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꼴찌 의대생] 내가 수학을 잘하게 된 과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 #수학 #올바른 #공부법
    제가 가장 점수를 많이 올렸던 수학은 정말 같은 부분을 재수 때 배우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배울 때 놀랐고 새로웠던 부분이었습니다. 공식을 모두가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문제를 누구는 풀고 누구는 못 풀고... 그 차이는 '개념'을 통해 사고력을 키울 때 나옵니다. 이 과정이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 문제풀이, 채점, 해설 체크만 반복하면 절대로 어느정도 이상 수학 점수가 올라가지 않더라고요(그래서 많은 학생들이 해도해도 안되니 포기를 하고...).
    사실 개념공부라고 하면 할 말이 정말 많지만 나름 압축해봤는데 많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개념공부를 하고 그걸 적용하고 생각을 해보며 문제를 풀면 한문제 한문제 얻는 것이 차원이 달라질거에요. 다들 수학 정복하는 날까지 포기하지 마세요! 화이팅!!
    ----------------------------------------------------------------------------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 편집을 취미로 하는 의대생 김현수입니다.
    ▶Program: Adobe Premiere Pro, Adobe After Effects
    ▶Edited by: 김현수
    ▶Filmed by: Tommy Kim
    ▶Directed by: 의대생 김현수
    ▶Music used: Serenity
    ▶Follow me
    Facebook: / tommykim95
    Instagram: / tommykim95

Комментарии • 398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423

    제가 가장 점수를 많이 올렸던 수학은 정말 같은 부분을 재수 때 배우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배울 때 놀랐고 새로웠던 부분이었습니다. 공식을 모두가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문제를 누구는 풀고 누구는 못 풀고... 그 차이는 '개념'을 통해 사고력을 키울 때 나옵니다. 이 과정이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 문제풀이, 채점, 해설 체크만 반복하면 절대로 어느정도 이상 수학 점수가 올라가지 않더라고요(그래서 많은 학생들이 해도해도 안되니 포기를 하고...).
    사실 개념공부라고 하면 할 말이 정말 많지만 나름 압축해봤는데 많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개념공부를 하고 그걸 적용하고 생각을 해보며 문제를 풀면 한문제 한문제 얻는 것이 차원이 달라질거에요. 다들 수학 정복하는 날까지 포기하지 마세요! 화이팅!!

    • @김성명-s2w
      @김성명-s2w 6 лет назад +2

      의대생김현수 영상보고 제가 공부하는데 있어서 갈피를 조금이라도 잡은 것 같아요.감사합니다. 혹시 탐구과목도 가능하실까요?

    • @너너굴찌
      @너너굴찌 6 лет назад +1

      독학재수하셨나요?

    • @도전과제-z9v
      @도전과제-z9v 6 лет назад +3

      형 강남대성기숙학원에서 합격수기봤는데 8점이아니라 5~4등급이네?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2

      @@김성명-s2w 넹 알겠습니다. 일단 저 시험 좀 끝나고ㅜ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1

      @@너너굴찌 아뇨! 기숙학원 다녔습니다

  • @망망망망-i4c
    @망망망망-i4c 6 лет назад +796

    1. 책에 있는 개념 공식 증명을 전부 알아야함
    2. 교육과정에 짜여진 순서를 파악해야함
    3. 기본적으로 문제집에 있는 유형알기
    개념이 정말 중요

    • @02재수생
      @02재수생 5 лет назад

      ㅇㄷ

    • @내일오늘-n7i
      @내일오늘-n7i 5 лет назад

      그리고 다시 통으로 다시 연결고리들 파악처럼 모든개념 복습(맞나?)

    • @Moondisaster18
      @Moondisaster18 3 года назад

      고득점 정보추!
      줄여서 고추 히히

  • @disz448
    @disz448 6 лет назад +122

    제가 수학 공부량이 적은 편이 아니었는데 실전은 한상 처참했어요.. 정말 그냥 막 손에 익히는대로 기계처럼 생각없이 풀었던게 진짜 너무너무너무.. 후회됩니다. 요즘 다시 시작한다는 마인드로 개념공부를 하고 있는데 정말 새롭더군요.. 솔직히 이번 수능 보고 진짜 용납이 안되는 점수가 나와서 내 실력보단 다른탓을 많이 했는데 다시 공부해보니 내가 구멍이 뻥뻥 뚫린채로 들이 부은 결과인 것 같고 겸허히 받아드리려합니다. 조언해 주신대로 열심히 실천해 볼게요!

  • @corin3588
    @corin3588 6 лет назад +170

    형 ㅅㅂ 존나 사랑해 이영상 봤더니 일단 마음만큼은 수능1등급이야

  • @leong4792
    @leong4792 6 лет назад +333

    저도 님과 똑같은방법으로 수학공부했습니다 특히 교과서의 개념의 순서 스토리를 이해하고 파편화된 개념을 하나의실에다 묶으려는 노력을 했고 그결과 문제풀때 꺼내쓰기가 용이해졌습니다. 마치 컴퓨터 폴더에서 내가원하는 폴더를 클릭해서 꺼내보는것처럼요.
    2019학년도
    6평 88점 (1등급) 9평 100점 수능 92점받았습니다.
    여러분도 한번 해보세요 추천드립니다

    • @leong4792
      @leong4792 6 лет назад +28

      @@dipityseren2029 처음부터 막무가내로 개념서펴고 시작하면 지칠 가능성이있어요.
      인터넷 돌아다니시면서 너무어렵지않은 기본개념강의를 수강하고 보는걸 추천해요.
      공식증명 이해 암기는 기본이고 지향해야할 목적지는 수능이기에 실전감각 문제푸는능력도 길러야해요. 개념이 중요한건맞지만 너무 개념에 매몰되있지는말구요 더 먼곳을 바라보며 기본을 쌓길 바래요

    • @이진우-o1k8x
      @이진우-o1k8x 6 лет назад

      저기 혹시 개념공부 시작하려는데 가형인데 수1 부터해야하나요 아니면 미적1부터정도 해야하나요?

    • @a01071141885
      @a01071141885 6 лет назад

      @bedro yohan 나형도 있나요 메가패스 있는데 혹시 어디에 들어가야 볼 수 있나요..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01071141885
      @a01071141885 6 лет назад

      답글 부탁드립니다ㅠㅠㅍ

    • @a01071141885
      @a01071141885 6 лет назад

      @bedro yohan 답글 부탁드려요ㅠㅠ

  • @태풍-j5y
    @태풍-j5y 3 года назад +30

    생긴 게 땅우랑 존똑인데?

  • @an_jinmong
    @an_jinmong 6 лет назад +159

    13:28

  • @김성준-t6s
    @김성준-t6s 6 лет назад +16

    이래서 강성태가 목차를 외우라고 했구나...

  • @KyrosKJ
    @KyrosKJ 3 года назад +4

    주변에 재수나 n수로 성공한 사람들 들어보면 다들 닥치고 4,5월까지는 개념만 n회독 하라고 했는데 진짜 개념이 중요한것 같네용

  • @IHIHI-m3l
    @IHIHI-m3l 6 лет назад +42

    영상을 찍기 전에 자신의 생각을 먼저 정리하고 처음에 영상의 순서를 제시하거나 마지막에 영상을 글로 한 번 정리해서 한눈에 알아보게 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자막도 만들어주시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ㅠㅠㅠ

  • @따뜻한새벽별
    @따뜻한새벽별 6 лет назад +22

    공부하시면서 영상도 찍으시랴 고생 많으십니다 항상 감사합니당 ㅎㅎ

  • @sy4054
    @sy4054 5 лет назад +21

    이제 백일 조금 넘게 남았는데 왜 지금 본거지 ㅠㅠ

  • @헤이유교걸헤이
    @헤이유교걸헤이 6 лет назад +25

    누구 닮았나 했더니 제 친한 이성친구를 닮으셨습니다... 비둘기상이군요.

    • @롤리-l3t
      @롤리-l3t 6 лет назад

      구독할게요..프사굿

    • @아음-u9j
      @아음-u9j 6 лет назад

      악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저렇게 생긴 여자 지인 있었는데!
      아마 중성적인 얼굴이신 것 같아요~

    • @최윤-z3p
      @최윤-z3p 6 лет назад

      박종우 닮으심

    • @김김-v3l4b
      @김김-v3l4b 6 лет назад +1

      아지르?

  • @연모합니다-x2c
    @연모합니다-x2c 2 года назад +2

    저는 고1이고 자퇴생입니다. 내년 수능을 준비하고 있는 입장으로써 시간이 촉박하다고 느껴 개념을 제대로 공부하기보단 진도를 빼는데에만 급급했던 것 같습니다.덕분에 제일 고민이었던 수학에 대해 갈피를 잡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꼭 의대 진학 하겠습니다. 방향성을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진현-g7y9d
    @김진현-g7y9d 5 лет назад +2

    저는 2021수능을 보게 될 수험생인데요. 현재 268일남은 시점에서 이 영상을 보면서 치킨을 먹고 있는데요. 이영상을 보고 수학개념을 차근차근 공부 할 생각입니다. 이 수학 개념공부법으로 공부를 하고 꼭 수능에서 1등급 맞았으면 좋겠네요. 참으로 뜻깊은 설명이였네요.

  • @jrreekk9659
    @jrreekk9659 4 года назад +4

    방금 구독 추천 박았습니다. 수포자로, 이미 대학교 졸업까지 하고 나이도 먹었지만, 어릴적부터 저의 꿈이자 목표인 수의사가 되는것을 포기할 수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꼭 되고싶습니다!! 그래서 나이도 33살이지만 그래도 늙어서 죽을떄 후회하지 않기 위해서 지금부터 수학을 차근차근 공부해서 극복해서 정복해보고 싶습니다!!..꼭 수포자인 제가 1등급 맞고 서울대 수의대 , 건국대 수의대 수능으로 가고싶습니다! 응원해주세요! 쌤 영상들 열심히 보기 시작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야이넘아공부해
      @야이넘아공부해 3 года назад +8

      @엄준식 꿈 있어서 도전하는 게 얼마나 가치있고 의미있는지 몰라서 하는 말임?
      그리고 의치한약수 메디컬 학과는 30~40대분들도 N수하셔서 많이 가는 곳임
      하고 싶은 꿈 생겨서 도전하는 걸 니가 뭔데 포기하라 마라임 ㅋㅋㅋㅋㅋㅋㅋㅋ 너가 포기하라 하면 해야 함?
      너나 인생 포기하삼

  • @joon8275
    @joon8275 6 лет назад +5

    제가 현역 수능2등급 맞고 자만하다 반수때 5가 떴고 삼반수를 살짝 고민을 했는데 방금 수학 개념의 논리에 대한 애기를 들어보니 반수를 할때는 수능교육의 논리적 본질을 간과하고 공부를 했던거 같네요. 이번에는 개념의 본질과 유형의 다양성을 넓혀 사고력을 기르는 방식으로 킬러문제에 대한 유연성을 길러 좋은 점수를 받겠습니다. 내년에는 저도 의대생으로 돌아올게요

  • @허지인-k5k
    @허지인-k5k 6 лет назад +12

    우와 제가 수학을 좋아하는데 수학을 못해서...흑흑 수학공부영상 좋아요!!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1

      올바른 공부법으로 좋아하시는 수학 잘하기까지 하시길 바랍니다!

  • @박진경-m7z
    @박진경-m7z 5 лет назад +12

    와... 맨날 수학 가형 만년 2등급 나오는 올해 수험생 된 사람입니다. 제 수학 공부법이 잘못됀걸 깨달았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1등급 받고 오겠습니다. 기다리세요.

  • @Jdjdkssi
    @Jdjdkssi 4 года назад +1

    1.교과서를 핀다
    2.공식을 외운다
    3.공식의 유도, 증명을 스스로 해본다.(이해한채로, 단순암기 ㄴㄴ)
    4.하다보면 단원간의 유기성이 보인다.
    5.교육과정이 하나의 흐름으로 보일정도로 연결지으며 증명과정,공식을 숙지해나간다.
    6.교과서 문제도 풀고+기출문제에서 유형파악도 해야한다

  • @name-dh4fv
    @name-dh4fv 5 лет назад +1

    진짜 '나는 정시로 갈 거니까 교과서 쳐다볼 필요 없어!'라고 하는 친구들이 주위에 많더라고요... 근데 아무리 정시로 간다고 쳐도 교과서만큼 개념 설명이나 '이렇게 해서 이렇게 나온다!'하는 설명이 정확한 게 없거든요 ㅋㅋ 그리고 내신시험이 아닌 수능이여도 교육과정에 맞춰서 나오는 거기 때문에 교육과정이 그대로 놓인 교과서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문제 자체는 그렇게 많이 어렵지 않아도 문제는 문제집으로 풀면 되니까요)

  • @sC-br6hb
    @sC-br6hb 6 лет назад +8

    이런 영상을 정말 좋아합니다. 대부분 안된다는 말만하고 왜 안되는지 말을 못하거든요. 하지만 " 된다, 되는데는 이러한 이유가 있다. "라고 설명해주는 건 힘이 됩니다. 조금 유연하게 말해주시면 더 좋을것 같아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유지태-l9s
    @유지태-l9s 5 лет назад +5

    재능있는 사람이 숨겨져 있을 순 있지만 재능없는 사람이 재능이 생길 순 없다. 노력은 필요하다. 그러나 누구나 노력한다고 가능한게 아니다. 재능있는 사람이 노력할때 빛을 발하게 된다.

    • @유지태-l9s
      @유지태-l9s 5 лет назад

      @@중제고 노력은 필요하다고 했는데 글좀 잘 읽어주세요. 그리고 사람들 간에 차이가 있음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모든사람은 특별하다느니 그런 소릴 하시려는건 아니겠지요?

    • @유지태-l9s
      @유지태-l9s 5 лет назад

      @@중제고 당신이 내가 공부 안하는지는 봤습니까? 공부 할만큼 해서 수능 222 맞고 대학 멀쩡히 다니는 사람을 왜 그렇게 단정짓는거죠?

    • @유지태-l9s
      @유지태-l9s 5 лет назад

      @UCUPNqnhVKa7kjqI4xKHwRaA죽었다 깨어나도 절대 못할 일은 존재합니다. 사람 능력마다 다 차이가 있는것인데 어찌 그것을 모르시나요? 노력한다고 다 되지 않는다는 것은 모든것이 안된다는것이 아니라 모든것이 다 되지는 않는 다는 말입니다. 대학은 당신이 공부얘길 다짜고짜 꺼내서 한 얘기일 뿐이고 분명 공부와 관계 없이 여러 재능은 존재하죠. 학교 안다니고 성공하는 사람도 있고요. 공부 못한다고 성공 못한다는게 아니라 모든 사람이 큰 성공을 이룰만큼의 재능을 가질 순 없다는 것입니다. 큰 성공을 거두는 사람은 극히 일부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꿈 하고 싶은 일과 멀어진체 먹고사느라 바쁩니다. 하다못해 거리의 부랑자들 그리고 자살자들도 있죠. 노력에 따른 성과는 있어도 그 성과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는 겁니다.

    • @유지태-l9s
      @유지태-l9s 5 лет назад +1

      댓삭튀 뭐냐 중제고야,,,,

    • @유지태-l9s
      @유지태-l9s 5 лет назад

      제고야 구독 했다

  • @lolol8028
    @lolol8028 6 лет назад +168

    안녕하세요! 이과 8점이면 거의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하신건데, 고1수학부터 하셨나요 아니면 중학교 도형도 건드셨나요?? ㅠㅠ 9개월이라니 진짜ㅠ대단하십니다.. 와 ㅠ

    • @문근혜-h1g
      @문근혜-h1g 4 года назад +8

      당연히 중학교꺼부터해야죠

    • @iwantyou6176
      @iwantyou6176 3 года назад +8

      중학교때 수학만이라도 공부하길 잘한듯..

  • @등록중
    @등록중 6 лет назад +6

    현수님 오늘도 정보가 너무 좋네요ㅜ 잘보고 갑니다!!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1

      방대한 내용을 최대한 이해 가도록 예시와 함께 요약해봤는데 잘 전달이 됐나 모르겠어요ㅜㅜ큰 도움 됐으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 @user-qz7fm4jk8q
    @user-qz7fm4jk8q 5 лет назад +11

    개념과 증명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으면서 개념간 관계에 대해 알게되면 된다.

  • @우석-d1z
    @우석-d1z 6 лет назад +14

    다른 과목도 올려주세요!!국어랑 영어라유ㅠㅠㅠ 감사합니다 ☺️☺️☺️☺️

  • @고소왕-l4z
    @고소왕-l4z 6 лет назад +1

    멋지네요. 이런 좋은 영상도 만들어주고!!

  • @ing5856
    @ing5856 6 лет назад +1

    올만에 현수님 영상 보겠다!! 너무 좋아요😆😆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정말 자주 올리고 싶은데 시간이 ㅜㅜㅜ감사해요!

  • @상식을가지쟈
    @상식을가지쟈 6 лет назад +16

    진짜이영상은 나만봐야한다

  • @ehejwiwyww
    @ehejwiwyww 3 года назад +1

    당신은 신이야 .......( ಠ ಠ )

  • @sugarfree6587
    @sugarfree6587 3 года назад

    결과가 도출된 과정을 탐구하라는 거잔아요,,, 공식만 외우지 말고 어떻게 공식이 유도되는 과정을 통해
    개념을 파악하라는 거죠

  • @문어그리고초고추장
    @문어그리고초고추장 3 года назад +2

    영상 감사해요.
    로그함수 그래프를 한번 직접 해보고 왜그런지를 해보니까 조금 알겠더라구요.
    도움 됬습니다.
    저도 7등급에서 1등급으로 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corin3588
    @corin3588 5 лет назад +1

    이 영상이 신기한건 일주일 마다 한번씩 보고 있는데 역추론 이라는게 너무나도 소름 돋는다는거임 , 역시 개념이 탄탄하지 않으면 역추론을 할 수 없다는거네요

  • @강슬기-w5v
    @강슬기-w5v 6 лет назад +1

    이번 영상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pengyu8823
    @pengyu8823 6 лет назад +2

    넘 감사해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현역인데 일단 대학은 들어가고 1학년 2학기 휴학+2학년 휴학하고 열심히 해서 넉넉잡아 2년정도 잡고 열심히 해보려구요 ㅠㅠㅠ 의사가 아닌 다른 일을 하고 있는 제가 도저히 상상이 안돼서... 정말 제대로 공부해보겠습니다 ㅠㅠㅠ!! 자주는 아니지만 그래도 계속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 @CoinETH
    @CoinETH 6 лет назад +85

    두루뭉실해서 잘 모르겠네요. 해당 개념책을 펴서 순서도 같은거 알려 주실 수 있을까요?

  • @최윤-z3p
    @최윤-z3p 6 лет назад +6

    이제 고1올라가는데 중1수준도 안된답니다 중3때는 그래도 했는데도 60점대를 못넘는게 수학이네요.....진짜 어떡해야하나요 정말 수학 포기? 공부를 안한지는 참 오래된거같네요 초4때부터 접어서 정말 하다하다 일년?몇달전까지만해도 간단한 초등 기본 공식조차도 몰랐습니다 이러니 자신감도 떨어지고 수학도 참 갈수록 답답하고 어려워지는데 미칠것같네요

    • @eeeeuuujijijiji4383
      @eeeeuuujijijiji4383 6 лет назад

      저도 계속 12점 맞다가 교과서 문제만 3번 풀어서 70점대 겨우 넘었어요 문제집을 한번만 보는걸론 안되더라고요.. 여러번 봐야되는것 같아요 최소 3회독하시고 문제풀때도 문제와 씨름하듯이 풀어야되용 답지보시지 마시고 정 모르겠다면 답지보고 왜 그렇게 되는지 한번 더 봐야되요 필요없겟지 하고 넘기지 마세요 수학은 한번 빵꾸나면 답없음 ㅠㅠ

    • @딸기우유-r2f
      @딸기우유-r2f 6 лет назад

      +최은지 저도 수학 진짜 못 하는데...반복학습 해야겠네요ㅠㅠㅠ

    • @딸기우유-r2f
      @딸기우유-r2f 6 лет назад

      +최은지 저도 수학 진짜 못 하는데...반복학습 해야겠네요ㅠㅠㅠ

    • @지혜윤-g1z
      @지혜윤-g1z 6 лет назад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은 중학교 수학을 알고있다는 전제 하에 이루어지므로 중학교때 배운 내용을 모르고 있다면 지금와서라도 다시 하셔야 합니다 물론 3년치 수학 문제집을 푸는것도 좋지만 현실적으로 시간이 없기 때문에 중학교 과정을 총정리해둔 인강이나 문제집 추천드려요 아니면 중학교 교과서를 처음부터 천천히 정독하고 교과서문제 꼭 풀어보시구요! 올해 고2되는 학생인데 주변에 수학 기초(중학교개념+고등학교개념)가 없어서 포기하는 친구들 꽤 있어요 곧 3월 모의고사도 볼텐데 점수 신경쓰지말고 중학교 과정 꼭 한번이라도 훑으세요

  • @nanko3531
    @nanko3531 5 лет назад +3

    감사해요. 수학을 취미로 하시는 분도 있던데 아마 이런 개념공부가 재밌어서 하시는게 아닌가 싶을정도로 현수님 영상 보면 수학은 참 재밌는 학문 같네요.
    앞으로 시간날때마다 개념을 자주 볼 마음이 들어요

  • @미진-g9x
    @미진-g9x 6 лет назад +4

    공부노하우 많이 많이 뿌려주세요

  • @flightnearbysky
    @flightnearbysky 6 лет назад +4

    형 평소에 구독 좋아요 잘하는데요 요번에 수학 풀면서 갑자기 떨리고 식은땀이 나더라구요 진짜 잘하고 싶은데 불안감에 휩싸여 그런 것 같아요 진짜 어떡하면 좋을까요...진짜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국어 파급력은 아니고 수학때 갑자기 그랬어요...

  • @혜원-k1u
    @혜원-k1u 6 лет назад +2

    다른과목도 해주세요👍완전 꿀팁

  • @유희영-h5i
    @유희영-h5i 5 лет назад +3

    고3입니다... 드디어 알겠네요.
    왜 공부법(쓰잘데기 없는 공부법말고 진짜 본질처럼 중요한 그런공부법)은 꼭 자기가 직접 겪어봐야 그제서야 아 그래서 그런거였구나 하고 이해가 될까요.
    고1때부터 개념 증명하라고 여러조언을 많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저에겐 솔직히 개념 증명이 와닿지 않았습니다 왜 저런걸 하지 그런건 옛날에나 했던거 아니야?하면서.. 저는 이과로 진학하고 방대한 이과 수학의 진도를 맞추느라 증명은 안하고 공식만 외우고 쎈같은 유형문제집 달달풀었습니다 그리고 어떤 유형문제를 보자마자 바로 기계적으로 풀수있을때까지 반복했습니다.
    공식알고 모르는 유형문제 없을때까지 공부하는것 저는 그게 개념 공부인줄 알았습니다. 또 이제 본인스스로가 개념이 마스터되었다고 착각하고 이제는 준킬러 킬러맞춰야하니까.. 유명한 인강선생님 인강을 들었습니다.
    하지만 분명히 인강도 다듣고 기출문제도 5번풀고 분명 복습을 그렇게 열심히햇는데도 어려운3점 준킬러 이런문제들을 결코 맞추지못했습니다.
    그래서 내가 수학공부를 덜해서 그렇구나 수능특강 수능완성을 여러번 돌리고 공브를 했습니다. 근데 항상 제가 풀지를 못하니까 그냥 풀이를 외워버리고
    그냥 그렇구나하고 여러번 의미없는 n회 반복을 했습니다

    • @유희영-h5i
      @유희영-h5i 5 лет назад +1

      수능 심화개념 그런것도 인강에서 많이 보고 어떤문제는 어떻게 접근하고 공부를 하고 많이알아도 결국에 저는 그 문제에 접근을할수있어도 그다음은 항상 이제 더이상 어떻게 그 문제를 이어나가지?하고 못풀었습니디.잘은 기억은 안나는데 예를을어 공간벡터 문제가 있는데 구두개가 있고 내분점이였는지 외분점이였는지 (솔직히 기억이 잘안나지만) 그걸로 문제조건이 주어져있고 자취를 구해서 풀어야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근데 저는 어떻게든 어떻게든 풀다가 중간에 막혀서 그 문제를 들고 친구한테가서 물어봤습니다. 그러니까 아폴로니우스의 원으로 풀어야한다고 하더라고요. 수1인가 수2일때 배운걸 써야하냐고 그렇게 말하고 이문제는 에바다하고 넘어갔는데..ㅋㅋ하고 안나오겠지 넘겼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니까 제가 그때 아폴로니우스의원의 공식을 설상가상 기억하고 있다고해도
      저는 그문제 못풀었을거 같습니다. 왜냐면 공식을알아도 왜 그게 그 상황에서 쓰여야되는지 몰랏을테니까요.
      이것처럼 저는 인강에서 접근법을 배워도 그다음 비슷한 다른문제를 풀때
      접근을해도 그다음은 어떻게 진행하고 풀어야할까.. 그래서 틀렸습니다 그러니
      계속 인강과 해설지에 의존하게되엇던것 같습니다. 문제를 달달 외우는 저를 어느순간 발견하게 되자 수학은 그냥 기출문제풀고 외우고 그냥 그러면 되는거 아니야?하고 왜 수학문제푸는데 그렇게 고민을 하라는거지?
      수학에대해 의심을 품게되었던것 같습니다..

    • @유희영-h5i
      @유희영-h5i 5 лет назад +1

      기출문제든 ebs문제든 이제 돌이켜 생각해보니 증명을 왜하라는지 이제서야 알게된거같습니다. 증명과정을하고 그 원리가 뭔지 이해하고 왜 그상황에서 그걸 써야하는지 심화개념이든 뭐든 결국에 증명을 알면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고 뭘 찾으라는건지 알려주는거구나.. 항상 저는 제가 직접 겪어봐야 왜그러라는건지 이해하는것같아요. 그리고 그제서야 뼈저리게 후회하는거 같습니다.. 어처피 재수할 생각이였지만.. ㅋㅋㅋㅋㅋㅋㅋ 과탐이라도 잘보고 재수할때 이 동영상 계속 돌려보고 명심하면서 공부해야겠네요 그래도 이제와서라도 왜 그러라는지 이제서야 알게된것만으로도 다행이다 생각해야하나ㅋㅋㅋ

    • @유희영-h5i
      @유희영-h5i 5 лет назад +1

      나중에 제가 재수를해서 성공한다면 꼭 뵙고싶네요. 제잘못을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성을 하게 되는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ㅋㅋㅋ ㅠㅠㅠ

    • @유희영-h5i
      @유희영-h5i 5 лет назад +2

      특히,, 식조작 ㅋㅋ 적분에서 하....ㅋㅋㅋㅋ 그냥 왜 그러는건지 모르고 풀이만 외우고 새로운문제 보면 그냥 내가 풀었던 식조작문제중 하나 다 적용해서 풀어야하나...ㅋㅋㅋㅋㅋㅋㅋ 그랫는데 아...

  • @igotasleep
    @igotasleep 6 лет назад +1

    수학강의하셔도 잘하실듯 영상 잘봤습니다!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1

      수학강의하는 것보다 카메라 한대 두고 말하는게 아직도 어렵습니다ㅎㅎㅎ감사해요!

  • @dmsek1575
    @dmsek1575 6 лет назад

    와 이영상보고 뒷통수 맞은느낌이에요. 어렸을때부터 수학 꾸준히 해왔고 고등학교와서도 포기하지않고 계속 즐겁게 공부했던 과목이 수학인데 내신문제와 달리 수능고난도 문제를풀땐 중간까진풀어도 항상 끝에가면 도대체 어떻게 이렇게 풀지? 하는생각이 항상들었어요. 나름 개념공부는 제대로 했다고생각했는데 전혀 아니었네요 첫번째 예시 보는순간 증명을 ‘공부했던 기억’만날뿐 정작 증명과정은 떠오르지않았어요. 이번에 재수하는데 독하게 마음먹고 개념부터 해야겠어요..

  • @Candocandoit
    @Candocandoit 5 лет назад +2

    현역 때 이 영상을 볼 때는 두루뭉실하고 어떤 말을 하고 싶어하는지 캐치를 못했는데 재수하는 지금 다시보니 확실히 와닿습니다 김현수님 따라가 보겠습니다

  • @skle8813
    @skle8813 6 лет назад +2

    수학 개념 적립하러 갑니다 이 영상에 6월 모고때 돌아오겠습니다 ㅃ2

  • @축사모-e4u
    @축사모-e4u 3 года назад

    짜여진판 아는게 굉장~~~히 중요함
    수1.수2를 왜 먼저배우는지 통계,기하미적분은 왜선택인지
    공식의 연결성,호환성도 그에맞게 되어있고 로드맵도 그에맞춰 짜여짐
    하나를모르면 다 모르고 호환자체가안됨 왜 이 학년땐 이걸배워야하는지 알아야함

  • @영어독해마스터
    @영어독해마스터 5 лет назад

    공식 하나 하나의 증명을 다 안다는 것 자체가, 이미 최고등급이란 것임.

  • @슈크림밤
    @슈크림밤 3 года назад

    저 진짜 열심히 해볼깨요 고2 내신이 3점대라.... 일단 모고라도 올려놓으려고요 팁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연정현-j1o
    @연정현-j1o 6 лет назад +5

    영상 너무 감사하게 잘 봤습니다. 저는 이과생이지만 공부를 어느순간 안하다가 놓쳐버린탓에 선생님의 권유에의헤 나형으로 이번 수능을 응시한 한 학생입니다. 실은 그전까지는 개념공부가 중요하다 해도 '난 개념을 다 알고있는데 왜자꾸 뻔한 말만 하지? '라는 생각으로 개념을 무의식중에 우습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영상을 보고나서 정말로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실은 제가 이번 수능을 준비하면서 공부를 하기 싫었던 마음이 제일 컸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들은 조언으로 나형으로 바꾼 다음부터 기출문제만 풀고 처음 성적은 1~2등급대가 나오길레 자만하고 바로 사설문제를 푼다든지 해서 조금씩 실력이 감소하더니 결국 수능은 말로 표현하기 가슴 아픈 성적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제가 결심한것이 재수인데 부모님께서는 재수를 적극 반대하십니다. 그래서 저는 한때 이과생이었지만 가형을 응시하지 못했던 한을 풀고싶어서 부모님 몰래 틈틈히 독학위주로 공부해서 다시 한번 도전해 보려고 합니다. 그래서 바쁘신 와중에 죄송하지만 수학 개념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기본서로 수능특강도 괜찮다고 하셨는데 저같이 가형에서 나형으로가서 미적분2와 기하와벡터에 관한 지식이 없는 학생 그리고 나형으로 넘어가고 나서도 개념을 소홀히 한 학생도 바로 수능특강으로 공부를 해도 되나요? 그리고 또 현수님처럼 개념을 사용하려면 자신이 보는 개념서에 있는 문제로 개념의 연관성을 보는건지 아니면 교과서의 목차를 봐서 개념을 연관짓는 것인지 아니면 현수님도 초반 개념을 공부하실때 동안 기출문제를 푸시면서 그곳에 나오는 개념을 보신건지 너무 궁금합니다.이번만큼은 실패하지 않고 수능을 보고싶은 학생으로써 이렇게 장문으로 질문합니다. 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념 공부하실때 1학년 수학 기본과정부터 공부하신건가요? 글을 잘 정리하지 못하고 질문하는 것은 정말 죄송합니다. 그래도 정말 한번만 도와주세요. 살면서 이렇게 허탈감을 느끼고 절박감을 느끼는것은 처음이네요. 그래도 이 영상을 보고 이유는 모르겠지만 조금은 제 자신이 희망을 본 것 같네요. 정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5월은너의계절
      @5월은너의계절 6 лет назад +1

      안녕하십니까, 같은 재수생으로써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릴려고 합니다. 일단 제 소개를 하겟습니다. 국어를 망해 재수를 하고요 수학은 3월 6 6월 3 9월 2 수능 1 이고요 나형입니다.
      수학을 함에 있어서 특히 나 나형인 경우 공부해야 할 양이 굉장히 적습니다. 가형에 비해서요. 즉 재수를 하실꺼면 중학고 과정을 모른다면 중학교부터 맨 처음부터 공부하시면 되시겟습니다. 또한 수능특강으로 개념서를 사용해도 되겟느냐? 라는 질문에 답을 드리겟습니다. 절대 반대 합니다. 저는
      수학은 개념서 문제서 이런식으로 나뉘는데요
      수능특강은 개념서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수학의 바이블이나 개념 쎈이나 풍산자와 같은 개념서를 사용하세요.
      그 이후 문제집 커리를 타며 부족한점을 공부해나가는거에요.

    • @5월은너의계절
      @5월은너의계절 6 лет назад

      아 그리고 개념의 연관성은 그거에요 29번이나 30번 장문 글을 보고 어떤 공식을 사용해야할지 판단하기 위해서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조건은 박스에 잇는게 아니라 뭐뭐인 상황일때 사용하은서에요 예를들어 최솟값 하면 산술기하나 그래프를 이용하면 되겟쥬

  • @kon7533
    @kon7533 6 лет назад +1

    전부터 영상 봐왔는데 설명이 더 깔끔해졌네요 역시 의대생의 성실함👍👍

  • @qkrtjsgk
    @qkrtjsgk 6 лет назад

    올해 고3인데 너무 대단한거같아요,,

  • @user-zn4ol9br9m
    @user-zn4ol9br9m Год назад

    진짜 개념을 이해하는게 쉬운게 아님...

  • @용가리-x6r
    @용가리-x6r Год назад

    김현수님~~~안녕하세요?
    아이가 고1이 되었습니다~~
    그저그런중학교 전교권이었으나
    정시형기숙학교로 입학하였는데 기숙사시험도 떨어져 거의 전교 꼴찌가 되었습니다.
    전년도 수학기출시험지를 보고도 풀수있는문제가 3~4개에 불과해 크게 낙담하고 있습니다. 워낙 수학이 어려운 학교이기도하지만 중3 기말이끝난 11월중순부터 입학직전까찌 수개월을 하루 10시간 공부중 6시간이상을 쏟아부으며 놀지도 못하고 공부했는데 점검차 풀어본 시험지에서 좌절을 느낍니다.
    지켜보는 저도 그동안 고생이 안타까워 목이 매는데 본인이 어떨지 많이 걱정이 됩니다.
    평범한 아이가 성실함으로 극복하며 잘해왔었는데 너무 안타까워요. 한번도 학원다지니 핞고 스스로 공부했고요 수학 상부터는 어려움을느껴 인강의 도움을 받고 있었습니다. 예전부터 이영상을 반복하며 제가 도움을 주고자 해도 저도 아이도 무지한지라 이마저도 어찌공부하는지 감이 잘안와서 무엇부터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너무 막막하여 도움을 청합니다. 아무리 공부법 영상들을 보고 따라해봐도 통찰력이 생기지 않으니 헛고생만 하는느낌입니다.
    고생하는 아이도 안쓰럽고
    엄마표로 잘못 방향을 잡아준것같아 잠이 안오고 눈물이 나네요.
    좀 도와주시면 안될까요? 한달만이라도 과외 받고싶습니다. 이제껏 저와 아이가 너무 고생해서 더 고생시키고 싶지 않아요. 뭐든 해서라도 김현수님께 과외받게 해 주고 싶습니다. 어떻게 안될까요? 어젯밤부터 망설이다 용기내어봅니다.

    • @정정토이즈
      @정정토이즈 Год назад

      저희랑 상황이 너무 똑같아 가슴이 아프네요
      중학교 전교권이었는데 자사고 입학후 기숙사도 떨어지고 애는 이제 공부도 안하려 합니다 저도 지켜보면서 눈물만 납니다

  • @이창석-m3y
    @이창석-m3y 6 лет назад +1

    수학공부의 희망영상••!!!

  • @JordanPierreAyew
    @JordanPierreAyew 6 лет назад +1

    너무 감사합니다. 영상을 보고 저의 고3 수험생활의 문제점을 깨달았습니다. 영상의 내용을 참고하여 1년 더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화이팅!!

  • @최준우-v6e
    @최준우-v6e 4 года назад +2

    이분 플래너 쓰인거 보면 8점 성적이 끝낼수 있는 계획이 아님. 8점이면 그냥 한 번호로 밀어도 나오는 점순데 ㄹㅇ 공식도 1도 모르는 정도. 근데 2월? 재수 시작해서 4월인가 n제 너려보는 계획 세우신거 같던데 말이 안됨. 추측해본건데 솔직히 8점은 자신이 정시파라? 내신 그냥 던진걸 8점이라 하거나 모고때 자서 8점이 떳거나 했으나 정작 실력은 어느정도 되는 사람이였음. 결론은 음..... 열심히는 해라 너가 찐 8점인데 그걸로 의대가면 또다른 성공인거지. ㄹㅇ 8점인가 아닌가는 각자의 상상에

  • @머쓱타드-r4k
    @머쓱타드-r4k 6 лет назад

    f프라임x로 예를 들어서 설명하신거 진짜 소름돋네요....하....왜 생각이 안나지 나는 ㅠㅜㅜ 듣고나면 아하 하는데 진짜 걍 1보다 크고....그래서? 란 생각만나네요

  • @user-fy1dn2mf4p
    @user-fy1dn2mf4p 6 лет назад +8

    문제 풀면서 조금만 막혀도 해설지를 보게되는 버릇은 어떻게 고칠까요?
    해설지 참고하여 다시 풀면서 처음보는 유형이니까 이번만 보고 풀이를 외우자하고 합리화 시키고 왜 난 이것도 못풀까 왜 이런 생각이 안날까하고 자괴감을 느껴요ㅜㅜ 학교 수준이 낮아서 교과서에서 숫자만 바뀐 수준의 문제만 출제되어서 내신은 문제 없었으나 처음보는 문제는 아예 손도 못대겠어요ㅠㅠ

    • @이소정-w3w
      @이소정-w3w 5 лет назад

      밍밍 개념서 푸실때 유형문제에서 답지를 보시는거잖아요, 근데 개념서를 풀때는 '단원'으로 나눠져있잖아요!
      그럼 그걸 힌트삼아서 풀어보세요
      예를 들면 삼각함수의 미분이면 여기서 뭘 어떻게 미분하고 공식을 뭘 쓰라는거지?하고 생각하면서 끝까지 붙들고 늘어지세요
      문제를 잘 읽어보고 조건을 차분히 살펴보고 내가 아는 그 개념을 어디에 어떻게 쓸지 계획한다음 푸셔야해요 무작정 배운 개념을 다 쏟아붓는게아니라요!
      그리고 유형문제가 잘 풀리시면 나중에는 '단원'에서 힌트얻는건 그만하시고 실전처럼 풀어보세요 아무런 힌트가 없고 오직 문제만 있을때요
      아마 다른 방식으로도 풀수있는게 있을거에요 치근차근 발전시켜나간다고 생각하시면되요
      풀이를 외우는건 아무 도움이 안됩니다
      문과수학이시라면 정안되면 외우시는것도 좋아요 그치만 이과수학이라면 무조건 위에 방법으로 해야해요..

  • @냐옹-x5k
    @냐옹-x5k 6 лет назад +1

    저는 항상 드는생각이 제가 수학이 25점 정도 되는데 이 성적에 지금부터 해도 오를까 이생각때문에 매일 지금 이게하는게 맞나..자꾸 심리적으로 포기를 하게됬는데 이 영상을 보고 저도 할 수 있구나라는 걸 느꼈어요..ㅠㅠㅠ

    • @oh-ox1ru
      @oh-ox1ru 5 лет назад

      할수있습니다

  • @텐깅
    @텐깅 6 лет назад +1

    뭐야 빨리보고싶다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너무 늦은 시간이라 저녁 시간 즈음에 올라가게 해놨어요ㅎㅎ

  • @박재수-j1n
    @박재수-j1n 6 лет назад

    중학교개념 수1 수2 미적1 미적2 기벡 확통 공식증명을 전부 할수있게되고 문제도 풀려면 9개월로 힘들텐데요
    8점을받았다고하셨지만 적어도 기초는 어느정도 다 있으셨던것같네요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2

      제가 뭐 개념만 몇개월씩 했겠습니다. 문제풀이도 당연히 엄청나게, 남들이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많이 했습니다.

    • @박재수-j1n
      @박재수-j1n 6 лет назад

      @@Suflex_Kim8점을받으셨어도 기초가 어느정도 있었던것같다는 말입니다 4개월정도를 개념공부하셨다고했는데 미적2 기벡 확통 개념만하기도 빠듯한기간이죠 근데 중학개념 수1 수2 미적1이 선행되어있어야 그것도 가능합니다 그러니 8점이라도 공부가 어느정도 다 되어있었던것같다고 생각합니다

  • @LBC-o4j
    @LBC-o4j 3 года назад

    그냥 재능이지 이거는 ㅋㅋㅋㅋㅋㅋㅋㅋ

  • @오잉-i2x
    @오잉-i2x 6 лет назад +8

    안녕하세요 이과 재수생입니다 저는 솔직히 수학을 잘 못하는편인데 이번에 재수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같은등급이 나왔습니다. 물론 뭐 작년엔 진짜 찍거나 아무 개념없이 그냥 풀어서 얼떨결에 맞은 문제들을 올해는 확실하게 알고 맞출수 있다는 점은 좀 나아졌지만 제가 내년에도 반수를 생각중인데 결과가 이렇다보니 가형을 본다는것에 대해서 자신이없습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재종반 다니면서 개념공부에 시간도 꽤 투자를 한거같은데도 이렇다보니 그냥 나형으로 반수를 할까 하기도 하고 ....제 개인의 선택의 문제이긴 하지만 혹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ㅠㅠ 나형 반수 한다면 교차지원 가능한 공대를 가고싶기도 하고 그렇슴다...

    • @doreamon6224
      @doreamon6224 5 лет назад +2

      @김 지웅 너 지잡대지 ㅋㅋㅋㅋㅋㅋ 뭘 해봐야 떠들든하지 남 희망 밟지말고 열심히살아

  • @정신과의사-x8u
    @정신과의사-x8u 6 лет назад +9

    사고력이 타고난사람이 있고 그렇지않은사람이 있는데 현수님은 전자유형인가봅니다.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27

      엇 그랬다면 제가 고3 때 그래도 문제들을 계속 풀었는데 그런 점수가 나오진 않았겠죠? 물론 수학적으로 머리가 뛰어난 사람들을 많이 봤지만(그 사람들도 노력 안하면 시험 잘 보긴 힘들지만요), 수리논술 정도 말고 수능 수학 정도는 정말 올바른 방법으로 저어어엉말 열심히 공부하면 누구나 잘 볼 수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다만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문제만 많이 풀어서는... 절대로 어느 수준 이상의 점수를 얻을 수가 없고요. 올바른 방법, 그리고 엄청난 노력이 동반되면 누구나 가능하다고 생각해요!(제 과외 학생들도 하나같이 수학 성적이 엄청나게 올랐습니다. 저보다 수학 잘하는 선생님은 널렸지만 제대로 된 공부법을 알려주는 사람이 별로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화이팅하세요!! 본인을 틀에 묶어두지 마시고!

    • @gold378
      @gold378 6 лет назад +6

      사고력이 타고난 사람이 있는게 아니라 뇌세포는 외부 자극에 의해 죽을때까지 변한다고 해요. 뇌세포에 자극을 끊임없이 주어 사고력을 증진시킵시다 ^^

    • @생각하며살자-r5e
      @생각하며살자-r5e 6 лет назад +18

      비관하면서 포기하기부터 하는 사람이 있고 일단 해보는 사람이 있는데 정신과의사님은 전자유형인가봅니다.

  • @user-yam_e
    @user-yam_e 6 лет назад

    공식들 하나하나의 증명, 정의 알기

  • @배사필귀정
    @배사필귀정 5 лет назад

    ㆍ자신이 스스로 사고 직접푸는거여요ㆍ어떤시각으로 수학을 보느냐 그게 중요ㆍ수학은 암기아님
    🤔😉🤗🤗

  • @더불어빨갱이
    @더불어빨갱이 6 лет назад

    수능수학은 개념과 실전개념(수능개념) 그리고 신유형(킬러) 이 세가지가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져야 성적이 오르는것을 체감하실수 있습니다.. 개념서n회독으로만으론 절대 수능공부를 하실수없어요.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당연합니다. 문제풀이를 계속 해야한다고 한 이유이고 개념서 n회독을 하라고 한 적도 없습니다. 다만 수능에서 신유형 문제는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수험생들이 시험장에서는 신유형처럼 느껴질지 몰라도 자세히 보면 몇 문제 말고는 전부 비슷한 과정으로 풀리는 문제들이고, 그런 문제를 푸는 괴정에서 정말 탄탄한 개념이 중요하고, 그 '개념'이라는 것이 대체 뭐고 어떻게 공부해야하는가 에 대해서 설명한 영상입니다.
      말씀하신 내용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 @뽀득이-e5r
    @뽀득이-e5r 6 лет назад +53

    혹시 문제집 추천이나 수학공부법 자세히 알려주실수 있나요 멍청한 고1이여서 하려고하시는 말씀을 다 받지 못한거같아서요

    • @gimbobbulgogi1778
      @gimbobbulgogi1778 6 лет назад +6

      문제집은 수학의정석+유명인강교재+한완수+이해원n제하면 수가 고정1씹가느응

    • @김철수-v1v
      @김철수-v1v 6 лет назад

      @@gimbobbulgogi1778 수정은 빼고 정승제 개때잡1시리즈 풀면서 기출5개년 병행, 3번반복 누군가가 책을펼때 그쪽페이지 개념설명 다할줄알아야함 ~수특 수완 . 사설 가면2등급가능

    • @파카츄-i6j
      @파카츄-i6j 6 лет назад +1

      기탄수학으로 기본적인 개념들부터 천천히 쌓아올리시면 충분히 1등급 가능합니다

    • @Stock5354
      @Stock5354 6 лет назад

      @@김철수-v1v 가형 정승제 다 들음?

    • @김철수-v1v
      @김철수-v1v 6 лет назад +1

      @@Stock5354 전 기출풀시간이없어서.. 개때잡3번돌리고7등급에서 3등급 맞음..1교시멘탈터져서 2등급 맞을수있엇는데 시간부족 손개떨리더라구요

  • @키티-b7d
    @키티-b7d 6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이런 영상이 있으면 수학 못하는 저에게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게됩니다. !!

  • @배규원-e9n
    @배규원-e9n 6 лет назад

    수학을 잘하게 되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기본 개념 문제는 어느 정도 하는데 더 심화된 문제가 도저히 안 풀려서,,, 학원에서 틀린 문제를 풀긴 하는데 그때만 이해하고 곧 다 잊어버리게 되고 어려운 문제 풀이 방법도 그 시점 이후로는 전혀 기억이 안 나더라고요,,,, 그래도 수학 문제 보면 유형이 좀 정해져 있잖아요 그 유형별 풀이방법 잘 숙지하면 잘 할 수 있을까요?? 유형을 좀 다양하게 알고 풀이과정을 잘 인지하고 있으면 잘 할 수 있는 건가요/ 아니면 선천적인 사고력 등이 있어야 잘 할 수 있는 건가요,? 제가 좀 편향된 문과여서 그런지... 수학은 많이 약하네요 ㅎㅎ 아무튼 진짜 존경스럽습니다!!

  • @오이와당근-c9w
    @오이와당근-c9w 6 лет назад +1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영어 공부는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하네요!

  • @황황윤선
    @황황윤선 6 лет назад +1

    영상 잘 구독하고 있습니다.
    저희 아들이 고2문과 인데 모의고사 점수가 정말 안나오네요.
    과외 가능하신가요?
    좋은 샘 찾기 힘드네요..

  • @TV-kd8qb
    @TV-kd8qb 6 лет назад +8

    항상 유튜브 잘 보고 있습니다. 나중에 개념 공부에 대해 공부법에 대해 더 자세히 유튜브 부탁드려도 될까요? 아 두가지 질문이 있습니다.개념 공부하실 때 강의를 보셨나요 아니면 책을 보셨나요?항상 감사합니다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강의는 뭐 따로 한건 아니고 그냥 수업 들었고 혼자 많이 읽고 문제도 그냥 푸는게 아니라 생각을 많이 하고 적용시키려느 노력을 많이 했어요~

    • @TV-kd8qb
      @TV-kd8qb 6 лет назад

      @@Suflex_Kim 감사합니다 (_ _ ) 하기사 8개월이란 시간 동안 강의를 듣기엔 촉박했겠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 @김현수-o6b
    @김현수-o6b 5 лет назад +2

    오 이름이 같으시네요 ㅋㅋㅋㅋㅋ

  • @Seolhwa728
    @Seolhwa728 4 года назад +1

    그냥 어느날밤에 외계인이 와서 머리뚜껑열고 뇌안에 구조뒤바꾼거임

  • @홍길동-v2b6d
    @홍길동-v2b6d 6 лет назад

    대단해요

  • @MSK-wj2yx
    @MSK-wj2yx 6 лет назад +6

    개념, 공식, 증명, 교육과정 순서, 유형

  • @유성호-y2i
    @유성호-y2i 6 лет назад

    제가 이과였는데 교대가 가고 싶어 수능을 다시 보려고해요
    수학은 문과수학을 보면 어느정도 올릴 수 있을것 같은데 제일 답답한게 국어, 영어이네요ㅠㅠ 현역 때 5등급이 나왔는데 1년 안에 영어1, 국어 2 이내로 나오려면 어떤 식으로 해야 좋을까요?? 국어, 영어도 영상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의대생이라니 정말 리스펙합니다ㅋㅋ

  • @가을-g5f
    @가을-g5f 4 года назад +1

    와 하루에 문제 얼마나 푸셨는지 알수있을까요 저도 참고하려구요

  • @친미파-f4l
    @친미파-f4l 6 лет назад

    의대생 김현수 구독하고 모두들 수학 1등급 맞읍시다.

  • @Justice_king1122
    @Justice_king1122 6 лет назад

    시험 잘보는법: 귀차니즘을 물리쳐라.. 구차나도 다음날 전날 공부한거 한번더 보고 공부 시작하고 구차나도 단어 반복해서 외우고 구차나도 수학 어려운거 틀린거 계속 보고 구차나도 아침마다 국어지문 읽어보고 -끝- "공부법 다 똑같다."

  • @yr4058
    @yr4058 6 лет назад +5

    수학공부 처음시작할때 중학수학부터 차근차근 시작했나요? 아님 바로 미2부터 했나요?

  • @gayoung4227
    @gayoung4227 6 лет назад +1

    다른 영상에서도 수학얘기를 많이 해주셨는데 국,영어는 어떻게 하셨나요? 원래 국어와 영어는 점수가 좋은 편이셔서 말씀해주지 않으신건가 생각했었습니다.ㅎㅎ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4

      수학은 미적분, 기벡, 확률과 통계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공부했던 반면 국어 영어는 영역마다 공부하는 방법이 달랐어서 영상 하나로, 글 하나로 설명하기가 힘들어서 어떻게 설명해야할지 고민 중입니다. 국어만 봐도 문학, 비문학, 문법 완전히 공부하는 법이 달랐으니깐요. 영어가 아무래도 좀 더 설명하기 쉬운 좋은 방법이 있어서 영어를 우선 먼저 찍어보려고요!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7

      그리고 수학 얘기를 제일 많이 하게 되는건 국어 영어가 성적이 좋았던건 아니지만 수학이 가장 드라마틱하게 올랐고 이과인만큼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했고, 그 과정에서 느끼는 바가 가장 많았던게 수학이라 계속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저도 고3 때까지 그냥 문제만 푸는걸로 점수가 안 오른다는 것을 느꼈어서ㅜㅜ

  • @marchjoy7607
    @marchjoy7607 6 лет назад +42

    국어도 해주세요!ㅜ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32

      국어... 설명하기가 힘든 과목이고 방대하긴 하지만 나눠서라도 해볼게요 기다려주세요!

    • @알라후-o9c
      @알라후-o9c 6 лет назад +1

      @정은하수 비문학은 문제가 크게 주제가 명확한 지문 명확하지 않은 지문이 있습니다. 주제가 명확한 지문 같은 경우는 주제의 근거 하나만 기억하시면서 지문을 읽어보세요 지문을 다 기억하려 하지 마세요 일반적인 사람이 비문학 지문 전체를 외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주제가 명확하지 않은 지문은 비교하는 지문이나 원리를 설명하는 지문이 있는데 비교지문들은 두 주장에 차이점,공통점을 밑줄치면서 읽으시고 원리를 설명하는 지문은 그 원리를 밑줄 쳐가면서 읽어보세요 처음엔 잘 안되겠지만 연습하면 금방 적용이 가능 하실거에요

  • @yunpianist
    @yunpianist 4 года назад +1

    와 8점은 한 번호로 다 찍어야 나오는 점순데

  • @동치미-w1s
    @동치미-w1s 6 лет назад +39

    현수님 저는 수학개념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풀어보지 못한 문제는 실전에서 손도 못댑니다. 그냥 문제만 보면 아 이렇게 풀면 되는 구나 하고 문제 자체를 외어 버려요. 안외우고 싶어도 저절로 그렇게 되더라구요 이경우엔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굼해요ㅠㅠ 아무리 연습해도 실전에서 새로운 문제가 나오면 못풀어요 ㅠㅜ

    • @머쓱타드-r4k
      @머쓱타드-r4k 6 лет назад

      저두요ㅠㅜ

    • @김소연-y5m3i
      @김소연-y5m3i 6 лет назад

      이거 진짜ㅜㅜㅜ

    • @Suflex_Kim
      @Suflex_Kim  6 лет назад +2

      해설을 보시니깐 외울게 생기고 그러니깐 외우게 되는거겠죠? 수학과목은 특히 해설은 절대 보지 마세요. 차라리 질문을 하세요 친구나 선생님에게

  • @tlgus3837
    @tlgus3837 6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이이하형
    @이이하형 3 года назад

    저 현수형 롤모델이에요 저도노력해서 형처럼 의대가고싶어요

  • @mineuplea7004
    @mineuplea7004 5 лет назад

    미분 적분이 아니라 수2도 존나어렵고 극한도 존나ㅜ어렵다 ㅅ0ㅂ 미분은 아직 닿지도 못했다..

  • @jeonggonkim3774
    @jeonggonkim3774 3 года назад

    여기글들 보면 재능이네 어째네 하는 사람들 지금은 어떻게 돼있는지 궁금하다 지금도 아직 바닥이라면 모선생님의 말을 빌려서 그래서니다 라고 얘기해 주고 싶네 그리고 수학바닥인 분들 중학수학부터 하세요 잘키우자tv에 나오시는 선생님도 중학수학을 강조합니다 그래야 수학의정석을 공부할때도 쉽다고요 모든과목에도 해당되는 얘기겠지만 수학도 무수히 많은 반복을 해야합니다

  • @retry946
    @retry946 5 лет назад +16

    원래부터 하드웨어는 좋았는데 안한 케이스인거죠? 네..결국 공부는 재능인걸로

  • @p데불라이트
    @p데불라이트 6 лет назад +1

    "무어 임상해부학 7편"

  • @이성자-e6f
    @이성자-e6f 6 лет назад

    안녕하세요 많이 늦었지만 말씀을 듣고 희망을 가지게 된 이과 예비고3입니다.
    사실 제가 수학이 많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고1과정인 수1 수2 그리고 고2 미1 미2
    다 부족하고 기벡은 예습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수1 2 미1 2를 다시 공부해야겠다고 다짐을 하였는데 수1 수2 미1을 어느정도로 공부해 놓아야 하나요 각각 문제집을 다 풀수있을정도록 하자니 다른과목들도 정말 많이 부족해서 시간이 부족할것같은데 교과서 정의 정도로만 공부를 해야할까요.
    그리고 항상 좋은 영상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노력하겠습니다.

  • @wonaix
    @wonaix 6 лет назад

    이 영상 처음보는데 어디 의대..세요?
    대단하시당

  • @뉴미-y7h
    @뉴미-y7h 3 года назад +1

    3년 전, 게시물이지만 조언 구하려 댓글 달아봅니다 현수님은 몇 월까지 개념을 잡으셨나요? 예비고3이고
    수학을 제대로 시작하게 되어 여쭤봅니다
    혹시 중학 과정 교재는 뭘로 하셨고, 고1과정은 얼마 정도 걸리셨는지 궁금해요
    이러다 수능수학 손도 못대고 수능 볼까봐 너무 두려워요

  • @김찐칫
    @김찐칫 6 лет назад +16

    형 저 이번년 이과 재수생입니다
    영상을 보고 궁금한게 생겼는데 답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형의 수학 개념을 다질때는 어떠한 문제집으로 공부하였고
    개념 다질때 수학 1 수학2 미적분1도 공부를 해야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저의 이번 수학 수능 등급은 4등급입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야무진놈-w1q
      @야무진놈-w1q 6 лет назад +3

      4등급이다=난 고난도 빡세서 못풀지만 기본응용은 다 풀 수 있다.
      시중에 접할수 있는 유형이라는 문제들은 절대 킬러로 나오지 않습니다. 유형화된 믄제는 2.3점이면 몰라도 4점은 쉽게 안줘요
      문제를 많이푸는게 아닌 한권을 풀더라도 틀린게 더 많으면 많을수록 천천히 해야합니다.
      개념은 공부하는방법이 읽고외우고가 아니라 적용을 해보고 안되는것들은 혼자서 잡아놓고 고민해야합니다. 시간이 몇시간이 지나던간에 그걸 알아내면 절대 잊어 먹지 않거든요.
      밑이 흔들리면 위에도 무너지기마련이기에 저는 자퇴하고 중1수학부터 다시했습니다.
      문과긴 하지만 수학의 공부방법은 더 했음 더했지 다르지는 않을것같아 남겨봅니다.
      고민하는 시간이 답을 못찾아도 사고력확장에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고난도 문제는 여러개의 개념이 섞여 나오기에 더 어려워보이지 하나씩 까보면 기본문제 엮어놓은 수준입니다. 모든 문제는 틀린거에 감사하고 왜틀렸는지 문제당 적어도 30분은 고민해보세요!

    • @김찐칫
      @김찐칫 6 лет назад

      @@야무진놈-w1q 감사합니다 참고할께요 ㅎㅎ

    • @svs9031
      @svs9031 6 лет назад +1

      ㅇㄷ

    • @이민우-o9c
      @이민우-o9c 6 лет назад

      예비고3인데 혹시 가형이 진짜어려워서 나형으로 돌리신거에요? 현역때몇월달부터나형보셨나요 바꿀려면 지금부터 바꿔야되요?

    • @오현민-l6p
      @오현민-l6p 6 лет назад

      이민우 본인 의지가 있으면 빨리 바꾸는게 좋아요 근데 저는 바꿔서 1등급 나오니깐 나태해져서 공부를 버렸죠... 5월에 준비하시고 7월부터 문제풀면 딱 좋은거 같아요

  • @s서연
    @s서연 4 года назад +1

    고3인데 정시도 수시도 그냥 답 없는 학생입니다.. 이제 정시는 5개월 반 남았는데 이 기간동안 역전이 가능할까요..? 공부 못하는 학생인데...

  • @jyjy117
    @jyjy117 6 лет назад +1

    의대졸업후 진로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보통적으로 임상의쪽으로 가던데 그 진로이외에 다른 진로도 알고싶어요.(기초의학연구나 기업입사 등등)
    그리고 의대는 적성이 많이 중요한가요? (피 보는 것을 무서워하면 힘들다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