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의 미담이 왜곡되고 과장된경우가 많고 무엇보다 내가 기부한게 수혜자한테 정확히 수령했는지가 의심됨 나도 기부를 받아서 사회에 환원해야겠다는 생각이 있는데 다필요없고 그냥 수령자와 기부자가 다이렉트로 연결되거나 중간 매개체를 최소화하는게 방법임 그리고 문화는 오랜시간 쌓아가는거지 미국문화를 한국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음
고대 이스라엘에서 시작된 토착문화 유대교에서 기부를 하고 그걸 제사장이 모아서 가난한 사람을 구제해주는 방식으로 했었음 탈무드에 나오는 내용임 가난을 구제하는 구체적 내용이 나옴 예를들어 십일조 어원이 나오는데 땅의 10분의 1 부분은 밀을 남겨서 가난한 사람에게 구제해야 한다 이렇게 나옴
✅ 장분도 대표님의 패파컬리지가 궁금하다면? 👉🏻bit.ly/패파컬리지
바른말씀이네요 윗세대의 희생적인삶이 있었기에 오늘의 우리가 있습니다
돈 만큼 중요한 삶의 본질적인 이야기들
유대인이 그렇게 순수한 민족이 아닌데.. 너무 한쪽으로 보는 것이 위험해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일반 시민이 기부 많이 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50대입니다. 20대때 제또래가 기성세대가되면 바뀔거라 생각했어요… 근데 바뀌긴했어요. 표면적인 예의는… 과연 40대가 바뀔까요? DNA가 …
기부의 미담이 왜곡되고 과장된경우가 많고 무엇보다 내가 기부한게 수혜자한테 정확히 수령했는지가 의심됨 나도 기부를 받아서 사회에 환원해야겠다는 생각이 있는데
다필요없고 그냥 수령자와 기부자가 다이렉트로 연결되거나 중간 매개체를 최소화하는게 방법임
그리고 문화는 오랜시간 쌓아가는거지
미국문화를 한국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음
별로 나도 미국에서 오래 살았는데 젊은이들이 바라는 것이 바닷가에 집짖고 요트타는 성공을 다 꿈꾸 든데
그 유대인 분들 대신에 시간에 뼈를 갈아 넣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 유대인 분은 그것을 돈으로 산 것 이고요.😊😊😊😊
고대 이스라엘에서 시작된 토착문화
유대교에서 기부를 하고 그걸 제사장이 모아서 가난한 사람을 구제해주는 방식으로 했었음
탈무드에 나오는 내용임
가난을 구제하는 구체적 내용이 나옴
예를들어 십일조 어원이 나오는데 땅의 10분의 1 부분은 밀을 남겨서 가난한 사람에게 구제해야 한다 이렇게 나옴
투자 소득세를 그렇게 반대하더니 기부는 또 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