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be a smooth host, I repeatedly used the section of [3.1415926535897 / 93238462643383] and used these two as the main melody. I hope you enjoy it. Thank you.
0:56 와 여기부터 뭔가 수학이라는 학문에 국한된게 아니라 천문학 같은 우주적인 뭔가를 나타낸거같음 예를들면 빅뱅으로 인해 우주 행성 그리고 생물이 탄생하고 최초의 인류가 탄생해 온갖 역경을 거치며 고대 문명을 이루고 그 인류가 또 긴 세월동안 발전을 거듭한 결과 마침내 현대에 이르러 수학이라는 방대하고 이성적인 학문을 감성적인 음악에 녹여낼 수 있을만큼 고도의 지능을 갖게 됐다는걸 설명하는 느낌
영화 상영이 새벽에 끝나서ㅋㅋ 지금 쫄딱 밤새면서 여운이 가시지 않아 유튭에서 노래 찾아서 듣고 있어요~~ 진짜ㅋㅋ 영화 음악 그대로 나오는 것 같은데요? 너무 좋네요. 진짜 아직도 소름입니다.. 숫자로 음악을 그리고 파이로 연주를..??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보면서. 한번도 그런생각 해 본적 없는데, 음악과 수학은 참 연관성이 많은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봤어요. 완벽히 커버 연주 하신 분도 대단하시고, 이 음악 자체를 만든 분도 정말 너무 대단하신 것 같아요. 진짜 아직도 소름이네. 수학 기호? 기호가 아닌가요. 여튼 수학 용어 하나가 이렇게 음악이 될 수 있다는게. 진짜 소름. 소름 밖에 안돋아요..... 영화에서도 갑자기 최민식이 숫자 엄청 쓰여 있는 종이 들고 와서 피아노 앞에 앉길래 뭐지 이랬는데.... 이런 음악이 나올 줄이야..... 진짜 그 발상에 놀라고 노래가 너무 좋아서 놀라고 여튼 다 충격.
며칠전 이상한나라의 수학자의 예고편을 보고 파이송을 커버한 사람이 있을까 하다가 Libre Music님의 유튜브 채널을 들어오게 됬습니다. 유튜브 댓글 태어나서 처음 달아보는데 정말 이 채널은 안달 수가 없어서 그냥 평범한 사람이지만 이렇게 댓글을 적어봅니다. 많은 음악 유튜브 채널을 보았지만 이렇게 제 마음에 드는 채널은 보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오케스트라 버전들도 정말 너무 좋고 자신만의 음악색을 나타내시는 모습이 너무나 좋습니다. Libre Music 님 때문에 유튜브 프리미엄도 결제하게 됬습니다... 앞으로 지금처럼 더 좋은 음악 만들어 주시고 하시던 여행들도 모두 잘 하시길 바랍니다. 정말 찐애청자가 되겠습니다. 혹시 나중에 음악회라도 하시면 유튜브에 공지라도 좀 해주세요~
@@aindea8932 본댓글- 원주율 몇백자리는 외웠을것이다. 답글- 원주율을 그대로 친게 아니라 특정 마디의 반복을 한것이다. 제 댓글- 만약 원주율을 그대로 친게 이소리라면 특정 음이 반복되는 것이므로 원주율에 규칙이 발견됐다는 뜻인데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니 답글이 옳다
음악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철학적으로 사색하는 음악학적 사고는 기원전 6세기의 피타고라스(Pythagoras, 기원전 582경~497경)로부터 시작하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크세누스(Aristoxenus, 기원전 354경~300), 그리고 유클리드(Euclid, 기원전 300경)를 거치면서 여러 가지 형태로 전개되어왔다. 이들의 음악관은 서양 음악학의 원류로서, 고대 그리스 인들의 생활에서 음악의 위치, 사회적·교육적인 면에서 음악의 역할, 그리고 다른 예술이나 과학과의 연관성 등 다양한 측면들을 면면이 반영하고 있다. 이중에서 기원전 570년경에 사모스(Samos)에서 태어난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피타고라스는 음악에 있어 과학적인 기초를 세운 인물로 ‘음악학의 시조’라 일컬어진다. 글쓴이는 뭐 이런거 생각한건가?
초교때부터 수포자1인 이었습니다 아예 공부와 담 쌓았고 3남매를 출산 육아맘이 본 수학 참 딱딱하고 정 없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는데 이제보니수학이라는 위대한 과학이라는거 그리고 참 따뜻한 학문이라는 거 아이들에게 수학이라는과목이 지금제가 느끼는 이 감정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코로나때문에 정말 명영화 뜨지 못해 안타깝네요 정말 이영화 뭐라 말할 수 없을 정도 이상의 감동입니다|~^^~|
피아노 악보 : m.mapianist.com/sheet/70883?_escaped_fragment_=&type=all
오
육
우와
소
어 선생님 파일이 너무 커서 다운로드가 되지 않아요
절대 끝나지 않을것 같은 노래 세계 1위.
이론상 절대 안끝나는 악보
몇십년이 지나도 계속 써지는 악보ㅋㅋ
후반부가 없다는게 함정 ㄷㄷ
@@이재경-l3e 파이는 순환소수가 아니라서 그럴 수가 없다는게 함정
@@이재경-l3e ....? 한 숫자가 연속해서 나올 수가 없을걸요
파이라서 아름다운 게 아니라
파이라는 순환마디도 없는 무자비한 무리수를 아름답게 엮어내서 저렇게 만들었다는 게 대단한 게 아닐까요
이건 혁명이야
거짓말 하지마 이과야
솔직히 자연상수 차별 아닌가요..큼
@@김율원-z4w 그러고 보니 e로는 못만드나
엮
@@CRITERA_EDEN 그러면 e쏭이지 ㅋㅋㅋ
이 노래가 다른 원주율 음악보다 더 감명깊은 이유가 분위기 때문인 것 같음.
단순히 원주율로 연주하는걸로 그치지 않고 분위기 자체가 수학이라는 학문의 위대함을 정말 잘 나타낸 것 같아서 좋았음
위대하지만 뭣같아서 배우기 싫...큼
@@김야마 지금 배우고있는게 수학이 아니라 문제풀이니까 그렇죠
@@새싹이-f5l 수능 수학이랑 대학에서 배우는 학문으로서의 수학은 깊이와 목적이 많이 다릅니다.
@@이름-q2d3j ㄹㅇ
듣고 보니 그렇네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수학과로서 스토리 구성은 아쉬운점이 많았으나 (리만가설 증명에 대한 루머를 언급했으나 그 후에 어떠한 발전 없이 내용이 끝남), 이런 교육적인 영화가 한국에서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해준 영화입니다.
마지막씬감동
리만가설 쪽으로 깊이 들어가다보면 스토리가 튈지도 몰라서 그런거 같더라구요.
리만가설로 가면ㅋㅋㅋㅋㅋㅋㅋ안그래도 수학 영화라 어려울거 같다 안보는데ㅋㅋ
리만가설로 가면 너무 어려워짐 ㅋㅋ
리만 가설 나오면 수학을 장려하는 영화가 아니라 수학 탈출을 장려하는 영화...
와.. 파이란걸 알고 들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뭔가 우주에서 바라보는 역동적인 지구의 모습이 떠오르네요.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와,,최근에 들어본 말 중에 제일 제 가슴을 뛰게하는말이네요 ㅠㅠ
네 저도 북극의 오로라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보다는 우주에서 바라 본 지구의 역동성이 더 어울리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좋아요가 314여서 못 누르겠어요
쓔유우ㅜ우우웅우 (역동적)
노래 좋다~
무리수인 원주율 π의 숫자를 저렇게 음표로 표현할줄은. 참신하네요
그리고 그걸 피아노로 웅장하게 연주하는 분도
하모니카같은 경우에 저런식으로 숫자로 악보만드는경우가 있긴한데 원주율을 이용해서 피아노로 저렇게 칠 생각은 못해봤네요...ㄷ
저런 연주는 나한테 무리무리
@@gimme_gimme_now '무리무리수'
@@joonjoonie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매품으로 자연상수 e노래는 안나오남
영화자체는 그냥 그랬는데
이 장면에서 울었습니다ㅜㅜ
수학과 음악 그 근본에 흐르는 아름다움을
이렇게 간결하게 명쾌하게 표현을 하다니
너무 감동적임
무슨 이유인진 모르겠지만
계속 들을 수록 눈물의 양은 많아짐
??
이 장면이 영화 그 자체인데 좋게 기억하셨으면 ㅎㅎ
학교에서 쌤이 파이데이라고 풀어줬는데 이유모르게 조금 눈물남 ㄷㄷ
@@smdm-i3x음... 이유를 알 것 같기도 한데😅
음익이라는 게 참 .. 진정성이 들어가면 더 뭉클하게 다가오는 것 같아요 .. 세상이 멸망해도 악보 하나만 있어도 모든 음을 복원할 수 있을 정도로 음악의 힘은 대단하다고 느낌 ..
음익은 엘리자베스입니다. 왜냐하면 음악이 없으면 음익을 먹으면 되거든요.
생각해보면 원주율 악보는 진짜 세상이 멸망해도 똑같이 연주할 수 있을 테니까
영화를 봐도 카메라 워크나 연출 및 대사가 너무 잘 만들어져서 딱히 자극적인 장면이 없었음에도
정말 몰입감있게 볼수있었음
파이송은 두말할 필요 없잖아ㅠㅠ 전율ㅠ
2:06 여기서 딴딴딴~ 하면서 올라가는거 진짜 개지림
음악 자체에 먼저 놀랐고,
이게 그저 커버송이 아니라 직접 편곡까지 하셨다는데 더 놀랐습니다.
이쯤되면 아마추어 아니네요.
어정쩡한 프로들 다 씹어드셨네요.
이런 재능은 축복입니다.
모르셨음? 이분 숨겨진 능력자임
곡의 완성도도 좋지만 이런 구성을 떠올려 낸 발상이 진짜 멋지네요!
이건 더이상 무리수가 아닙니다
음악수
그럼 뭔가요
@@전형빈-v1k 언어유희 드립이잖아;
@@전형빈-v1k 섹수요
유리계수
진짜 엄청난 천재다 저 원주율로 곡만든사람도.....이분도...
0:56 와 여기부터 뭔가 수학이라는 학문에 국한된게 아니라 천문학 같은 우주적인 뭔가를 나타낸거같음 예를들면 빅뱅으로 인해 우주 행성 그리고 생물이 탄생하고 최초의 인류가 탄생해 온갖 역경을 거치며 고대 문명을 이루고 그 인류가 또 긴 세월동안 발전을 거듭한 결과 마침내 현대에 이르러 수학이라는 방대하고 이성적인 학문을 감성적인 음악에 녹여낼 수 있을만큼 고도의 지능을 갖게 됐다는걸 설명하는 느낌
표현 좋네요😊
얼핏 노래로 만들기에 불가능해보이는 무한소수인 파이를 이렇게 편곡해 아름다운 곡으로 만들다니 대단하네요...
파이는 비순환이긴 하지만 일정 부분을 순환시켜 곡을 더 아름답게 꾸며낸 것 같아요
완곡을 할 수 없어서 타이밍 잘 잡아야하는 곡 ㅋㅋㅋ
맞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끝이 ㅇ...안보여 ㅋㅋㅋ
ㅋㅋㅋㅋㅋㅋ
사실 저 곡이 3.141592653589793238•••이렇게 무한히 가는게 아니라 3.1415926535897의 멜로디를 반복하는겁니다
그래서 님들도 듣다보면 특정포인트가 반복되는걸 느끼실꺼임
영화 상영이 새벽에 끝나서ㅋㅋ 지금 쫄딱 밤새면서 여운이 가시지 않아 유튭에서 노래 찾아서 듣고 있어요~~ 진짜ㅋㅋ 영화 음악 그대로 나오는 것 같은데요? 너무 좋네요. 진짜 아직도 소름입니다.. 숫자로 음악을 그리고 파이로 연주를..??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보면서. 한번도 그런생각 해 본적 없는데, 음악과 수학은 참 연관성이 많은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봤어요. 완벽히 커버 연주 하신 분도 대단하시고, 이 음악 자체를 만든 분도 정말 너무 대단하신 것 같아요. 진짜 아직도 소름이네. 수학 기호? 기호가 아닌가요. 여튼 수학 용어 하나가 이렇게 음악이 될 수 있다는게. 진짜 소름. 소름 밖에 안돋아요..... 영화에서도 갑자기 최민식이 숫자 엄청 쓰여 있는 종이 들고 와서 피아노 앞에 앉길래 뭐지 이랬는데.... 이런 음악이 나올 줄이야..... 진짜 그 발상에 놀라고 노래가 너무 좋아서 놀라고 여튼 다 충격.
결말부분 빼면 진짜 볼만했던 영화..... 중후반까지는 내가 왜 수학을 좋아했는지 다시 깨닫게 되면서 너무너무 재밌게 봤는데 ㅋㅋㅋ
너무 감동스러움 ㄹㅇ
원주율로 곡을쓰신분 발상이 비발디급이네
이상한 나라에 수학자라는 영화에서 나오는 ost 같은 겁니다
@@l_ichoog 아니 그니깐 그 ost를 작곡한 분의 발상이 대단하다는 말 아닙니까…
노밸 음악상
ㄹㅇ 생각도 못한 주제 + 멜로디 크으..
저 어제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봤는데 와...
진짜 강력 추천함 파이송도 그렇고
진짜 영화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을 꼽으라고 한다면 이 파이연주를 고를거...그저 수학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했던것이 이렇게 눈앞에서 그려지는걸 보고 처음으로 수학이 멋있다고 생각했음
진짜 이장면 보고 ㄹㅇ 감탄함
이상한나라 수학자 영화에서 보았을때 사실 정말 저런 소리가 날까 ..? 아니면 반주가 좋아서 그런건가 싶었는데 이렇게 파이 원주율 만으로 아름다운 선율이 난다는 것이 참 가슴이 벅차오르네요 수학의 위대함, 음악의 위대함 모두가 담겨있네요..!
며칠전 이상한나라의 수학자의 예고편을 보고 파이송을 커버한 사람이 있을까 하다가 Libre Music님의 유튜브 채널을 들어오게 됬습니다.
유튜브 댓글 태어나서 처음 달아보는데 정말 이 채널은 안달 수가 없어서 그냥 평범한 사람이지만 이렇게 댓글을 적어봅니다.
많은 음악 유튜브 채널을 보았지만 이렇게 제 마음에 드는 채널은 보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오케스트라 버전들도 정말 너무 좋고 자신만의 음악색을 나타내시는 모습이 너무나 좋습니다. Libre Music 님 때문에 유튜브 프리미엄도 결제하게 됬습니다...
앞으로 지금처럼 더 좋은 음악 만들어 주시고 하시던 여행들도 모두 잘 하시길 바랍니다. 정말 찐애청자가 되겠습니다. 혹시 나중에 음악회라도 하시면 유튜브에 공지라도 좀 해주세요~
아직 부족할 수 있는 제 음악이 이렇게 좋은 극찬을 받게되어 제가 더 영광이고 감사드립니다 ㅜㅜ 더 좋은 음악으로 보답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수학이 이렇게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수 있다는게 놀랍네요!
봇이에요?
@@love_hhw 저 사람이예요ㅎㅎ
@@예원-x3h ㅋㅋㅋㅋㅋ
사람이에요 ㅋㅋㅋㅋㅋㅋㅋ
@@예원-x3h AI가 이제 사람인척하네 ㄷㄷ
뭔가 스토리 RPG 처음 게임 들어갈 때 깔리는 bgm이나 엔딩 크레딧 bgm 같은 느낌 적당히 웅장하고 포인트 딱 딱 있는 배경음악된 거 같음
역시 음악에 수학적 원리가 있다 들었는데 그거 때문에 ㅠ(파이)도ㅋㅋㅋㅋㅋ
저도 그생각 했는데 ㅋㅋㅋ
사람생각이 비슷비슷하나봐요
막 협곡에서 노을 지고 드래곤 날라다니고 그런거
영화보고 왔습니다 다시봐도 진짜 노래가 좋네요 다들 한번씩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꼭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원주율 몇백자리까지는 몸으로 다 외우셨겠네요 ㄷㄷ 대단하십니다.
모든 멜로디를 원주율 그대로 친게 아니에요. 원주율의 일정 부분을 반복하는 마디가 있어요
@@말파스 하긴 음이 똑같은부분이 몇개인데 이런 규칙성이 밝혀지지 않았을리가
@@chocoland_ ? 제글 이해 못하신듯
@@aindea8932 본댓글- 원주율 몇백자리는 외웠을것이다.
답글- 원주율을 그대로 친게 아니라 특정 마디의 반복을 한것이다.
제 댓글- 만약 원주율을 그대로 친게 이소리라면 특정 음이 반복되는 것이므로 원주율에 규칙이 발견됐다는 뜻인데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니 답글이 옳다
@@aindea8932 어떻게 읽어야 제가 이해를 못했다가 되는건지;;
실제 원주율을 갖다가 곡을 만들면 소수점 아래 자릿수가 조 단위를 넘어가니 5분 안으로도 못 끝나겠군요 ㄷㄷ
감미로운 곡 잘 들었습니다.
조 가 아니라 평생감......
죄송하지만 이론상 무한인데요, 안 끝납니다.
그리고 반복도 안 되어서 곡이 만들어지긴 할지...
계산 가능한거만 얘기한듯
@@kimmiyukguk 근데 파이라는 수는 정말 끝이 없을까요.. 현재까지 계속 슈퍼컴퓨터로 계산 중이지만 먼가 미래에는 딱 끝날것같아염
@@kimtahee0815 이미 끝이 없다는 수학적 증명이 여러개입니다.
1:56 여기서 키 높아지는부분 진심으로 가슴벅차고 두근거리는게 느껴졌어요... 이벤트 참여하랬더니 그냥 영화음악을 새로 쓰셨네 ㅋㅋㅋㅋ
원주율로 만든 곡들 중에서 이 ost가 제일 멋지고 아름다운 것 같아요!!
진짜 어떻게 원주율로 이런 곡이 나왔는지... 놀랍네요
이런 음악 들어보면 우주가 진짜 저절로 된 건 아닌거 같다는 확신이 든다...
맞아요
수학은 우주의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생각함 개인적으로
ㅇㅈ
난 타임머신이 나오면 역사따위 전부 건너뛰고 생명의 시초와 시공간의 시초부터 봐야지
그니깐요 누가 만든게 맞다니깐여 ㅋㅋ
어릴 때 저거 한번 외워보겠다고 피아노로 번호매겨서 외운 거 기억나네…멜로디가 생기니깐 느낌이 또 다르네요
추억을 돌려주셨네요 감사합니다
곡이 너무 예쁘네요
파이를 음악으로 쓸 생각을 하다니...
수학이 아름답다는 걸 단적으로 보여줘서
감동이 제 맘에 직접적으로 파도처럼 일렁이며 다가오는 느낌이에요
가슴이 웅장해 지는 연주 감사합니다
행운이 언제나 당신과 함께 하길
와.. 진짜 그냥 노래 자체가 편안해서 듣기 너무 좋다..
와 진짜 ㄹㅈㄷ네요
학교서 수학시간에 틀어줬는데
진짜 너무 발상이 좋고 신선해서
댓글 답니다!!
음악은 못하는게 없네...
어떻게 원주율로 저렇게 아름다운 곡을 만들지....
노래너무 좋다ㅜㅜ
감동적인것도있고 중독성도있어서
계속 듣게돼요ㅎㅎ
역시 수학은 아름다워.....
누군가 알아볼때까지 기다린 파이의 음악ㆍ 아름답네요
❤❤❤❤❤❤❤❤❤
피아노 솔로 악보 구매 링크 : www.mapianist.com/sheet/70883
[오케스트라 파트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
담엔 루트 송으로 해주세요
@@pigs-fly 루트는 순환소수 아닌가
@@취미-x1m ㄴㄴ 무리수임 순환소수는 유리수임
@@취미-x1m 비순환소수임
@@KHME32 그건 알고 있음
수학은 다시 한 번 생각해봐도 정말 신비한 학문이다... 원주율... 즉 파이라는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로 이런 아름다운 명곡을 만들다니.. 계속 들어도 감동적인 감정이 떠나가질 않는다..
파이썬 어디까지 나가셨나요ㄷㄷ
@@조률-o8n 사실... 아직까지는 초보에 불과합니다 ㅎㅎ
@@조률-o8n 크크 파이썬 퀀트도 알아두면 좋긴 하제
음악이원래 수학입니다
@@hyeon6105 인정합니다
이과와 예체능의 만남…ㄷㄷ
정말 그많은 수중에 '파이'라는 수를 찾아서 믐막으로 만든 제작진 분들도 대단하다ㄷㄷ
이 곡 작곡편곡하신 분이 이 영화 제작자인가요?
@@Byulhaha 파이를 모르는 게 아니라 상징성 있는 숫자가 파이 말고도 많이 있는데 파이를 골라서 이렇게 좋은 곡을 뽑았다는 게 대단하다는 거지.. 왜 굳이 국평오의 산증인이 되려고 하는거니
@@sambudryu 국평오 산증인 ㅇㅈㄹㅋㅋㅋㅋㅋ
@@sambudryu 가장 상징성 있는 수가 파이와 자연상수 정도라 그럼
믐막ㅋㅋ 이거 왜이리 재미있지 ㅋㅋ
와...정말 가슴이 웅장해집니다...리믹스 해보고 싶네요
음악인으로써 보자마자 그생각함ㅋㅋ
와 이분이 만드다면 ㄷㄷ
1:06 이부분이 너무 좋다…
영화를 볼 때
정말!
맞아!
음이 너무 예쁘고 좋았어요~~
다시 한 번 더 들어보니 좋습니다.
행복하네요~~
아니..진짜 원주율로 노래를 만드는데 이렇게 좋을 줄은 상상도 못했다.. 그리고 원주율을 이용해서 노래를 만든다는 아이디어도 진짜..대박
국어 독서에서 저는 알았어요
수학이라는 학문을 음악으로 풀어서 그저 원주율 하나를 가지고 반주랑 박자로 이렇게 멋진 곡을 만들어냈다는게 신기하다
영상 길이가 3분14초이면 더 완벽할지도..😇
너무 환상적인 연주네요. 감사합니다♡
ㄹㅇ
계산하기 쉽게 3으로 맞춘 거라고 ㄹㅇㅋㅋ
@@태현-b3w 이거지 ㅋㅋ
(단, 원주율은 3으로 정한다.)
@@nsns0404 아 너무좋아
제 3학년 수학담당 선생님께서 최애곡이라고
수업시간에 들려주셨던 곡ㅋㅋㅋㅋ
늘상 수학은 따라가기 바쁘고 늘상 앉아서
생각하지 않고 공장처럼 풀기만 바빴는데
지금은 이영상을보니 예고편에나온
것처럼 수학은 위대하다는걸 증명할수있네요
물론 다른 과목도 위대하죠
@@안경쓴포비 사탐제외
@@Lee-dh2zx ㅋㅋㅋㅋㅋㅋㅋ 아 ㅇㅈ
아직도 하루에 한번씩은 들으러 오네요...뭔가 아직도 발견해야 할게 많은 수학의 환상적인 세계를 보여주는 느낌이라 너무 좋아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정말 마음이 따스해지면서 인상깊은 영화 였어요❤
이걸로 파이 외우면 될거 같은데 대박 좋아...진짜 음악으로 운거 오랜만인거 같여..
울지마세여 토닥토닥
3.14~1592~65358~97-358~ 박자 이런식으로 ㅋㅋ
@내 채널 파이를 외우면 될거같다고만 했지 외운다고는 안했답니다..ㅎㅎ
원주율로 이런 아름다운 음악이 나온다는게 너무 신기하네요
π로 작곡을 했다면 자연상수 e는 어떨까 2.7182818284⋯
π와 e는 가장 아름다운 공식, 오일러 공식에 들어가는 상수다
그런 것이 아니더라도, π와 e는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근원적인 수다
하얀것은 배경이요 검은것을 글씨니라
뭐라는거야 응애
다크모드는 검정은 배경이고 흰색은 글씨니라...
페르마 형?
2.71828182845904523536028747135266249775724709369995957496696762772407663035354759457138217852516642742746639193200305992181741359662904357290033429526059563073813232862794349076323382988075319525101901157383418793070215408914993488416750924476146066808226480016847741185374234544243710753907774499206955170276183860626133138458300075204493382656029760673711320070932870912744374704723069697720931014169283681902551510865746377211125238978442505695369677078544996996794686445490598793163688923009879312773617821542499922957635148220826989519366803318252886939849646510582093923982948879332036250944311730123819706841614039701983767932068328237646480429531180232878250981945581530175671736133206981125099618188159304169035159888851934580727386673858942287922849989208680582574927961048419844436346324496848756023362482704197862320900216099023530436994184914631409343173814364054625315209618369088870701676839642437814059271456354906130310720851038375051011574770417189861068739696552126715468895703503540212340784981933432106817012100562788023519303322474501585390473041995777709350366041699732972508868769664035557071622684471625607988265178713419512466520103059212366771943252786753985589448969709640975459185695638023637016211204774272283648961342251644507818244235294863637214174023889344124796357437026375529444833799801612549227850925778256209262264832627793338656648162772516401910590049164499828
중학교 수학선생님께서 얼마전에 이 노래를 틀어주시고, 이에 감명받아 직접 찾아왔습니다.
이 곡 만드신 분 정말 감사드립니다.
와.. 파이로 피아노를.. 근데 그와중에 잘치시네요..
꼭 밝고 웅장한게 갤럭시에 하나쯤은 있을것 같은 반주네요
1:00 여기서 상행으로 나오는 트럼본? 이부분이 넘 좋음
영상 길이도 3:14였으면 완벽한데
ㅋㅋㅋㅋ 아 ㅇㅋ
들을때마다 눈물 나는 노래...
영화관에서도 웅장한데 이게 더 웅장하네요
진심 꼭 인생영화? 까지는 모르겠지만 정말로 재미있습니다.
음악이 진짜 신기한게 파이라는 숫자만으로 음의길이와 화음을 만들어서 아름다운 곡을 만들수있다는거임
수학의 이론과 음악의 이론이 겹쳐요
그래서 음악하는 사람들이 수학적 재능이 있어요
@@kmh5632 저 피아노 칠줄 아는데 수학 겁나 어렵던데요??
@@kkkkkku00 음계가 수학적원리가 많이 들어가 있어서 옛날 음악가들이 수학을 잘한걸수도
@@kkkkkku00 칠줄 안다는게 어느정도 수준을 말하는건지는 모르겠는데 수준급이라고 가정하겠음. 그러면 님은 수학적 사고를 충분히 하고있다 생각함. 단지 그 수학적 사고로 분석하는 대상이 수학적인 오브젝트가 아니다뿐이지.
@@음식별 그냥 단순히 치는거면 모르지만 음악을 만들거나 하는 건 확실히 수학적 사고를 하고있다 생각해요
뭔가 듣기만 하면 그냥저냥 힐링영화에 나올 법한 노래이지만 원주율로 멜로디를 만들었다니..너무 멋집니다
수학과 음악이 만들어낸 아름다움이네요
이거 뭔데... 뭔가 엄청나게 대단한 깨달음을 얻은듯한 기분이고 내가 마치 한 어드벤처 영화의 주인공이 된듯한 그런..진짜 제대로 넋 놓고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솔직히 새벽에 어둡게 침대 위에서 들어서 이런기분 든거일수도ㅋㅋ; 그래도 음악은 진짜 개미쳤음
전체화면으로봐야함 제발
안녕하세요 유준서씨
아닙니다
이곡을 들으니깐 파이가 엄청
친근하게 느껴지네요^^
잘보고 갑니다
너무 웅장하고 감동적이여서 눈물이 나오네요 𝝅𝝅
와 레전드... 진짜 천재다.. 천재가 나타났다
소리 조금만 줄이고 들으면서 수학문제 풀으면 수학이 뭔가 설레이고 뭔가 "이거 끝에는 뭐가 더 있을까..?" 이런 느낌 받아서 뭔가 오묘함
정말 좋네요. 이상한나라의 수학자 홍보영상보다가 찾아왔어요.
1.25배로 들으면 먼가 더 웅장하고 좀 더 빨라짐(한국인이 좋아하는 속도)
음악이라는 학문이 원래 실존세상의 수를 표현하기 위해 탄생한 소리적 부호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이 노래는 과거의 음악의 정의를 가장 부합하게 이루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혹시 '음악이라는 학문이 실존세상의 수를 표현하기 위해 탄생한 소리적 부호'라는 말을 어디서 들으셨는지 출처를 알려주실 수 있나요? 시비거는게아니라 진짜 처음들어보는말인데 궁금해서 물어보는거에요
@@calicosamseak 음악 전공인데 나도 들어본적이 없음
@@calicosamseak ㄹㅇ
수학 잘 하면 음악 잘 한다는건 맞지만 저런 소린 아무도 안 함
음악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철학적으로 사색하는 음악학적 사고는 기원전 6세기의 피타고라스(Pythagoras, 기원전 582경~497경)로부터 시작하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크세누스(Aristoxenus, 기원전 354경~300), 그리고 유클리드(Euclid, 기원전 300경)를 거치면서 여러 가지 형태로 전개되어왔다.
이들의 음악관은 서양 음악학의 원류로서, 고대 그리스 인들의 생활에서 음악의 위치, 사회적·교육적인 면에서 음악의 역할, 그리고 다른 예술이나 과학과의 연관성 등 다양한 측면들을 면면이 반영하고 있다. 이중에서 기원전 570년경에 사모스(Samos)에서 태어난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피타고라스는 음악에 있어 과학적인 기초를 세운 인물로 ‘음악학의 시조’라 일컬어진다. 글쓴이는 뭐 이런거 생각한건가?
왜 이걸 지금 보는 걸까... 파이를 너무 잘 표현하신거 같아요 엄청 자주 쓰이지만 절대 알 수 없는 수..
진짜 감격스러워요 대박!
감사합니당 😄😄
@@jihunpiano 헐 처음 답글 받아봐요 감사합니다
왜 눈물이 날까요?
경이로움.
진리에 이르는 길을 제시해주는 느낌.
우주, 존재의 근원 원리에 대한 살짝 드러냄? ...
이걸 연주해주시다니....감사합니닷!
전수학이 어려워서 싫어했는데 수학으로 음악을 만든게 너무 놀랍고 아름답고 멋지네요! 한마디로 '수학'이라는 것은 어려운게 아니라 답을찾고 나면 쉽게 풀수있는것? 같네요! 와..진짜 중간에 숫자가 나온게 소름돋았어요!
수학기호인 파이를 이렇게 노래로 만들고 그에 어울리는 음들을 덧붙이니 정말 웅장하고도 아름다운 노래가 탄생하는군요...
정말 존경하지 않을 수 없네요.
와우 이게 노래가 되네 좋다
영화 보러 갑니다 ㅋㅋㅋㅋ ost 듣고 꽂혀서 봐야겠음
수학과 음악의 만남 너무 아름답네요
와........피아노가 이런건지 처음 알았네요 그냥 한번 누르고 마는건지 알았는데....대단한거였네요...이리보니 이해가 쉽네요
피아노 선율과 너무 잘 어울리는 아름다운 곡입니다. 숫자도 아름답고~ 다음 곡은 자연상수 e 로도 이쁠거 같아요.💓💓
아니면 e+pi는 어떤가요?
진짜 영화 개감동이었음 ㅠ
그중에 이 노래도 파이를 주제로 노래를 만든데다가 노래도 좋아서 이 영화 꼭 봐야하는 영화임
마음이 진짜 편해지는 노래입니다 ㅜㅜ
아ㅜㅜㅜㅜ 짜증나ㅜㅜㅠㅠㅠ 어릴적에 화나게 한 파이가 이렇게 감미로운 음악으로 바뀌니까 화나네ㅋㅋ큐ㅠㅠㅠㅠㅠㅠ
수학영화라고해서 수학에 대해서만 너무 무겁게 다루지 않고 과정을 영화처럼 풀어낸점이 오히려 좋았던 영화입니다.
음악을 들으니 그 때 그 장면이 다시금 떠오르네요!
정말 대단하네요 파이송 궁금해서 들어보았는데 구독하고 가용~^^❤😊
웅장해서 눈물이난다... 수학은 우주고 우주는 수학이다
계속 듣고 있음 넘 좋음 오케스트라까지 더하니 더 웅장해졌네요 조금씩 연습해 봐야겠네요
웅장이 가슴해 진다...
"새로운 시작", "힘찬 도약" 이런 문구가 붙을거 같은 노래..
노래 잘보고 있어요 푹 빠져서 업로드된 영상들 다봤는데 해외에 나가보셔도 좋을듯요 이노래가 가장 인상깊네요❤❤❤😮😮😊😊
마음이 따뜻 해지는 연주
초교때부터 수포자1인 이었습니다
아예 공부와 담 쌓았고 3남매를 출산 육아맘이 본 수학 참 딱딱하고 정 없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는데
이제보니수학이라는 위대한 과학이라는거
그리고 참 따뜻한 학문이라는 거
아이들에게 수학이라는과목이 지금제가 느끼는 이 감정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코로나때문에 정말 명영화 뜨지 못해 안타깝네요
정말 이영화 뭐라 말할 수 없을 정도 이상의 감동입니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과목이 수학과 음악인데 이런 곡이 있었다니.... 꼭 연습해봐야겠군요
진짜 웅장하고 최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