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대 생물학에서는 계통도, 즉 일종의 가계도를 통해 생물을 분류합니다 얼마나 유전적으로 가까운 친척 관계인지에 따라 분류하는거죠 파래, 매생이 등 녹조류는 일반적으로 식물에 포함되고 김, 우뭇가사리같은 홍조류는 애매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식물로 보기도 합니다 미역 다시마같은 갈조류는 식물이랑 전혀 다르고 짚신벌레나 야광충이랑 가까운 생물입니다 스피룰리나같은 남조류는 아예 진핵생물조차 아닌 박테리아입니다 이러한 분류법에 외형적 특징은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일례로 단세포 생물인 클로렐라는 녹조류에 속하는 식물이지만 미역, 다시마는 그저 식물과 비슷하게 진화한 전혀 다른 생명체입니다
0:13 여담으로 김치를 담글 때, 액젓, 젓갈을 넣기도 하죠.
아따잉 잘봤습니다~
해조류에도 이런 복잡한 내용이 숨어있었군요. 덕분에 오늘도 상식 한 조각 추가합니다~ ^^
나무위키에서 다시마가 식물보다는 짚신벌레에 가까다하니.. 더 헷갈리네요.. 근데 짚신벌레는 여기저기 도망 댕기는데 다시마는 도망 못가니 외관상 식물이죠 일방인이 생각하는 식물은 도망 못하는거.. 과학자가 생각하는 식물은 먹는 영양분 종류와 CO2
말하는게 귀여워❤
님아 그런식으로 말하면 쥐와 인간의 유전자는 거의 비스한데 크기도 다르잖아요
도망간다 안간다라고 분류하면 뭐해요
그리고 식물보다 짚신벌레에 가까운거 맞습니다
오 상식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미역 파래등을 거대조류로 분류하니 이해가 잘되네요.. 백과사전에선 넘 전문적으로 적어서.. 읽다보면 (영어보다 더 생소한) 한글단어들이 많이 나와서 이해가 힘들었어요
헌대 생물학에서는 계통도, 즉 일종의 가계도를 통해 생물을 분류합니다
얼마나 유전적으로 가까운 친척 관계인지에 따라 분류하는거죠
파래, 매생이 등 녹조류는 일반적으로 식물에 포함되고
김, 우뭇가사리같은 홍조류는 애매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식물로 보기도 합니다
미역 다시마같은 갈조류는 식물이랑 전혀 다르고
짚신벌레나 야광충이랑 가까운 생물입니다
스피룰리나같은 남조류는
아예 진핵생물조차 아닌 박테리아입니다
이러한 분류법에 외형적 특징은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일례로 단세포 생물인 클로렐라는 녹조류에 속하는 식물이지만
미역, 다시마는 그저 식물과 비슷하게 진화한 전혀 다른 생명체입니다
2:31
수렴진화
비건은 못먹겠네요
지식백과에는 식물이라는대?
여기 너무 설렁해요
재대로 알고 올리라고
근데 미역으로 김 을만든다는데 사실입나까?
아오!~ 머리서 김난다~ ^^
정리가 좀 잘 안된듯
오 상식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