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 폭탄선언, 지구온난화 끝내버릴 '역대급 신물질' 발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89

  • @softdragon
    @softdrago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5

    영상 말미에도 나왔듯, 엄청난 것이 등장한 것은 팩트지만 상용화가 되느냐는 역시 또 다른 문제이긴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나씩 나오다보면 언젠가는 분명 해결될 것이라 믿습니다.
    아래는 제 인스타입니다. 팔로우 1만명까지 얼마 안 남았습니다.
    많이 팔로우 해주시면 복 받으실 겁니다...!
    instagram.com/softdragon__/

    • @jeinchoi6687
      @jeinchoi668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스타 가입후 뵙겠습니다

    • @kulkrafts3143
      @kulkrafts314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현재 사용가능한 원전은 왜 사용 안할까요? 이산화찬소 집척만으로 지구온난화가 해결될까요? 석탄 LNG등 탄소에너지에서 발생하는 유황물질과 미세먼지는 온난화와 기관지호흡질환등으로 연간 수백만 지구인구가 죽는데도 말입니다.
      탄소격리기술은 비용이 제일큰 문제입니다. 연구를 계속해야겠지만, AI나 양자콤퓨터 개발로 지구온난화등 여러문제를 동시에 막으려는게 현재는 급선무입니다. 원전은 독재국가외엔 진보정치논리로 망하고 있습니다. 독재국가는 원전사고가 더위험하고, 자유민주주의에선 원전이 더안전한데, 진보진영이 원전을 너무오래 정치적이용해 바뀌기 어려울듯합니다.
      북극곰과 범고래를 좋아하는 저도 온난화를 저지하려 20년전 Green Building 초창기멤버로 단체도 만들었지만, 인간출산을 막아야한다는 게이그룹과 이익창출만 논독들이는 건축자제그룹에게 실망하여, CleanTech투자도 했지만 그역시 소송으로 이익을 우선시하는 친환경단체에 투자금이 뺏기고 기술개발이 어렵습니다.
      한국도, Green Peace 아시아국장이 중국여성인데 촛불시위에 앞장서는걸보고, 조사해보니 중국에선 시위를 안하는데 일본과 호주에선 많이 하더군요. 얼마후 한국은 탈원전하고 국민들이 고생이 많지요. 국가경쟁력은 저렴한 에너지, 저렴한 노동력, 저렴한 기업세금, 그리고 첨단기술에서 나오는데 대한민국은 기술만 있는상태입니다. 원전만이 국내경제 발전을 시켜준다 봅니다. 미국에서 자율전기차, AI양자콤퓨터, SMR원전과 저소득 부동산만 투자하니 국내원전은 저와 무관합니다. 90년대 IT기업 창업하여 한국 통신시설과 전산망등 일본이 한국에 수출금지한 장비와 기술도 많이 공급했지요.
      법대의대 진학보단 기술과학 전공하여 돈도벌고 대한민국을 발전시키세요. 중국의 경제력 확장은 한국 미세먼지와 원전사고를 촉발할수 있는걸 명심하고, 국내에 꾸준한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핵재처리 기술과 유연한 노동력과 세금절세로 국가경쟁력을 높여야합니다. 세금인상은 정치꾼 부정부패 횡령만 늘어납니다.

    • @2reewa
      @2reew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 화합물은 실제 생산이 어려운 걸까요

    • @라디오볼링
      @라디오볼링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상용화는 팔때나 하는거고~ 지금은 돈이 많이 들어도 해야 할듯 벌써 엄청 더워요

    • @donghyunkim8683
      @donghyunkim868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팔로우했어욤!!

  • @리치-z6p
    @리치-z6p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27

    백날 환경단체에 기부해봐야 기후는 절대 좋아지지 않음 오히려 계속 나빠지지
    환경단체에 기부할 돈을 차라리 친환경기술을 연구하는 기업이나 연구소에
    투자하면 환경은 획기적으로 좋아짐.

    • @Bjork-vu1jd
      @Bjork-vu1j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破釜沉舟-u3q극단론은 니가 극단주의자고

    • @이우철-c6e
      @이우철-c6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1

      ㄹㅇ 환경 단체 후원해봐야 만만한 선진국에서 때써서 돈 뜯는거 말고 하는 일 없지
      진짜 환경 생각했으면 제일 큰 책임이 있는 중국가서 시위했어야지

    • @naeddesuka
      @naeddesuk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팩트는 지금 환경단체 수준의 힘으로는 아무것도 해결못함
      그렇다고 환경단체가 전지구를 장악할수있는 힘을 준다?
      그럼 그게 환경단체로 유지될수있을까 ㅋㅋ
      세상에 옳고 그름은 없다지만
      이건 과학이 옳음

    • @kulkrafts3143
      @kulkrafts314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破釜沉舟-u3q 첨단 cleantech 투자자인데, 미국에서도 돈버는건 태양광 발전기업을 고소해서 돈버는게, 태양광발전이나 신생에너지 개발보다 훨씬 많아서 제일 똑똑한 석박사 인재들을 먼저 뽑아가는걸 보고, cleantech에서 손털었습니다. 진보정당들이 정치적 이용외엔 쓸모없는 정책입니다.
      대신에 테슬라나 인공지능과 SMR에 투자중입니다. 스카이넷에 지배한다해도 보수정당은 통제가능성이 있지만 진보정당이 스카이넷을 이길거란 가능성은 보이지 않기때문입니다. 참고로 IT창업과 green building 단체를 20년전에 시작한 초창기멤버입니다. 아시아 Green Peace 총책이 여성중국인인데 촛불시위에 참여하고, 중국에선 시위를 안하여 아시아 환경단체도 정치적인걸 깨달았습니다.

    • @light-light
      @light-ligh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破釜沉舟-u3q 이런게 바로 좌파 시민단체 놈들 ㅋㅋ

  • @몽상과사색
    @몽상과사색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1

    과학 유튜버이시라면 조금 꼼꼼하게 논문을 읽고 영상 만드시면 좋겠네요...
    1. 최초로 온실가스 흡수하는 물질 아님
    2. AI 사용 안함

  • @GluonGD
    @GluonG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86

    예전부터 탄소포집기술에 관한 얘기는 있었던거 같은데, 이젠 이산화탄소를 직접적으로 흡수해버리는 분자라니...
    기술의 특이점이 가까워져간다는걸 매일 느낍니다

    • @GluonGD
      @GluonG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traveler_to_the_world 예전에 나왔던 탄소포집 기술들도 포집기에 쓰이는 전기의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보다도 포집기 효율이 안좋아서 무산됐다던데...
      이런 신기술들 중에서도 소수만이 상용화가 가능하겠지만, 이번에는 성공했으면 좋겠네요

    • @vin5520
      @vin552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GluonGD탄소포집 기술도 우리나라만이 하는 최초의 기술이 이번달인지 다음달인지 특허 내고 상용화 준비 한다고 하더라구요
      상당히 신빙성 있어보였는데
      기업명을. 안알려주셨어요
      오톡에서 알게되었거든요

    • @iamgroot2674
      @iamgroot267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포집도 무한정 할 순 없고 결국 저걸 화학적으로 다른 놈을 전환시켜야 하는데… 그게 나오기 전까지 근본적인 해결은 안될 것 같습니다

    • @정찬호-j5w
      @정찬호-j5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iamgroot2674개인적으로는 요즘 탄소중립 자체가 무한동력급의 허황이라고 생각됩니다.
      그 물질을 포집하고 바꾸는 데에도 반드시 에너지가 필요하고 결합,변환에는 기본적으로 연소보다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데 그 에너지를 어디서 얻어야 할까요
      그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는 또 무슨 물질이 튀어나올 지 모르고 그 다음엔 또 그 물질을 중립하겠다고 할 건지ㅋㅋ

    • @이종현-m2y6i
      @이종현-m2y6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특이점의 기준은 모르겠다만 기술력은 찍을 거 다 찍고 오다센세가 원피스 떡밥 깨작깨작 풀듯이 주가 장난 좀 쳐보겠다고 하나씩 풀고 닫고를 반복하는 이 기분은 사라지질 않는다. 무언가에 종속되어 살아가고 있음을 느끼는 이들만 아는 야수 같은 느낌임. 개 같은 소리에 음모론 처럼 보일 수도 있다만, 적어도 내가 느낀 건 너처럼 순수한 애들이 인생을 훨씬 유익하게 살아간다는 것. 딱 그정도인듯. 부럽다. 썩어빠진 뇌가 아니라서

  • @JudeAshita
    @JudeAshit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44

    지구는 안 망해요.. 인간이 망하지... 지구 온난화를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 과학기술이 개발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 @MJLeeee
      @MJLeee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지구온난화 논의가 애초 인간생존 목적 같은데 '지구는 안망해요'는 무슨 맥락이에요??

    • @jacop6746
      @jacop674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지구가 아프다 ㅇㅈㄹ하는 애들땜에 그런듯

    • @userhert
      @userher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

      ​@@MJLeeeeㄹㅇ맨날 이런영상에 저런사람 등판하는데 그럼 님은 지구에 해만 끼치니 전자기기안쓰고 원시인처럼 살길바람ㅋㅋ

    • @kulkrafts3143
      @kulkrafts314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첨단 cleantech 투자자인데, 미국에서도 돈버는건 태양광 발전기업을 고소해서 돈버는게, 태양광발전이나 신생에너지 개발보다 훨씬 많아서 제일 똑똑한 석박사 인재들을 친환경단체가 먼저 스카웃 하는걸 보고, cleantech에서 손털었습니다. 진보정당들이 정치적 이용외엔 쓸모없는 저탄소 정책입니다.
      대신에 자율전기차 인공지능과 SMR에 투자중입니다. 스카이넷이 지배한다해도 보수정당은 통제할 가능성은 있지만 진보정당이 스카이넷을 싸우려 노력할 가능성은 보이지 않기때문입니다. 참고로 IT창업과 green building 단체를 20년전에 시작한 초창기멤버입니다. 아시아 Green Peace 총책이 여성중국인인데 촛불시위에 참여하고, 중국에선 시위를 안하여 아시아 환경단체도 정치적인걸 깨달았습니다.
      자연은 공평합니다. 탈원전하고 북한석탄을 사용하면, 유황물질과 미세먼지로 실시간 기관지 사망자가 발생합니다. LNG는 석탄보다 70% 피해가 적어집니다. 태양이나 풍력 에너지는 원전이나 화력발전이 필수적으로 공존해야합니다. AI개발 에너지는 SMR원전을 검토중이죠. 지구상에 왜원전이 발전못하고 석탄발전이 많아졌는가 심각하게 생각할때입니다.
      대한민국도 탈원전선동으로 피해가 극심하죠. 전기료인상외에 우리기업들의 생산원가 인상으로 국가경쟁력이 떨어져 경제회복이 어렵습니다. 최저인건비, 유연성없는 노동법, 기업세금인상, 추경으로 보조금주고 국채최고상승, 부동산가격 부축등, 정권들마다 문제가 마노은데 국민들이 똑똑해져야 합니다. 중국미세먼지는 중국화력발전과 탄소에너지가 문제입니다. 전세계에 문제인데 이런문제를 축소시키고 중국에 산업활동을 확대하려는 모든행동은 곰과 사람을 빨리죽이는겁니다.
      저도 북극곰과 범고래를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 @pastatuna2557
      @pastatuna255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근데 정작 지구가 지금보다 따뜻했을때 생태계는 지금보다 더 번성했던데요
      정말 지구 온난화가 재앙인가 의문입니다.
      신생대 역사 이야기 듣다보니 온난화에 대한 의문이 오히려 생기더군요.
      오히려 지구가 차가워졌을때 생물이 더 줄어들었더군요.

  • @서준-s4b
    @서준-s4b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8

    과학기술의 발전이, 미래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다.

    • @빗물송이
      @빗물송이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EricWright-np9dc 걸그룹 출신 누군지 살짝 귀뜸좀.

  • @romong.t8853
    @romong.t885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인간 세상에 희망을 주는 이런 소식 너무 좋습니다. 고생하셨어요~

  • @noteone0
    @noteone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6

    4:09 지구는 아프지 않아요
    인간과 곰이 멸종할 뿐
    기억에 오래 남을 거 같네요

    • @softdragon
      @softdrago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감사합니다!!

  • @gom798
    @gom79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스마트팜 같은 경우 일부러 이산화탄소 가스를 사서 뿌린다고 하는데 이산화탄소 포집만 잘 된다면 상용화하기 좋아보이네요

  • @Jy_yJ
    @Jy_y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와 이런 연구 진짜 잘됐으면 좋겠어요!

  • @youtubeslave
    @youtubeslav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우린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 @ABC-tx3ul
      @ABC-tx3u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ㅋㅋㅋ집에쳐 유튜브만보면서 그런말 하면 안쪽팔임?

    • @vocalnotews
      @vocalnotew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ABC-tx3ul ㅋㅋㅋㅋㅋㅋㅋㅋ아 개웃기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ingyusong2487
    @mingyusong248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드디어 제가 연구하는 분야가 소개되어서 감회가 새롭네요 ㅋㅋ

  • @crogod-j9m
    @crogod-j9m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이와 관련된 추가영상이 나오기를 기대해봅니다 잘 봤습니다

  • @goldbsj
    @goldbs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3

    충격, 경악, 폭탄선언 들어가면 내용이 국뽕유튜브랑 다를게 없네

    • @이지훈-r5q
      @이지훈-r5q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안들어갔잖아 한잔해

    • @음음-w5k
      @음음-w5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하지만 국뽕이 아님 ㅋㅋㅋ 과학뽕임.

    • @오이오하이오주
      @오이오하이오주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형광색 삐까 빤쩍은 아니야 한잔해 ㅋ

  • @조음-b5g
    @조음-b5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너무 좋습니다..... 최고에요!

    • @dncnbdtncb1424
      @dncnbdtncb142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국과 영국에서 연구했다고 ...선전해 주는거잖아. 중국선전이야...

  • @WoojinPark-cc4cw
    @WoojinPark-cc4c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영상 잘 봤습니다. 논문 읽어봤는데 혹시 AI로 찾았다는 말은 어디서 나온건가요? 제가이해한바로는, 계산화학 방법만 이용한것 같습니다

    • @blueite
      @blueit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논문은 아니고, 대학 측의 기사에 앞으로 계산화학을 AI와 접목한다면 가능성이 무궁무진할 거다 정도의 발언이 있습니다.

    • @WoojinPark-cc4cw
      @WoojinPark-cc4c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3:17 영상에는 AI로 찾았다고 하시네요. 수정이 필요하네요

    • @몽상과사색
      @몽상과사색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유튜버들이 좀 책임감 있게...영상 만들었으면 좋겠네요. AI쓴 것도 아니고 최초로 흡수하는 물질도 아닌데...

  • @blueite
    @blueit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예전 대학원 다닐때 했던 분야로군요. 저는 가스 포집이 아닌 촉매 쪽이었습니다만 랩에서 주로 수소 포집을 했었습니다. (수소 포집 성능을 측정하면서 CO2 포집 성능도 함께 측정을 합니다. 따라서 온실 가스를 흡수하는 최초의 물질이라는 영상 중 표현은 정확하지 않고, 대학 측의 의도도 아닙니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예단하면 안되는 만큼 그 가능성에 대해 상세히 평하지는 않겠습니다만, 실험으로 구현된 것만도 30년 가까이 된 분야인 만큼 빠른 시일 내에 뭔가 나오리라고 기대하지는 않는 게 좋겠습니다.

  • @milesd153
    @milesd15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9

    벌써부터 너무 더워요 ㅠㅠ

    • @Kim_HyungGon
      @Kim_HyungGo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 이제 6월 중순인데 이 정도면 한국은 되게 시원한 것 같긴 합니다...

  • @pdk579
    @pdk57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구는 아프지 않아요. 단지 인간이 멸종할 뿐이죠" 이번 영상에서 가장 포인트가 될만한 말씀이지 않나 싶네요. 지구가 아프다 뭐 이런 식으로 표현하니까 어떤 사람들은 엥? 계산해보니까 온도 좀 더 올라도 지구 안망하는데? 옛날엔 이것보다 더 더웠는데? 이런 식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있는데 당연히 지구 자체가 망하려면 이것 보다 더 크리티컬한 범우주적 사건이 있어야겠죠.. 중요한 건 우리 인간은 빙하기 때 태어난 생명체고 빙하기 기준에서 발생하는 자연 환경과 재해에 적응하며 지금까지 생존을 해왔는데 이제 슬슬 빙하기가 끝나고 온도가 다시 확 올라가기 시작하면 그게 인간에 의해서 발생한 거든 자연스러운 사이클이든 간에 우리는 대응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겠죠. 자연 과학의 발전이 지속되기를 응원합니다

  • @진형욱-g8t
    @진형욱-g8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이 흡수한 이산화탄소를 분해해 재활용하는 기술도 나오면 더욱 대박이겠군요.

  • @JamesHong2357
    @JamesHong235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렇게 메신저가 되어주세요. 영상 좋아요 감사해요 어그로도 필요없고 숏폼도 필요없고

  • @누리다-l5d
    @누리다-l5d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이분은 찐인데. 잘보고있습니다

  • @배규현-r5f
    @배규현-r5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래서 AI는 정말 세상에 없어서는 안될 존재네요. 그야말로 현실판 터미네이터에 가깝습니다. 과학자분들 정말 너무 좋습니다. 우리는 해답을 찾을것이라는데 그 말이 씨가 되었네요. 박수!!

  • @기기-l4u
    @기기-l4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천한 연구자로써 과학자나 공학자들이 궁극적스로 가고자하는 길은 인간이 참거나 아껴쓰자보다 아껴쓰지않더라도 해결할수있는 기술로 나아갈수있는 방향인 것 같습니다

    • @da_oua5226
      @da_oua522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참거든요 ㅋㅋ

  • @cdlee9991
    @cdlee999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0:30 곰의 겨울잠이 '빨라지고' 있기~~
    내용상 '짧아지고'가 맞을 듯..

  • @nutella1774
    @nutella177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불가능할 것 같았던 수준의 과학기술 발전이 ai를 통해 이뤄질 수도 있다는게 기쁘네요

  • @이준혁-w2j
    @이준혁-w2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류의 기술... 빨리 상용화 현실화 범공개화 됐으면 좋겠습니다..

  • @Idea63841
    @Idea6384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원래 가루로 빻으면 같은질량대비 표면적이 올라갑니다.
    2.10^3sqm/gram이 대단한 수치인지 아닌지는 비교대상을 같이 써주세요. ex:기존분자들은 100sqm/gram정도...
    2.Nucleophile로 CO2공격해서 카보네이트로 바꾸는거는 기존에도 많이 수행되던방법인데, 기존방법대비 뭐 특별한점이 있나요...?
    4.뭐 이래저래 인용도 많이되고 그런분자라니까 뭔가 대단한건 알겠는데, 기존 방법 대비해서 차이점이 무엇이고 그것때문에 이렇게 많은 관심을 받고있다 정도를 써주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이게 좋은 성능을 가진 분자라서 CO2흡착측면에서 각광을 받고있는건지? 복잡다단한 합성경로의 분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해내서 관심을 받고있는건지? 아니면 Ai가 전합성경로를 제시해서 관심을 받고있는건지? 아니면 전부인지?

    • @blueite
      @blueit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가루가 아니라 초분자 구조 내부에 공극이 생기도록 합성하는 방식인데, 저 논문에 보고된 유기 구조는 성능 자체는 유기금속 framework (보통 MOF라고 합니다) 에서 2005년경에 보고되었던 수치보다 낮은 편입니다. 논문은 물질 자체보다는 설계와 성능 예측에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는 유용성 자체에 비중을 두고 있다고 보면 되고, 솔직히 학계나 업계에서 관심을 받는다고 하기에는 아직 이를 듯합니다. 그리고 다른 분도 지적하셨지만, 최소한 이 논문에 서술되는 범위 내에서는 AI라고 할 만한 건 없습니다.

  • @london3843
    @london384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래도 기술 만능주의는 경계 되어야지.. 지구온난화가 기술발전보다 빠르다는 연구도 많고 그리고 책임을 개인화하면서 개인의 근검절약만을 요구하는 것보다는 정치적 합의가 제일 중요할 것 같음. 이 행성은 인간의 기준에서 그렇지 태양이 팽창하여 다 불살라버려도 망하지 않잖아? 피해보는건 우리다.

  • @kepco4075
    @kepco407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루빨리 상용화되어서 기후위기가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polarisseo4997
    @polarisseo499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이빅스비. 저 유기화합물 대량 생산 하는 방법 알려줘~ ㅎㅎ (농담반진담반) 얼른 상용화 되서 병들어 가는 지구를 치료해줬으면 좋겠습니다. 힘내십쇼 연구자님들.. 힘내라 과학아~ 막지마라 정부야~

  • @thegame3467
    @thegame346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그는 사람이 지켜지길 바란다곤 하지 않았다...후후후

  • @H현-q6k
    @H현-q6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언제나 그렇듯이 과학에 해답이 있었습니다.
    자연을 살리는 작은 실천도 좋지만 언제나 해답은 과학에서 나온다는거 다시 한번 알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kulkrafts3143
      @kulkrafts314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학이 아니라 자연이겠죠. 자연의 섭리를 배우는게 과학이고.
      탈원전 하여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를 더생산해 연간 기관지 사망자, 어린이들과 노약자들, 통계는 한국에선 안보던데, 미국은 연간 수십만명입니다. 원전으로 연간 사망자가 있기나 할까요? 전세계에서 수십년마다 수백명수준의 사고는 있지만, 2번!

  • @포기하지마-e4y
    @포기하지마-e4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제발진짜이길

  • @아잉아잉-m6v
    @아잉아잉-m6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8

    2022년 중순까지 sod님 영상 많이봣엇어요 , 한동안 안보다가 요즘 다시 보게되는데요 . 뭔가 다시 옛날 맛집이 된 느낌이에요. 물론 제 의견이 다른분들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수도 잇지만 표현해볼만한 말인것같아 댓글남겨요

    • @softdragon
      @softdrago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부족하지만 더 노력하겠습니다!

  • @roadstar3323
    @roadstar332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연은 자연으로 돌이키는 수밖에 없기에.. 지구 온난화는 대형 화산이 터져서 화산재로 태양열이 차단 되어 수년에 걸쳐서 지구오 온도가 떨어지는 수밖에 없어 보임. 단..그 수년동안 식물이 못자라고 그로 인해 곤충 동물등이 많이 멸종하겠지.. 하지만 뜨거워지는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은 인간의 힘으론 절대 부족..

  • @투머치피고너
    @투머치피고너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더글로리에서 연진이 엄마가 한 대사를 좋아한다. 해결책은 뒤에 없어. 앞에 있지. 과학이 해결할 때까지, 시간 싸움이 아닐까.

  • @지현민주
    @지현민주 3 месяца назад

    온실가스를 흡수한다? 이건 혁명이다! 과학기술의 가치가 피부로 느껴지는 순간입니다

  • @김정원-o7p
    @김정원-o7p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분자는 어떻게 처리할까요?

  • @klade2307
    @klade230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전기를 얼마나 사용하는건지가 관건이 될듯?

  • @세영윤-h3h
    @세영윤-h3h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절실하다면 얼마가 들든 이논문을 현실화 해야한다.미국은 천조를 무기에 투자하지말고 이런데 투자해야해.미국의 행보가 절실하지않으니 지구인들이 기후위기를 믿지않는거야.

  • @123_78god
    @123_78god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후변화는 잡는다 치고 무수한 쓰레기 처리기술, 미세플라스틱 걸러내는 기술도 필요할거같습니다

  • @이우철-c6e
    @이우철-c6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질소 비료로 1차 위기 넘겼고
    이번 발견으로 2차 위기 넘기면
    화석 연료 사용에 대한 제한이 감소해서 석탄값이 오르려나

  • @A.C.D.G
    @A.C.D.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것이 현대과학의 힘이다

    • @A.C.D.G
      @A.C.D.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러니까 이공계 지원 좀..

  • @iamgroot2674
    @iamgroot267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방향족 고리 여러개로 만든 빈 공간(cage)로 더 큰 빈 공간(cage)를 만들어서 cage of cage라고 하는 거네요. 우리말로 번역하면 이중철창 정도로 번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건 좋은 일이지만 결국 이걸 다시 탄소와 수소로 분해시키지 못하면 근본적 해결은 불가능해 보이네요..

  • @sskim7690
    @sskim769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발전의 속도가 파괴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면 망하는 건 매한가지. 인류멸망 시나리오중 하나죠

  • @그리고-r5w
    @그리고-r5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불화수소계네..오존층 파괴시키기 좋은 물질임. 상용화 한다고 할때 무조건 조심해야 겠구만

    • @blueite
      @blueit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불화수소는 아니고 크게 보아 불화탄소 계통으로, 간접적으로 국제 규제 가능성이 있는 성분입니다. (벤젠이 아닌 탄화수소에 불소가 결합된 것은 플라스틱 규제 대상)

    • @그리고-r5w
      @그리고-r5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blueite 네 HFC계열인데..잘못 적었네요. 환경규제 물질이죠

  • @Elhwarang
    @Elhwaran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분자량도 커서 컨트롤하기도 쉬울거같긴한데 그래서 생산 프로세스가 어떻게 되느냐 그리고 실제로도 그런가가 문제네요

  • @김대훈-y1v
    @김대훈-y1v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시대를 뚫는건 소수의 천재들이고, ai는 시대를 뚫는 만들어진 천재같네요

  • @Matou-Sakura
    @Matou-Sakur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딱히 당장 돈이 안됨에도 연구하고 개발해내는 기술,인력, 제반 시스템....이젠 놀랍지도 않네요....한국은...이런거 요원하겟죠.
    AI가 예상과는달리 단순노동보다는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같은 창의적인 직업을 먼저, 광범위하게 없애고 있는데, 설마 과학자까지 없애버리지 않을까 ..... 오싹...

  • @ppleA-n1u
    @ppleA-n1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곰처럼 달려 왔습니다
    그래서 형 주식 어디꺼 사면 돼??

  • @서진-g6f
    @서진-g6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삶을 더욱 윤택하도록 변화되기를 반드시 바랍니다.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요.

  • @김진해-w9z
    @김진해-w9z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탄소포집 이렇게 어렵게 접근하지말고 ,, 자동차 선팅하듯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적절한 위치에 위성 날려서 태양열을 차단하는 차단막하나 설치하는게 신기술 개발보다 편할것 같은데 기술적으로 힘드나요?? 아주 일차원적으로 태양열을 약하게 받아서 지구온도를 내린다. 너무 내려갈수있으니 차단각도 조절 가능하게 해서 지구가 받는 태양열을 조절한다 , 이거 힘든가요??

  • @정찬호-j5w
    @정찬호-j5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상용화 되기 전까지 지구가 버텨준다면 말이지

  • @장대한-z3o
    @장대한-z3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에스오디님 진짜 궁금해서 여쭤보는데요. 이런 연구 같은 것은 노벨상으로서의 가치는 없나요?

  • @BULZ50000
    @BULZ5000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부는 반성 해라!!! 후대에 고통을 최대한으로 분담해야 한다!! 그리고 기업들도 빨리 준비해야 한다~

    • @kulkrafts3143
      @kulkrafts314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업세금을 미국기업보다 더내면서 기업이 할수있을까? 왜 미국에 공장뺏기냐고 하지말고 국내공장이 미국만큼은 돈벌게해줘야 공장짓죠. 인건비는 미국보다 적지만 노동생산력은 미국보다 가성비가 못합니다. 최소한 한미 현대기아 공장 데이터로 분석결과입니다. 국제적 시선에서 공정하게 봐야지, 불평만 하니 박통때 헬조선이 얼마나 좋았던지 후회해봤자, 이미 망가졌지요. 회복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반성할 정권때는 침묵하고 이제와서. 공무원추가채용, 부동산가치 인상정책, 최저임금 주간노동시간 제한, 기업세금인상, 탈원전, 소주경제, 중국 태양판 보조금, 보건혜택확장, 추경으로 코로나 보조금주고 국채 400조 인상등을 반대 안하고, 이제와서?

  • @Rozor0531
    @Rozor053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인간은 위험이 턱끝까지 올라오면 어떻게든 해결책을 찾아내네

  • @dungrami96
    @dungrami9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건 뉴스속보로 내보내야하는거 아닙니까!?

  • @100-y1s
    @100-y1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곰 출몰 지역에 갈 때는 페퍼스프레이를 들고 다녀야겠네요

  • @goodlag
    @goodla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소개하는 거의모든 기술이 살아생전 사용화 보편화 댈수 없는것만 골라서 소개하는듯

  • @ADAMOTHER
    @ADAMOTHE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sod : 베어장이 좋습니다. 곧 나스닥 빅쇼트 기원합니다.

  • @twilightgarden
    @twilightgarde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난 문과지만 과학자들 화이팅이다. R&D 예산 좀 건드리지 마라.

    • @가나다-w1s1e
      @가나다-w1s1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R&D 하는척 세금만 착복해 사기 치는 R&D 예산은 가려서 줄여야지... 혈세인데

    • @ska7257
      @ska725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r&d 예산ㅊ삭감은 잘한 정책임 연수도 안하던 유령업체 4조원이 사라짐 덕분에 핵융합 소형원자로 연구하시는분들 지원해즐수 있었음
      참고로 예산 짤린 업체들 다시 심의 평가 받은 업체가 고작 2프로임 ㅋㅋㅋ
      98프로가 허위로 예산 타고 있었다는게 증명됨
      이게 브로커가 광범위하게 자기가 빼돌린돈 고발하면서 시작된 일임

  • @user-qz1lf3lu4m
    @user-qz1lf3lu4m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빨리 상용화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예전처럼 4계절이 뚜렷한 한국이 되었으면..

  • @메주킹
    @메주킹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실 화석연료에 인해서 편해진 인류가 자발적으로 불편한 생활을 인내한다는 안일한 생각은 안하는 편이 낫죠. 오히려 어떤 계기 (환경적 대재앙으로 인한)을 겪어야 그제서야 바뀌는게 인간이죠

  • @hong_doo_
    @hong_doo_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나 이거 설국열차 도입부에서 본적있어

  • @Cliff_hematuria
    @Cliff_hematuri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미 임계점을 돌파했다고 생각 되기에 온난화는 필연적이며 선진국들이 탄소를 줄여도 개발도상국들은 탄소를 줄이는 일에 관심이 없기 때문에 지구는 더 뜨거워지는 일만 남았다고 봅니다😂

    • @sugo6660
      @sugo666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사실 개도국 입장에서 보면 지구온난화 주범 들은 사실상 지금 선진국 반열에 올라있는 나라다 보니 우리가 줄여달라고 해도 안듣는게 당연한 것 같아요.
      그래도 인간이 해결책을 찾아낼거라는 환상을 가지며 오늘에 충실해야죠 ㅎㅎ

  •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세먼지는 어떻게 안되나요? 365일 중에 300일이 미세먼지예요 날씨 좋은 날에 미세먼지 때문에 나가지도 못하고 미치겠어요

    • @da_oua5226
      @da_oua522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마스크를 쓰세요

  • @grinbearit
    @grinbeari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온실가스로 온난화 온것보다 태양의 활동으로 온것이 맞습니다..

  • @chairshot
    @chairsho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예전부터 기후변화 지구는 점점더 힘들어질꺼라는건 거짓이라고 부르짖던 놈 아니던가.

  • @SIGNIEL
    @SIGNIE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딱딱하게 이야기하시는 것보다 이번 영상처럼 자연스럽게 말씀하시니 훨씬 보기 편안한? 느낌이네요 개인적으로 내용이 너무 딱딱하고 무겁지 않은 느낌이랄까요?

  • @ngc-gl4fw
    @ngc-gl4fw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새로운 분자를 발견해서 해결할 방법을 찾은 것은 기쁜 일이지만, 검증을 충분히 하지 않아서 영화 '투모로우'처럼 대재앙이 일어나지 않을까 두렵기도 합니다. 충분한 검증을 거치고 조금씩 해결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holiday5
    @holiday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매번 뒤흔들리는 지구가 위험하다..!

  • @안되는차되게하라
    @안되는차되게하라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시 업 사이징 논터보화 되는것인가 제발 꼭 이루어지길..

  • @eye_gun
    @eye_gu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구온난화를 획기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은 인간의 멸종임...

  • @vnfma7
    @vnfma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국은 기후변화따위 생각할 이유가 없는 나라긴함. 그전에 자기들이 스스로 사라지고있으니까 최고의 친환경을 이미 하고있기도함.

  • @dojo3872
    @dojo387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미 만들어노코 뒤늦게 타이밍에 맞춰 발표

  • @user-SabaPing
    @user-SabaPin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저런 신소재를 개발한 것도 좋은 일이고 축복받을 일이기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대량 생산의 가능 여부이지 않을까?

  • @raykim1812
    @raykim181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대량생산과 상업화도 AI의 도움을 받아서 가능하지 않을까요

  • @KkK-wr4bg
    @KkK-wr4b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와......이게 뭐냐, 비싼 신재생 안짓고 다시 석탄발전 계속돌려도 되는거임?

    • @BadA55
      @BadA5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어차피 지금 추세가 유지되어도 2038 년이면 석탄발전이 만들 이득보다 비용이 더 커져서 자연도태 될 거예요

    • @무뮤
      @무뮤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물론 계속 신재생 에너지쪽으로 계발을 지속해야겠죠 저 프로젝트가 실패할수도있고 게다가 석유고갈은 모르겠지만 채산성이 큰 유전이 한국에서 발견되지 않았으니 에너지자립률을 높히기 위해선 해야하는 일이기도하죠 그리고 중요한건 새로나온 기술에 희망을 가져주고 이미나와서 별 소득 없어보였던 기술도 계속 지켜볼수있는 눈을 가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ddcgddchr
      @ddcgddch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BadA55 석탄보다 싼 에너지는 원전 밖에 없음. 원전은 지을 땅 없구

    • @won-z6k
      @won-z6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BadA55뭐 관련논문이나 출처있나요?

    • @Game-Boy7179
      @Game-Boy717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저걸 얼마나 값싸게 대량으로 만들어서 그 석탄 발전으로 나온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게 더 싸게 먹히냐 아니면 핵융합 발전소를 짓는게 더 싸게 먹히느냐에 따라 다를듯

  • @윤성욱-w1v
    @윤성욱-w1v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온난화를 없애는 물질 이라 ...설국열차 생각이 나네요

  • @duk6046
    @duk604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이 벌써 여기까지 왔군요 전에도 가끔 들어보긴 했는데 이번엔 확실히 효율이 다른가보네요 자신도 전기와 공산품을 쓰면서 유체이탈식으로 인구감축 노래부르는 사람들 요즘 많은데 어짜피 과학만이 답일듯 10년안에만 상용화 되어도 대박일텐데 막상 해결되면 환경단체 pc주의자들 밥그릇이 사라져서 서운?할지도 모르겠네...

  • @박미숙-b7o9t
    @박미숙-b7o9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매우 감사합니다. 마크 리틀!!

  • @유우열-s4b
    @유우열-s4b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설국열차 현실화;;

  • @2jaemyungE
    @2jaemyung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 홋카이도 다녀오셨네요. 지옥계곡 저도 갔다옴

    • @softdragon
      @softdrago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홋카이도 너무 좋아해서 자주 가요!
      아메바처럼 아무 생각하기 싫을때마다 일본 가용

    • @2jaemyungE
      @2jaemyung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softdragon 하코다테 케이블카 타고 올라가본 야경. 지금도 눈에 선함. 또 가고 싶음

    • @softdragon
      @softdrago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코다테는 잘 안가시던데 멀리까지 가셨네요 ㄷㄷ 저는 고료카쿠가 좋았어요. 벚꽃시즌에 갔거든요

    • @2jaemyungE
      @2jaemyung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softdragon 요새 별모양보려고전망대 가서 스탬프찍고옴

  • @바르고고운말
    @바르고고운말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구는 아프지 않아요 인간이 멸종할 뿐
    도대체 이 말이 왜 필요한지 모르겠다 도대체 얼마나 멍청해야 지구가 물리적으로 파괴된다는 생각을 하는걸까 책좀 읽자

  • @mnjongin2044
    @mnjongin204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간과 함께하는 지구가 있고 인간과 따로 가는 지구가 있지요. 잠시 인간과 함께 하는 지구는 망할 수도 있지요. 그러나 곧 다시 함께하는 지구가 시작됩니다. 물질적인 시각이 전부가 아닙니다. 물론 때론 그런 시각도 필요하지요.

  • @jodhi2068
    @jodhi206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미 수많은 시멘트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음

  • @uandikk82
    @uandikk8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온난화가잇긴하지만 CO2는 전체대기의 0•04프로 정도인데 전체비율도 변화가 없는데, 중요한거는 농도가 높은곳만.써야지. 잘못썼다간 망할수도

    • @mkg6545
      @mkg654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뭘 잘못 알고 계신듯.. 산업화 이후 지난 100년간 지구상의 대기에 이산화탄소량은 한해도 멈춘적 없이 계속 우상향중인데요? 다시금 알아보심이.....

    • @uandikk82
      @uandikk8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 그래도 전체 비중에서는 변화가 없는걸로 알아요 사실 나머지가 너무거대해서

  • @Yuwol_7011
    @Yuwol_701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와 세상에... 해결책을 찾아낸건가..ㄷ

  • @anfflqjqclrdmldlgo
    @anfflqjqclrdmldlg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초전도체 핵융합만 있으면 기후위기고 나발이고 다 해결가능

  • @ptahoteff
    @ptahotef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근데 해조류와 서해의 갯벌이 더 좋지 않나?

  • @Waterhighfiredown
    @Waterhighfiredow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금성 테라포밍이 쉬워지겠네요

  • @woollsae99
    @woollsae99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NTD korea 유툽 채널에 지구온난화 는 가짜다 라면서 반박을 하던데 지구온난화 관련 영상 오리셔서 알려드립니다! 영상보면 반박 내용이 어느정도 말이 된다 생각도 됩니다!

  • @달지구-z3e
    @달지구-z3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기술이 있어도 사실 그게 사람들에게 필요하다는걸 설득하고.. 받아들이게 하는데는 결국은 기술 이외의 다른 노력들이 필요함 지금도 기후위기는 사기꾼들의 선동이다라고 믿는 사람들이 있는걸..

  • @freeman3824
    @freeman382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기후변화 기후변화 하는데 기후변화로 지구가 망하는 상황은 100년뒤 아니 1000년뒤가 될거라 봅니다. 더 이상이도 될수 있겠죠. 그런데 내일 당장 망할 것 처럼 얘기하는 단체나 사람들은 좀 너무 많이 나간 거라 봅니다. 미래를 생각하고 대비는 해야 겠지만 기후변화에 너무 집중하다보면 집착이 될수도... 만일 내가 80년뒤에 죽는다고 지금 설레발 치면 오늘 당장 할일도 못하겠죠. 지구는 언젠간 망한다 봅니다. 기후변화든 핵전쟁이든 언젠간 망하겠죠. 하지만 지금은 아니고 아주 머~ 언 미래가 되겠죠. 만일 기후변화에 집착한다면 집착을 끝낼 방법은 있죠.
    지구상에서 인간들이 없어지면 되죠.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1순위는 지구에 사는 인간이니까요.

  • @준민유-f1p
    @준민유-f1p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웬 온실가스….? 제데로된 단어를 썼으면….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가스라고 온실가스라고 해버리면 지구온난화가 가스때문이라는 말이 되버림… 여러가지 요인이 겹쳐서 발생한 현상이고 그걸 추상적으로 온실처럼 만들었다고 해서 비롯된 말인데 … 그리고 문제는 저 물체는 극지방에서 실험을 다시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 단지 기업체들이 저 물체로 탄소배출량이나 유해물질배출을 줄인다고 온난화가 해결 되진 않겠지… 온난화는 이미 걷잡을수 없는 상황…. 상태를 최대한 악화시키지 않는 수준으로 버티는게 현재 인류의 기술력의 한계… 20년 전에는 향후 70년 이후에 문제가 발생할것 이라던게 50년이 단축된 상황…

  • @마블-t5y
    @마블-t5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니 과학에 특이점이와서 탄소포집에 혁신적인 기술이 생겼다 쳐도 대기중에 탄소가 줄어들면 식물의 광합성 효율이 줄어들거고 온실효과도 줄어들텐데 온도가 얼마나 떨어질지도 모르면서 탄소를 막 없애도 되는거야 ??? 인간은 온실효과 덕분에 안정된 기후에서 생존가능한건데 탄소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보는게 맞는거야 ??? 그리고 탄소 때문에 이상기후가 나타는거는 확실한거야 ???

  • @편견타파
    @편견타파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사람도 끝까지 타락하는구나... 기후위기가 해결될것 같은가? 아무리 긍정적으로 보려해도 뇌가 있다면 인류대학살이 곧 일어난다는게 보일텐데... 지금 인류가 합심해서 기후위기를 방치중 아닌가? 더 쉬운방법만을 찾고 있는 탐욕에 미친 짐승이하의 세상임.. 제일 쉬운방법이 무언인지는 뇌가 있다면 알것임 비이성적이고 탐욕에 지배당한 짐승이하의 사람가치가 없는 존재들이 99프로임 애초 합심해서 인류가 살아남으려했으면..1900년대부터 시작했어야함.. 대다수는 인간이 대학살될것임을 모르고 어렴풋이 가능성을 염두해도 방관한채 살아가고 있음 다시말하지만 정보가 많고 돈많은 부자들은 재앙을 대비하고 있음... 소수가 살아남고나서야 지금 논하는 기술들이 가치가 있을것임 AI휴머노이드로봇도 노동력을 충분히 대체해줄것이고..다만 AI는 인류의 상태가 보존가치가 있다고 느껴야 생존시키고 멸종안시킬것임 AI의 무서움을 모른다면 무식한것임 지금의 대다수 인류상태로는 AI의 학살대상임.. 아무튼 여러이유로 인류는 대학살후 다시 문명을 꽃피울것이니 너무 사람의 가치를 회복하지 못한자들은 장미빛 미래를 꿈꾸지말고 차라리 재난대비나 하시길..

  • @검호-u9b
    @검호-u9b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곰은 사람ㅇ을 찢어!!😢

  • @라지안투
    @라지안투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최초의 분자 (X)
    2. 댓글에서 설레발치는것처럼 지구온난화 해결을 할만한 사항이 아님.
    이제 첫 걸음 뗀거나 마찬가지인 사항.
    3. 중요한건 포집 한 이후 어떻게 활용하고 처리를 하는가임 그게 해결이 안되면
    지금처럼 기업에 보조금 주고 재활용 하는 방식은 사용불가임
    국가에서 강짜로 돈만 지출하여 펼쳐나간다는건데 지구를 위해 본인 나라 자체를 태울 국가는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