней назад

      시스템의 중요성과 관련해서, 내 경험을 덧붙이자면, 하이파이 분야에선 싸구려겠지만 처음으로 이백만원대 이어폰으로 들었을 때 그동안 얼마나 많은 소리들을 놓치고 있는지를 깨달았음. 그리고 다시 수년동안 듣던 에어팟을 들었을 때 귀안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들어오는 기분에 바로 그냥 집 구석 어딘가에 버렸음.(남한테 파는 것도 죄가 되는 것 같아서) 음식물 쓰레기는 비유가 아니라 그 당시 느낌 그대로 말하는 것임. 더러운 걸 말하는게 아니라 온갖 것들이 엉망으로 뒤섞여 있더라는 것임.
      예를 들어 200만원짜리가 파전을 어느정도 파전으로 들려준다면
      에어팟은 파전을 누가 먹고 토해놓은 걸 들려주는 그런 느낌임.
      논리와 추론에는 연역법만 있는게 아니라 귀납법도 있는 것임. 경험이라는게 체험이라는게 그렇게 중요한거임.
      종교얘기들 하는데, 그럼 그 위대한 인류가, 이토록 과학 발전을 이루어 온 인류가 예수 이래로 수천년..올해로 2025년째 인류의 거의 1/3이 기독교를 믿는건 어떻게 설명할건데? 종교가 과학으로 설명이 됨?
      지금이 16세기라고 치자.
      그럼 그 당시의 과학 수준이 얼마나 조악한지 현재의 여러분들은 알 것임. 그럼 500년 뒤 지금 과학수준을 보면 어떨까?
      현대 과학을 무시하자는게 아니라 연역적으로만 추론하지 말라는 것임. 좋은 장비로 직접 들어보라고.
      후진 장비로라도 음악을 더 세밀하게 더 깊이있게 들어보라고. 그리고 갈증이 생기면
      좋은걸로 들어보라고. 진짜 왠만하면 다 느낌.
      케이블 수백짜리 쓰는 분들은 다 그만한 경험치와 장비를 가지고 있으니까 거기에'도' 투자를 하는 것임.
      물론 무지성 사치성으로 사는 돈많은 분들도 있겠지만.

    • @young-Yz
      @young-Yz 7 дней назад

      그리고 정작 뮤지션이나 프로듀서들은 그런거 신경 안쓴다고 하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림. 좋은 사운드 만들려고 스피커나 dac, 룸 어쿠스틱 등등에 수백씩 투자는 다 함. 프로라면. 어느정도 투자는 한다는 것임. 김광석님이 레코딩한 마이크는 아무리 싸도 오백이었을거고. 그렇게 만든 파일 자체는 카톡이든 메일이든 보내도 되지. 일단 용량이 작고,
      그야말로 오직 디지털 데이터로 주고받는거니까.
      여하튼 프로 가수라면 마이크는 요즘엔 기본 천이고 거기에 딸린 아웃보드들은 다 합하면 수천은 될 것임. 최소가 그렇다는 것임. 그게 기본이니까.
      그리고 아티스트의 보컬, 플레이어들의 악기들 자체가 이미 돈임. 세션맨들 기타같은거
      최소 300임. 클래식으로 가면 억대인건 다 아실거고.

    • @young-Yz
      @young-Yz 7 дней назад

      마지막으로 과학도라면, 기존의 과학으로 설명될 수 없는 현상을 '경험'했을 때 그걸 과학으로 밝히는 자세가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양자역학도 그런 식으로 탄생한 학문이고. 뉴턴의 사과만 해도 그런거 아냐? 당시의 과학으로 그걸 설명할 수 없었으니까 뉴턴이 연구를 하고 규명을 한거잖아. 분명 기존의 기술과 과학으로는 음향/음질적으로 차이가 날 수가 없는데 분석 결과 실제 차이가 난다. 그럼 왜 나는지 연구를 해야 하는거지 . 뭐 그게 심리학으로도 설명이 되는 부분이 있겠지만. 다른 방식으로도 말이야.

  • @jdl8350
    @jdl8350 3 месяца назад

    ❤질문이 틀렸음. ㅡ 차이가 날수 없다가 아니라 차이를 못느꼈다라고 질문을 해야 맞지요.❤

  • @gt_bk
    @gt_b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스피커 인치수가 크고 케이블의 길이가 길 경우 차이가 나지만 모니터스피커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

  • @user-yn6wn8qb9b
    @user-yn6wn8qb9b 2 года назад +1

    언제든지 오라고 하셨으니 무용론/유용론 모두 가서 직접 들어보고 비교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비교해보고 뭔가 차이가 있으면 있는대로 신기한것이고, 차이가 없으면 없는대로 확신을 가지면 될 것 같습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2

      그냥 개인적으로 아무때나 미리 예약만 해주시고 오세요. 비교 해드리겠습니다.
      혼자 오셔도 되고, 여러분이 같이 오셔도 됩니다.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아니면 저희가 조만간 "노이즈와 디지털 스트리밍. 디지털 스트리밍 최고의 음질 만들기" 시청회를 기획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날 디지털케이블 비교시청도 다시 하겠습니다.
      그때 참석 신청을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user-yn6wn8qb9b
      @user-yn6wn8qb9b 2 года назад +1

      저는 해당 영상의 청음회에 참석을 했었고 개인적으로는 차이를 꽤 느꼈던 사람입니다.
      영상의 내용을 끝까지 안보신분들도 많아보이고, 댓글 창이 예상했던대로 핫(?)해서 유용론/무용론 주장하시는 분들 시간나면 여기서 싸우지만 마시고, 직접 경험해보시는것도 좋겠다 생각해서 댓글 달아보았습니다.
      경험해보시고 차이 없다고 느끼시면 역시 무슨 디지털케이블가지고 말장난이냐 생각하시고, 차이를 느끼신다면 어떻게 이게 차이가 나지 생각해볼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청취환경 및 시스템의 전반적인 세팅 및 퀄리티가 높아질수록 유의미한 결과를 느끼실 수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 @lafollia7241
      @lafollia724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런 오픈된 상황에서의 비교청음은 의미 없습니다. 실제 내 귀로 확실한 차이를 느끼더라도 ...미묘하고도 논란이 많은 디지털케이블일 경우엔 이중맹검 블라인드테스트를 해야지만 의미가 있고 결과에 이의가 없을겁니다.

  • @tedins_studio
    @tedins_studio 2 года назад +1

    저는 집에서 보통 맥북에 USB케이블로 DAC 연결해서 듣는데 어느날 맥북을 딸이 가져가서 일반 노트북으로 음악을 플레이 했는데 음질 차이가 너무 확연하게 차이가 나서 놀랐던 적이 있습니다. 어차피 DAC에서 아날로그로 변환되기 전까지는 똑같은 디지털 데이터일텐데 왜 음질 차이가 나는지 제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되더군요. 이 경우도 디지털케이블 차이와 같은 걸로 봐야할까요? 잘 아시는 분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2

      두 노트북의 노이즈 발생량이 달라서 그렇다 봐야될 것입니다.
      그래서 그 노이즈들이 (아날로그부에) 유입이되면서 음질이 달라진 것입니다.

    • @kks4413
      @kks4413 2 года назад +12

      노이즈가 아니라 윈도우는 윈도우믹서에 의해서 음장을 한번 거치고 나오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데이터가 윈도우 os단에서 변형이 되어서 나오는거에요
      에휴 이런 무식한 아저씨들 데리고 사기나 치고있으니

    • @카제-u6y
      @카제-u6y Год назад +7

      윈도우 믹서가 관여하기 때문에 맥을 사용하는 분들이 많은겁니다. 디지털 관련 전문가들(정보통신공학 전문가)이 데이터가 변할 수 없다고 말을해도 안믿는게 문제입니다. 데이터는 16진수에서 1개만 변해도 hash값 자체가 변경되기 때문에 완전 다른 데이터가 됩니다. 디지털에서 전송으로 hash가 변하는 경우는 인위적인 변조 혹은 손상말곤 없습니다. 제발 이런 장난질로 몇십, 몇백짜리 디지털 케이블 사지 마세요.

  • @매탈기어솔리드
    @매탈기어솔리드 2 года назад +4

    시연하시는분 맨트 자막 이런것도 청취자에 판단에 영향을 줍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수백만원이 넘는 케이블들을 여러개 가지고 있지만 꼭 좋다는 확신은 없네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노리치-i4j
    @노리치-i4j Год назад

    18:49 7:10

  • @커피우유-m5l
    @커피우유-m5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 다행이다 몇번 들어도 난 선에 의한 차이를 전혀 모르겠네 그냥 막선으로도 잘들리니 오히려 좋아 😊

  • @TeddyBabyFlying
    @TeddyBabyFlying Год назад +3

    너무 한심합니다..

  • @김의채-g6v
    @김의채-g6v 2 года назад +12

    디지털 케이블은 요즘 제품은 하자가 있지 않은이상 차이가 없다고 보는것이 맞다고 봅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네. 영상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차이가 안날수 있습니다.

    • @김의채-g6v
      @김의채-g6v 2 года назад +3

      @@hificlub_kr 잘 보고 있던 채널인데 이번 영상으로 약간의 실망감이 있네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실망을 드려 죄송합니다. 그래도 할말은 해야할 것 같아서요.

  • @Grrrrrrrk
    @Grrrrrrr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4:01 요때 플레이되는 클래식 차르디쉬인것같은데 여기서 튼게 누가 연주한것인가요?

  • @QuovadisDomine317
    @QuovadisDomine317 2 года назад +18

    그만 약 파시요~ 저걸 앉아서 듣는 사람들은 돈 많은 바보들인가?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2

      댓글 최소한의 예의를 지키시기 바랍니다. 아무리 익명이라고.
      저희 채널에 대한 말은 괜찮지만 시청회 참석자 분들께 까지 비하성 발언은 도를 넘네요.

    • @QuovadisDomine317
      @QuovadisDomine317 2 года назад +2

      죄송합니다. 과했네요.디지털케이블은 과학적으로 논란이 종지부를 난 사항인데 굳이 또...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1

      이세상의 모든 것들이 과학으로 증명이 전부 안되었죠.
      가장 일반적으로 양자역학은 아직 증명되지 못했습니다.
      전자공학은 그 양자역학에 기인한 학문이구요.
      정량적으로 측정한 과학적 증명이 사람의 감각기관을 뛰어넘는다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첫 댓글은 수정하여주시기 바랍니다.

    • @truth7861
      @truth7861 2 года назад +1

      기계가 정확하지 어떻게 사람이 정확하다 하십니까? 특정부분 몇db씩 수정해도 변화를 감지 못하는게 사람인데. 기계는 다 캐치해냅니다 ㅋㅋㅋㅋ

    • @고개숙인남자-h7g
      @고개숙인남자-h7g Год назад +2

      ​​​@@hificlub_kr웃고갑니다.ㅋㅋㅋㅋㅋ
      기계가 사람보다 정확하다니요?

  • @user-00766
    @user-00766 2 года назад +3

    DAC에서 소리가 바뀐다는건 설명 가능 함.
    디지털 케이블이 DAC에 어떻게 영향준다고?

  • @안안녕-z7s
    @안안녕-z7s Год назад +1

    근데 ㄹㅇ 나도 20대 이과충에 이론아니면 다 개소리라 여기는데 들어보니깐 차이가 있더라 ㅇㅇ
    나도 차이있다는사람들 다 븅신취급했었는데 이론상 차이가나면안되는데 나긴하더라 풀라시보 아니고 ㄹㅇ
    왜 차이가날까 곰곰히생각해봤는데 아마도 내 개인적인 생각엔 양자영역까지 완벽하게 연구가되지않는이상 애초에 동일한것이라는게 존재할수가없다고봄 그레서 차이가 나는게 아닐까싶음 같은 신호조차 양자단위로 보면 100%동일하지않을테니깐
    이런차이가 생긴다봄 ㅇㅇ
    뇌피셜일수있음 일단 난 차이느낌 ㅇㅇ

  • @younghocho1592
    @younghocho1592 2 года назад +4

    막케이블에 홈 씨어터 수준을 갖춘 유튜브로도 음색이 확연히 다르게 느껴지는 것은 어찌 설명이 가능한지요? 결국은 디지털 케이블이 아니라 아날로그에서 뭔가 바뀐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녹음된 음원의 차이가 나는 것 아닐까요?
      저희가 당일날 바꾼건 랜케이블밖에 없으며,
      저런 음질차이는 디지털이 바뀌어서 날 수 없는 차이이며 아날로그부가 영향을 준다는 것입니다.

  • @스윗하게-s5o
    @스윗하게-s5o 2 года назад +3

    오디오는 열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열정이 넘치면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변화의 기쁨을 느끼고 반대로 실망하기도 하지요. 그러나, 그 열정과 욕망이 적다면 실험 방식과 그 횟수는 다양하지 않을 것이고 그 변화를 알아채기 위한 감각도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재밌는 티비를 보면서 고급 식사를 할 때와 정말 그 고급 식사를 느끼기 위해 오직 식사에만 열중하는 경우 그 맛은 차이가 있을겁니다. 사람마다 그 식사를 대하는 자세는 다를 수 있으니까요. 그 다름은 너무 당연한 것이고, 어느 누구도 탓 할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케이블 차이가 없다는 분도 존중하고 있다는 분도 존중합니다. 사람마다 감각도 다르고 열정도 다르고, 선입견도 다르고, 오디오 청취 역사도 다르고 듣는 시스템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냥 오디오는 개인적인것 같습니다. 과거에 가족들에게 AB 블라인드 테스트 해보면 누구는 변화를 캐치하지만 또 누구는 캐치 못하더군요 ^^ 괴롭지만 결론만 좋다면 행복할 수 있는 취미 같습니다. 영상을 보면서 답답해 하시는 부분 100번 공감했지만, 위에 말씀드린 이유로 누군 옳고 누군 틀리다 꼭 결론을 낼 필요는 없는 문제 같습니다. 호기심이 생기는 분들은 이것 저것 계속 실험할 것이니까요. 그 실험 의지와 결론은 자기가 내리면 되는 겁니다. 다만 케이블 시장에 대해서는 거품이 걷히고 좀 더 합리적인 가격대의 좋은 제품이 나오기를 기원합니다. 흥미롭고 열정이 느껴지는 동영상 잘 감상했습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누구는 옳고 누군 틀리다 결론을 낼 필요가 없다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누구는 차이를 느끼고, 누구는 차이를 느낄 수 없는 당연함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 것이 답답할 뿐입니다.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강경석-r7y
      @강경석-r7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hificlub_kr 인간은 본인이 믿는 대로 몸으로 체감합니다.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지만 분명히 느낄 수 있다라는걸 인정받길 원하신다면 그 능력을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증명하십시오.

  • @MampAud
    @MampAud 4 месяца назад

    디지털 케이블에 대해 엄청난 착각을 하고 계신 것이 디지털 케이블이 무슨 특수한 케이블이라고 생각하시는데 디지털 케이블도 아날로그 케이블과 같습니다.
    아날로그 케이블 보다 훨씬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지요 (아날로그 신호는 높아야 50k 정도인데 디지털 신호는 이보다 1000 - 1000000배 더 빨리 변하죠)
    그러데, 디지털 신호가 노이즈에 강한 건 케이블 때문이 아니라 통신 방식때문예요.
    예를 들어, 100인 아날로그 신호인데 90이 오면 아무리 막귀라고 알아챕니다 (10%를 못알아 채면 귀에 이상이 있는 거죠)
    반면 디지털 신호에서는 100->0으로 인식하면 90->0으로 인식해요. 그래서 여지간한 노이즈에도 신호를 잘 전달하죠.
    그리고, USB나 HDD같은 데이타 전달을 위한 디지털 전송는 데이타의 무결점을 위하여 받은 데이터가 이상하면 보내는 쪽으로 데이터를 다시 보내달라고 하죠.
    이런 통신 규약 때문에 싸구려 선을 사용해도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되요. 대신 시간을 소비하는데 데이터를 다루는 데 1초정도 느려도 아무도 신경안 써죠.
    하지만, 음악에서는 이런 방식을 사용할 수 없는 게 음악신호가 1초가 늦어지면 난리나죠.
    그래서 음악에서는 데이터의 정확도보다는 시각의 정확도 더 중요하므로 케이블이 나빠 데이터가 깨져도 그대로 내보낼 수 밖에 없서요.
    그러므로 케이블을 가능한 좋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CYI-012
      @CYI-012 Месяц назад

      정말 막선은 연결 안정성이 떨어져서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전송이 되더라도 레이턴시가 많이 늘어지는 건 맞아요.
      버퍼메모리가 적은 애들은 중간 중간 끊기거나 아예 재생이 안되고 넘어가버리더라고요.
      버퍼사이즈 설정이 되는 애들은 버퍼사이즈만 늘려줘도 끊기는 현상이 현저히 적어집니다.
      저는 USB 케이블은 연결 안정성이 떨어지면 가끔 바꾸는데 1~2만원대 정도 케이블만 써도 아무런 문제가 없더라고요.

  • @jamesbond-em3gt
    @jamesbond-em3gt Год назад +1

    디지털 케이블이 음색 음질에 영향을 못준다는 분들에게 묻고 싶습니다.
    님들 논리라면 노트북 dvd롬과 어느정도 급이 되는 CDT도 동급이라는 논리 맞죠? 어짜피 0101 데이터니까요.
    저는 이 실험을 직접 해봤습니다. 엄청난 음질차이가 나옵니다.

  • @djvine
    @djvin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세상은 아직 살만하다는 것을 증명한 것 같은데! 디지털 케이블을 로마 교황청에서 큰 금액을 헌금하고 받아온 신성수로 닦은 후에 음악을 들으면 음질이 매우 신성해지지않을까?
    내 xx에 금테 둘렀다는 내용의 카디비 Wap을 들어도 매우 신성하게 들렸다 정도는 되야 확실한 믿을을 줄텐데 많이 아쉽네요.

  • @유리잔-n4n
    @유리잔-n4n Год назад +1

    쓸데없이 말을 많이 할게 아니고 그냥 블라인드 테스트 한번하면될텐데...살다보니 대체로 구리면 말이 많아지더군요. 정확한 테크니컬 데이터를 제시하던지 케이블을 바꿨을때 다름을 느낄수 있는 블라인드 테스트면 모든게 해소됩니다

  • @JamesBond-pm2lo
    @JamesBond-pm2lo 4 месяца назад

    차례를 거꾸로 해 봐라. 인간의 귀가 그렇게 느끼게 되어 있다.

  • @박재혁-q8n
    @박재혁-q8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케이블에서 노이즈 타고 들어왔다. 그러면 dac 만든 회사에 항의하세요. 노이즈 해결 못해서 음질이 달라서 못 듣겠다고. 노이즈 해결못한 쓰레기 제품 만들지 말라고 항의하세요

  • @kalunvinka
    @kalunvinka 3 месяца назад

    케이블 신봉자는 여자와 같다. 과학이나 사실보다는 본인의 감정이 더 중요하다.

  • @newport7937
    @newport7937 Год назад

    쬐금도 차이가 없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단지~ 차값이랑 썬팅가격이랑 돈 차이가 별로 없다는 것이 문제 입니다 ^ ^:;
    그리고 수천만원 짜리 스피커와 수천만원 투자한 앰프인데 케이블 때문에 제법 큰 차이가 난다면……
    앰프가 큰 문제가 있는거 인지도 모르겠네요 ^ ^:;

  • @ckph21
    @ckph21 Год назад +1

    ㅋㅋㅋㅋ

  • @poby770
    @poby770 Год назад +3

    수억대 하이엔드급 시스템 꾸리는 사람들이 좋은소리 찾는다면야 케이블에 몇백 몇천 투자 못할까??
    어줍잖은 중급기에 선재류 투자하느니 앰프랑 스피커 업글에 투자하겠다는데 완전공감

  • @PPongPong
    @PPongPong Год назад

    차이는 아는데 왜 그런지는 모름.. ㅋ

  • @newport7937
    @newport793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알면서 속고 속임을 당하는 것!
    차이가 쬐금도 없을 수는 없지요!
    돈이 말도 안되게 차이가 난다는게 문제이지!
    누구 말대로 블라인드 테스터 하면
    거의 틀림_
    코카콜라 펩시 실제로 테스터 해보니
    거의 다 틀림!
    코카콜라 박사님이라는 돈스파이크
    100% 맞춘다 했지만 …..50%~ ㅋ

  • @유성호-v4t
    @유성호-v4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케이블 차이는 명획히 있습니다
    제가 오디오쟁이라 많이 경험하고 있습니다.

    • @GD-dj6pk
      @GD-dj6pk Месяц назад

      이영상에서의 논란은 보통 파워,스피커 ,rca,등등 그런 케이블 얘기가 아니고 랜케이블 얘기 하는 겁니다. 랜케이블(usb)는 차이가 없습니다.

  • @엄탱이-p7l
    @엄탱이-p7l Год назад

    미세한 차이란거죠

  • @박재혁-q8n
    @박재혁-q8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dac 마다 음질이 다름니다
    데이터가 변경된게 아니에요
    제발... 공부 좀 하세요. 2찍들찍는것들이랑 같은 생각하지마요.
    dac 장비에서 노이즈 처리를 제대로 못한선 dac 장비문제이지요.
    미국부터 랜케이블로 음원이 왔는데 저렴한 랜케이블 시용했으면 노이즈가 개많을텐데 음악 깨끗하게.잘 들려요.
    수천km로 각종 노이즈가 있을뗀테 1m케이블 썼다고 노이즈가 없는 소리를 듣는다. 이에 대한 답도 필요해요.

  • @asdwwee
    @asdwwee Год назад +1

    그냥 고로시 영상 아님? ㅋㅋㅋㅋㅋ 개웃기네 ㅋㅋㅋㅋㅋ

  • @건담퓨리-i6w
    @건담퓨리-i6w 2 года назад +1

    그냥 변화라고만 해주시죠 논란이 될수밖에 없는이유는 변화에 의해 결과물이 마음에 드는분도 있고 마음에 안드는 분도 있다는겁니다 개인적인 기준이기때문이고 취향차이이며 사람 성격다 다르듯이 들리는것도 다 다른겁니다 본인이 생각했을때 좋은쪽으로 변했다고 해서 그 변화가 100% 좋은쪽이라고 자신하십니까? 변화에 대해선 인정하지만 비싸고 좋은 케이블이라고 해서 내 입맛에 맞을수가 없다는 겁니다.

  • @당땡글
    @당땡글 4 месяца назад

    전문가님들 스팩은 인정합니다. 하지만 소리 들어 보고 얘기 합시다. 들어보지도 않고 아는 지식으로 갑론을박하지 마시고. 보유한 스피커,이어폰의 성능이 떨어지면 이 영상의 음질을 구분하기 어려울수있습니다.

  • @oohora
    @oohora 2 года назад +1

    그냥 아이폰으로 들어도 확연한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런데 Ethernet cable은 streamer로 가는 인터넷 선으로 사용 하신건가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랜케이블은 허브에서 DAC 사이에 연결하였습니다.

    • @oohora
      @oohora 2 года назад

      @@hificlub_kr 허브는 인터넷 라우터 인가요 ? DAC은 streamer가 포함된 DAC인가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1

      시연은 ROON으로 하였으며
      네트워크 연결은
      벽체 - 웨이버사 W Smarthub - 랜케이블 - DAC 이며
      ROON Server인 Nucleus는 다른 방(시청실1)에 있었습니다.
      DAC는 MSB Reference DAC로 Network 모듈이 꼽힌 스트리머가 포함된 DAC입니다.

    • @oohora
      @oohora 2 года назад

      @@hificlub_kr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폴스콜스-n2x
      @폴스콜스-n2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이폰으로 들었는데 확연한 차이를 느끼시다니 황금귀중에 황금귀이신것 같습니다. 부럽습니다.

  • @줄리구멍냄새취한검사
    @줄리구멍냄새취한검사 4 месяца назад

    차이 있네

  • @doltangi
    @doltangi 2 года назад +16

    ㅋㅋ 진짜 광신도 집단이네 ㅋ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3

      그런가요? 반대쪽도 만만치는 않죠.
      저는 케이블 음질차이 없다는 분들의 의견도 존중합니다.

  • @garabeen1
    @garabeen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음향케이블에 대해선 전문가들이 워낙 회의적 의견을 내놓기에 차치하고.... 저는 비쥬얼그래픽으로 먹고사는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모니터 선택도 중요하지만 디지털케이블 연결도 신경을 씁니다. 막선... 1만원 남짓 디지털케이블(모니터와 그래픽카드 연결케이블)과 고급(더 비싼 케이블도 많지만 보통 일본제 디지털케이블을 씁니다.) 케이블과의 색감은 다릅니다. 콘트라스트와 미세한 베이직 톤(K단위로 표기되는 휘도의 색감) 특히 암부의 디테일차이가 심하게 납니다. 일반인에겐 전혀 의미없지만 작업자로선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막선은 안씁니다. 귀와 달리 시각은 속일 수도 없고 누구나 체감하는 부분이라 논란 자체가 없습니다.
    이런 모니터연결 디지털케이블도 음향 디지털케이블과 같은 원리 아닌가요? 이 쪽에 워낙 문외한이라 차이점을 모르겠군요.

    • @CYI-012
      @CYI-012 Месяц назад

      어떤 케이블인가요? 비주얼그래픽이면 정확한 색 표현이 무엇보다 중요할 거 같은데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을 지원하는 고가의 전문가용 모니터는 HDMI 케이블 사용을 지양하는 거 같더라고요.
      HDMI는 원래 TV에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케이블이라 RGB 출력 범위가 좁은 케이블은 컨트라스트와 암부 표현에 차이가 날 수 있다고 보는데 DP와 USB-C 케이블은 처음부터 PC에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케이블이라 DP와 USB-C 케이블도 그러한 색감 차이가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벤큐에서도 공식적으로 DP나 USB-C를 권장하길래 여쭤봅니다.

    • @garabeen1
      @garabeen1 Месяц назад

      @@CYI-012 DP 케이블 역시 차이가 많이 납니다. 시중에서 파는 1,2만원짜리와 전문회사에서 나온 2-30만원 또는 그 이상 가격의 케이블은 차이가 많습니다. 특히 암부와 색상의 입자등이 많아요.

    • @garabeen1
      @garabeen1 Месяц назад

      @@CYI-012 그래픽 작업시 암부가 정말 중요한데 저가 케이블은 기본적으로 색상의 왜곡이 심하고 암부의 디테일이 없어 작업완성도가 현저히 떨어집니다.

    • @garabeen1
      @garabeen1 Месяц назад

      때에 따라 켈리브레이션 값이 먹히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심각한 오류죠. 일반 사용시에는 아무 상관없지만 불특정 다수의 표준값을 설정해야 하는 작업자로선 정말 심각한 일이죠.

    • @garabeen1
      @garabeen1 Месяц назад

      @@CYI-012 저는 주로 일본생산 제품을 씁니다. 미츠비시 제품을 쓰는 편이죠 그나마 싼 편이라...

  • @전해환-w7d
    @전해환-w7d Год назад

    통신할때 단연히 다른 신호는 필터로 삭제하고
    데이터가 같은지 확인합니다.
    거의 발생 안하지만 테이터가 요염되면 확인하고 다시 전송합니다
    만약에 오염된 데이터가 들어왔으면 오디오 파일이 아닌 전혀 이상한 테이터가 되기 때문에
    DAC에서 재생 중단하고 오류 보내겠죠.
    아날로그에서 변형되면 잡음이지만 디지털에서 변환되면 음성 파일이 아닌 무슨 데이터지 몰라서 처리 중단 됩니다.

  • @user-joowoo
    @user-joowoo Год назад

    괜찮은 dac에 괜찮은 이어폰, 헤드폰으로 음악 들어보세요. 유튜브 열화를 감안하고도 확실하게 차이가 많이 느껴지네요. 밑에 차이 없다는 사람들 핸드폰으로 듣거나 싸구려 스피커로 유튜브 보고 있는 게 확실합니다.

  • @vr3lo4kx7h
    @vr3lo4kx7h 2 года назад +2

    저질 불량선이 아니면 음질이 아니라 음색이 변하는거겟죠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1

      음색이 변한다는 것도 음질의 변화중에 하나죠.

  • @진실-g5r
    @진실-g5r 2 года назад +1

    저희집에도 랜케이블 고급형으로 벽체에서 - 공유기 - 셋탑박스 - TV - 앰프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화질 음질 모두 충분히 차이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저희가 수 년간 실험해본바로는 공유기, 셋탑박스, 디지털TV에서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여
      음질적 악영향을 끼치는데, 그 노이즈들이 디지털케이블 등에 의해 영향이 줄어든다 할 수 있겠습니다.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하기철-s4d
    @하기철-s4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음 아마도 케이블이 비싸도 너무 비싸니까 못마땅한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 또한 효과의 인정, 불인정을 떠나 못 마땅하고요.
    그렇지만 입문기 탈출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40-50만원만 투자해도
    확연히 차이가 날텐데
    왜 이런 논쟁이 있을까요?
    전문가라면서요?

  • @박기홍-q9c
    @박기홍-q9c 2 года назад

    다른점을 모르는 1인.......잘모르겠네요....제 탓인 것 같습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소리의 차이를 듣는 관점과 기준이 다르다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다른 점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애써 찾으려고 하지 마시고 즐거운 음악생활 하시면 됩니다. ^^

  • @sca7531
    @sca7531 2 года назад +1

    차라리 이렇게 시원하게 내가볼땐 차이있다. 같이 들어보자.
    라고 하는게 좋은거지.
    댓글로 조롱하고 비꼬고 이런인간들보다 훨나은거같습니다.
    영상 잘보았습니다~

    • @jwk96
      @jwk96 2 года назад +2

      같은 시스템이라도 사람마다 다르게 들립니다..'나는 차이가 있는데' 라는 주관적인 주장이 다른 사람들에겐 어떤 정보 전달의 의미가 없는 것이죠..
      객관적인 차이가 존재하는걸 주장하려면 난 다르게 들린다라는 정도의 주장으론 증명이 안되니 측정치라도 제시하라는거죠..
      자꾸 다르게 들린다하니 그럼 측정치가 없으면 블라인드 테스트라도 해서 증명하란 소립니다..
      다르게 들리죠? 라고 유도심문하는 저런 엉터리 비교를 잘 보셨어요?ㅎㅎ

  • @newport7937
    @newport7937 2 года назад +2

    분명히 약간의 차이가 있는것 같아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실제로 들으면 더 큰 차이가 납니다. ^^
      유튜브는 어차피 PC-Fi로 듣는 것이며, 유튜브 자체에서도 음실 손실이 있지요.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JBZ-n9g
    @MJBZ-n9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습니다. 저가 오디오에서는 차이를 못느낄 수 있습니다.
    미신이 아닌거죠. 음향공학자 분들 하이엔드급 예민한 오디오로 비교해 보세요.
    결론은 저가 오디오는 차이가 없으니 음향공학자가 맞고, 고가 오디오에서는 차이가 나니 고가 오디오 유저 분들이 맞는 겁니다.
    이제 싸우지들 마세요 ㅎ

  • @DanSuh
    @DanSuh Год назад +2

    아날로그에서 음질차이가 있어서 노이즈 차폐를 위해 비싼 케이블 쓰는 사람 정상
    데이터는 어차피 똑같으니 연결만 되면 되서 싼 케이블 쓰는 사람 정상
    여기서 누가 맞네 정신병자네 하고 욕하는 사람 비정상

  • @jkim4712
    @jkim471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솔직히 예전에 논리론, 전기가 흐르기만 한다면 케이블에 차이가 없다고 했는데 그래도 이제는 아날로그 케이블은 차이가 있다네요. 전에는 케이블차이가 없다며 비싼 오디오 케이블 사용자를 정신병자 취급하더니 그래도 이제는 차이를 인정은 하지만 소리가 좋아지진 않는다라고. 흔히 블라인드 테스트하면 차이가 없다는데 그런 블라인드 테스트론 TV 나 프로젝터등에 차이도 구분못함. 블라인드 테스트 한다고 낯선환경에서 잠깐 청음해선 차이를 모르지만 익숙한 환경에서 훈련된 청취자가 고해상도 시스탬으로 반복해서 들어서 익숙해지면 차이를 쉽게 느낄수 있음.

    • @MampAud
      @MampAud 4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 같은 일반인이 벤츠 S클라스랑 BMW 7시리즈의 승차감을 구분할 수 있을 까요?
      두 차의 승차감이 구분되지 않는다고 두 차가 같은 건 아니죠.
      제가 생각할 때 블라인드 테스트의 가장 문제점은 님 생각과 같이 테스트 환경 같아요.
      익숙하지 않는 환경에서 뭔가를 구분하라는 얘기는 굉장히 어렵죠. (이조차도 스스로 황금귀라고 자부하는 이들이 벌려 놓은 것 같지만)
      그래서, 저는 가격이 좀 되는 오디오 관련 제품은 저희집에서 하루 이상을 들어 봐요. 이러면, 어느 정도 판단이 서는 것 같아요.

  • @mungsm
    @mungsm 2 года назад

    오반갑네요 메시브어택을 들을줄이야 ㅎ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도입부 인트로 부분에 거대한 공간감을 만들어내는 스케일이 좋아서 자주 듣는 곡입니다. ^^

  • @jaehoonchoi8472
    @jaehoonchoi8472 2 года назад +2

    히야 헤드폰으로 들어도 진짜 차이가 나네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네. 헤드폰으로도 들어보시면 Caroline Campbell 바이올린의 음악성이나
      김광석의 흉성 유무는 차이가 납니다.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의채-g6v
      @김의채-g6v 2 года назад +1

      이 영상에선 차이가 나긴합니다만.. 유튜브 음질 열화를 감안해도 이정도 차이라면 디지털 케이블 외의 요인도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어떤 케이블 외의 요인이 작용했을까요?
      비교시청시 저희가 바꾼 것은 랜케이블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시스템이나 케이블에 따라 차이나 정도는 다르겠지만
      대부분의 하이엔드 오디오 시스템에서 디지털케이블의 음질차이는 납니다.
      만일 차이가 없거나 미미하다면 오디오용 디지털케이블 시장 자체가 존재하지 않겠지요.
      음질차이도 안나는데 그것을 비용을 지불하고 구입을 할 사람은 없을테니까요.

    • @김의채-g6v
      @김의채-g6v 2 года назад +1

      @@hificlub_kr 화이팅하십쇼

  • @케이50셋
    @케이50셋 2 года назад +2

    LAN케이블 제조 국가에 따라서도 소리가 달랐어요

  • @커피한잔-p8k
    @커피한잔-p8k 2 года назад

    저는 확실히 차이가 느껴지는데요.. 특히 바이올린 차르다시 부분에서 고급케이블을 끼우니까 일반케이블에서는 없던 오보에가 나오더니, 바이올린 주자가 한옥타브 높게 연주하네요..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네. 말씀하신대로 랜케이블이나 네트워크허브, 노이즈 장치에 의해서 배음과 앰비언스가 살아나서 음악적 뉘앙스가 바뀌게 되는 부분입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커피한잔-p8k
      @커피한잔-p8k 2 года назад +7

      @@hificlub_kr 그런 얘기가 아니고.. 일반케이블이랑 고급케이블이랑 시연할 때 다른 소스를 틀었다고요.. 케이블이 어떻게 없던 오보에 소리를 만듭니까? 그리고, 바흐샤콘느와 차이코프스키 D장조하고 차르다시를 한곡처럼 붙여놓고, 교묘하게 차르다시 부분만 다른 부분으로 편집한 건 무슨 의도인지..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바이올린 연주곡은 Caroline Campbell의 Czardas live 연주 음반입니다.
      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음악이 나올때 별도의 영상 편집은 없습니다.
      단지 ROON으로 재생하면서 곡 중간부분으로 Skip 하면서 일반케이블은 1:54초로 갔고,
      고급케이블은 2:14초로 Skip된것 뿐입니다.
      ROON을 써보셨는지 모르겠지만 곡 중간으로 정확하게 Skip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오보에가 같이 나오고 바이올린이 한옥타브 높게 연주하는게 오디오에서는 더 어려운 조건입니다.
      굳이 고급케이블에 더 어려운 부분을 교묘하게 의도적으로 편집할 이유는 없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 @커피한잔-p8k
      @커피한잔-p8k 2 года назад

      ​@@hificlub_kr 찾아보니 원곡이 그렇네요. 이해하기 힘든 편곡인데.. 어쨌든 그렇네요..

    • @jspark2296
      @jspark2296 2 года назад +4

      @@hificlub_kr 같은 부분도 아니고 다른 부분 들려주소 소리가 바뀌었다고 하면 이 시연회 자체가 잘못되었다 봐야겠네요.

  • @AdultsRune
    @AdultsRune Год назад

    디지털 케이블의 신호가 절대적으로 변화 없이 DAC로 전달된다? 이건 거짓입니다. 동일한 케이블로 음원을 쏘면 받는 값을 같은 조건으로 레코팅 하는 경우에 매번 다르게 녹음이 됩니다. 물론 사람귀로는 확인이 어렵지만 디지털 데이터를 비교하면 지터 및 파형의 미세한 변화가 있습니다. 아마도 노이즈에 의한 결과겠지요? 고로 "저항"이 적은 고가형 케이블을 사용하면 데이터 값의 변형이 최소한으로 줄어 들 것이고 결과물 역시 저가형 보다 비교적 일정하게 기록 될 것 입니다.

    • @즐거운생활-d8t
      @즐거운생활-d8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ruclips.net/video/u8A1IkZeZ28/видео.htmlsi=lN59b8FUYVz7kdwl
      참고하시길~

  • @난서기
    @난서기 2 года назад +2

    이런거만 올라오면 공격성 댓글이 ㅎㅎ 차이 나면 돈주고 사시고 아님 말면되지 왜그리들 민감하신지요 ㅎㅎ 하클 세팅은 극도로 민감한거라 차이가 개인 시스템보다 훨 잘들리는 환경이니 차이가 더 극명하게 드러나는거라 지대로 느껴지는데... 차이 없음 그냥 차폐 잘된 막선 쓰심 되고~ 플라시보던 뭐던 차이가 나는것 같다 하면 경제력에 맞춰서 사시면됨ㅋ 글고 싸장님... 너무 유려하게 설명을 하시니 더 사람들이 사기치는거 아니냐고 하실수도 있어보여요 ㅋㅋ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그런가요? 원래 엄청 버벅거렸는데 영상 편집을 하고나서 유려하게 된 것 같습니다. ㅎㅎ
      저도 이런 영상을 올리면 반발이 올라올 것이라 예상을 합니다.
      유튜브 구독자수를 늘리고 채널의 이미지를 좋게 하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듣고 싶어하는 말을 해줘야 겠지요.
      "케이블 음질 차이 없다"고.
      하지만 누구 하나는 이런 말을 해야되지 않나 해서 제가 경험하고, 알고있는 내용을 이야기 해보는 것입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

    • @bbsole
      @bbsole 2 года назад +2

      민감한건 본인들이 제일 민감하지 않나요? 누가 누굴보고

    • @김성환-v1g
      @김성환-v1g 2 года назад +2

      거짓말을 해서 다른 사람을 현혹하니까 뭐라하는 거지...... 지 혼자 하는 거면 누가 뭐라하나?

  • @nypark6123
    @nypark6123 2 года назад

    어느정도 수준이면 음질보단 음악을 바꿔들어라.

  • @exotic1919
    @exotic1919 2 года назад

    기기 위에 먼지만 닦아도 소리가 변하는게 오디오입니다. 해보지도 않았거나 해봐도 몇천원짜리 케이블로 비교해놓고 변화가 없답니다.

    • @jwk96
      @jwk96 2 года назад

      먼지가 안쌓여도 그날 청자의 컨디션에 따라 다르게 들릴수 있는게 오디오에요..음향심리학 좀 찾아보세요..

  • @송기선-s9j
    @송기선-s9j 2 года назад +2

    내가 못느낀다고 다른사람도
    못느낀다고 생각하지맙시다
    포터로 일반도로 달리면 타이어 차이
    못느끼지만
    고성능스포츠카로 서킷을 달리면
    타이어 품질차이 많이 납니다
    진행자가 말씀하시잖아요
    오디오성능 , 어쿠스틱환경이 좋아야
    차이를 느낄수 있다고….

    • @hificlub_kr
      @hificlub_kr  2 года назад

      저희 영상을 있는 그대로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서로 다름이 있을 수 있고, 그럴수도 있구나 정도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텐데요..

    • @김의채-g6v
      @김의채-g6v 2 года назад

      포칼 유토피아 ie900 서스바라에서의 차이를 못느끼겠으니 하이앤드 스피커급은 가야 느껴지나보군요

    • @김의채-g6v
      @김의채-g6v 2 года назад

      이 영상에서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제가 제 장비가지고 했을 시 말하는 거구요

    • @김성환-v1g
      @김성환-v1g 2 года назад +2

      푸하 내가 못느끼는 게 아니라 느낄 수 없는 겁니다. 원래 존재하지 않으니까요. 귀신 못느낀다고 뭐라 할 사람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