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팅은 언제나 어렵네요 좋은 로스팅법을 찾았는데 입맛이 바뀐건지 또 금새 다르게 볶아보고 있습니다 전기로스팅기 사용하고 있습니다 콜롬비아 엘파라이소 더블무산소 생두를 사서 두가지를 볶았는데요 첫모금은 과일향이 팡팡터지는데 뒤에 쌉싸름한 쓴맛이 지배적으로 올라오네요.. 라이트 로스팅이고 12분 로스팅했습니다 이건 생두의 문제인가요? 더블무산소는 로스팅을 다르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원더룸 백성운입니다. 답글이 늦어 죄송합니다. 커피는 취향이라지만 콜롬비아 엘 파라이소 더블 무산소에서 쓴맛이 지배적으로 따라오는 것은 확실히 개선해볼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사용하시는 로스터기 종류나 환경에 따라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기에 정확하게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첫 모금은 과일의 뉘앙스가 풍성한 걸로 봐서 아마도 원두의 겉 부분이 오버디벨롭 되어 생기는 문제가 아닐까 의심되는데요. 로스팅 초반 화력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혹은 지나치게 큰 텀으로 화력을 줄여가며 로스팅했을 때 그런 현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어 원하시는 포인트로 잘 볶여 나오시길 바랍니다-! :D
안녕하세요. 원더룸 백성운 입니다. 디벨롭 타임 변경없이 산미톤을 낮추고 싶으시다면 투입 온도를 조금 낮춰보시는게 어떨까요? 추가로 산미톤을 부드럽게 다듬어 주길 원하신다면 낮은 화력으로 시작했다가 터닝포인트 이후 높은 화력을 가져가는 soaking 방식을 활용해보는것도 추천드립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D
와 넘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전 여태 언더난커피 많이 마셨나봐요 ㅋ 풀 확실히 많이 느끼고 예민한거 같애요👍👍👍
로스팅은 언제나 어렵네요
좋은 로스팅법을 찾았는데 입맛이 바뀐건지 또 금새 다르게 볶아보고 있습니다
전기로스팅기 사용하고 있습니다
콜롬비아 엘파라이소 더블무산소 생두를 사서 두가지를 볶았는데요
첫모금은 과일향이 팡팡터지는데 뒤에 쌉싸름한 쓴맛이 지배적으로 올라오네요.. 라이트 로스팅이고 12분 로스팅했습니다
이건 생두의 문제인가요? 더블무산소는 로스팅을 다르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원더룸 백성운입니다.
답글이 늦어 죄송합니다.
커피는 취향이라지만 콜롬비아 엘 파라이소 더블 무산소에서 쓴맛이 지배적으로 따라오는 것은 확실히 개선해볼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사용하시는 로스터기 종류나 환경에 따라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기에 정확하게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첫 모금은 과일의 뉘앙스가 풍성한 걸로 봐서 아마도 원두의 겉 부분이 오버디벨롭 되어 생기는 문제가 아닐까 의심되는데요.
로스팅 초반 화력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혹은 지나치게 큰 텀으로 화력을 줄여가며 로스팅했을 때 그런 현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어 원하시는 포인트로 잘 볶여 나오시길 바랍니다-! :D
대표님 영상 잘봤습니다 언더에 대한 제의견은 이렇습니다 3가지 짚어주신것에 대한 공통점은 발현이 덜되었을때 나오는 증상 즉 언더디벨롭이 맞습니다 근데더 정확한거는 혓바닥이나 삼켰을때 목이 마른증상일때가 명확하지않을까 싶어서요
네 2번째 건초같은 뉘앙스에서 떫은맛을 언급했어야하는데 실수로 빠뜨렸습니다.ㅎㅎ말씀해주신것처럼 수렴성의 혀가 말리는 떫은맛은 언더의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언급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백성운-v8x 재미있게 시청하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ㅋㅋ! 화이팅
어제 가게 방문해서 필터커피 마셨는데 진짜 맛있었어요!! 손에 꼽을 정도로 맛있었네요 번창하세요.
아 방문주셨었군요. 유튜브 댓글까지 남겨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구독 좋아요!! 가즈아
와 👍 개꿀팁
안녕하세요 로스팅할때 산미를 최대한 없애는 로스팅을하고 싶습니다 1팝후 길게 로스팅하면 당연히ㅁ산미는 없어지겠지만 커피가 많이 탁해지는데.. 산미를 최대한 없애는 방법에는 어딴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원더룸 백성운 입니다.
디벨롭 타임 변경없이 산미톤을 낮추고 싶으시다면 투입 온도를 조금 낮춰보시는게 어떨까요? 추가로 산미톤을 부드럽게 다듬어 주길 원하신다면 낮은 화력으로 시작했다가 터닝포인트 이후 높은 화력을 가져가는 soaking 방식을 활용해보는것도 추천드립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D
드립시 굵기 온도 이것저것 다해봐도 떫은 맛이 난다면 그것도 언더일까요?
과다 추출을 유발할 수 있는 변수들을 제어했음에도 개선되지 않는다면 로스팅 디펙트일 확률이 높습니다.
베이크드의 특징.. 텅 빈맛, 구수한맛, 플랫한 맛. 라운드하고 단조로운 맛. 이걸 의도했으면 괜찮다. 라는 거네요~
디펙트로 볼 수 있지만 로스터의 어떤 필요에 의한 의도였다면, 무조건 디펙트라 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거라 언급했습니다😊
베이크드가 아니고 그냥 원두가 좆노맛 싸구려원두인겁니다
로스터의 핑계입니다.
분명 처음엔 추출탓을할거구요
나중엔 원두가 잘못볶아졋다고 하는게 최대한 인정하는거죠
실상은 콩이 개쓰래기인데
내 운동복에서 생콩 같은 풋내가 왜 나나했더니 언더아머티셔츠라 그랬구나
ㅎㅎ그럼 그것도 다시 볶아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