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후반 러시아제국 _ 알렉산드르 2세 암살, 알렉산드르 3세, 니콜라이 2세, 1905년 혁명)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1861년 농노해방령 이후 제1차 세계대전 발생 전까지 러시아 제국의 역사입니다.
    참고문헌)
    처음읽는 러시아역사. 에이브러험 애셔
    위키백과, 나무위키

Комментарии • 54

  • @Dodo-td1pg
    @Dodo-td1pg 4 года назад +11

    0:29 군복무 기간을 25년에서 6년으로 단축시킨다고??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3

      네. 이부분은 여러분이 의아해 하실 만한 부분이라 출처를 적어둘 필요가 있겠네요.
      [처음읽는 러시아역사. 에이브러험 애셔 p193]
      군대개혁은 알렉산드르 2세와 보좌진들이 고심한 끝에 1874년에 이르러서야 시작되었다. ~ 생략, 법령을 개정하여 군복무기간을 25년에서 6년으로 단축하였고, 예비군과 민병대를 창설했으며, 보다 인간적인 훈련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하 생략]
      저도 조금 이상하게 생각했지만, 역사학자가 아닌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터라 일단 영상에 담았습니다. 정확히 알고 계신 분이 있을지 모르겠군요.
      좋은 지적이시고 여러분들께서 보시라고 댓글 고정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Dodo-td1pg
      @Dodo-td1pg 4 года назад

      @@justice20000 25년 군복무한 사람은 너무 억울할거같은데 ㅋㅋㅜ
      모든 평민 25년 국복무하면 나라경제가 망하지 않나요?

    • @ginapark9902
      @ginapark9902 4 года назад

      @@Dodo-td1pg 모든 평민이 25년 군복무하는 것이 아니였음.
      Conscription in Russia: Prior to Peter I, the bulk of the military was formed from the nobility and people who owned land on condition of service. During wars additional recruiting of volunteers and ordinary citizens was common.
      Peter I formed the Imperial Russian Army with a new aspect: officers not necessarily from nobility, as talented commoners were given promotions that eventually included a noble title at the attainment of an officer's rank. Conscription of peasants and townspeople was based on quota system, per settlement. Initially it was based on the number of households, later it was based on the population numbers.
      The term of service in the 18th century was for life. In 1793 it was reduced to 25 years. In 1834 it was reduced to 20 years plus 5 years in reserve and in 1855 to 12 years plus 3 years of reserve.

    • @안강현-u2e
      @안강현-u2e 3 года назад +1

      일단 사실 맞습니다. 제 기억으로 아트 슈피겔만이 그리고 쓴 만화 '쥐'를 보면 작가 아트 슈피겔만의 친할아버지가 징집되어서 25년동안 복무하게 되었는데 생니를 뽑아서 제대했다는 이야기가 나왔어요.

  • @limeoranges1492
    @limeoranges1492 4 года назад +9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역사 유튜버 중에선 최고시네요.
    역덕이라면 아는 플롯 위에 더 상세한 설명. 늘 재밌게 봅니다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잘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note20ultra5ggalaxy4
      @note20ultra5ggalaxy4 4 года назад +1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역사 유튜버중에 아주 최고이지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몰입감 최고 !!!

  • @note20ultra5ggalaxy4
    @note20ultra5ggalaxy4 4 года назад +2

    저스티스 님영상보면서 몰입감느끼고 재미있꼬 역사 유튭 중 가장으뜸이신듯 많이알게되네유 ㅎㅎㅎㅎ 즐거운 토요일 곧 일요일 옵니당!!ㅋㅋ

  • @동만사랑
    @동만사랑 4 года назад

    좋은영상 천천히 잘보았습니다
    좋아요 여러가지 함께 사랑갑니다
    무한발전을위하여 핫팅합시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자주뵙겠습니다 즐하루되세요

  • @Roof_Korean_Chad
    @Roof_Korean_Chad 4 года назад +1

    [뽀모스 선정 세계 3대 미스터리]
    1. 절단된 팔은 붙이면서 탈모는 치료불가
    2. 펠레는 왜 하는 말의 반대로 가는가
    3. 저스티스님의 영상퀄리티 대비 유명세
    저스티스님 영상을 주변 지인들께 많이 소개하는 중입니다. 왜 몇 십만 단위로 조회수가 안 나오는지 정말 이해가 안됩니다..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으시길 기원해요!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2

      네. 여러모로 보람을 느끼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의 조회수가 잘 안나올 때는 조금 침울해 지기도 하는데,
      흑말랑카우님 같은 댓글을 보면 또 다시 힘이 납니다.
      감사합니다~^^

  • @leeroa211
    @leeroa211 4 года назад +4

    러시아에 뛰어난 군주가 집권하여 사회를 안정화시키고 국가발전을 기여했다면 아직도 러시아제국일수도. 잠재력이 참 큰 나라였는데 아쉽습니다. 근데 소비에트연방이 워낙에 강력했던 국가였으니 러시아가 유지되었다면 오히려 날개를 잃은 느낌이었을까요. 물론 그 날개는 이카루스의 날개였지만요

  • @note20ultra5ggalaxy4
    @note20ultra5ggalaxy4 4 года назад +1

    아주최고네유 ㅎㅎ

  • @johnnyzone72
    @johnnyzone72 4 года назад

    차분한 목소리가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1

      네. 항상 감사드립니다. 조니존-역사이슈님~

  • @SongBulk_TV
    @SongBulk_TV 3 года назад +1

    죄와벌 읽다가 19세기 러시아가 궁금해져서 들렸다갑니다. 감사합니다

  • @임현숙-s5o
    @임현숙-s5o 3 года назад

    영상 잘 보고 있어요~~^^

  • @cossack-l4x
    @cossack-l4x 3 года назад +2

    차르가 현자타임이 와서 입헌군주국으로 진작 갈아타고 1차대전에 중립을 지켰다면 지금의 영국 왕실처럼 남았을지 궁금하네요.

    • @justice20000
      @justice20000  3 года назад

      개인 생각입니다만, 레닌이란 존재가 너무 커서 그가 없었어야 볼셰비키 혁명이 성공 못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혁명이 성공했어도 그가 없었으면 왕실이 부활했을지도 모르죠. 잘 모르겠습니다~

  • @ChocoMilkTea1
    @ChocoMilkTea1 4 года назад +2

    러일전쟁이 다시 보고 싶어져서 앞으로 갑니다 ㅎㅎ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네. 항상 감사드립니다. MA MA님~

  • @housekeeper7910
    @housekeeper7910 4 года назад +2

    제가 알던 역사하고는 좀 다르내요...군사 퍼레이드가 맛나요? 의회참여가 아니고요?
    알렉산드로2세가 참 10년만 더 햇으면 그 이후 3세와 니콜라이2세등 반 자유주의 성향이로 몰고간걸 봐서는
    이 테러가 정말 최악의 수라는걸 ㅠㅠ

  • @ElToro-s15i
    @ElToro-s15i 4 года назад +4

    알렉산드르2세의 맏아들이 만약 살아있었다면.....

  • @최성묵-t7q
    @최성묵-t7q 4 года назад +1

    👍👍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1

      제 채널의 최초 구독자. 최성묵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 @note20ultra5ggalaxy4
      @note20ultra5ggalaxy4 4 года назад +1

      @@justice20000 저도 불러주세요 ^^

  • @나이수수
    @나이수수 4 года назад

    음... 일제가 조선을 근대화시키고 계몽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고 주장하는 역사가들은 '근대화 과정'을 자본주의적 생산 체제의 성공적 도입 여부에 주로 주목하는 듯 한데, 제정 러시아가 당시 세계에서 5번째의 산업강국으로 부상했음에도 결국 무너진 것을 예로 들어 반드시 고도의 경제성장만이 성공적인 근대화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1

      네. 그렇게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말씀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경용님~

  • @note20ultra5ggalaxy4
    @note20ultra5ggalaxy4 4 года назад +1

    저스티스님 영상 너무 너무 만족합니다. 너무 완벽합니다!!! 매번 새로운 영상도 기다리고 재미있게보고있구요 .진짜 최고 아니신가유?ㅋㅋ 제가 여러 역사 유튜버님 역사 보는데 그중 저스티스님이 최고입니다!!ㅋㅋㅋ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과찬이십니다.
      저도 책 읽고 배우는 중이죠.~

  • @beginofsquare
    @beginofsquare 4 года назад +2

    군복무 기간이 25년? ㄷㄷ 이 나라 북한보다 더하네

  • @arch9475
    @arch9475 4 года назад +3

    알렉산드르2세가 암살당하지 않았다면 역사가 바뀌었을까요 ?

    • @강대봉-e9d
      @강대봉-e9d 4 года назад +2

      시대의 대세가 바뀌고 있었기에 산소호흡기 꽂고 지탱하는 말기 암환자 같은 격이었겠지요^^

    • @note20ultra5ggalaxy4
      @note20ultra5ggalaxy4 4 года назад

      @@강대봉-e9d ㅋㅋ

  • @jsm9252
    @jsm9252 4 года назад +1

    중세시대에 있던 농노제가 19세기 아직까지도 러시아에 존재했으니(서유럽에서 가장 먼 동유럽 끝판 국가라 그런지 산업국가에 접어든 서유럽에 비해 봉건적인 제도가 남아있는데다 발전이 뎌뎠음) 혁명이 터지는건 당연한일...

  • @somethinggood2167
    @somethinggood2167 4 года назад

    결국 러시아 혁명은 정치가 경제, 사회적인 발전을 따르지 못한 결과라 봐도 될까요?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1

      네.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 @MarieZorroIndiana
    @MarieZorroIndiana 4 года назад +1

    사회주의만이 답이었을까요?
    레닌은 아니 당시 사회주의자들은 훗날 사회주의의 실패를 알았을까요?
    인간의 본성을 생각치 못하고, 이상만을 추구했던 미완성의 이념이란걸 알았을까요?
    사회주의도 민주주의도 완벽하지 않음을 그것을 만든 이들은 알았을까요?
    인류를 잘 알았더라면 조금 더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생각을 했을텐데...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1

      제 생각에는 레닌이 그 모든 역경과 반대를 뚫고 자신의 의견을 관철시켰던 것을 보면,
      적어도 레닌은 공산주의가 민주주의를 뛰어넘는 제도라는 것을 확신했다고 생각해요.
      실패를 생각했다면 그렇게까지 무섭게 추진하지는 못했을 것 같거든요.
      하지만 민주주의, 사회주의 모두 완벽할 수 없다는 것은 당시에도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다 알고 있었습니다.
      특히 제1차 대전 후 대공황이 오고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미국이 쓴 뉴딜정책은 누가봐도 사회주의적 정책이죠.
      국가가 주도한다는 의미로 보면 히틀러의 전체주의도 결국 민주주의로는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온 것이죠.
      이후 대부분의 열강들은 오로지 자본주의만 또는 사회주의만 고집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결국 인류가 나아갈 길은 사회민주주의에 있다고 보는 학자들이 꽤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대 김누리 교수님 같은 분들이죠.
      항상 감사드립니다. 초록별청개구리님~^^

    • @MarieZorroIndiana
      @MarieZorroIndiana 4 года назад

      @@justice20000
      순수와 열정이 깊어 현실과 미래까지 보지못했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쳤기에 모든게 그렇게 되었던거겠죠. 인류가 성장하는 성장통이라 봐야 옳을 거 같네요.
      세상 모든건 잘 융합해야죠~
      바르게 나아가고, 깨닫고, 고쳐가다보면 이상향에 가까워지는거겠죠.
      그러기 위해 역사를 배우는거니까요~
      바른 교육을 통해서! ㅋ.ㅋ

  • @note20ultra5ggalaxy4
    @note20ultra5ggalaxy4 4 года назад +1

    좋아요 좋아요 좋아요 알림설정 필수!!!!

    • @justice20000
      @justice20000  4 года назад

      네. 항상 감사드립니다. 김명준님~^^

  • @jayk6803
    @jayk6803 4 года назад +2

    사회주의혁명의 결과는 패망뿐

    • @njctboy
      @njctboy Год назад

      뽕껀이 공산 주의를 자극한 건 아이고~? 북유럽의 복지는 모두 사회주의 아이가, 마, 마, 임마!

    • @Ekerpw37
      @Ekerpw3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njctboy북유럽의 사회주의는
      볼셰비키같이 과격한 혁명적 사회주의가
      아니라 자본가,귀족 같은 부르주아 계급과
      타협한 온건하고 얌전한 사회주의라서
      러시아의 혁명가들이랑은 큰 차이가 있어요

    • @njctboy
      @njctbo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Ekerpw37
      정답! 고 걸 비꼬아 Jay 에게 알림 😎
      사회 주의 알러지 있는 거 같음!

    • @Ekerpw37
      @Ekerpw3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njctboy 예?

  • @고양이용-e9b
    @고양이용-e9b 4 года назад

    0:29 원래 군복무가 29년?
    장교 말이죠?
    농민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