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시간? 그릿? 성공을 파헤쳐보니 노력의 무용함을 알게 되다! 당신이 생각하는 노력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36

  • @shmin83
    @shmin8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화면에 만화처럼 나오는 것들이 너무 예쁘고 좋네요 !!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편집 감독님이 애써주고 계십니다. 감사합니다^^

  • @짱경희
    @짱경희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어떻게 살 것인가, 성공이란 무엇인가, 언제가 행복한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를 생각하게 하네요.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어려운 문제이지요. 정답은 없겠지만 나에게 맞는 답을 찾으며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번 주 올라갈 영상에도 행복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감사합니다^^

  • @피터팬-r4f
    @피터팬-r4f 4 месяца назад

    사람마다 가지고 태어난 기질이 다 있다는 말과 *손흥민의 집중력과 *사격 김예지 선수의 포커스 하는 부분이 다르다는 말이 생각이 납니다.

  • @shmin83
    @shmin8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상반된 주장을 하느 책 소개 좋네요!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 @GoalBasedInvesting
    @GoalBasedInvestin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와 정말 진짜 좋은 유튜브 채널을 이제 발견했나 싶었는데 시작한지 얼마 안되셨네요!! 홍보 많이 하겠습니다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 @덩쿠리88
    @덩쿠리8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노력의 만능성을 믿지는 않지만, 노력을 가치를 무의미하다 말하며 패배주의적 사고에 사로잡히는 것 또한 경계합니다. 유연한 마음으로 살아겠네요..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말씀이십니다.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arrnoh
    @arrnoh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동우의 10분 독서 애청자였는데 반갑습니다! 이런 포맷 새롭고 재미나네요!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새로운 포맷으로 노력 중입니다.
      오늘도 출판사 관계자 만나서 이야기했는데, 쉽지 않은 포맷에 대한 도전이라고 하더군요. 아무튼 많이 홍보해주시고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붉은태양-q5x
    @붉은태양-q5x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노력도 공부도 재능은 맞는 거 같습니다. 나도 못한 거를 남에게는 엄격하게 들이대고 요구하지요. 반성도 하고 휘둘리지 말아야겠다고도 생각합니다.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네 좋은 말씀이십니다. 감사합니다.

  • @kyung-minsuh5160
    @kyung-minsuh516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예전 네이버 오디오북때부터 팬입니다. 많은 영감 빋았었어요.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공감해주시고 오래 동안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babyseo
    @babyse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똑똑하던 똑똑하지 않던 >> 똑똑하든 똑똑하지 않든

    • @shmin83
      @shmin8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씀하신 분은 정확히 말씀하셨는데, 서브타이틀 맞춤법이 틀렸네요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체 영상 자막 작업을 하다보니 편집프로그램 자막 오류를 일일이 체크하기가 조금 벅찬 부분이 있습니다. 더 신경쓰겠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 @박훈-t4v
    @박훈-t4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많은 생각을 해보게 되네요. ^^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real_local
    @real_loca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성적이 노력만으로 되는게 아니라니 위안이 됩니다 ㅎ 노력하기 전 진짜 나를 아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위안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ㅎㅎ

  • @rose-lee
    @rose-le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교수님,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공부에서 노력의 기여도가 4%라는 말씀 처음 듣습니다.
    우연히도 수능에서의 1등급 비율과 같아 섬찟합니다.
    제가 영어를 가르치는 학원 강사여서 그런점 양해해 주세요~^^
    EBS 정승익선생님의 '진짜공부/가짜공부'에 보면
    *입시성공=(재능X노력)+알파
    라고 하시면서 재능을 압도하는 노력으로 결과를 낼 수있다고 말씀 하십니다.
    일반고 고3의 80% 이상이 수업시간에 엎드려 자는데요,
    스스로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한 결과죠.
    그 아이들이 고정형 마인드셋에 갇혀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결국 성장형/고정형 어느 타입의 마인드셋을 받아들일것인가의 문제인데요,
    이때 각자 판단의 근거를 찾을텐데, 제가 잘 몰라서 그렇겠지만
    김영훈 교수님의 '노력의 배신'을 근거로 하면 고정형 마인드셋 선택으로 귀결될 것 같은 우려가 드네요.
    만에하나 그렇다면 이건 대다수의 중하위권 학생들에겐 독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이 영상을 보고 '역시, 난 안 되는 거야'라며 책상에 엎드릴 학생들이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 걱정되는 마음에 글 올립니다.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재능X노력'이 원래 안젤라 덕워스가 말하는 공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무튼 선생님께서 의견 주신 부분에 대해서도 일정 부분 동의합니다.
      '역시 난 안돼'라고 포기하는 경우도 분명히 생기겠죠. 그래서 참 어려운 문제다.. 생각합니다.
      이라는 책이 있고, 이라는 책이 있는데요, 이 책도 한번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우리가 인정할 수밖에 없는 문제도 많은 것 같습니다.

  • @sja8348
    @sja834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선택과포기를 아는것도 지혜인듯 한것 같네요.
    안되는거는 정말 안된다는 ㅋㅋ
    내일 아침에 뵙겠습니다.

  • @Sopoong-wq6td
    @Sopoong-wq6t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이런부분은 아직도 잘 모르겠습니다. "성공의 요인은 노력인가 재능인가? "이런 논의들을 수없이 봐왔는데요. 근본적 문제점은 이것을 주장하는사람도 반대하는사람도 제대로 증명할방법이 없고 빠져나갈구멍만 있죠. 이를테면 "걘 원래 노력하면 될 재능있는 친구였어" "하면 되는 친군데 그동안 안했던것뿐이야" "걔가 머리좋아서 붙은거같지? 사실은 하루14시간씩 공부했데"이렇게 결과론적으로 빠져나갈구멍이 있다는것죠. 이것을 어떻게 증명할수있을까요. 또한 노력과 재능의 개념조차 불분명한 전제에서 논의를 하고 있어요 이를테면 노력을 열심히 해서 무언가를 이룬 사람에게 그정도 노력할수있는것 자체가 재능이야 이런식이죠. 저는 개인적으로 노력이냐 재능이냐 이 문제를 떠나서 그사람이 처해있는 구조적 환경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어떤분야인지에 따라서 노력, 재능, 환경이 결정하는 비중이 다르다고 봅니다.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긴 댓글 감사합니다. 분간하기 어려운 문제인 건 맞습니다. 결론적으로 구조적 환경도 중요하지요. 그렇기 때문에 균형있게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한쪽으로 기울어서 노력만 하면 다 된다고 하는 것도 무리는 있어 보입니다.

  • @coolcool3878
    @coolcool387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비타민 C먹는게 좋은가 안 먹는게 좋은가 와 같은 논쟁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문서답이겠지만요.. 저는 비타민C 먹습니다. ^^

  • @Sam-Mgan
    @Sam-Mga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꿈 팔이, 희망 고문으로 돈 벌이 한 책 그릿 노력만으로 된다고? 뭐 빠지게 해도 해도 해도 안되면 안젤라 더큰지 뭔지 자기가 책임 질 것도 아니면서ㅋ 노력도 뭐가 바쳐줘야지 되는 거임(반박 시 여러분 생각이 맞음) 암튼 좋은 영상 감사 감사

    • @sericeobbc
      @sericeobb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노력에 대한 시각은 정말 다양한 것 같습니다.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