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목구조는 환경,시공,가격,소음,법(내화),내구성 등등 다양한 부분에서 장,단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저는 구조설계하는 입장으로 강접합을 만들기 어려운 부분이 가장 크게 느껴집니다. 콘크리트구조, 강구조와 다르게 목구조는 접합부를 철물을 사용하더라도 강접합을 만들기가 굉장히 어려워서(가능은 하지만 정성적인 수치확인 어려움) 구조적인 요소로 사용할 때 제한사항이 많습니다. 강접합을 만들기 어렵다는 건 스팬이 크면 처짐이 많아진다는 것, 라멘골조만으로 횡력저항이 어려워서 횡력저항요소(코워월,가새) 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나타납니다. 물론 수요가 많아지면 이러한 구조적인 단점도 보완가능하리라 생각되어집니다. 목구조가 우리나라에서 헤쳐나가야 할 것들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콘크리트에 지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새로운 대안으로서는 충분한 매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사실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기후 때문인데요. 북미는 여름이 건조하고 겨울이 습하기에 기후가 적절하지만 우리나라는 고온다습이 여름 특징이고, 이를 고려하면 부식, 곰팡이 등에 취약합니다. 그래서 일반 주택에서 사용 가능할 수는 있겠지만, 고온 건축물에는 적절하지가 않습니다 CLT 같은 목재는 구조부에 이용할 수 있고, 환경친화적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좋은 재료가 될 지는 의문스럽네요
접착제에서 나오는 화학물질 중,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의 양으로 유해성을 판단하는데, 미국에서는 최소 기준이 있어서 미세량이 나와도 사용할 수 있으나, 캐나다에서의 규정은 Not Allowed 로 전혀 배출이 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에서 판매되는 자재중 일부가 캐나다에 못 들어오는 것도 많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영상에서 인터뷰를 했던 최재철입니다. 싸고 비싸고의 문제는 다소 주관적인 사항이라 뭐라고 말씀드릴 수 없겠네요. 하지만 최근 세계 선진국들이 앞 다투어 목조주택 뿐 아니라 대형 목조건축물을 계속해서 짓고 있고 그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O: 공학목재를 사용한 목조주택의 효과를 널리 알리면 어떨까요?? R: 왜나하면 목조주택을 알리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어 더욱 사람들이 공학목재를 사용한 목조주택을 건축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E: 목재건축은 건축물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친환경적인 소재이며 목재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고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지속 가능한 건축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O: 따라서 목조주택을 활용한 목재건축은 미래에 중요한 지속 가능한 건축이기에 지금부터라도 널리 홍보하면 어떨까요?
@@gaonpa 아이고... 한국에서는 아직 가격 떄문에 무리군요 . 제가 알기로는 CLT 업그레이드 버젼인 합판을 가운데 넣어서 하는 clT가 한국에서 개발중이라 들었는데.. 그거에 대해서도 알려 주세요 그리고 한국에 clt기반으로 건축한 집이 하나 있다던데... 궁금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목구조는 환경,시공,가격,소음,법(내화),내구성 등등 다양한 부분에서 장,단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저는 구조설계하는 입장으로 강접합을 만들기 어려운 부분이 가장 크게 느껴집니다. 콘크리트구조, 강구조와 다르게 목구조는 접합부를 철물을 사용하더라도 강접합을 만들기가 굉장히 어려워서(가능은 하지만 정성적인 수치확인 어려움) 구조적인 요소로 사용할 때 제한사항이 많습니다. 강접합을 만들기 어렵다는 건 스팬이 크면 처짐이 많아진다는 것, 라멘골조만으로 횡력저항이 어려워서 횡력저항요소(코워월,가새) 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나타납니다. 물론 수요가 많아지면 이러한 구조적인 단점도 보완가능하리라 생각되어집니다. 목구조가 우리나라에서 헤쳐나가야 할 것들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콘크리트에 지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새로운 대안으로서는 충분한 매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반 사람도 구조목 투바이식스 텐 구입 할려고 하면 어디에 문의 해야 하나요??
우리나라에서 사실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기후 때문인데요.
북미는 여름이 건조하고 겨울이 습하기에 기후가 적절하지만
우리나라는 고온다습이 여름 특징이고, 이를 고려하면 부식, 곰팡이 등에 취약합니다.
그래서 일반 주택에서 사용 가능할 수는 있겠지만, 고온 건축물에는 적절하지가 않습니다
CLT 같은 목재는 구조부에 이용할 수 있고, 환경친화적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좋은 재료가 될 지는 의문스럽네요
정보를 울나라법으로 그지역 쓸수있는조건의 정보를 알았으면좋겠네요 좋은거야 무궁무진 하죠,,,
접착제에서 나오는 화학물질 중,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의 양으로 유해성을 판단하는데, 미국에서는 최소 기준이 있어서 미세량이 나와도 사용할 수 있으나, 캐나다에서의 규정은 Not Allowed 로 전혀 배출이 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에서 판매되는 자재중 일부가 캐나다에 못 들어오는 것도 많이 있습니다.
아.. 캐나다 기준이 미국기준보다 더 엄격한가보군요.^^ 소중한 정보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철콘도 좀 관심을 가져주세요 ㅠㅠ
나무 하나 자르고 3개 심고... 나무관리 잘하는거고..
이산화탄소 흡수도 오래되면 될수록 흡수율 떨어지니.. 친환경이지...
60년대에 이미 나온 벌채규범이었는데, 침염수림은 대체로 유지가 되나 열대밀림에서는 효과가 별로 없어요. 집중적으로 호우가 내리면 다 쓸려나가요. 또한 후진국들이 많아서 관리가 제대로 안되고 제대로 심어주지 않아서 황ㅍ케화됨.
국내에서 clt로 필로티주택 건축허가 되나요?
공학목재는 시간이 지나면 접합부가 떨어지지않나요
이젠 목구조도 비싸던데요....ㅠㅠ
안녕하세요, 영상에서 인터뷰를 했던 최재철입니다. 싸고 비싸고의 문제는 다소 주관적인 사항이라 뭐라고 말씀드릴 수 없겠네요. 하지만 최근 세계 선진국들이 앞 다투어 목조주택 뿐 아니라 대형 목조건축물을 계속해서 짓고 있고 그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20평 단층구도로 집을
지을려면 가격은 얼마나?
O: 공학목재를 사용한 목조주택의 효과를 널리 알리면 어떨까요??
R: 왜나하면 목조주택을 알리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어 더욱 사람들이 공학목재를 사용한 목조주택을 건축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E: 목재건축은 건축물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친환경적인 소재이며 목재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고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지속 가능한 건축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O: 따라서 목조주택을 활용한 목재건축은 미래에 중요한 지속 가능한 건축이기에 지금부터라도 널리 홍보하면 어떨까요?
CLT 는 합판원리 집성목, 글루램은 그냥 집성목.
아니 목재의 가장 큰 단점은 습기 침투에 의해 나무가 썩는 부분이죠 그 점에 대해 질문이나 명확한 설명이 없는게 아쉽네요
clt는 두꺼운 목재합판 같은거네 만드는 방법이 동일하네
CLT는 우리 나라도 생산하는데... 캐나다 좋은일만 하는거 아닌가요? 우리 나라 기업들도 생각해야죠
일전에 박람회에서 귝산 공학목재를 본적이 있는데요. 가격이 2백여서...ㅠㅠ
@@gaonpa 아이고... 한국에서는 아직 가격 떄문에 무리군요 . 제가 알기로는 CLT 업그레이드 버젼인 합판을 가운데 넣어서 하는 clT가 한국에서 개발중이라 들었는데.. 그거에 대해서도 알려 주세요
그리고 한국에 clt기반으로 건축한 집이 하나 있다던데... 궁금합니다.
결국 나무로 뭘 해보려면 합성목을 안쓰면 안되는꼴이지..
국민 의식 개선을 위해 말뚝기초 목조주택은 20%정도 보조금을 줘야됩니다
가격을 제대로 말하지 않음 누가 접근할까요???뭘 그리 비밀인양 저리 말할끼요???그냥 쿨하게 말하지...참내
목조건물을 짓고 싶으면 예전에 숭례문 불나서 재가 되버린거 생각해보면 될거야 목조건물은 불나면 다 뒈지는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