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실학자가 직접 보고 그린 ‘거북선 그림’ 찾았다 / KBS뉴스(News)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 누구나 알고 있지만, 사실 정확한 실제 모습은 아직 아무도 모릅니다.남아 있는 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인데, 조선 후기 실학자가 직접 보고 그린 거북선 그림이 최근 발견됐다고 합니다.
    김석 기자가 소개해드립니다.
    [리포트]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돌격선으로 혁혁한 공을 세운 거북선.
    하지만 영화나 드라마와 달리 거북선의 실제 모습을 보여주는 기록은 남아 있는 게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최근 한 미술사 연구자가 조선 후기 실학자의 서화첩에서 뜻밖의 장면을 찾아냅니다.
    19세기 호남을 대표하는 하백원이란 실학자가 충남 보령 유배 시절인 1842년 보령 앞바다에서 뱃놀이를 합니다.
    지금의 충청 수영, 즉 조선 수군 기지가 있던 곳입니다.
    유람을 마친 일행이 시와 그림을 모아 펴낸 서화첩입니다.
    하백원이 직접 그린 그림 한쪽에 배 두 척이 보입니다.
    조선 수군의 주력 선박인 판옥선 옆에 있는 배를 자세히 보면, 갑판 위에 거북 모양의 구조물이 얹혀 있고, 거북 등껍질 무늬가 선명합니다.
    영락없는 거북선입니다.
    [황정수/미술사가 : "실제 거북선의 모습은 어땠는지 그게 매우 궁금했는데, 아마 판옥선이나 그런 데 위에 거북의 모습을 장식해서 매우 튼튼한 형태로 만든 게 거북선이 아니었나..."]
    이뿐만이 아닙니다.
    하백원은 그림과 함께 실은 시에서 "거북을 숨겨 오묘하게 사용했던 이충무공의 전함이 물가에 가로놓여 있다"고 적었습니다.
    실물을 보고 그렸다는 얘깁니다.
    1795년에 간행된 '이충무공전서'에 거북선 그림이 남아 있긴 하지만, 당대 인물이 실제 거북선을 보고 그린 건 이 그림이 유일합니다.
    거북선이 1842년까지도 운용됐음을 알려주는 획기적인 기록입니다.
    [황정수/미술사가 : "단순한 회화라기보다는 실학적 사상을 담고 있는 회화라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그림은 그동안 자료 부족에 시달려온 거북선 연구에 중요한 사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이순신장군 #거북선 #역사

Комментарии • 502

  • @백호현-y8u
    @백호현-y8u 3 года назад +53

    대한민국의 국민여러분 국민이 이나라의 주인입니다, 주인이 바르게 행동해야 정치인이 주인에게 함부로 하지 않습니다,!

    • @김경자-u9q2i
      @김경자-u9q2i 3 года назад +6

      공감합니다! 아쉬운것은
      중공놈
      들 우리나라 집사서
      월세놓고 떵떵거리
      며 살고있는 상황입
      니다 집 매매는 우리끼리 합시다
      6.25 때 중공넘들
      개미떼 처럼 처들어
      와 초토화 되지않았
      나요 우리나라 곳곳
      에 중공넘들 떼거리로 살고있읍니다.
      정신차립시다?네!!!!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131

    저 그림을 자세히 보면 좀 어색하지만 판옥선,협선 에서 보이는 선미(쌍엽미)가 총 세군데에서 보입니다 따라서 그림속 배는 세척임을 알 수 있습니다.(아마도 멀리서 정박되어 있는 배를보고 그린 탓에 눈에 보이는 형태만 대략적으로 그린 느낌입니다)
    첫번째 그림은 방패판과 여장이 완전한 판옥선 형태이며 두번째 그림은 1층 갑판만 있는 것이고 세번째 그림은 용두와 거북등이 협선과 같은 배에 실려 있음을 알 수 있죠 또한 첫번째 그림과 세번째그림을 합치면 완전한 거북선 형태가 됩니다. 즉 완성된 거북선이 아닌 제작중인 거북선이라고 생각되어지는 부분이죠 그리고 흥선대원군 집권기인 19세기에도 거북선이 사용된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진 사실입니다.

    • @phy7
      @phy7 3 года назад +10

      이게 맞는것 같은데..

    • @Kirakirahikaru_
      @Kirakirahikaru_ 2 года назад +2

      개소리 ㅋ 귀갑선 자체가 판타지임

    • @버프코트
      @버프코트 Год назад +14

      @@Kirakirahikaru_ 왜 그렇게 생각함? 나름의 근거는 있지?

    • @bgm-A-ha
      @bgm-A-ha Год назад +4

      @@Kirakirahikaru_ 오 밑에 분이 궁금해 하시네요

    • @crufus
      @crufus Год назад

      ​@@Kirakirahikaru_ 귀멸의 칼날 같은 느낌인거야 혹시?

  • @ih7411
    @ih7411 Год назад +4

    솔직히 그림 수준이 너무.. 감각이 없는 사람이 그린 거여서 고증은 커녕 혼선만 줄 것 같군..

  • @jaewoanpark5795
    @jaewoanpark5795 3 года назад +17

    그림보니까 더 애매해지는데..

  • @두루미-g9c
    @두루미-g9c 3 года назад +103

    너무 대충 그린거 아니냐고 ㅋㅋㅋㅋㅋㅋ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4

      멀리고 보고 그린탓이라 생각되어집니다.그저 대략적인 형태만 알아볼 수 있었겠죠

    • @bringing-9911
      @bringing-9911 3 года назад

      이건 너무한거 아니냐고오~

    • @shiruwa4617
      @shiruwa4617 3 года назад

      설계도가 나와야지... 그냥 그린 그림인데 뭐 어쩌겠음

  • @in_view6825
    @in_view6825 Год назад +14

    거북선을 실제로 본사람의 자취라니 흥미롭고 신비합니다

    • @hiroono1
      @hiroono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순신이 죽은 것은 1600년 이전인데, 1795년이나 1842년에 조선인이 그린 그림에 무슨 의미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한국인은 역사의 증명에 무엇이 필요한지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니까 노벨상을 잡을 수 없는 것이다.

  • @jasmin-fn8xu
    @jasmin-fn8xu 2 года назад +12

    거북선 종류, 거북선 버전이 여러개 있지 않았을까라는 추측도 해봄 실제로 조선후기까지 거북선은 여러개라 했었음 그때까지 거북선 제작할때마다 그당시 시대적 상황이나 변화되는 여견과 상황들과 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조금씩 바뀌니 여러버전도 존재했을것같음 왜냐하면 임란이후 눈에 띈 큰 해전은 없었으니

  • @레오쓰-x9n
    @레오쓰-x9n 2 года назад +31

    시기적으로 볼때 임진년 당시와 비교해도 많은 시간이 흘러가서 저 그림 만으로는 이순신 장군이 만들었던 거북선 원형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많아 보이네요.

    • @쉴레이만은솔로몬유수
      @쉴레이만은솔로몬유수 Год назад +5

      ㄹㅇ 지금 국군 무기 보고 대한제국군 독립군이 쓰던 무기 추측하는 느낌

    • @oxdoxx
      @oxdoxx Год назад +1

      @@쉴레이만은솔로몬유수 대댓글 비약이 좀 심하군요.
      저 당시엔 100~200년 흘러도 배나 기타 물건들 변화가 매우 더디거나 거의 변하질 않습니다.
      그런데 현대엔 20년만 지나도 완전히 달라지는 무기체계를 저 당시에 견주다뇨... 비유를 해도 생각을 좀 하고 하시길

    • @BrianHSC
      @BrianHSC Год назад +1

      @@oxdoxx 그건 그 배나 물건이 계속 이어져 왔을때 얘기지. 거북선은 사라진지 250년이 지난후에 말로만 전해진걸 복원한건데. 비유를 해도 생각을 좀 하고 하시길.

    • @hiroono1
      @hiroono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oxdoxx 이순신이 죽은 것은 1600년 이전인데, 1795년이나 1842년에 조선인이 그린 그림에 무슨 의미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한국인은 역사의 증명에 무엇이 필요한지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니까 노벨상을 잡을 수 없는 것이다.

  • @카네아-y5v
    @카네아-y5v 3 года назад +41

    저 거북선은 그냥 거북선이라는 것만 알리려고 배 그림 위에다 거북이 그림 그린 거 아닌가;;;
    아무리 그래도 그냥 배 위에다 거북이형상 만들어놓은 걸로 조총 무장한 일본군이 찌발렸다는 건 당한 애들 입장에서도 안습이잖아요;;;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2

      거북선 상판을 운반하는 운반선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 @nolboo_korea
      @nolboo_korea 3 года назад +1

      딱 봐도 만화에 가까움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최고소비에트 엘리자베스 키스의 이순신 장군으로 추정되는 영정그림의 뒷면에도 거북선의 모습이 등장하며 비록 19세기의 그림이지만 수군조련도에도 거북선의 모습이 나오죠 영상속 그림은 멀리서 바라본 탓에 대강의 윤곽만을 그린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 @nolboo_korea
      @nolboo_korea 3 года назад

      @@황필립의잡동사니 그건 후대에 그린 상상도죠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nolboo_korea 무엇을 상상도 라고 말씀하시는 것인지 이해를 못했습니다.엘리자베스 키스의 이순신장군 추정 그림의 배경으로 사용된 거북선이 상상도 라고 말씀하시는 것인지 수군조련도가 상상도 라고 말씀하시는 것인지

  • @hansolkim0426
    @hansolkim0426 3 года назад +142

    유일한 그림이라면서 넘기는대 종이를 저렇게 잡아넘기나?????

    • @rlagns0802
      @rlagns0802 3 года назад +20

      시팔 ㅋㅋㅋ 구기면서 넘기네

    • @olo꺽정
      @olo꺽정 3 года назад +22

      그래도 손에 침은 안바르고 넘기네요

    • @쒄샤인
      @쒄샤인 3 года назад +6

      설마 사본이겠지 설마ㅋㅈㅋ

    • @DragonSeasoning
      @DragonSeasoning 3 года назад +23

      사본이지ㅋㅋㅋ 진본은 딴곳에있겠지

    • @dy5hxf7yw3
      @dy5hxf7yw3 3 года назад +2

      종이 질감 보면 진본 같음

  • @dlrpskfksi
    @dlrpskfksi 3 года назад +5

    그림실력이거나 뱃놀이니 실전함이 아닌 이벤트선박 가능한 상황이죠

  • @mistyarea4512
    @mistyarea4512 3 года назад +16

    너무나 소중한 자료인데도 조심스레 다루지 않고 헌책 다루듯 막 넘기는 저 인간은 대체 누구야..저거 어느 인간 손이고

  • @예원-r3p
    @예원-r3p 3 года назад +16

    2:00 1800년대 까지 운용 됬다는데
    1:49 1700년대에 그린 그림은 왜 신뢰하지 못한다는거지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1

      강단사학자들이 문제죠 하긴 쓰다소키치,이마니시 류를 한국역사의 큰 스승으로 모시던 이병도 일파가 조선사편수회를 이끌고 그런 이병도를 큰스승으로 모시고 다시 국사편찬위원회가 바톤을 이어받을 것을 보면 우리역사가 얼마나 꼬여있는 지 알 수 있습니다.

  • @brianjung4649
    @brianjung4649 2 года назад +2

    1800년대까지도 거북선이 존재한 것인데. 정조실록에도 거북선 이야기가 나온다. 최후의 거북선들은 대체 언제 어디로 사라진 것이냐?

  • @비토슈나이츠
    @비토슈나이츠 3 года назад +39

    오랫동안 운영해 온 배 인데도 기록된 그림이 거의 없는 것도 미스테리다

    • @soulkim6962
      @soulkim6962 3 года назад +34

      일제강점기때 거의다 손실되엇따고 보시면 됩니다. 누가 가져가고 일본사람이 가져가고 불태우고 파손시키고 이순신에관한 거의 모든것을 없앴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초상화나 거북선그림 전국에 5~~6군데 있었는데 다 없앴다고 기록도 있습니다. 이순신을 시기하는 관료들이 거북선 불태우고 그런적도 있었던걸로 압니다.

    • @주현웅-i7o
      @주현웅-i7o 2 года назад +12

      일본놈들이 불태우고 파손시킴.

    • @수텔라-j8x
      @수텔라-j8x Год назад

      일본이 파손시켯다는건 개소리고 이순신에 대해. 관심이없엇기때문에 관리도 없고 해서 사라졌음 나라에서 거북선 설계에대해 관심이없엇음

    • @무지개-m1e
      @무지개-m1e Год назад +8

      내가 일본 인 이었어도.. 이순신 기록은 태워 버린다.

    • @쉴레이만은솔로몬유수
      @쉴레이만은솔로몬유수 Год назад +5

      군사 기밀이니까

  • @user-tz3ox6iv9e
    @user-tz3ox6iv9e 2 года назад +6

    막걸리 한사발 하시고 그렸냐고ㅋㅋㅋㅋ

  • @미국가재-i4e
    @미국가재-i4e 3 года назад +21

    그린사람이 대충 그렸을지도 모르는거 아닌가 의미부여 쩌네

  • @밝은빛-i5d
    @밝은빛-i5d 2 года назад +3

    글세다 저건 거북선이 아니라 해삼선같음

  • @bright_energy
    @bright_energy Год назад +2

    에라이...

  • @innijo6026
    @innijo6026 3 года назад +51

    딱봐도 그림솜씨 젬병
    두루뭉술하게 그렸네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멀리서 보고 그린 탓이겠죠^^
      어렴풋이 보이는 형태만 그렸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 @배우조-k1e
    @배우조-k1e 3 года назад +4

    3층이고 단순히 한가지 거북선만있는게 아니라 버전도 여러가지 용도로 다양하게 제작됨임

  • @jhpark585
    @jhpark585 3 года назад +22

    소중한 자료네요.

    • @hiroono1
      @hiroono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순신이 죽은 것은 1600년 이전인데, 1795년이나 1842년에 조선인이 그린 그림에 무슨 의미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
      한국인은 역사의 증명에 무엇이 필요한지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니까 노벨상을 잡을 수 없는 것이다.

  • @이영찬-d5l
    @이영찬-d5l Год назад +5

    거북선 초안만 잡아놓은 작품인듯...저 상태에서 계속 업그레이드 되어 좀 더 완전하고 멋진 작품이 되었을 것입니다.

    • @siesta11
      @siesta11 Год назад

      1842년이라자나 멍청아

  • @djangolee7671
    @djangolee7671 3 года назад +4

    임진왜란 전인 1590년도쯤에 만든 거북선이 갑자기 400년후인 1842년까지 운용을 했다고? 에라이 ~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2

      네 사실입니다.흥선대원군 집권기에도 거북선이 운용되었습니다.대신 형태는 많이 변했겠죠 아무튼 19세기에 그려진 수군조련도병풍에도 그당시 모습의 그북선이 남아있습니다.

  • @MAKJJANG.
    @MAKJJANG. 3 года назад +20

    검색을해보니 이순신장군은 1545~1598 생존하셨던 분이신데
    1842년이면 저 거북선이 적어도 당시의 원형인지 원형에 가까운 형태라고 볼 수 있을지 의문 입니다.

    • @Emperor0313
      @Emperor0313 3 года назад +7

      거북선은 왜란전 이순신이 만든게아님. 태종때부터 이미 거북선에 대한 기록이 나와있음. 우리 수군의 주적은 왜구였음. 등선육박전을 감행하는 왜구에 대항하기위해 지붕을 씌운게 거북선. 따라서 거북선의 역사는 이순신이 시작이 아닌 그 이전부터 그리고 그 이후에도 모습을 조금씩 변형하며 존재.

    • @jeana-
      @jeana- 2 года назад +1

      처음이 완벽하진 않겠죠 개발을 했을거건 함

  • @heranos
    @heranos 3 года назад +35

    군사기밀이라 대충 그렸나 봄.. 진짜 그런가 봄!!

    • @ILovekorea365
      @ILovekorea365 3 года назад +2

      아 ㅎㅎ 군사기밀...
      그래서 일본 스파이가 그린건 3층...
      맞아요.. 스파이가 제대로 보고 그림을 남긴게 확실한듯요. 제가 3층짜리 배를 봤고든요. 어떤 역사 영상에서요

    • @raytv8109
      @raytv8109 3 года назад

      일본 스파이가 그린 것은 3층이라던데

    • @hj-yk2xn
      @hj-yk2xn 3 года назад

      @@raytv8109 저거도 층수로는 3층으로 보이기도 함

  • @행성연방
    @행성연방 3 года назад +2

    봐도 모르겠는데
    게다가 이순신때와 시기가 몇백년 차이가 나서 저게 이순신 시절 거북선하고 같은 구조일거라는 보장도 없죠... 아무리 군 개혁을 느리게 한다고 해도 몇백년이면 많은게 변할 수 밖에 없으니까요...

  • @nanaiu513
    @nanaiu513 3 года назад +19

    정말루 그리중요한 시기에 만들어긴거면 그냥 저리 맨손으로 저리 구겨질만큼 힘들여서 만져도 괞찬은건가... 장갑없이???

  • @유진선-j9j
    @유진선-j9j Год назад +1

    다가짜다.상상일뿐이다.

  • @graycain
    @graycain Год назад +1

    암만봐도 세척이 아니라 한척을 조립하고 있는 것 같은데...

  • @Peterjoo74
    @Peterjoo74 3 года назад +14

    나보다 잘 그렸지만 저걸 그림이라고 그린 거면 절대로 화가는 아닌듯...

  • @술한잔에달에게묻다
    @술한잔에달에게묻다 Год назад +1

    아이고~~대구수성못에 저거북선 20척이있는데 난 이때까지 오리배인줄알았는데 거북선이였다니 ㅡ.,ㅡ...

  • @qndhctsienfklr
    @qndhctsienfklr Год назад +2

    거북선의 그림 자료가 많지 않지만 이 뉴스처럼 아주 없는 것도 아닙니다.
    거북선을 건조한 시기나 건조한 장소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태와 구조를 가진 것 같은데
    세밀하게 묘사한 그림은 1790년 대에 그려진 일본에서 발견된 그림이 있습니다.
    176cm*240cm의 큰 비단에 판옥선과 거북선 4척이 세밀히 묘사된 채색화인데
    주변의 조선군 복장과 무기의 묘사로 미루어 매우 사실적인 그림이라고 생각됩니다.
    그외에도 근대에 일본인이 그린 조선역해전도를 보면 매우 고증이 잘 되어 있는데
    그 그림에도 거북선이 나오는데 근대 직전까지 거북선이 존재했고 그림에 등장하는 여러 묘사가 매우
    사실적이고 정확해서 그림을 그린 화가가 당시까지 남은 자료나 직접 본 것을 확인하면서 명랑해전을
    재현해서 그린 것이라 생각됩니다.
    조선의 배와 복식 무구들의 묘사가 너무 정확해서 화가의 상상만으로 그렸다고
    보기 힘든 묘사입니다.

    • @김성호-k4j
      @김성호-k4j Год назад +1

      글 잘 읽었습니다
      조선역해전도는 저도 보았으나 1790년에 그려졌다는 거북선은 보질 못했는데요
      볼수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시길 바랍니다

    • @qndhctsienfklr
      @qndhctsienfklr Год назад

      ​@@김성호-k4j 1790년의 그림이라고 적었지만 검색된 여러 글을 보면 정확한 연대는 아닌 것 같습니다.
      더 오래된 그림일 수 있습니다.
      url 주소가 있는 댓글이 자꾸 삭제되어 검색할 방법만 적습니다.
      사진은 거북선 일본 그림을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그나마 정보가 많은 글을 보려면
      구글에서 “한국의 사라진 선박 (3)- 거북선 (龜船) (2편) - 까마구둥지”를 검색하시고
      “‘300여년전 거북선’ 고서화 공개- 전북도민일보”로 검색하면 그림을 얻게 된 경위가 더 자세히 나옵니다.

  • @uncletype
    @uncletype 3 года назад +2

    헐 대박!!!!♡♡

  • @xxx9349
    @xxx9349 3 года назад +4

    서양화가가 그린 이순신초상 모사본보면 뒤에 나온 거북선들이 레알버전임.. ㅉㅉㅉ

  • @손하늘-c7s
    @손하늘-c7s 3 года назад +38

    저렇게 생긴 배가 일본군함들을 물리쳤다고...? 일반 판옥선보다 약해보이는데 ㅋㅋㅋㅋㅋ

    • @humblemumble410
      @humblemumble410 3 года назад

      철갑선이자너..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3

      어색한 부분이 있지만 선미 부분만 보면 배는 세척입니다.맨앞의 한척은 가운데 갑판이 올라간 형태이며 가운데 배는 1층 세번째 배는 거북등 즉
      첫번째 배와 세번째 배의 거북등을 합치면 우리가 알고있는 형태의 거북선이 됩니다.
      저 장면은 거북선이 완성되기 이전의 단계에서 협선과 같은 배에 거북등이 실려있다는 추측이 가능한 것이죠 제 개인적 생각으로는
      멀리서 보고그린 그림이다 보니 대략적인 형태만을 보고 그려넣은 듯 싶습니다.
      임진왜란 당시에 활약했던 주력 전선들은 판옥선입니다.거북선은 돌격용으로 우수영과 좌수영에서 만든 거북선 총 세척뿐 이었습니다.

    • @0SeolHwa0
      @0SeolHwa0 3 года назад

      참고로 말하자면 일본은 당시 군함이랄게 없었습니다. 그냥 수송선에서 보병들이 활쏘는 수준이였디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2

      @@이름-b1p1d 왜군들은 해적질하던 습관이 남아있어서 적선에 붙어서 육박전을 치루는 것이 더 익숙하고 일반적인데 조선수군이 원거리에서 포를 쏘니 가까이 붙기가 힘들었죠 이런 유리한 위치에 있으면서도 조선수군을 괴멸시킨 원균은 정말 분통터지는 인물이죠

    • @Dwaejigugbab2658
      @Dwaejigugbab2658 3 года назад

      @@황필립의잡동사니 무타구치 렌야 스승아니냐 ㄹㅇ

  • @14...36
    @14...36 2 года назад +2

    충무공께서 용두에서 포를 발포한다고 하셨으니 용머리는 어찌됐든 포를 쏠수 있는 구조와 위치를 지녔을것인데 저 그림은 용두에서 포를 쏠수는 없어 보이네요ㅋ

  • @rockyoh
    @rockyoh 3 года назад +3

    거북선 초기에는 대단하였지만 영국에서는 증기기관 배로 갈아탈때 조선은 아직까지 판옥선을 썼다. 정치가 왜 중요한지 알려주는 대목.

  • @박준호-h8n9g
    @박준호-h8n9g 2 года назад +1

    생긴거만 보면 무슨 등불축제용 덮개 같음.ㅠㅠ
    구도도 엉망..갑자기 누워 있음.ㅠ
    그림도 대충...이건 너무 작아서 그렇다치지만 실루엣이라도 잘 좀 그리지..전혀 참고가 안되는 그림..ㅠㅠ

  • @김경렬-m3k
    @김경렬-m3k Год назад +1

    사실 거북선 보다 판옥선은 현재까지 알려져 형태를알고 있으니 그림과 비교해보면 형태가 많이 다름 따라서 거북선을 보고 그렸다는것과 사실적이라는것은 인정하기 어렵다

  • @JUNGSEONGHOON
    @JUNGSEONGHOON 2 года назад +1

    너무 대충 그렸다.
    거북선 원형을 아무도 모르는데
    안타깝다.
    레고에서 거북선에디션 출시해야하는데
    시장성은 있다고 본다.
    근데 원형을 알아야 레고로 만들것 아닌가.

  • @와따간다
    @와따간다 3 года назад

    그림에 집봐봐 거북선 크기가 어마어마하다는건데 그림이 그냥 묘사한거네

  • @오민혁-q3d
    @오민혁-q3d 3 года назад

    멀리서 본겁니다 해상도 엄청 떨어져요

  • @nolboo_korea
    @nolboo_korea 3 года назад +1

    1:51 이것도 가짜
    2:18 이것도 가짜
    진짜는 사료에 기록된 바와 같이 입에서
    대포를 쏠 수 있어야 함

  • @charlie_0712
    @charlie_0712 3 года назад

    임진왜란은 1592년이구 실학자는 1800년대 사람인데 저 그림이 맞는건가...

  • @되돼틀리면우는냥이
    @되돼틀리면우는냥이 Год назад +1

    1:58 몇백년되었고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자료로 역사적 가치가 높은 자료를 저렇게 막 구기듯이 넘겨도 되는건가?

  • @oooo-wf3gh
    @oooo-wf3gh 2 года назад

    1:58 불편하네. 저렇게 어거지로 페이지 넘기는 게 맞나?
    중요한 자료면 장갑을 끼고 조심히 해야하는 거 아닌가?
    설마 가짜야?

  • @-kitsune_
    @-kitsune_ 3 года назад +3

    그랬다... 그는 그림을 못그렸다

  • @-xg5wi
    @-xg5wi 2 года назад +10

    어릴적 어떤 친구가 그렸던 그림이 떠오른다.. 그런데 그친구는 매우 그림이 서툰 친구였다.... 그 친구는 사람의 몸통을 빼먹고 그렸다. 그래서 그친구가 그린 사람은 문어마양 머리에 팔다리만 붙어있는 기괴한 모습이었다. 그럼에도 그친구는 자신의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했다.... 그림이 저정도로 서툰사람이 그린그림은 아무리 직접 본것을 그렸다해도 그 형태가 정말 똑같다고 할 수 없다. 저 그림도 딱 그수준이다. 오히려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다.

    • @AAA-dw8cs
      @AAA-dw8cs 2 года назад

      쉽게 말해도 될 것을 빙빙돌려서 말하네 늙은 조선족답다

    • @-xg5wi
      @-xg5wi 2 года назад

      @@AAA-dw8cs 쯧쯧쯧... 댓글 수준을 보니 니 엄마가 널 어떻게 가르쳤는지 잘 알겠다. ㅋㅋ

    • @AAA-dw8cs
      @AAA-dw8cs Год назад

      항선이 할 말 없으니까 다른 사람 부모님 욕하냐 니네 엄마 시체는 무덤에 남아있긴 하니ㅠㅠ

    • @-xg5wi
      @-xg5wi Год назад

      @@AAA-dw8cs ㅋㅋㅋ 욕이 뭔데?

    • @-xg5wi
      @-xg5wi Год назад

      @@AAA-dw8cs 욕이라고 느꼈다면 니가 슨거밖에 더있냐? 게다가 본인 이름은 숨기고 AAA 라는 닉네임 쓴 주제에 남이름을 함부로 쓰는 너랑 글섞기 싫다. 댓글 쓰지마라.

  • @응애에요-r6f
    @응애에요-r6f 3 года назад +7

    거 구라가 너무 심한거 아니오
    내 거북선 돌려다오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선미 부분으로 보았을때 세척이며 나란히 배들이 정박해 있는 것을 이렇게 겹쳐서 표현 한 것으로 보여지며 완성된 거북선이 아닌 건조중인 것으로 추측됩니다.첫번째 배는 판옥선 가운데 배는 협선형태의 1층짜리 배 세번째 배는 거북선의 용두와 상판이 실려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즉 첫번째 그림의 배에 세번째 상판을 올리면 우리가 알고있는 거북선의 형태가 되는 것이죠 아무래도 멀리서 보고 그리다 보니 대강의 형태만 그렸을 뿐이란 생각이 듭니다.그리고 이 그림으로 보았을때 거북선은 삼층 구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헐버트 박사가 조선에서 살던 18세기 말 19세기초에 해외전시에 출품하려한 거북선 모형도 3층구조입니다.

    • @M싸쁘라
      @M싸쁘라 3 года назад

      구라는 일본말.

  • @samueljang1204
    @samueljang1204 Год назад

    유배자가 뱃놀이도 했나요? 이게 더 놀라운 내용이네요.

  • @redfox2479
    @redfox2479 3 года назад +18

    너무 추상적인데 마치 촛점흐려진 ufo 사진마냥

  • @canlim1852
    @canlim1852 Год назад

    1800년대 후반이면 거의 현대에 가까운데 실제 거북선이 있었다면 분명 많은 자료가 있어야하는데 달랑 저거 하나만 있다는게 말이 안됨…미스테리…

    • @appleseed4884
      @appleseed4884 Год назад

      아마거북선이 아니라...만들다 만 배겟지욧

  • @rdmmechguy3361
    @rdmmechguy3361 Год назад

    저 그림 본지가 10년도 넘었는데?

  • @늑대-m2o
    @늑대-m2o 3 года назад +12

    거북선보고 무서웠다는대 배위에 거북이
    올려두고 전쟁하로온 미친놈들인줄 알아서 무서웠던건가

    • @35kfp
      @35kfp 3 года назад

      하러온

  • @army-bird
    @army-bird 3 года назад

    실학자라고 실제 처럼 그림을 그렸다고 생각하면 오산. 그림 전체, 수군 기지부터 살펴보고 거북선 그림을 봐야함. 그림에 거북선에 특징이 되는 포인트가 있기는 할텐데 그다지.

  • @dyshs38372
    @dyshs38372 3 года назад +2

    곧 알고리즘의성지가된다

  • @늘그래-m4t
    @늘그래-m4t 3 года назад +15

    그동안 우리는 거부기한테 쇠뇌당함

  • @charleslee2571
    @charleslee2571 3 года назад +27

    어째 오리배 처럼 그렸남?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1

      멀리서 보고그리니 어쩔 수 없이 대강의 형태만을 그렸겠죠

  • @부르니부름
    @부르니부름 Год назад

    거북선이 더 이상해저 버림 저건 거북선이 아니라 유원지에 오리선임

  • @onnya4753
    @onnya4753 3 года назад

    멀리서 대충그린 그림인데, 저 그림으로 거북선의 자세한 구조를 명확히 알순없고, 판옥선과 같은 하부구조를 갖고있었다는것정도는 확인이 되네요.(처음 거북선이 판옥선을 개조한걸로 아는데 새로울거없는 정보인가..) 조선수군이 1840년대에도 거북선을 운영해오고있었구나 라는 정보도 알수가있고요.(이정보는 어디서도 접한적이 있는데)
    그리고, 19세기때 거북선이 임진왜란때 거북선과 같다는건 장담할수가 없음. 시대에 따라 조금은 변했을거임.

  • @멍-v5h
    @멍-v5h 3 года назад +1

    멀리 있는거 보고 그려서...

  • @BrianHSC
    @BrianHSC Год назад +2

    거북선이 사라진 250년후 누가 말로만 전해져 내려온걸 대충 복원한거구만. 판옥선 위에 거북이 형상이라니까 말그대로 판옥선 위에 거북이 올려놓고. 그걸 또 발로 그린걸 보고 찾긴 뭘 찾어.

  • @신재호-o4p
    @신재호-o4p Год назад

    오~!!! 전 잘 모르지만 현대군함에 조종실 조타실 과 무기(포)를 거북이 모양속에 넣어놓은듯 보여지네요 왜 군함 중간에 높게 올려진 부분 있자나요..
    아래는 노를 저어서 노꾼들이 있고 그위를 덮고 그위에다 거북이 모양으로 구조물을 올려진듯 보여집니다...

  • @시니주
    @시니주 Год назад

    역시 내생각대로 거북선은 과대평가받고 판옥선은 과소평가

  • @lkj526
    @lkj526 Год назад +3

    저 그림이 그림으로 그쳐야 하는 이유는
    기능적 요소들이 하나도 해결이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전투중에 노를 젖는 기능이 불가능하고 활을 쏘거나 포를 날리고 적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매우 제한적이라 할수 있다. 저런 배 1척으로 적의 배 300척을 물리치는 것은 불가능하다.
    거북선에 관심이 많아 수많은 세월 거북선을 관찰하는 입장에서 절대 저것은 보고 그린 그림이 아님..!!

  • @wusongyang7751
    @wusongyang7751 Год назад

    저것이 거북이로 보인다니 참.... 꿈보다 해몽이내요

  • @disopp
    @disopp Год назад

    풍경화에서 멀리 보인걸 그린 것과 충무공 전서에 실린 그림.
    뭐가 더 실제 모습에 가까울까 생각해보면,
    난 후자일 수 밖에 없음.

  • @seijin70
    @seijin70 Год назад

    해골선 아닌가요? 거북선을 개량한 배가 있었다고 하던데...

  • @kohjuwon2549
    @kohjuwon2549 Год назад

    1795년 이충무공 전서의 거북선 그림이 훨씬 신뢰가 가는데, 그건 상상으로 그린건가요? 1842년까지 거북선이 존재했다면, 1795년에도 당연히 실물 그대로 그린 거 아닐까요? 더구나 훨씬 디테일한데요?

  • @신형두
    @신형두 3 года назад +4

    상상도네!

  • @HanWoong1015
    @HanWoong1015 Год назад

    그나마 거북선의 외형 형태 모습을 잘 구현한 게 '1592'랑 '한산: 용의 출현'의 거북선이 잘 표현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 @sunpika73
    @sunpika73 3 года назад

    거북선뿐 아니라 주위 다른 배나 사람도 형체만 알아볼만큼의 실루엣으로 그린 걸로 보아 스케치처럼 대충 그린 듯.

  • @가을에-h7k
    @가을에-h7k Год назад +1

    내가 조선후기에 살았냐 ?

  • @네오도라
    @네오도라 3 года назад

    현실이 영화야

  • @cyh831214
    @cyh831214 Год назад +1

    1:58 옛 고서인데, 종이가 비닐로 되어있나, 왤케 쌔게 잡아 넘기는지. 비전문가인 내가 봐도 저러면 안되는거 아닌가 싶구만

  • @초묘-g3p
    @초묘-g3p Год назад

    저 그림만 놓고 봐도 등 장갑을 따로 붙인 걸 알 수 있다.
    저걸 나무로 굳이 저 모양을 했을 리는 없고 분명 나무판에 철판을 얇게 붙였을 가능성이 높다.

  • @강철의사신책제목임
    @강철의사신책제목임 3 года назад +1

    이순신 장군은.. 거북선을 만들생각이 아니고.. 판옥선에 나무덮개와 철판덮개로 보강을하고,적이 올라오지 못하게 날카로운 철심을 설치한 귀선을 설계및 제작한것을.. 후손들과 학자들이..거북이 거북이 하네.. 귀선 아녀?

  • @bluespeaker1able
    @bluespeaker1able 3 года назад +6

    제비선 이라불러야겠다

  • @namu_c
    @namu_c 3 года назад

    다른 형태들를 보면 알지만 저건 설계도가 아니라 배를 보고 대략적인 느낌을 그려놓은 것 뿐임
    판옥선은 저렇게 생김? 나무 젓가락 몇개 붙여 놓은 것처럼? 이걸로 정확한 형태라고 하기 너무 부족함 아주 대략적인 분위기일뿐

    • @황필립의잡동사니
      @황필립의잡동사니 3 года назад

      멀리서 보고 그린 탓인지는 모르지만 대강의 형태만 그렸거나 거북선 상판을 운반하는 운반선의 모습을 그린 것은 아닐까 라는 추측도 해보게 됩니다.

  • @Davaraya
    @Davaraya Год назад

    판옥선에 송나무로 등판을 올릴 뼈대와 지지대를 만들고 그위애 철갑을 하나하나 거북이 껍질모양을 만들어 나무못으로 철갑을 박음질하고 이어 붙었을듯합니다. 무쇠철판을 육각형으로 만들어 가운데 구멍을 뚫고 지지대에 나무못으로 철판을 고정시키면, 나중에 철판을 교체할때도 매우 효율적이지요. 철못을 나무에 박아서 철판을 고정했었다면, 쇠는 수분에 쉽게 녹슬기에 철판이 떨어져나갈수있지만, 소나무로 만든 나무못으로 판옥선 주재료였던 통나무에 소나무로만든 못을 끼우고 이음새에 송진을 바르면, 바닷물에 노출되어도 물에 나무가 부는 성질의해 부는 정도가 다른 나무를 서로 이어서 했기에, 내구도도 당시 왜선보다 엄청 강했다고합니다. 비중이 소나무가 훨씬 강하여 이음새가 충격받으면 더 강해지는 효과도 있었다고합니다.

  • @herbgolani
    @herbgolani 3 года назад

    그림에 그러진 거북선은 판옥선에거북이올려놓은거잖앜ㅋㅋㅋㅋㅋㅋㅋ

  • @투투더리
    @투투더리 3 года назад

    거북선의 외형이 200년 동안 안바뀌고 그대로 유지됐을거라 생각하는 바보들이 많음.

  • @tv-vu3dp
    @tv-vu3dp 3 года назад

    실제 그렸다는거 치곤 넘 엉성한거아닌가 다른배들 그림은 가로로 일정하게 반듯하게 놓여있는데 거북선모양의 배는 왜 세로로 세워서 그렸는지 뒤에 그려진그림인지 아니면 초창기 거북선인지 뒤에 다시 개조를 한건지 알수가 없네

  • @김종현-z9m
    @김종현-z9m 3 года назад

    판옥선도 그냥 대충 기억나는데로 그려논거 같고 거북선도 내가 아무리 배알못이라지만 배를 저따구로 만들진 않았을듯...
    아니 애초에 둘다 판옥선으로도 거북선으로도 보이지가 않아...

  • @bigzero01
    @bigzero01 3 года назад

    그냥 영상보면서 드는 생각을 재미로 말해보면
    가설1)
    ?: 너 거기가면 거북선도 있었을텐데 봤음?
    화백원: 어? 어..봤지 그려줄게 (아 씨 못봤는데 대충 판옥선위에 거북이 그리면 되겠지?)
    가설2)
    거북선이 정박했을정도면 판옥선등 군함이 최소 몇대는 더 있을거 같은데 달랑 거북선한대만 있다는 것은 실제 거북선이 아닌 거북선을 기념하는 조형물 같은게 아닐까?

  • @vrtra3f
    @vrtra3f Год назад

    저 배도 후기 거북선이다. 이순신장군의 거북선이 아니다.

  • @tachyon-u1t
    @tachyon-u1t 3 года назад

    그와중에 뱃놀이를 하고 있었다니 .놀랍다 양반들 ~~~~~~~

    • @AAA-dw8cs
      @AAA-dw8cs Год назад

      하면 안되냐? 전쟁 중도 아닌데ㅋㅋㅋ 너 조상이 노비라서 열폭?

  • @KangDurian
    @KangDurian Год назад

    와 1840년까지 운영했다면... 그때는 한창 전투순양함 돌아다니던 때 아닌가? 진짜 기술력 정체가 심했네

  • @abc-d3p
    @abc-d3p 3 месяца назад

    저 책자 보관해야하는거 아닌가???

  • @neoeobz
    @neoeobz 3 года назад +1

    저건 뱃놀이용 오리배 같은데요 쩝

  • @maye1672
    @maye167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음.. 거북선이 우리가 생각한것보다 어설프게 판옥선 위에 바늘달린 거북이 모형 대충 올려놓은 모습일수도 있겠군..

  • @ostnamy8566
    @ostnamy8566 3 года назад

    아~저거구나

  • @oxdoxx
    @oxdoxx Год назад +1

    그래, 수주 전에 뭔 얼토당토 않은 거북선 진짜 재현했다며 내어놓았던 "교수".. 부끄러운 줄 알아라
    그 영상에서도 어처구니없는 걸 내어놓고 거북선의 실제 모습이라고 떠벌거리는 영상에도 ㄱ소리 말라고 했었지만
    저런 게 남아있을 줄을 몰랐다고 해도 말도 안되는 해괴한 걸 거북선이라 사기나 치고말야

  • @깨끗한돈은총각이다
    @깨끗한돈은총각이다 2 года назад

    거북선이 아니고 거북선을 흉내낸 그림일듯

  • @데이빗핫셀호프
    @데이빗핫셀호프 3 года назад

    불과 몇백년 전의 물건이 남아 있지도 않고 설계도 자체가 없다는게 참 이상하쥬?

  • @부산파이터
    @부산파이터 3 года назад

    저 거북선은 2~3등급 거북선으로 보임.
    거북선이라고 딱 하나의 종으로만 구분 지어서는 안됨.
    이순신 이전에 이미 거북선이 있었고 태종때 그림도 남아 있는데 그런 것들을 기준으로 한다면 거북선도 종류가 다양 했을 것으로 보이기에 저 그림만으로 임진년 거북선 포함해서 모든 거북선으로 인지 하면 안됨.

  • @mensa2030
    @mensa2030 Год назад

    거북선 허구였다니....

  • @1355x-w7h
    @1355x-w7h Год назад

    이것도 꽤 시차를 두고 그린 그림인데, 실증의 의미가 있나?

  • @구원의백과사전
    @구원의백과사전 3 года назад

    혹시 그 거북은 장식이 아니라... 진짜 거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