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those who don't speak Korean, in the video, he is talking about the misconceptions or wrongful portrayals of the Rapier throughout popular media. He explains the following: - The Rapier was not preferred over other common swords; their preference varied from district to district and settings where buildings do not permit comfortable range of motion (cities with high building density). He debunks the misconception that rapiers gained popularity over other swords - The Rapier may be lighter and therefore thought of as the more agile weapon when compared to other swords, however, the rapier is wielded in one hand and the work that a single arm needs to perform is greater than that of a two handed weapon (two handed swords only weigh slightly more than a rapier, and when wielded dual hand, the distributed weight that each arm handles is often much lighter). - Popular media (movies and anime alike) portray rapier duels as rapid successions of attacks, however, the realistic pace of rapier duels would be substantially slower than a general sword fight because the nature of a rapier thrust would require strategically accurate movements to inflict a fatal or an immobilizing blow while ensuring your own safety (emphasis on defense). He explains that there is no practical advantage or reason for a fast paced rapier duel because unlike swords, slashing or sweeping strikes from a rapier blade generally will not result in a decisive outcome without leaving yourself open. Furthermore, he explains that rapiers were employed mainly for defense (references diagrams from sword manuscripts throughout the video after enacting each scenario). - Olympic fencing (sport fencing) is often thought of as modern day rapier duels; they may be similar, but conditions such as the weight of a fencing blade being less than half the weight of an average rapier, and the scoring method (strike first regardless of if and where you get hit thereafter) placing almost no emphasis on protecting yourself, results in rapier duels vs. fencing duels having dynamically different styles within very similar parameters. He points out that rapiers were used mainly in self defense, unlike fencing duels, where offense is valued over defense. - The use of your free hand, daggers or clothing items to help parry strikes from opponents. - Differentiates swords which look very similar to rapiers. - Clearly demonstrates that thrusting easier to parry than slashes. - Points out that there is no definitive proof that rapiers were developed or popular for their use against armor (plate and chainmail), the majority of depictions regarding rapiers shows that its wielders did not wear armor protection, but rather, common attire (for that period); further proving that rapier use was more prevalent in city settings not battlefields. (apologies... not in order, also may have missed a few) I did not intend to write this much D: but hey, the video was super fun and informative. Couldn't help myself. Thanks for the awesome video!
Well I also wanted to summerize this super-informative video to us foriengers.. but your writing skills are damn good. Guess I couldn't have said better :o
이번 영상도 좋네요~ 판타지 등으로 인한 가상 세계가 현실에서 진실처럼 고착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글이나 이론뿐으로 접근할 경우 한쪽으로 치우칠 위험성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런 영상이 중도를 잡아줄 수 있을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갑옷을 착용하지 않는 관습적인 상황이라는 말에 공감합니다. 그것이 펜싱에 대한 오해등으로 이어지다가, 판타지 여성 엘프 검사 이미지 고착화로 인한 것 같네요. ^^
매우 공감합니다 개인적으로 웹소설 읽는게 웨이트(헬스)다음으로 좋아하는 취미이고 가장 큰 낙인데 무협지야 그렇다쳐도(나라 자체가 다르니) 판타지세계나 중세유럽 배경으로 한 소설은 항상 작은 체구의 남녀 또는 아이는 힘이 없으니 레이피어,한손검을 써야하는걸 굳이 강조하는데 볼때마다 참..... 물론 소설을 쓰다보면 허구성도 있고 상상력이나 액션을 표현하기위해 과장까지 한다지만 상윤님 영상이 널리 퍼져서 고증까지 어느정도 완성된 작품들이 나왔으면 하네요(물론 지나친 고증으로 소설읽다가 리히텐하워 검술의 기술들을 외국어로 나열한다면 가독성 집중력등이 떨어지니 그것도 문제지만요) 판타지가 아무리 판타지라도 적당한 선은 지키거나 작품하단에 설명란을 넣어서 옳은 정보를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좋은영상 정말 잘봤습니다 전 사브르종목 펜싱선수였는데 운동할땐 전혀 몰랐던 사실들을 자세하게 알수있어서 너무 재밌게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4:06초에 나오는 왼쪽 사진에 나오는 복장과 칼 그리고 그립은 플뢰레 인데 설명란에는 에페칼의 설명이 되어있어서 저 사진이 에페 선수 사진인줄 오해를 하시는 분이 계실것 같아서 글 남겨봅니다 영상 항상 재밌게 잘보고있습니다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요하네스 케플러가 신성제국에 있던 때 그에게 천문관측자료를 제공하기로 약속한 제국의 수학자이자 점성술사잉 튀코가 수학공식의 옳고 그름을 두고 검술결투를 벌였고 결투도중 코가 잘려서 황금가짜코만큼 화려한 검이 제값못한다고 까인 이야기가 있어요 시민에게서 검은 호신용이고, 엘리트에게는 재력과시와 덕목일수도 있겠단 생각이 영상을 보니 듭니다
Excellent video. I'm still amazed Seoul (right?) has such an enthusiastic HEMA club. P.S. I know you guys are experts but the training drills without masks still give me anxiety lol
레이피어는 살상력은 뛰어난데, 무력화시키는 건 약해서 결투시 동귀어진 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오히려 결투가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참격의 경우 살상력은 좀더 낮은데, 무력화시키는 건 강해서 공격당하면 일단 무장해제되는 이런 장단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레이피어에 찔리면 바로 죽진 않아도 결국 패혈증으로 죽을 듯 합니다.
하도 파묻히고 흐려졌다가 발굴(...) 작업이 좀 이뤄지니 그제야 오해가 풀린 게 많은 것이 검을 다루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게다가 고전 게임에서 그랬기 때문에 요즘 게임에서도 그러는 경향이 있는데. 고전 게임들은 재미는 몰라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부족했었기 때문에 + 제대로된 자료도 구할 수 없었던 것의 영향도 있어서 그렇다고 보는 게 정확하겠지요... 물론 이렇게 발굴(?)이 점차 되면서 세세한 표현과 정확한 사용 방법의 채택이 이루어지면 더 나은 것이 나오겠지요. 요즘들어서 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요소가 검을 양손으로 들어서 상대의 베기를 빗겨가게 만들거나 흘려보내어 빈틈을 만들고 여기에 확실하거나 강한 공격을 쳐넣는 그런 공방의 요소를 살리는 건 안되나?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8~90년대 때 나온 게임들론 이런 세밀한 부분을 묘사하기가 쉬울리가 없으니 어쩔 수 없었겠지만, 요즘이라면? 가능성이 있겠죠. 그리고 그런 건 다양한 자료가 점점 퍼져야 비로서 가능하다고 봄니다. 피지컬이 딸려도 게임에선 해볼만한 다른 방법들을 동원하는 수도 있겠는데 예를 들어 자신의 목숨이 달린 상황에서 잡기술로 발로 바닥에 있는 흙을 상대 얼굴에다 뿌려서 순간적으로 빈틈을 만들고 이를 이용해 상대에게 확실한 공격을 넣어서 목숨을 지킨다를 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예나 지금이나 목숨이 달린 상황에서야 비겁당당이고 정정당당이고 없었죠. 명예가 전제되는 상황과는 전혀 다르니. 물론 눈도 솜씨도 좋은 사람은 그걸 진작에 눈치 채고 방어 하면서 오히려 역으로 찔러오겠죠;) 영상 잘 보았습니다. 'ㅅ'
다른 무기끼리 하는 이종격검은 기술로 극복할 수 없는 차이때문에 봉인되는 기술이 많고, 무기의 기본적인 검리보다는 특성으로 싸우기 때문에 실력이 잘 늘지 않습니다. 임기응변이나 센스는 조금 늘지만 그건 뭐 같은 무기끼리 스파링해도 배울수 있는거라서... 암튼 그래도 가끔씩 재미로는 좀 합니다
레이피어 쓰는 캐릭터들 특징)보통 콧수염기른 신사 컨셉 중간보스 존댓말은 필수,정중함은 옵션,콧수염을 기르고 신사다운 차림을 한 올백머리 중년,초반에 나와서 롱소드 쓰는 주인공을 개발라버리고 나중에 다시 만났을때는 방심하다가 개털림, 죽을때는 두가지 경우로 나뉘는데 구질구질하게 떠들다가 빡친 주인공한테 뒤지거나 신사답게 보내주고 천천히 죽어감
아는 척일수도 있는데 펜싱 6~8개월쯤 잠깐 배웠습니다... 연습용 고무칼 만쓰다가 처음 진짜 펜싱검 쓰는데 5분 팔피니까 방전되더군요 제가 약골인거일수도 있는데 팔피고 무게 받치고 있으니까 힘이 쭉쭉달고 휘두르고 돌리는데 엄청 힘들어서 고생했던게 기억에 남네요 지금은 다 관두고 예술쪽으로 틀었지만 ㅋㅋ
롱소드는 제 채널에서, 레이피어는 마틴파비앙의 learn rapier 시리즈를 보시면 되고 투핸더는 montante 투로 유튜브에 검색하시면 다 나옵니다. 사이드소드의 경우 Ilkka Hartikainen 채널 보시면 되고 세이버는 어디가서 배우기 어렵습니다. 제 채널 영상 보시는걸 권장드립니다
펜싱의 종목 에페랑 레이피어는 그럼 다른 건가요? 뿌리는 같은 건가요? 제가 알기론 에페란게 레이피어의 어원이 되었고, 스페인에서 부터 시작해 프랑스로 넘어들어와 에페 라피에르라고 불리기 시작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며 각국의 이름대로 불리기 시작했고, 그중 레이피어는 영국식이라고 들었는데 펜싱의 종목 에페는 레이피어에 기원을 둔건 아닌가요?
썸네일보고 엠비션이 피오라하는줄 알고들어왔습니다
ㅋㅋㅋㅋ
나만 그생각한게 아니였구먼
ㅋㅋㅋㅋㅋㅋㅋ
앰비션 보다가 뜨길래 들어왔더니 이런 이유였나 ㅋㅋㅋㅋㅋ
ㄹㅈㄷ ㅋㅋㅋ
6:07 진짜 너무멋있습니다.
옆에 경찰차 있는거ㅋㅋㅋㅋㅋ 범죄자인줄 알았나보넹
경찰 구경중 ㅋㅋ
1:20트렌지션 미쳣고ㅋㅋ
가상 vs 현실은 못참지ㅋㅋ
ㄹㅇㅋㅋ
여러분들은 충분히 참을 수 있으며 여러분들의 그 무엇도 레전드가 아닙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건 동원참치 ㅋㅋㅋ
ㄹㅇㅋㅋ
@@용의콧물 ?
For those who don't speak Korean, in the video, he is talking about the misconceptions or wrongful portrayals of the Rapier throughout popular media.
He explains the following:
- The Rapier was not preferred over other common swords; their preference varied from district to district and settings where buildings do not permit comfortable range of motion (cities with high building density). He debunks the misconception that rapiers gained popularity over other swords
- The Rapier may be lighter and therefore thought of as the more agile weapon when compared to other swords, however, the rapier is wielded in one hand and the work that a single arm needs to perform is greater than that of a two handed weapon (two handed swords only weigh slightly more than a rapier, and when wielded dual hand, the distributed weight that each arm handles is often much lighter).
- Popular media (movies and anime alike) portray rapier duels as rapid successions of attacks, however, the realistic pace of rapier duels would be substantially slower than a general sword fight because the nature of a rapier thrust would require strategically accurate movements to inflict a fatal or an immobilizing blow while ensuring your own safety (emphasis on defense). He explains that there is no practical advantage or reason for a fast paced rapier duel because unlike swords, slashing or sweeping strikes from a rapier blade generally will not result in a decisive outcome without leaving yourself open. Furthermore, he explains that rapiers were employed mainly for defense (references diagrams from sword manuscripts throughout the video after enacting each scenario).
- Olympic fencing (sport fencing) is often thought of as modern day rapier duels; they may be similar, but conditions such as the weight of a fencing blade being less than half the weight of an average rapier, and the scoring method (strike first regardless of if and where you get hit thereafter) placing almost no emphasis on protecting yourself, results in rapier duels vs. fencing duels having dynamically different styles within very similar parameters. He points out that rapiers were used mainly in self defense, unlike fencing duels, where offense is valued over defense.
- The use of your free hand, daggers or clothing items to help parry strikes from opponents.
- Differentiates swords which look very similar to rapiers.
- Clearly demonstrates that thrusting easier to parry than slashes.
- Points out that there is no definitive proof that rapiers were developed or popular for their use against armor (plate and chainmail), the majority of depictions regarding rapiers shows that its wielders did not wear armor protection, but rather, common attire (for that period); further proving that rapier use was more prevalent in city settings not battlefields.
(apologies... not in order, also may have missed a few)
I did not intend to write this much D: but hey, the video was super fun and informative. Couldn't help myself.
Thanks for the awesome video!
really appreciate! thank you!
Well I also wanted to summerize this super-informative video to us foriengers.. but your writing skills are damn good. Guess I couldn't have said better :o
이젠 좀 참아라
아니 근데 상윤씨 영상은 못참지 ㅋㅋㅋㅋㅋ
ㄹㅇㅋㅋ
그나마 안전장비 얇은거 입고하셔서 멋져보이지 유럽에서 갑옷 입은 기사들이 롱소드 대결 하는거 보면 되게 아둥바둥 하는것처럼 보임 ㅋㅋㅋㅋㅋ 분명 같은 동작들인데 ㅋㅋㅋㅋ
한번 긁으려고 할때 생각이 엄청 많아지지 않을까요 ㅋㅋㅋ
뭔가 서로 계속 간보고 치려다가 말고 참고 이럴듯( ´∀`)☆
@@MeaBBab 그야말로 목숨을 건 눈치게임...
아뭐야...ㅈ밥 이수씨개인줄알았는데
진짜 무기였네...ㅋㅋ
4:43 점 넘네...
호잇
레이피어 맛좀볼래?
???: 어이, 레이피어.
???: 번개찌르기 어서오고.
점공격 맛 좀 볼테야?
성능 확실하구만
@블로그 검성 고길동 이다만
어이 그 은 [얼음별]에 두고온거 아니였냐구
자세히 보기를 누르지 마십시오.
이제 당신은 미래 아들이 문재앙이 되는 저주에 걸렸습니다. 저주를 풀려면 제 채널에 구독과 좋아요를 눌러야만 합니다.2222
가상의 검술: 저게 가능해?
현실의 검술: 멋있네
2:02 2분 2초라 콩소리 나는거 보소;;;
영화같이 챙챙챙 하는건 별로없군요 검으로 하는 유도같습니다 공격성공이 한판 이런느낌으로
ㅋㅋㅋ 역시 근본적으로는 무술이니까요
영화같이 챙챙하면 날 다 상한다는 ㅋㅋ
레이피어나 롱소드는 그나마 노출되어 있는데
혹시 괜찮다면 해적들이 쓰던 커틀러스에 대해서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커틀러스가 세이버 검술 쓰지 않나요? 세이버 시연 영상이나 스파링영상은 이 채널에 올라와 있어요ㅎㅎ.
해적들이 검술이란게 있었을까요ㅋㅋㅋ 그런 외날검은 막 써도 튼튼하고 위력이 좋은게 장점이였을듯
이번 영상도 좋네요~
판타지 등으로 인한 가상 세계가 현실에서 진실처럼 고착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글이나 이론뿐으로 접근할 경우 한쪽으로 치우칠 위험성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런 영상이 중도를 잡아줄 수 있을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갑옷을 착용하지 않는 관습적인 상황이라는 말에 공감합니다. 그것이 펜싱에 대한 오해등으로 이어지다가, 판타지 여성 엘프 검사 이미지 고착화로 인한 것 같네요. ^^
매우 공감합니다 개인적으로 웹소설 읽는게 웨이트(헬스)다음으로 좋아하는 취미이고 가장 큰 낙인데 무협지야 그렇다쳐도(나라 자체가 다르니) 판타지세계나 중세유럽 배경으로 한 소설은 항상 작은 체구의 남녀 또는 아이는 힘이 없으니 레이피어,한손검을 써야하는걸 굳이 강조하는데 볼때마다 참.....
물론 소설을 쓰다보면 허구성도 있고 상상력이나 액션을 표현하기위해 과장까지 한다지만 상윤님 영상이 널리 퍼져서 고증까지 어느정도 완성된 작품들이 나왔으면 하네요(물론 지나친 고증으로 소설읽다가 리히텐하워 검술의 기술들을 외국어로 나열한다면 가독성 집중력등이 떨어지니 그것도 문제지만요)
판타지가 아무리 판타지라도 적당한 선은 지키거나 작품하단에 설명란을 넣어서 옳은 정보를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4:17 한프레임씩 넘기다가 보면 사진끼여져 있음 순간 모니터 고장인줄 ..
1:33 존나 섹시해
고증을 논하는 영상이 조회수 15만급은 된다는게 참 다행이네요. 보통 편집빨의 비전문가들의 카더라가 더 주목받고 그로 인해 만들어진 통설에 반박하는 전문가들의 영상이 외면받는게 현실인데 ㅠㅠ
좋은영상 정말 잘봤습니다 전 사브르종목 펜싱선수였는데 운동할땐 전혀 몰랐던 사실들을 자세하게 알수있어서 너무 재밌게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4:06초에 나오는 왼쪽 사진에 나오는 복장과 칼 그리고 그립은 플뢰레 인데 설명란에는 에페칼의 설명이 되어있어서 저 사진이 에페 선수 사진인줄 오해를 하시는 분이 계실것 같아서 글 남겨봅니다 영상 항상 재밌게 잘보고있습니다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같은 자료사진을 여러번 쓰다보니 미처 신경쓰지 못했네요. 더 신경쓰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rthur53695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꼬투리 잡는것 처럼 보이면 어쩌나 했었는데 피드백도 정말 빠르시고 답변까지 달아주셔서 나쁘게 받아들이지 않아주시는것 같아서 정말 감사합니다
왜그만두신건지요???
@@fiercehan6791 저한테 졌거든요
@@박주형-d5i ...?
하지만 역시 최고의 호신술은
달리기입니다.
달리기를 연마해서 롱소드 든 상윤씨 100명이 쫓아와도 위태롭지 않게 합시다.
아킬레우스가 최고의 영웅 중 하나인 이유... 잘 뛰는데 맞아도 안 죽어!
상윤씨 하체도 꽤나 잘 발달되어 있어서 일반인보다는 훨씬 빠를 듯
님 때문에 터졌어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닙니다. 총입니다. 총알로 살살맞아도 굉장히 아픕니다.
@@오징어-t9v 총알과 같은속도로 뛸수 있을정도로 단련하면됩니다ㄷㄷ
레이피어의 유행은 중세 장원의 해체와 도시의 발달과도 나름 연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무래도 도시의 복잡한 골목길에서는 롱소드 같은 검은 쓰기가 불리하기 때문이겠지요ㅋ정말 요점을 잘 정리한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ㅋ
쩝....저당시엔 재건축이 없었나봄;;;
어유 저게 골목이여? 쥐새끼다니는길인줄알았네;;;;
얼마만의 업로드냐 이게..
요새 찬밥형 영상 봤더니 알고리즘이 인도해준 영상... 재밌게 봤습니다
Thank you for the English subtitles! Great video.
요하네스 케플러가 신성제국에 있던 때
그에게 천문관측자료를 제공하기로 약속한 제국의 수학자이자 점성술사잉 튀코가 수학공식의 옳고 그름을 두고 검술결투를 벌였고 결투도중 코가 잘려서 황금가짜코만큼 화려한 검이 제값못한다고 까인 이야기가 있어요 시민에게서 검은 호신용이고, 엘리트에게는 재력과시와 덕목일수도 있겠단 생각이 영상을 보니 듭니다
영상에 나오는바와같이 그때그시절에는 자유민 이상은 검 하나 차고다니는게 상식이었으니 파숀아이템의 요소로 적용되었음은 당연하겠죠
근데 수학공식의 옳고 틀림을 칼질로 해결한다고? 수학 잘못배운거 아냐?
@@함민수-c6g 그때 천체관축자료에 오류가 많아서 목소리 큰놈이 만든 공식이 인정받아 가지고 칼부림했다함
@@함민수-c6g 중세시대를 현대 기준으로 이해하려 하지 마세요 ㅋㅋㅋ
그 코 기록만 황금이고 직접 확인해보니 놋쇠였다네요
롱소드:풍차돌리기
레이피어:엉거주춤 기습찌르기
엉거주춤ㅋㅋㅋㅋㅋ
1:21
아니 실버 채리엇 ㅋㅋㅋㅋㅋㅋㅋ
너가 거기서 왜나와 ㅋㅋㅋㅋㅋㅋ
폴나레프...
Excellent video. I'm still amazed Seoul (right?) has such an enthusiastic HEMA club.
P.S. I know you guys are experts but the training drills without masks still give me anxiety lol
한국 지부의 시그니쳐 ㅋㅋ 노마스크 스파링
6:10 역싀 김샹윤이다 보셰요 손목 스냅과 관절의 메커니즘이 상당히 조크든요 밤 시간에 이르케 칼을 휘두르는 사람은 흔치안타 이르케 말씀 드릴 수가 이쓸거 가트요
이른 슨슈를 육성하기 위해 인뿌라가 중요한데
그래셔 돔구장이 필요하다
허구윤식 검슐 ㄷㄷ
궁내 체고의 능소드 슨슈다
다가올 가상현실게임에서 지존이 되기위해 조만간 검술수련을 해야겠군요
조선의 검술의 가상VS현실도 해주세요!! 나중에 상윤형님이 무술감독하는 날이 오면 ㅎㅎ
서양 검은 봐도봐도 새롭네요ㄷㅅㄷ
아무리 생각해 봐도 칼 휘두를 만한 공간이면 걍 롱소드가 훨 씬 유리 할거 같음..
잘못된 지식을 여기서 고치고 가네요. 그리고 궁금했던 점도 명확하게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알고리즘 행님이 나설 차례다 이건
가상vs현실 시리즈 바람의검심 실사영화편도 만들어주실 수 있나요? 영화를 어제 굉장히 재밌게 봤는데 제가 김상윤님 채널을 보다보니까ㅋㅋ 과연 저 액션이 실제 고증도 잘 따른 액션일까 궁금하더라고요!
솔직히 그게 고증 지켰으면
혼자 30명 가까이를 어케이김
역날검의 현실도 궁금함
@@corewfb 힘 실린 카타나 몽둥이에 맞으면 부러지고 멍들고 인대 나가고 난리나죵
자세히 보기를 누르지 마십시오.
이제 당신은 미래 아들이 문재앙이 되는 저주에 걸렸습니다. 저주를 풀려면 제 채널에 구독과 좋아요를 눌러야만 합니다.222222
너무 오랫만의 영상! 유익하고 재밌어요!
레이피어 검술 꼭 배우고싶다! 실용적이고 우아한게 굉장히 매력적이다❤️
7:12 오른쪽분 둠 좋아하시는거 같은데
전부터 세검류는
어떻게 싸우는지
보고싶었음.
감사하무이다.
레이피어는 살상력은 뛰어난데, 무력화시키는 건 약해서
결투시 동귀어진 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오히려 결투가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참격의 경우 살상력은 좀더 낮은데, 무력화시키는 건 강해서
공격당하면 일단 무장해제되는 이런 장단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레이피어에 찔리면 바로 죽진 않아도 결국 패혈증으로 죽을 듯 합니다.
가상 vs 현실 콘텐츠 시리즈로 나오는건가보네요 좋네요
너무 오랜만에 보는 거 같군요!
덕분에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앞으로 유익한 영상 기다리고 있겠습니더
정말 즐거운 영상 및 공부 되었습니다. ^-^
꾸준히는 아니여도 즐겁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영상 많이 보여주세요. ^-^
진짜 현대판 기사네요. 잘 보았습니다.
1:13 thats "verdadera destreza"
P
상상: 회초리
현실: 한손창
언젠가 게임에서도 양손검이 극딜, 공속으로 나오는 날이 있기를...
게임에선 빠른 연속베기 이런거하면 카타나밖에 없는데
양손검 방식도 나와줘...제발루
위쳐3
롱소드 검술 가지고 패링 싸움 하면 진짜 멋있겠는데
조작을 직접 한다고 생각하니 머리 터질듯.
@@여우는개과카타나=일본식 양손검
현재 구상중인 작품 주인공의 주무기가 레이피어인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요즘레이피어사셔서신나셨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검에 쓰이는 보조무기는 플린트락 피스톨이 최고인 것 같아요.
"커틀러스 앤 피스톨"은 바다의 로망이죠.
줵 스풰러우
배 빌려서 선상결투 재현회 같은걸 어디선가 한다면 꼭 팝콘들고 가고싶습니다.
크...멋잘알
디스아너드 에서도 그렇게 쓰는게 멋있음
보는내내 맘이 뻥... 편안해집니다~
하도 파묻히고 흐려졌다가 발굴(...) 작업이 좀 이뤄지니 그제야 오해가 풀린 게 많은 것이 검을 다루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게다가 고전 게임에서 그랬기 때문에 요즘 게임에서도 그러는 경향이 있는데. 고전 게임들은 재미는 몰라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부족했었기 때문에 + 제대로된 자료도 구할 수 없었던 것의 영향도 있어서 그렇다고 보는 게 정확하겠지요... 물론 이렇게 발굴(?)이 점차 되면서 세세한 표현과 정확한 사용 방법의 채택이 이루어지면 더 나은 것이 나오겠지요.
요즘들어서 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요소가 검을 양손으로 들어서 상대의 베기를 빗겨가게 만들거나 흘려보내어 빈틈을 만들고 여기에 확실하거나 강한 공격을 쳐넣는 그런 공방의 요소를 살리는 건 안되나?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8~90년대 때 나온 게임들론 이런 세밀한 부분을 묘사하기가 쉬울리가 없으니 어쩔 수 없었겠지만, 요즘이라면? 가능성이 있겠죠. 그리고 그런 건 다양한 자료가 점점 퍼져야 비로서 가능하다고 봄니다.
피지컬이 딸려도 게임에선 해볼만한 다른 방법들을 동원하는 수도 있겠는데 예를 들어 자신의 목숨이 달린 상황에서 잡기술로 발로 바닥에 있는 흙을 상대 얼굴에다 뿌려서 순간적으로 빈틈을 만들고 이를 이용해 상대에게 확실한 공격을 넣어서 목숨을 지킨다를 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예나 지금이나 목숨이 달린 상황에서야 비겁당당이고 정정당당이고 없었죠. 명예가 전제되는 상황과는 전혀 다르니. 물론 눈도 솜씨도 좋은 사람은 그걸 진작에 눈치 채고 방어 하면서 오히려 역으로 찔러오겠죠;)
영상 잘 보았습니다. 'ㅅ'
실전처럼 훈련하면 정말.... 심장 터질듯이 맥박최고조로 각성상태에 눈알은 터질듯이 펌핑되고 그럴듯..... 먼저 치명상을 입혀도 상대 후속타에 찔리거나 베이면 과출혈로 죽거나 평생 불구자가 되는.......
오랜만이에요 ㅠㅠㅠ 자주 나타나시라구유 현기증나요 ㅠㅠㅠ
6:40 이부분 레이피어식 준비자세? 라고 해야하나 영화나 게임같은데서 많이 봤는데 정말 멋있네요 외국거주중인데 레이피어 한국가면 꼭 배워보고싶음
오 레이피어는 보면서 굉장히 아름답다?라고 느꼇는데 저게 보호를 위한동작이엿군요
제 역사 선생님은 본인도 확실하지는 않지만 일단 상대를 죽이지 않기 위해 사용된 무기라고 배웠다, 라고 알려주셨습니다. 그나저나 진짜 레이피어도 펜싱의 것처럼 칼날이 쉽게 구부려지네요, 저는 지금까지 폭이 얇지만 꼿꼿하게 뻗은 검이라고 인식했는데.
항상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현실에서 레이피어vs롱소드의 대결도 자주 있었을거 같은데요. 영상에 나온 재연 장면이나 삽화는 레이피어vs레이피어 뿐인지라 실전에선 어떻게 대결리 이뤄졌을지 궁금하네요. 그냥 상상해 보기론 한손으로 찌르고 쳐내는 레이피어 보단 양손으로 휘둘려 공격하는 롱소드가 더 유리하지 않을까 싶은데 실제론 어땠을까요??
양손검으로 휘두르는 힘을 한손검으로 버티기 힘듭니다 롱소드가 더 유리합니다
강한 사람이 이깁니다. 둘다 장단점이 있어놔서.....
그런데.... 한쪽이 갑옷입고 있으면 갑옷입은 쪽이 이길 확률이 대폭상승함.
몰랐던 사실들도 알게 되고 엄청 재미있네요
나레이션도 같이 까니까 다큐보는 느낌이라 조타조타 참조타
역사적 배경이나 고증 부분이 참 맘에드네요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귀여운 상윤씨는 못참지 ㅋㅋ
이런 유익한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근데 스파링할 때는 무조건 서로 같은 무기를 사용하나요? 영상 볼때마다 생각나는데 롱소드 VS 글레이브(동양의 언월도와 비슷한 무기) 같은 구도도 얼마든지 생길텐데 서로 같은 무기만 사용하는 건 조금 이상하다 생각해서요.
@앰브로스 오 그렇군요..!! 생각해보니 삽화에서도 같은 무기들고 싸우는 그림밖에 없네요
다른 무기끼리 하는 이종격검은 기술로 극복할 수 없는 차이때문에 봉인되는 기술이 많고, 무기의 기본적인 검리보다는 특성으로 싸우기 때문에 실력이 잘 늘지 않습니다. 임기응변이나 센스는 조금 늘지만 그건 뭐 같은 무기끼리 스파링해도 배울수 있는거라서... 암튼 그래도 가끔씩 재미로는 좀 합니다
참...칼이란 대단합니다
저런 거대한 양손검도 멋지네요...
과녁대고 사격만 하다가 가끔식
뭉툭한 투척용
나이프로 몇번 대련을하지만
검은 검만의 매력이 강하네요..
팔을 저렇게나 움직이니
총의 반동으로인해 어깨가 나가는것보다 더 심하겠네요...
레이피어 쓰는 캐릭터들 특징)보통 콧수염기른 신사 컨셉 중간보스
존댓말은 필수,정중함은 옵션,콧수염을 기르고 신사다운 차림을 한 올백머리 중년,초반에 나와서 롱소드 쓰는 주인공을 개발라버리고 나중에 다시 만났을때는 방심하다가 개털림,
죽을때는 두가지 경우로 나뉘는데 구질구질하게 떠들다가 빡친 주인공한테 뒤지거나 신사답게 보내주고 천천히 죽어감
아는 척일수도 있는데 펜싱 6~8개월쯤 잠깐 배웠습니다...
연습용 고무칼 만쓰다가 처음 진짜 펜싱검 쓰는데 5분 팔피니까 방전되더군요 제가 약골인거일수도 있는데 팔피고 무게 받치고 있으니까 힘이 쭉쭉달고 휘두르고 돌리는데 엄청 힘들어서 고생했던게 기억에 남네요
지금은 다 관두고 예술쪽으로 틀었지만 ㅋㅋ
진짜 저격총이랑 이런 강한 한방무기들 너무 매력적이야
왜... 도대체 왜 내 알고리즘에 뜬건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서양판타지 같은곳에서 보면 지금처럼의 얇은 도신이 아닌, 정말 굵고 큰 대검이 종종 등장하는데요. 실제로는 그런 무기가 없었나요?
아니면 옛날에 있었다가 제철기술이 발달해서 사라진건가요?
휴대성 무시하고 다룰만한 능력만 된다면 자기 키보다 큰 검도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물론 이런 검도 무게가 6kg 아래쪽이기에 수십 kg 나가는 도검은 판타지이긴 합니다.
@@gerughigiulio9190 아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확실히 롱소드가 제일 무난하고 다재다능하죠. 뭐든지 근본이 제일 좋은거
이게뭐라고 8분이나봤지..
재밌당
흥미로운 영상 잘 봤습니다.
굉장히 실용적이네요.
질문의 질이 떨어질수록 점점 목소리에 감정이 실리시는 것 같은데 기분탓인가
유튜브 알고리즘도 Vs 는 못참고 추천했네요 ㅋㅋ
형 이런 영상 올려주시면..... 너무 조아용 홍홍홓ㅎㅎㅎ ^^7
1:52 뭐지 왜 보는사람이 더 화나지
1. 영화 에 등장하는 검이 레이피어 종류인가요?
2. 일본 애니메이션 에서 그리피스가 사용하는 도검은 사브르 종류인가요?
레이피어는 에도시대 사무라이들의 카타나와 비슷한 걸로 보면 되겠군요. 신분의 상징, 비교적 용이한 휴대성, 같은 무기를 휴대하는 사람들사이의 분쟁에서의 효신용. 실제 전쟁용 무기를 들고 덤비는 사람을 상대하기엔 부족함이 있을 수 있는 무기.
I would really love to see this with English subtitles. I enjoyed the swordplay but wish to follow what you are saying.
你说的对啊
한국어를 공부하렴
This video did have swordplay clips but mainly was about the misunderstandings about rapier :)
동굴이나 골목같은 검로가 제한되는 구역에서는 또다른 검로로 롱소드를 사용하는게 낫나요? 아니면 레이피어 쓰는게 더 낫나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같으면 롱소드 쓸 것 같습니다
@@arthur53695 앗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레이피어류 무기와 단검을 같이 사용하는 검술도 궁금하네요!
이도류라고 하면서 양손검 두개 들고 휘두르는 연출등이 많은데, 현실적인 이도류의 예시가 보고 싶습니다.
제가 지금 레이피어를 사다가 쓰고있는데, 이걸 보고 배우러 왔어요 ㅎㅎㅎ
오 알라트리스테 보셨나봐요. 레이피어 검술 제일 잘 표현한 작품인데
점ㅋㅋㅋ공ㅋㅋㅋ격ㅋㅋㅋㅋㅋ 총 인줄
제가 롱소드,레이피어,투핸드,사이드,세이버 이렇게 충동구매를 했는데 혹시 이렇게 5개 사용하는 강의영상을 추천해주실수있나요?
옛날 삽화라던지 찾는법좀 알려주면 감사하겠습니다.
롱소드는 제 채널에서, 레이피어는 마틴파비앙의 learn rapier 시리즈를 보시면 되고 투핸더는 montante 투로 유튜브에 검색하시면 다 나옵니다. 사이드소드의 경우 Ilkka Hartikainen 채널 보시면 되고 세이버는 어디가서 배우기 어렵습니다. 제 채널 영상 보시는걸 권장드립니다
@@arthur53695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갑옷은 총기에 발달로 사라졌고 장전과 장전사이 혹은 첫 발사후 바로 이어지는 백병전을 위해 레이피어가 발달 되었죠 그렇다고 롱소드가 사라진건 아니죠 레이피어를 보면 알겠지만 1손으로 사용하기 위함이고 총기가 대중화 된건 아니였으니 롱소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죠
그러닌까 죠죠러 분들은 실체의 검술은 스탠드가 강하고 스피드도 겁나 빨라서 연속찌르기를 한다는 것으로 받아들이면 됩니다
오우 이해됨요ㅋㅋ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가능하시면 카타나편도 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평생 살면서 쓸 일도 없는 지식인데... 알고리즘이 날 또 이세계로 이끌었다..
펜싱의 종목 에페랑 레이피어는 그럼 다른 건가요? 뿌리는 같은 건가요? 제가 알기론 에페란게 레이피어의 어원이 되었고, 스페인에서 부터 시작해 프랑스로 넘어들어와 에페 라피에르라고 불리기 시작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며 각국의 이름대로 불리기 시작했고, 그중 레이피어는 영국식이라고 들었는데 펜싱의 종목 에페는 레이피어에 기원을 둔건 아닌가요?
에페,레이피어,스파다,슈베르트 등 전부 한글로 치환하면 그냥 "검"입니다. 깊은 뜻은 없습니다
@@arthur53695 아 그런거였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레이피어가 살상력이 낮다는 고증을 잊은 만화.. SAO.. 레이피어가 양손검을 자르는 ㄹㅈㄷ 애니...
손목 가드 부분이 위쪽으로 튀어나도록 굴곡이 나와 있는데
검 과 가드가 만나면 검이 가드 바깥 쪽으로 밀리나갈꺼 같은데
운이 안 좋으면 맞을수도 있나요
저 혹시 납도를 한 상태 혹은 칼집에 칼을 넣은 상태에서 낙법이 가능한가요?? 게임이나 영화, 애니에선 되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