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을 뭐라 꼭 꼬집어 말하기란 참으로 어렵습니다. 하지만 예전 우리 조상들이 중요하게 여겼던 것에서 조금 말해 보겠습니다. 과거에는 중요 혼수품으로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것으로 베(직물), 장(간장, 된장), 혜(삯힌 생선), 지(소금에 절인 채소, 김치의 원조)가 있습니다. 베는 옷감의 기본이니 말할 필요가 없을 것 같군요. 1. 장은 맛에 따라 그 집안의 품격을 엿볼 정도로 아주 중요한 음식이었습니다. 메주에 푸른 곰팡이를 띄워 장을 담가 먹는 민족은 우리가 세계에서 유일합니다. 즉 천연 페니실린을 먹어왔다고 볼 수 있죠. 현제 우리가 다른 민족에 비해 우수한 면역력을 보이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기도 하죠. 과거 맥족에게서 전해졌다고 하는데 제 생각으로는 맥족이 동이족으로 우리 조상입니다. 그러므로 그 역사는 수 천 년이나 된 것이죠. 2 '혜'는 현재의 젓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는 서양에서도 비슷한 식품이 있기도 하지만 풍미로 보자면 우리 젓갈이 일품이죠. 여기서 '혜'는 식혜와 한자가 다릅니다. 즉, '혜'는 소금에 절인 숙성 음식이라고 정의가 되네요. 현대에 의사들이 짜게 먹지 말라고 한 것은 서양의 소금은 암염이 주로 그 속에는 우리 몸에 해로운 중금속 및 미네랄이 들어있어 그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돼서 유래됐는데 인간은 어머니의 양수에서 10달 동안 양육이 됩니다. 이때 태아를 보호하는 양수가 소금물입니다. 즉, 인간은 소금물에서 태어난 것이죠. 그러므로 소금을 먹지 않는 포유류는 죽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먹는 소금은 바닷물을 증발시켜 만든 천일염으로 몸에 해롭지 않습니다. 이 소금 하나만 보더라도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얼마나 슬기로웠는지 짐작이 갑니다. 3. '지'는 현재의 김치 종류를 말합니다. 단순히 소금에 절인 채소를 침채(주로 중국이나 일본에서 사용)라 하는데 우리의 '지'는 장에 한번 더 숙성 시키거나 혜를 넣어 2차 발효를 한 음식입니다. 현재 우리가 먹는 김치(원래는 짐치, 켜켜히 쌓은 것)는 임진년에 일본에서 건너온 고추를 넣어 그 맛이 월등해 졌습니다. 하지만 동치미나 백김치도 그에 못지 않죠. 우리가 먹는 음식을 딱히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우리 조상들의 모습에서 한식이 이렇다고 말할 수는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먹고 있는 음식 인데...아무런생각 도 하지않고 먹었던것같네요..
새로운 것 배우고, 좋은 강의 들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
한식의 ...이야기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박찬일 셰프님...고맙습니다
강사님이 너무나도 애처롭습니다.
리액션이나 질문에 답조차 않을 거면
저런 좋은 강의는 왜 듣는 건지...
어려운, 반드시 정답이 있는 질문도 아니고
자기가 먹는 거, 자기 생각을 답하는 건데도
어쩌면 저렇게 무생물처럼 앉아 있는지...
@김도영
네에... 저도 그렇게 짐작은 갑니다. ㅎ
웃지만 말고 대답도 해줘요 (답답)
대답 잘하시는데 뭐가 문제란 건지 🤨
한식을 뭐라 꼭 꼬집어 말하기란 참으로 어렵습니다. 하지만 예전 우리 조상들이
중요하게 여겼던 것에서 조금 말해 보겠습니다.
과거에는 중요 혼수품으로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것으로
베(직물), 장(간장, 된장), 혜(삯힌 생선), 지(소금에 절인 채소, 김치의 원조)가 있습니다.
베는 옷감의 기본이니 말할 필요가 없을 것 같군요.
1. 장은 맛에 따라 그 집안의 품격을 엿볼 정도로 아주 중요한 음식이었습니다.
메주에 푸른 곰팡이를 띄워 장을 담가 먹는 민족은 우리가 세계에서 유일합니다.
즉 천연 페니실린을 먹어왔다고 볼 수 있죠. 현제 우리가 다른 민족에 비해 우수한
면역력을 보이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기도 하죠. 과거 맥족에게서 전해졌다고 하는데
제 생각으로는 맥족이 동이족으로 우리 조상입니다. 그러므로 그 역사는 수 천 년이나
된 것이죠.
2 '혜'는 현재의 젓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는 서양에서도 비슷한 식품이 있기도
하지만 풍미로 보자면 우리 젓갈이 일품이죠. 여기서 '혜'는 식혜와 한자가 다릅니다.
즉, '혜'는 소금에 절인 숙성 음식이라고 정의가 되네요. 현대에 의사들이 짜게 먹지
말라고 한 것은 서양의 소금은 암염이 주로 그 속에는 우리 몸에 해로운 중금속 및
미네랄이 들어있어 그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돼서 유래됐는데
인간은 어머니의 양수에서 10달 동안 양육이 됩니다. 이때 태아를 보호하는 양수가
소금물입니다. 즉, 인간은 소금물에서 태어난 것이죠. 그러므로 소금을 먹지 않는
포유류는 죽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먹는 소금은 바닷물을 증발시켜 만든 천일염으로
몸에 해롭지 않습니다. 이 소금 하나만 보더라도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얼마나 슬기로웠는지 짐작이 갑니다.
3. '지'는 현재의 김치 종류를 말합니다. 단순히 소금에 절인 채소를 침채(주로 중국이나 일본에서 사용)라 하는데 우리의 '지'는 장에 한번 더 숙성 시키거나 혜를 넣어 2차 발효를 한 음식입니다. 현재 우리가 먹는 김치(원래는 짐치, 켜켜히 쌓은 것)는 임진년에 일본에서 건너온 고추를 넣어 그 맛이 월등해 졌습니다. 하지만 동치미나 백김치도 그에 못지 않죠.
우리가 먹는 음식을 딱히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우리 조상들의 모습에서 한식이 이렇다고
말할 수는 있겠습니다.
당신이야말로 한식의 천재 입니다
존경합니다
친중적이네 실망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