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게 잘 듣고, 도덕과 정치에 관해 생각해보았습니다. 오만한 착각에서 벗어나 존재하는 것들과 조율..타협..해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제 아들이 사춘기 입니다😱 잘 지내려면 시대의 흐름에 맞게 힘 있는, 높은 자리에 있는 제가 더 많이 이해하고 수용하려고 애써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동양철학에서는 개인과 밀접한 사상적 연구는 별로 없는 것인가요? 왕이니 통치 철학이니 같은 현대인, 일반인과 동떨어진 내용만 나오니 흥미가 많이 떨어집니다. 역사학, 철학 전공도 아니고 학점 따려고 듣는 것도 아닌데 뭔가 교과서적인 컨텐츠만 나오니 재미를 못 느끼겠네요... 5뚝철이 재미있었던 이유는 과거 철학을 현재 내가 어떻게 재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가이드를 제시했기 때문인데 최근 컨텐츠에서는 그게 전무한 것 같습니다.
수능국어 일타 강민철이 강추한 오분뚝딱철학ㅎㅎ
자연의 섭리에 의한 통치를 하고자 했던 현명하고 지혜로운 역사의 일부였네요
공부잘하고 새기겠습니다
새 영상이 늦으니 재 정주행 들어가겠습니다.
교수님 재미져요 ㅋ
좋아요 꾹요ㅋ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잘 듣고, 도덕과 정치에 관해 생각해보았습니다. 오만한 착각에서 벗어나 존재하는 것들과 조율..타협..해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제 아들이 사춘기 입니다😱 잘 지내려면 시대의 흐름에 맞게 힘 있는, 높은 자리에 있는 제가 더 많이 이해하고 수용하려고 애써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너무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헐 미쳤다 사랑해요❤️❤️❤️❤️❤️ 한무제때의 유교라니 ㅠㅠㅠㅠㅠ
수능국어 배경지식에 도움된다고 해서 바로 구독 하고 듣습니다 ㅎㅎ
영상 올려주세용... 바쁘신가요 ㅜ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고(성공) 나쁨(실패)은 없다. 사과의 윗면과 아랫면일 뿐이다.
어디서 본 글인데.. 출처와 의미를 알고 싶은데..어디서 봤는지 기억이 안나네요. 혹시 아시면 영상으로 한 번 다뤄주실 수 있을까요?
추천합니다
나쁜거+피해주는걸 제외한 부드러움,거친것,이해를 포함한 무언가를 고수위 넘사벽 고수로 자체,영원히,오래,존재를 어떻게 올바르게,모든방법,모든종류로 만드나요?
저 일할때, 차에서, 운동할 때 항상 듣다가 책도사서 읽는중이에요.
Kmc가 추천한 채널 ㄷㄷ
물리학과 철학이 다중된 의미를 담고있는데 두가지 학과의 정확한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양성자와 중성자의 기준은 철학적인가요 의미적인가요 수학적 인가요
선생님 수능국어 일타 강민철이 채널 이름이 경박스럽다고 디스 하던데요
내용은 너무 좋은데 ... 읽는 분 발음이 중학생 같아 힘드네요.
동양철학에서는 개인과 밀접한 사상적 연구는 별로 없는 것인가요? 왕이니 통치 철학이니 같은 현대인, 일반인과 동떨어진 내용만 나오니 흥미가 많이 떨어집니다. 역사학, 철학 전공도 아니고 학점 따려고 듣는 것도 아닌데 뭔가 교과서적인 컨텐츠만 나오니 재미를 못 느끼겠네요...
5뚝철이 재미있었던 이유는 과거 철학을 현재 내가 어떻게 재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가이드를 제시했기 때문인데 최근 컨텐츠에서는 그게 전무한 것 같습니다.
동양철학이 아니고 중국철학 아닌가요?
중국철학이라기엔 중국이 저 철학이 만들어지고 통치이념이던 시대엔 존재하지 않던 나라죠. 또한 춘추전국, 진, 한 등의 나라뿐 아니라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에서 모두 사용하고 발전했으니 동양사상이라 해야겠지요.
@@dlagytjs 화이관이 성립된게 춘추전국히대때-진 한 거치면서 부터인데 그럼 적어도 동중서가 펼치는 사상부터는 중화라고 봐도 되는게 아닐까요?
중국철학이 동양철학에 속해있는거니까
동양철학이 맞죠
그리고 불교와 같은 인도철학도 다루셨으니
동양철학을 다루고 있는게 맞죠
대체적으로 중국철학이 주로 다뤄지고있지만 중국철학이 동양철학에 속하잖아요
민철게이추
선생님 월말 김어준 에 출연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