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현장)에 가면 안되는 6가지 이유!! 건설업을 준비 중 이시라면 꼭 봐주세요 (건설업, 건설업 전망, 건설 취업)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취뽀! 취업리스트입니다!
    이번화에서는 건설업에 가면 안되는
    제가 생각하는!
    6가지 이유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모두 재밌게 봐주시고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모두 탈ㄹㄹㄹㄹ건!!
    #건설업 #취업 #단점

Комментарии • 799

  • @yoonsanghun
    @yoonsanghun 3 года назад +53

    아 진짜 회식문화
    동기가 건설현장 몇년 구르더니 성격이 변했어요
    건설업뿐만 아니라 한국기업문화는 숨을 쉴수가 없게 만들어요.

    • @김선미-d3m
      @김선미-d3m 2 года назад

      여자들이 더 설치는 세상에!
      나라의 국회의원들이 왔다리 갔다리 하는 시대에!
      회식 문화 좋네!
      사람이 생각하기 나름이겠지!
      분야별로 사람들은 직업에는 귀천이 없으니!

    • @Djkeidjsnqhfnxmaj
      @Djkeidjsnqhfnxmaj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김선미-d3m뭐래 중졸아 😅

  • @user-99hgcx457hg
    @user-99hgcx457hg 2 года назад +13

    1. 주6일
    2. 타지 숙소생활 (3룸 아파트 2인 1실이 국룰. 세탁기 냉장고 외엔 아무것도 없음. 냉장고 조차도 없는 곳도 있음. 막내가 빨래 청소 설거지 쓰레기 재활용 심부름 운전 등등 다 떠맡음)
    3. 5시 출근(7시 현장시작) 19시 퇴근(17시 현장끝)
    4. 겨울엔 죤나 춥고 여름엔 죤나 덥고 환절기엔 아침에 죤나추워서 껴입고 낮엔 죤나더워서 껴입은거 벗고 싶어도 벗어놓을데가 없음
    5. 맨날 눈 코로 시멘트가루 흙가루 먹음
    6. 숙소 돌아오면 잘때까지 시작되는 기러기아빠, 양아치, 빚쟁이, 유흥업소중독자, 도박중독자, 허세충 등등 이상한 사람들의 히스테리 맞장구 쳐주기(반응 안해주면 태움 죤나 심함)
    7. 하루 쥐어지는 일요일 휴일인데 토요일 저녁에 팀원들이 회식가자 2차가자 강요하고 일욜에도 일찍 낮에와서 청소 빨래 등등 하라고 강요..
    오로지 돈만 보고 버틸 수 있으면 하세요 ㅋㅋ
    이바닥 들어오면 연애? 결혼? 기러기아빠 ATM 당첨입니다
    배운거 ㅈ도 없어도 월 350부터 시작해서 500 600 개나소나 벌 수 있다는게 괜히 그런게 아닙니다
    그정도라도 안주면 외노자 말곤 아무도 안합니다ㅋㅋㅋㅋ
    외노자들은 본토에서 받는 돈의 10배 수준이니 그렇게 열악해도 이악물고 할 이유라도 있지..

    • @user-hm1gz4ty8o
      @user-hm1gz4ty8o Год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웃기네요 근데 거의 맞는말이라 후.. 저는 이제 탈건합니다 2번째 현장인데 담달이면 사용승인나서요 후...

    • @Djkeidjsnqhfnxmaj
      @Djkeidjsnqhfnxmaj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관리자요 관리자 현장 노가다 꾼 말고요

    • @세상에없는
      @세상에없는 5 месяцев назад

      @@Djkeidjsnqhfnxmaj 댓글보면서 작업자인데??싶얻는데 ㅎㅎㅎ

    • @user-nx1vl4ky8q
      @user-nx1vl4ky8q Месяц назад

      이건 그냥 노가다꾼 아님?

  • @user-jr1zz1cx7o
    @user-jr1zz1cx7o 2 года назад +31

    저도 이번에 탈출 합니다.. 정말 건설 현장 4년 넘게 다니면서 느낀 건. 정말 힘들다는 겁니다 뭔가 남들처럼 평범한 일을 하고 있지 않고 너무 특이하고 비정상적인 일을 한다는 느낌을 자주 느꼈어요 물론, 급여는 남들이 하는 평범한 일보다는 많이 받지만 급여만 중요한게 아니더라구요. 해 뜨기 전에 출근해서 해지고 퇴근하고, 내 시간이 없고 소장이랑 현장에서는 맨날 소리 지르고.. 뭔가 일을 하면서 자존감도 많이 낮아지고 몸도 많이 아파졌습니다. 정말 건설업 하실려면 잘 생각해보시고, 정말 하고 싶은 분들만 하시는게 맞는 거 같습니다. 가볍게 생각하면 안 됩니다

    • @물망초-i8k
      @물망초-i8k Год назад

      혹시 어떤곳으로 이직 하셨나요? 이 경력이 어디에 쓰일지 도무지 생각이 나질 않습니다. 두렵내려 왜 발을 드려가지고. 선배님 조언 부탁 드립니다

    • @롭스와
      @롭스와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누고?? 누가 우리 현장 직원이가?? ㅋㅋ 어딜 가도 다 똑같구만 ㅎㅎ

  • @skylim8289
    @skylim8289 3 года назад +21

    국내현장에서 일하는 것도 장단점이 있겠지만 동남아지역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소장님, 엔지니어분들 진짜진짜 고생 많습니다. 거기지역 엔지니어들은 완전 가관입니다...

  • @ssausage4593
    @ssausage4593 2 года назад +14

    저도 입사한지 6개월차인데..퇴사할려고 마음먹었습니다..중견건설사인데 이건 좀 아닌거같습니다..입사동기가 55명 정도 였는데 지금은 20명 밖에 없습니다..탈건하고 공기업준비할렵니다..

  • @디노카이
    @디노카이 2 года назад +5

    하... 전기공무 7년차 32살 나이로 올해 건설업 은퇴예정입니다.
    아침6시 출근 퇴근 5시인데 5시에 퇴근 해본적이없어요 감리상대 리얼 스트레스에
    출퇴관리 작업일보 기성관리 검측서류 자재서류 공정회의 관리자회의 시.도 분기보고서 등등
    여기에 청소해라 모해라 뒤돌아보면 어떻게 버텼는지..
    영상 제일 동감가는건 회식,같은숙소 쓰는것
    리얼 퇴근하고 집에가면 또 상사가 기다리고있다는게 소름;;
    저는 따로 숙소얻고 회식자리를 피하고 머를해도 노친네들 꼰대마인드에 두손두발 다들었네요.
    이 길을 가려고 산업안전기사 전기기사 위험물기사 소방설비 취득했지만... 아닌거 아닌거 같습니다.
    세후 450을받아도 못하겠네요. 왜 노가다판에 젊은사람들이없는지 다 이유가있는거죠
    일이힘들어도 사람이좋으면 다니겠는데
    이건 아닌거같은데... 내가이상한건가!? 이런생각드시면 다른길로가시길

    • @user-hm1gz4ty8o
      @user-hm1gz4ty8o 2 года назад

      4년차 건축주임입니다. 동감이요~~ 준공 1달남아서 저는 이번현장 끝으로 탈건할려고요. 사람이 좋아도 일이 ㅈ같은 업계인데 사람까지 ㅈ같으면 못다닙니다. 병신같은 숙소생활 평생해야하는것도 답도없고 정시퇴근 지켜지지도 않을뿐더러 퇴근할라하면 공사팀장이 밥먹으러가자(술빨러가자) 12시까지 술빨고 새벽6시전 좀비처럼 기상 하... 더는 못하겠네요

  • @minercozy5401
    @minercozy5401 3 года назад +9

    공감 100% 넘어서네요. 유튜버 까시는분들 방구석에서 그만 떠드시고 그냥 가보시면 알게됨. 인생 몇년 세이브 해주는 것임. 혹은 인생 전체를 바꿔주는 고마운 영상임.
    자기인생을 사랑한다면 더더욱 가지말아야함.
    건축기사는 명함 맨 뒷구석 4글자인 현 전문직 종사자가 조언드림.

  • @tt2821
    @tt2821 Год назад +8

    건설사 업무의 가장힘든건 업무난이도가 상당히높습니다 , 일이어려워요 , 직급이올라갈수록 더그런것같아요 업무에 고민,생각할꺼많고 하루일순간이 변수의 연속이라 ,,

    • @user-ho1gj4vy6y
      @user-ho1gj4vy6y Год назад +4

      변수 많은거 진짜 공감
      문제해결능력 일머리 진짜 좋아야 함

  • @defabc5437
    @defabc543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장점
    1.약간 높은 연봉+현장 수당+기름값,식대,술값 등등 지원나옵니다
    2.근무중 잠깐 외출(은행, 개인볼일)등등 안바쁠때 말만하고 비교적 자유롭게 합니다
    3. 바쁠때 바쁘고 한가할때 시간 낼수 있습니다
    4. 경력이 쌓이면 위에서도 함부로 못합니다
    기술자 정말 귀해서 함부러 못짜름
    5. 월급은 고스란히 저축 됩니다
    식대 기름비 술값 대부분 생활비 다 별도 해결됩니다 핸드폰비 등 지원되는곳도 많습니다
    경비로 간식, 부식,피복 등등 전부 왠만하면 다 됩니다
    결국 죽었다 생각하고 갈아넣으면 1년에 5천 이상 저축 가능합니다 저도 10년만에 4억 모음

  • @m.revolution
    @m.revolutio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건축, 토목은 그나마 낫다
    조경은 제대로 된 일자리가 없어서
    이직은 필수고 그걸 반복하다보니
    40넘도록 자리잡지 못하고 결혼도 못함
    이대로 살다간 죽을때까지 원룸살이 할까봐
    결국 취업포기함

  • @Channel-xk6em
    @Channel-xk6em 4 года назад +17

    내가 진짜 퇴사한 이유가 저기 다있네, 방금 다시 건설로 갈까 생각하다가 잠안와서 유튜브 틀고 알고리즘으로 저거 봤는데, 잠깐이라도 고민한 이유가 다 사라짐

  • @dolljong
    @dolljong 4 года назад +16

    시공사는 전통적으로 군대문화가 남아있다는 것에 한표. 그래도 예전보다는 덜 하지만 그만큼 다른 분야도 달라졌다는 거. 시공사는 연공서열 같은 게 일다고 봐야한다. 엔지니어링회사는 그래도 실력으로 승부할 수 있고 오랫동안 일할 수 일는 장점이 있다. 토목 엔지니어링 회사는 규모도 크고 상장회사들도 다수 있다.

    • @삶과죽음-q8v
      @삶과죽음-q8v Год назад

      일용직은 그것에 몆배더합니다 국회고 대통령이고 정치 인간들 이런건 신경도 안쓰지 더러운 나라

  • @sksmssk184
    @sksmssk184 2 года назад +23

    시공사 공사팀으로 있으면서 느꼈던게 진짜 다 들어가있습니다.
    너무 힘들고 전망도 안보여서 기술영업으로 탈출했는데 아쉬움에 건설업 기웃거리다 이 영상 보고 탈건한 이유를 다시 찾았네요.
    영상 항상 잘 보고있고 건승하길 바랍니다.

  • @딸기탕후RU
    @딸기탕후RU 4 года назад +20

    나도 건축에 미련버리려고 다짐했는데 배운게 이거밖에 없어서 다시할까? 고민했는데 유튜브알고리즘을 통해 영상을 보는데 다시 접어야겠다라는 생각을 한다

  • @루크-h3l
    @루크-h3l 3 года назад +8

    토목 공기업 준비하는데 참... 바늘 구멍이네요.
    토목기사,한국사1급, 토익750점, 컴활 2급 정도 인데 다 부질없는거 같습니다. 학과도 성적 마춰서 오니깐 더욱 하기도 싫고... 길기 공무원 공기업 밖에 없는거 같고.. 건설 자체가 이런 줄도 모르고 들어와서 굉장히 후회합니다. 취업은 되긴 하지만 환경이나 워라벨을 보면 차라리 중소기업 마트로 취직하는게 제일 행복해 보입니다... 참고로 27살인데 내 인생에 오점이 토목인거 같습니다.

    • @오잉오잉-e6u
      @오잉오잉-e6u 3 года назад +1

      아 저도 전기 나와서 비슷한 고민입니다.. 진짜 어디로 가야할지.. 현장은 정말 엄두도 안나네요 그렇다고 다른곳이 괞찬은것도 아니고 기술은 그냥 나쁜말로 노가다가 맞는거같기도합니다...말씀하신거처럼 공기업 공무원밖에 안보이네요...

  • @베스트-s9r
    @베스트-s9r 4 года назад +55

    이분 최소 일했던분ㅋㅋㅋㅋ

    • @김선미-d3m
      @김선미-d3m 2 года назад +3

      우리나라 돌아가는거 보면 전경련보다 민노총이 더 문제가 많다는것!
      여자들로 할거 같으면 이쪽이나 저쪽이나 여자들판에 남자들이 끼대돌고 염병들을 했다는것!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전세계 지도자들과
      자국민들까지 볼 수 있는 시대라는것!
      그것이 진정한 글로벌시대라고 할 수 있겠지!

  • @카든-j6u
    @카든-j6u 3 года назад +6

    현장 작업이 7시부터 시작한다고 하면 아침체조가 최소 6시 40분부터 시작한다는 소리인데 6시 40분부터 체조하고 작업들어갔다가 현장이 대부분 5시에 끝나니 점심시간 빼면 체조시간 빼도 9시간 일한건데 근로자들은 거기서 퇴근이지만 우리 건설사 직원들은 최소 6시까지 서류정리하고 칼퇴근해도 10시간임 현실은 아침에 단도리 치느라 7시보다 더 일찍 나오고 6시도 최소 6시인거지 보통 7시쯤 끝나는경우가 많음 또 우리나라는 이제 수도권 서울은 거의 발전해서 대부분 지방으로 내려가서 객지생활하는게 건설사 현장직의 현실임 단순히 사무직보다 걸어댕기는게 힘든게 아니라 애아빠들은 기러기아빠 되는거고 젊은사람은 친구들과 멀어질수도 있다는걸 감수하고 일해야됨 또 본판이 남초 노가다이다 보니까 회식도 ㅈㄴ게 해대서 자기시간이 생각보다 엄청 없음 일도 힘들어서 겁나 일찍 자게됨ㅇㅇ 제발 공부잘하고 머리좋으면 다른 직종으로 가는걸 추천드림 그리고 참고로 대기업,공기업 말고는 주 5일제는 꿈임ㅋㅋㅋ

  • @jaljalfam
    @jaljalfam 4 года назад +15

    우쨔다 보게 됐는데 참 슬프네요.ㅜ
    저희남편이 설비일 25년 이상 했는데
    전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생각해서 제가
    선택한 결혼이었는데 이 일이 여름엔 쪄죽고
    겨울엔 얼어죽고 힘든일이라고 일주일에
    3~4일을 술먹고 들어와서 싸우기도 무쟈 싸웠죠.
    공휴일 개념도 없이 토요일,빨간날도 일하고
    사대보험 안되고 몸은 병들고 노쇄해지고 너무 힘든일이죠.가족들도요.삶의 질이 떨어집니다.
    궁금해서 남편한테 물어봤어요.이쪽일 선택한거
    후회해본적 있냐고.없다네요.건물 하나하나
    완공하면 기분좋대요. 내가 지은 건물이라고
    자부심 같은게 느껴지는지.ㅎㅎ단순한 사람
    이쪽일은 젊은 사람이 거의 없어요.거의 중국사람들.어떤일이든 신중하게 선택하시고
    남의 시선 의식하지 마시고 후회 없으셨음 하네요.

    • @jyl1099
      @jyl1099 2 года назад +1

      기능공 돈 많이 벌어요, 건설사 사장 대부분 기능공 출신, 돈벌어서 바로 법인 사장됨.

  • @dayer326
    @dayer326 4 года назад +50

    시공사 경력자로서 진짜 100%맞는말입니다
    신입분들 무조건 필독하세요

  • @현민관-h9e
    @현민관-h9e 4 года назад +30

    저도 건설업에서 안전관리로 3년차 근무중인데 단점들이 너무 뼈에 와닿네요....거기에 추가로 퇴근하고 숙소에서 밤새 일하는경우도 많아요....현장나오면서 다시 현장생활 하지말아야지 하면서 한번 발들이면 헤어나오기 쉽지가않아서 참 뭐 같애여...그리고 요즘 시공사들은 주 52시간 지키는데 시공사는 그렇지가 않아요

    • @맹구-u8m
      @맹구-u8m 2 года назад +1

      요즘 시공사는 주52시간 지키는데 시공사는 안지킨다는건 무슨 말이죠?

    • @닌자거북이0
      @닌자거북이0 2 года назад +1

      @@맹구-u8m 저도 3번 읽었는데 무슨뜻인지 모르겠어요

    • @jyl1099
      @jyl1099 2 года назад

      중소 건설사 안지키고 직원일시키고, 최고 폭리취하고 노동강도 직업군중 최고,
      초임 년봉 1억 줘도 못 할직업(회사 측에서 거의 폭리)

  • @powermaxx2256
    @powermaxx2256 3 года назад +23

    영상 늦게 봤지만 하나같이 다 공감할만한 내용입니다
    저도 연봉 네임벨류때문에 갔었고 이후 탈건.. 신입때부터 해외 2년갔다오고 한국복귀날 인천공항에서 퇴사 하러 본사갔네요
    2년의 경력 버리게되었지만 지금은 it직무(데이터분석)이며 대학원도 다니며 서울에서 잘 근무하고있어요

    • @castlep7570
      @castlep7570 3 года назад

      전공까지 바꿔서 이직 하신건가요.. 대단하시네요
      산업군 변경이 아니라...

    • @powermaxx2256
      @powermaxx2256 3 года назад +3

      @@castlep7570 원래 전기전자여서 180도 변경은 아니었습니다

    • @쫌작은거인
      @쫌작은거인 2 года назад

      복귀날 퇴사하는거 개멋있네요 ㅋㅋ

  • @chihuahua70
    @chihuahua70 3 года назад +7

    화공출신이 건설에 발만 잠깐만 담갔다가 놀래서 바로 빤스런 쳤습니다 ㅋㅋㅋ
    2년 전이었는데 3개월만에 두손두발 다들고 나옴 ㅋㅋㅋㅋ 원청은 sk였고 전 하청(골조회사)이었는데 원청 직원이 되고싶다는 꿈을 꾸기보단 내가 아무리 잘 커서 대기업 가도 저렇겠구나 하면서 다른업종을 다짐을 했음

  • @다화TV
    @다화TV 5 лет назад +24

    파견으로 건설업 다닐때 친했던 대리님이 sk로 이직 했는데 이직이유가 해외근무가 싫어서 라고 말했거든요,, 그뒤로 저도 sk파견을 했는데 그대리님또 거기서도 해외파견 갔더라구요 ..... 제가볼땐 건설업 경력으로 어딜가든 그게 그거 갔더라구요;;;;;;;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5 лет назад +5

      원래 가본 사람 또 보내는 곳이 건설사져ㅋㅋㅋ

    • @user-kc7nn6jj8q
      @user-kc7nn6jj8q 4 года назад

      세상에 여기서도 다화님을 뵙다니 ㄷㄷ 전 pjt로 해외현장만 주구장창 다니고 있네요 ㅎ

    • @찹쌀떡-h4c
      @찹쌀떡-h4c 3 года назад

      갔(×) 같(0)

    • @malkyu8552
      @malkyu8552 2 года назад

      노비를 하더라도 대감집노비가 그래도 낫더라구요 ㅋ 같은 해외파견인데 다른점이 참 많습니다.

  • @SSG브루어스
    @SSG브루어스 4 года назад +12

    요즘은 주말 격주 이틀이라도 쉬죠...2000년도 초반엔 토/일 돌아가면서 하루만 쉬었죠...토요일날 쉬는게 낫습니다....일요일은 상대적으로 공정이 조금 널널했죠.....ㅋㅋ

  • @아침일찍-n8b
    @아침일찍-n8b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건설업 정말 빡세요. 풀야근 생각하고 와야합니다.
    6시 출근 9시 퇴근 수준으로 주7일 일할수도 있습니다.
    현장마다 모든게 달라요 일을 개처럼 해도 월급도 짜고 공부는 너무 많이 합니다.

  • @이재민-n5j
    @이재민-n5j 3 года назад +4

    5:05 취업 채널이라고 해서 왔는데, 발음이 너무 찰져서 깜짝 놀랐습니다.. 뭔가 연륜이 느껴져서 더 신뢰감이 생겼습니다

  • @네네넨-h5m
    @네네넨-h5m 4 года назад +5

    현재시각 5시 잠도 안온다.
    건설사 탈주 백수고 오도가도 못하고, 공기업 준비하긴 하다만 바늘구멍 미치것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사.. 다신 안간다.
    난 다를줄 알았다 남보다 끈기있고 남보다 체력고 더 견딜줄 알았다. 현장은 건축기사의 무덤이라고도 불리운다. 호불호가 갈려도 다수의 사람이 한결같이 말하는 것엔 분명 문제가 있다는 소리다.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화이팅하세요,,

    • @네네넨-h5m
      @네네넨-h5m 3 года назад +1

      @‍한승훈[학생](공과대학 기계공학과) 해병대면은 뭔들 못하시겠습니까 그리고 케바케 입니다. 강철체력으로 충분히 버티시지 싶습니다 건승하세요.

  • @연우아범-f5l
    @연우아범-f5l 5 лет назад +35

    저중 몇가지는 현장소장에 따라 케바케임 도급순위 50위권 내 건설사 7년차지만 요즘은 준공직전 바쁠때 아니면 6시칼퇴 회식강요없음 공휴일휴무 등 다 지켜주는 소장들이 대부분임 그리고 업무시간은 길다하나 실제 하루업무량은 3,4시간정도밖에 안됨 공사관리 포지션이기 때문 그래서 제조업등과 비교시 업무강도 비교도 안되게 낮은편임 타 직군에 비해 군대식 문화인건 사실이나 말그대로 군대문화임 내가 직급이 올라가는만큼 역으로 편해짐 결론은 소장에 따라 다 다름

    • @김민수-b3f4m
      @김민수-b3f4m 5 лет назад +6

      이말엔 왜 반박안하지? 본인이 아는게 전부인 우물안 개구리같네요
      이런채널은 걸러야합니다

    • @다다구가
      @다다구가 4 года назад +3

      현직 건축기사인데요 동의못하겠네요 절대하지마세요

    • @이준영-p2c4v
      @이준영-p2c4v 4 года назад

      꿈같은소리네요

    • @user-st3727ytyrfuqd1
      @user-st3727ytyrfuqd1 4 года назад +6

      어떻게 일 하길래 ㅋㅋ 현장에서 실 근무시간이 3~4 시간이라는 소리가 나오실까 ㅋㅋㅋ
      전 도급순위 5위권 이내 초록색 회사인데요
      절대 공감 못합니다.
      현장사무실 직원만 40명인데 하루 3~4시간
      근무라는건 절대 동의 못 합니다.
      고스톱쳐서 소장 다는것도 아니고
      대기업 소장까지 가려면 기술사에 근태기록 오전 6시 출근 + 오후 6시 이후 퇴근 관리해야 합니다. 그래야 부장에서 겨우 조단위 공사 나갈 수 있고 해외플랜트 다녀온 뒤에 임원심사 받습니다. ㅋㅋ 님처럼 해서는 죽어도 소장 못 달아여

    • @다다구가
      @다다구가 4 года назад

      @@user-st3727ytyrfuqd1 조단위는엄청나게크긴크네요

  • @Daniel706202
    @Daniel706202 4 года назад +24

    걍 이렇게 보면 공대쪽은 일하는거 다 힘든거 같네요ㅋㅋㅋ 금융이나 IT쪽이 짱인가

    • @30v19
      @30v19 4 года назад

      자기한테 맞는거 가는거죠 ㅋ

  • @현진-e3j
    @현진-e3j 3 года назад +4

    나도 엔지니어가 되고 싶어서 현장으로 왔건만 이건 뭐.... 영상에서 다른점은 우리회사는 회식은 없음ㅋㅋㅋ 근데 내가 안전관리를 하러온건지 공사관리를 하러온건지 배워가는 건 없고 현장소장은 목청은 뒤지게 커서 사무실이 조용한 날이 없음 빨리 퇴사하는게 답인듯

    • @yoonsanghun
      @yoonsanghun 3 года назад +1

      아니다 싶으면 빨리 나와야죠 ㅋㅋ.

  • @신안염전노예-l6n
    @신안염전노예-l6n 3 года назад +4

    쫄때기가서 야리끼리받으면 2시 3시면 집가구요 아파트나 대기업현장은 7시부터 5시까지입니다. 휴식시간 9시에 30분 쉬고 3시에 30분쉽니다 점심시간은 11시 40 정도 정리하고 나가서 1시까지 모여서 TBM하죠.
    그리고 5시 넘어서 7시까지 0.5공수 10시까지 일당에 두배입니다. 가끔 운좋게 철야작업들어가면 24시간 일하고 4.5공수 정도 받아갑니다. 연금없고 토요일 공휴일 특근수당 주는곳은 없다고 봐야합니다.
    저는 철근쟁이 6년차 30살 아재입니다.

  • @honk8087
    @honk8087 4 года назад +14

    전 하나하나 너무 공감가는데.... 댓글보니 또 괜찮아 하시는 분들도 많긴 많네요...! 급여 빵빵하고 돈쓸시간없이 새벽부터 밤까지 일만해서 진짜 돈모으기엔 건설현장만큼 좋은게 없는 것 같아요!! ㅎㅎㅎㅎ 근데 진짜 그 회식문화... 아니 새벽부터 밤까지 일해야하는데 그 와중에 술은 왜 그렇게 마셔대는지ㅠ 낮에는 현장보고 저녁에 서류처리 하고 밤에 술까지 받아가며 일하다가 몸 완전 망가지고 그만뒀습니다.... 현재 엔지다니는데 너무 행복하고 천국이에요ㅠㅠㅠㅠㅠ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시공사 맞는 분들도 많긴하더라구요ㅎㅎ 고생하셨습니다 👍

    • @king-ft4gb
      @king-ft4gb 3 года назад +2

      엔지는 어떤회사인가요

  • @안전-n9g
    @안전-n9g 3 года назад +6

    쌍*건설에서 좀있었는데 아침6시30분출근해서 저녁8시퇴근하면 일찍퇴근한거고 격주주말근무에 꼰대문화 존나심함..
    경력만쌓고 바로 다른 제조업대기업 정규직 이직했는데 주5일에 칼퇴근 수평적조직문화 너무 만족하며 지냅니다

    • @디귿니은-g1t
      @디귿니은-g1t 3 года назад

      경력을 얼마나 쌓고 이직하셨나요?

    • @안전-n9g
      @안전-n9g 3 года назад

      @@디귿니은-g1t1년경력인정받고 이직했습니다.
      쌍*건설은 pjt계약이었기에 일하면서 계속 공고확인하고 여기저기 지원했었어요

    • @디귿니은-g1t
      @디귿니은-g1t 3 года назад

      계약 기간동안 계속 알아보셨군요...?

    • @자축인묘진샤오미-i4l
      @자축인묘진샤오미-i4l 3 года назад

      혹시 제조업 가실때 준비하신 자격증이나 스펙같은거 있으실까요? 건축공학졸업 자격증 준비중인데 건축에 호의감 느껴서 다른 직종 알아보려합니다 ㅠㅠ

    • @안전-n9g
      @안전-n9g 3 года назад

      @@자축인묘진샤오미-i4l
      저는 안전관리자라 산업안전기사 들고있습니다.
      건설업 안전관리자로 일하다가 제조업 안전관리자로 이직했어요.

  • @3유쿠
    @3유쿠 5 лет назад +10

    저도 토목공학과 전공자이고 현장 2년정도 있다가 탈토목한26세 청년입니다. ㅎㅎㅎㅎ 토목도 거의 마찬가지입니다. 저는 떠돌이 생활이 힘들더라구요. 제가 다니던 회사에서 소장님하고 같이 숙소생활을 했었는데 맨날 딸하고 영상통화 하고, 현장 바빠서 딸 졸업식도 못가고, 그런것들을 보는순간 이 길을 가는순간 삶이 되게 슬프겠구나 싶어서 탈토목 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대학 재학중일때 교수님의 말을 듣고 현장직에 가게 된 케이스인데 교수들의 말에 현혹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최대한 장점만 부각하고 현장의 이점만 애기하는게 대부분들입니다.(제 경험상....)
    현장에 젊은친구들이 워낙 귀하다보니 그렇게 애기하는거 같습니다. 말이 너무 길어졌네요...ㅎㅎㅎ 어쨌든 저도 탈토목하고 다양한 경험을 할려고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대한민국에서의 건설업자의 삶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절대"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5 лет назад

      토목이 더 오지인 경우가 많죠..ㅠ
      교수 추천으로 가는 경우 좋은 결과 가진 분들 거의 못 본 것 같아요😓

    • @나이수-z5t
      @나이수-z5t 5 лет назад

      그래서 지금 행복하신가요??
      어차피 월급쟁이면 어딜가나 똑같죠??

    • @user-bn2vx5qt6c
      @user-bn2vx5qt6c 4 года назад +2

      @@나이수-z5t 어딜 가나 똑같기는 합니다만 건설업은
      단점이 너무 큽니다. 1군기업 아닌이상 현장직 가도 큰 돈 벌기는 힘들구요. 그리고 "한번밖에 없는 인생을 갈아넣어야 합니다." 정말 소수의 사람들 제외하고.

    • @나이수-z5t
      @나이수-z5t 4 года назад

      ᄋᄋ 제가 1군이라 먹고 살만한가봅니다. 지금 삶에 너무나도 만족해요 죄송합니다 ~~!

    • @user-bn2vx5qt6c
      @user-bn2vx5qt6c 4 года назад +1

      @@나이수-z5t 괜찮습니다. ㅎㅎㅎ저도 현장 6년차인데 지금 탈토목 할려고 합니다.저는 너무 힘드네요. .... 제 젊음을 갈아넣기가 넘 아까워요..

  • @kkddk1063
    @kkddk1063 3 года назад +2

    아주 예전에 댓글 남겼던 사람인데 건설업 진짜 노답이네요... 거짓말 하나 안 보태고 지난 3개월동안에 술 마신 횟수가 60번 넘습니다...
    긴 업무시간 + 업무가 끝나도 숙소까지 이어지는 업무 연장느낌 + 짬 안 되면 숙소 거실 생활 + 타지생활 + 이성친구 만날 수 있지만 좀 더 힘든 느낌 등등
    돈 많이 받는 편이긴 하나 업무시간 생각하면 솔직히 많은 것도 아닌 것 같고...
    건축기사, 건설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 + 2년제 전문대졸로 입사했는데 현재 가스기사 추가취득했고 4년제 안전공학 학사학위 학점은행제 진행 중이며
    위험물산업기사 추가취득 하려 합니다. 학점은행제 따고 위험물산업기사 취득하면 바로 건설업 뜨려구요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3 года назад

      ㅠ ㅠ 결국 가셨었나보네요

    • @kkddk1063
      @kkddk1063 3 года назад

      @@취업리스트 하... 이게 건설이군요 레전드입니다. 회사에서 터치 숙소에서 터치 가족보다 더 보게 되는 얼굴들... 건설판 3년 이상 하는 분들 진짜 존경스럽습니다. 빨리 뜨는 것만이 답이죠?
      근데 저는 막상 해보니 교대가 진짜 안 맞더라고요. 오히려 교대근무 뛸 때보다는 나은 것 같습니다.

  • @김영찬-z7i
    @김영찬-z7i Год назад +3

    대기업 건설사면 첫직장으로 나쁘지 않다고 생각함. 그만둬도 현장한개 끝내면 커리어가 되서 이직하기가 쉽기때문. 근데 중소나 애매한 중견 건설사로 시작할꺼면 비추

  • @TV-nc3jp
    @TV-nc3jp 3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글이 길어질거같아 바로 글로 남겨보겠습니다.
    저는 중견기업 건설사(아파트,주상복합,리조트)
    에서 이제 3년 정도 일을 하다 사표를 내었습니다.
    마지막현장은 1500억 아파트현장이었어요.
    어릴적부터 경제적 자유를 꿈꾸어서 이대로 살아가면 앞으로의 미래가 뻔하게 보였습니다.
    남들은 어려운시기인데 사표는 말렸지만.....ㅋㅋ
    앞으로의 목표는 인테리어 업체에서 정말 개처럼해서 2년 안으로 독립하여 제 사업을 목표했었는데
    최근 아버지가 주변에 동네에있는 작은 종건운영하시는분들을 알고있는데 한 업체가 100억 군부대 공사를 입찰하여 구인을 하는데 해보라고 하시는겁니다. 제가 건설사 퇴사이유는 건설사에 직원으로 일한다고 종건사업을 하는 것은 아니어서 퇴사했습니다.
    일단 돈목적이 아니기에 조건은 건너뛰겠습니다.
    1. 군부대현장 한번 더 하면서 다시 건설회사 사업에 꿈을 가지고 해보는것(사장님은 어릴때부터 알고지냈습니다. 추후 면허를 사버리는것 까지 생각중)
    2. 기존에 다니던 50위권 건설사 복직
    (같이있던 부장님이 안부전화와서 다시오라고함)
    3. 상대적 진입장벽이 낮은 인테리어 경험 후 사업
    (저는 큰기업에 소속감 가지고 일을 하기보다는
    붕어빵을 팔아도, 을이되어도 은퇴시기에 돈을 매우많이 모아놓고싶습니다)
    선배님들이 보시기엔 아직 젊으니 기회가 있다고하지만 저는 가만히 나이가 든다해서 사업을 할 수있는 여건이 형성된다고는 생각하지않습니다...
    작은회사에서 작은현장 여러가지 경험 후 사업이 맞다고생각이 들며, 정해진기간안에 되지않으면
    요식업 장사하러 떠날생각입니다...
    하고싶은건 건설이지만 사업 진입장벽이 높네요 ㅠㅠ
    

    • @llllliiillliiili2831
      @llllliiillliiili2831 2 года назад +1

      세상물정모르시는구나 그냥 다니세요 건설업

  • @dolljong
    @dolljong 4 года назад +5

    초봉 4500만원이라고 좋아할 것 아니죠. 현장은 7시 출근. 그리고 주말 근무까지 고려하면 하루 12시간 근무나 마찬가지 12시간 / 8시간 = 1.5배. 8시간 근무에 비해 1.5배 일하는 거죠. 4500/1.5=3000만원. 결국 시간당 임금을 고려하면 3000만원이나 마찬가지죠.

  • @kkakdugi
    @kkakdugi 4 года назад +3

    목소리가 중성틱하고 상당히 매력적이십니다.
    많이 들어보셨을듯해요
    저는 어릴때부터 보육시설에서 자라고
    성인되고 취직을 공장제조업으로 취직해서
    생산직,제조업10년간 일했네요.
    금형,전자부품,CRT.LCD모니터,모터,휴대폰,전선,납품직까지요
    그후로 공장 질려서 대리운전15년 했네요.
    공장보다 대리운전이 그나마 편해서 15년했습니다. 대리할때 노쇼나,캔슬로 서러울때가 많지요. 돈천원이천원 장사고😶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뭐든 오래 잘 하신다는게 멋있으십니다👍

  • @이승락-y9m
    @이승락-y9m 4 года назад +6

    난 내 일이 힘들기는해도 다른 직업친구들도 다 고만고만 하던데
    공무원 친구도 야근많이하구,
    그랴도 건설이 타 직종보다 연봉은 좀 더 높구...
    진짜 자기하기 나름인데... 고참 만나기 나름이구...

    • @WMJung
      @WMJung 4 года назад +3

      뭐든지 자기일이 제일 힘듭니다.

    • @kuyn9537
      @kuyn9537 4 года назад

      맞아요 어차피 다 힘든거 건설회사에서 돈이라도 많이 버는게 나을수도..

    • @WMJung
      @WMJung 4 года назад +2

      @@kuyn9537 노노 힘든데 타지생활하면 더힘들어요ㅋㅋ 제가 토목하는데 일의 고통보다 숙소생활이 더 토나옴

    • @jyl1099
      @jyl1099 2 года назад

      건설사에서 돈 많이 번다는 이야기 처음 들어봄!

  • @LiLi-sv1ou
    @LiLi-sv1ou 3 года назад +6

    토목경력 14년차 과장입니다 아직 밑에 직원이 없습니다 ㅜㅜ
    그리고 회식문화는 많이 바뀌었고 떠돌이 군대문화 일부 남아있는건 사실이고
    한달에6일 휴무합니다
    조만간 주말에 쉬다가 그 머나먼 현장으로 출근하다가 교통사고토 뒈질거 같습니다 ㅠㅠ

    • @The5D5D
      @The5D5D 2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 힘내세요 파이팅

  • @중화비빔밥-y3n
    @중화비빔밥-y3n 4 года назад +21

    떠돌이랑 회식문화가 정말 공감 가네요

  • @DiGIMon74
    @DiGIMon74 3 года назад +3

    창호회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나이많으신 분들이고 10년안에 거의 다 은퇴를 하신다고해요. 그래서 사실.. 그때가 되면 제 몸값도 자연스레 올라가지 않을까? 라는 기대를 안고 배우고 있습니다.. 건설업에 특이점이와서 건설경기가 좀 살았으면 하네요..

  • @stanleytazo
    @stanleytazo 3 года назад +16

    저는 건설사 본사 사무직으로 일하는 중인데... 현장의 고충은 잘몰랐거든영, 저한테 많은 도움이된 영상입니다.
    현장 계신분들 정말 고생 많으시겠습니다.
    분위기가 군대 내무반이라니 상상만해도 피곤합니닷.

    • @jyl1099
      @jyl1099 2 года назад +3

      노동 강도 군대보다 더 빡셈, 회사 측에서는 인건비 착취 수준)

    • @힘냅시다대한민국만세
      @힘냅시다대한민국만세 Год назад

      본사 근무하면 현장 에로사항 다 접수될텐데...

  • @ThTheeee
    @ThTheeee 4 года назад +4

    하... 한국이든 해외든 다 똑같네요.. 저도 기계과 출신에 멋모르고 건설업왔다가 탈건하고 귀국해서 취활중입니다.. 앞으로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ㅠㅠ
    뭘 하고싶은지도 모르겠고 기계에너지과를 나왔지만 어느 직무에 지원가능한지도 아직 확 감이안오네요..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ㅠㅠ 건승빕니다

    • @youngjung1967
      @youngjung1967 4 года назад +1

      저랑 같네요... 저는 매주 주를 건너다니면서 일하다가 이러다가 죽겠다 싶어서 때려치고 귀국 했습니다.. 근데. 한국은 더 심하네요. 탈건 하고 싶지만 자리가 없네요... 요새는 공무원 공기업 준비중입니다... 이것고 올해가 마지막일거 같네요.. 경력직 비율이 너무 많아져서요. 힘내요 같이 ㅎㅎ

    • @이이-r5z7p
      @이이-r5z7p 4 года назад +1

      맞습니다 취업시장 안좋은데다가 코로나까지 와서 더안좋아질뿐더러 경력직도 많이 요구하는 추세이지만 좀 도움되는 말씀드리자면 공무원공기업도 좋지만 해본결과 쉽지가않더라고요 계산해보셔야되요 계속하면 언젠간붙겠지만 준비기간동안 경제적손실도 있고 늦은 나이입사하면 그만큰 정년퇴직한다해도 직급승진에도 피해가있어요 뭐랄까 늦게들어와서 직급도 늦어지게된다랄까 본인적성에 맞는 직무찾아서 일하는건 사실 힘들은거같아요경험상 이보다는 실은 본인적성과 좀 겹치는 직무로 가시거나 아님 다른직무로도 가시거나 이 두가지길로 가셔서 일배우면서 본인적성과 맞춰간다는게 더 낫더라고요 그래야 경제적인부분에서 손해보는건 줄이실거에요 하다보면 새로운것도 배우고 보이고 성장하게될겁니다

  • @RainbowCalligraphy
    @RainbowCalligraphy 3 года назад +3

    생각보다 개인시간이 없고... 출장가면 일하면서 상전모시듯 하는 것을 퇴근해서 저녁먹고 기숙사에서 잘때까지 해야함... 출장가더라도 그냥 내돈으로 방따로 구해서 자는게 훨나음.. 그냥 리얼짜증남...

  • @park123sss
    @park123sss 4 года назад +27

    작년 시공사 입사 전 봤던 영상인데, 퇴사 후 다시 시청하니 너무공감됩니다....ㅋㅋㅋㅋ 입사전엔 설마 그러겠어~? 했던게
    지금와서 보니 엄청 와닿네요... 특히 숙소생활 최악이였습니다...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1

      ㄷㄷ 탈건 축하드려요

    • @Rev.68
      @Rev.68 4 года назад +1

      숙소생활 어떤가요? 제일 걱정인데ㅜ 짐도 아예 못가져가죠? 옷말고는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Rev.68 짐 가능하져

    • @park123sss
      @park123sss 4 года назад

      @@Rev.68 숙소마다 환경이 다르긴 하겠지만 저는 앵간한건 가져갔어요. 누구랑 사느냐가 중요한듯... 케바케가 심해요 ㅋㅋ

    • @uuytnh
      @uuytnh 3 года назад

      숙소 한방에 몇명이서 자나요? 각방 아닌가요

  • @skylim8289
    @skylim8289 3 года назад +25

    제가 5년동안 토목일하고 대리까지 달았는데요. 정말정말정말 공감 많이갑니다 ㅋㅋㅋㅋㅋㅋ

    • @김정규-s9w
      @김정규-s9w 3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저는 공업고등학교 토목과 3학년 내년에 측량쪽으로 취업 나가는 사람인데여 많이 힘드나요? 너무 걱정되네요...ㅠㅠ

    • @skylim8289
      @skylim8289 3 года назад +2

      @@김정규-s9w 저도 시공부서랑 측량부서 둘다 있어봐서 답변이 가능한데요.
      저같은 경우에는 측량부서에서 승진했구 계속 측량맡고 있는데요. 시공이 더 힘들다고 답변드릴 수 있어요.
      근데 공고 실습생들도 많이 봤는데요. 실습생때는 매우 부조리하지 않는 이상은 군말않고 하는편이 좋아요. 엄연히 토목도 건설노가다 직종이라 사원1년이상해서 머리가 트이지 않는 이상은 경험 쌓고 자신의 직종에 대해 머리 트이느냐 안트이느냐 결정하게 되는거 같네요

    • @tota741-p3o
      @tota741-p3o 3 года назад

      지금은 다른 일 하시나요?

    • @김정규-s9w
      @김정규-s9w 3 года назад

      @@skylim8289 감사합니다 ㅎㅎ

    • @skylim8289
      @skylim8289 3 года назад

      @@tota741-p3o 계속 시공측량에 종사하구 있네요

  • @roamerasian1392
    @roamerasian1392 4 года назад +3

    건축설계사무소 일하는데 여기 회사는 좋은데 이 직종자체에 희망이 없네요..일거리는 자꾸 줄어들고...나라면 건축쪽하려면 건축구조에 집중하라고 말하고싶네요. 구조하는 사람이 많지않아서 구조는 확실히 앞길이 창창한거 같네요.지진이나 그런거때문에 법도 많이 강화되기도 했구요...나도 구조나 파볼까..또 공부해야되자나 하 ㅠ

  • @user-hm1gz4ty8o
    @user-hm1gz4ty8o 2 года назад +8

    1군 건설사 공사 주임입니다. 이번현장 준공 끝으로 탈건할려고요. 2번째 현장인데 첫현장때는 뭣도 모르고 했는데 이제는 더 못하겠네요. 솔직히 영끌하면 7천정도 되는데 뭐 어떻게보면 동년배보다 많이 받는것처럼 보일수도 있겠네요. 하루평균 12시간이상 일하고 토요일 격주출근 공휴일도 토요일이랑 같은 로테이션돌려서 워라벨 개쓰레기입니다. 그리고 현장 끝날때마다 지역 옮겨야되고 숙소생활 하셔야합니다. 평생요 ㅎㅎ 공사팀 이신분들 알겠지만 이날씨에 하루종일 밖에서 업체관리하고 잡일하는거 진짜 ㅈ같습니다. 그리고 저녁에 사무실와서 밀린서류 하고 공정회의 하고 퇴근. 무한반복이에요

  • @성민김-i9i
    @성민김-i9i 2 года назад +2

    영상에서 말한대로 공감이 됩니다. 하지만 자기 개발을 하여서 좀 더 빠른 일처리를 하게된다면 밤새는 일 없이 공사를 잘 마무리하는 단계가 있을겁니다ㅎㅎ 모두 화이팅입니다.

  • @tourlineden4929
    @tourlineden4929 4 года назад +8

    오늘도 현장 구석구석 쏘다니면서 일시키고 확인차 나갔다가 방금들어와서 선풍기 쐬는 10년차 직장인 입니다.. 연봉때문에 못관두는거지.. 건설업 많이 바껴야할 잣같은곳 맞습니다~ㅋㅋ

  • @aldur159
    @aldur159 3 года назад +2

    솔직히 건설사가 타 업종에 비해 연봉 자체는 높아 보이긴 한데..................... 실제 근무시간 따지면 최저시급도 못 받는 꼴임.. 그리고 가장 가장 가장 가장 나를 돈도 생각 안하고 퇴사하게 만든 떠돌이 생활.. 이거 레알 너무 힘들어요..

  • @cds-o1s
    @cds-o1s Год назад +1

    신입부터 40대초반까지는 어느직종이건 많이 힘듭니다
    야근도 많고요
    건축 토목등등 일찍 출근하고
    떠돌이 생활이 힘들죠~~ 이사다니는건 부부가 맞으면 엄청 좋음. 그거못하거나 싫으면 관둬야함. 현장에서 반차 월차 휴가 육아휴직 다 씁니다. 회식서 술만 먹나요? 그런분위기는 오래전에 없어졌는데 회사마다 다름요. 이건 현장소장님 따라 다름.

  • @건설-r2j
    @건설-r2j 4 года назад +11

    장점 : 하루가 사라지는 마술!! 얍!!

  • @권피스트
    @권피스트 2 года назад +8

    필수적인야든 너무 팩트입니다..
    2년차 건설현장에 근무중인데 서류하나하나 작성하기엔 벅찬게 많습니다.. 워라벨 기대못하고
    배울 사수없고 담당이 다 1명뿐이라 다 자기할일에 바쁩니다 ..일은 일대로 하고 욕먹고 지치네요 ㅜ 요세 그래서 이직 고민을 자주하게되내요

    • @GlennGould_
      @GlennGould_ 2 года назад

      정말 정확히 애로사항이 똑같네요 . 발전가능성=?, 워라벨=씨x

  • @스틸얼라이언스
    @스틸얼라이언스 4 года назад +10

    이렇게 따지면 걍 백수해야 함 아무것도 하지말아야 함 건설이 지금은 불황이라 그렇지 우리는 1970년부터 1990년 초반까지의 건설 부흥의 기회를 내포하고 있는 나라임 아직 기회는 있음 통일 아니면 전쟁이라는 엄청난 기회가

    • @joelucky1776
      @joelucky1776 3 года назад

      평화 통일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jyl1099
      @jyl1099 2 года назад +1

      일제 때부터 건설은 자체가 노동자 보다 못한 대졸임.

  • @꾸벅-u8x
    @꾸벅-u8x 3 года назад +9

    나이29, 작년까지 전기직 공기업 준비, 필기의 벽에 막히고 10대 건설사 전기직으로 입사(전기쌍기사 보유) .공기업 준비만 오래해오다가 현실적인 문제로 포기하고 건설사 전기직으로 입사하게되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 잘 선택한것인지 아직도 확실하지가 않네요. 제가 궁금한것이 몇가지있는데
    1. 지금이라도 빠르게 건설사 퇴사하는게나은지.
    2. 전기직으로 건설사, 공기업 제외하고 어디 취업이 좋을지
    3. 영상에서 건설업 경력후 이직할곳이 많다는데 어디를 말하는것인지( 건설에서 경력이직은 건설에서 건설로만 가능한것으로 알고있었음)
    긴글이지만.. 갑갑하고 절실한 마음으로 글올려봅니다.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3 года назад +2

      1. 다닐 수 있다면 다니시는게 좋습니다. 퇴사하더라도 근무하시면서 준비하세요
      2. 대기업(제조업) 유틸리티 직무 등 발주처 업무 수행하는 곳 추천 드립니다.
      3. 공무원 경채, 대학교, 대학병원, 모든 제조업, 기타 공공기관 등 대부분 기업들이나 근무하신 현장 종류에 따라 유리함이 달라집니다

    • @호이-b6y-h7b
      @호이-b6y-h7b 2 года назад +1

      건설사면 기본적으로 돈은 많이 주니 2년정도 경력쌓는다 생각하고 돈모아서 빡시게 준비후 공기업루트타시는게 낫지않을까요?

    • @맛있다-u8v
      @맛있다-u8v 2 года назад

      어떤 선택을 하셨나요?

  • @jnkkk8225
    @jnkkk8225 3 года назад +3

    전 대기업 3년차 건축기사인데 혹시 일해보셨나요? ㄹㅇ 내부인아니면 이렇게 잘 알수가 있나욬ㅋㅋㅋ

  • @kkakdugi
    @kkakdugi 4 года назад +2

    그렇다고 제조업도 만만치않아요.
    특근,연장근무 요즘은 많이 없어졌다지만.
    중소기업은 연장근무 많지요. 별보고출근 별보고 퇴근.
    그리고 일하다보면 내가 로봇인가? 로봇이 로봇인가?☺ 이런 생각도 하게됨.
    특히 라인 생산직은 제조업에서 제일끔칙하고
    모든 기계랑 씨름하는사람도 같음.프레스같은
    절대 쉬는 시간 용납없음. 생산량경쟁
    생산직이면 생산량을 인간한계 까지 끌어올림
    근무자들끼리 다른조끼리의 경쟁이 심함.
    생산량 적어지면 이유서 작성해야되고
    그러다보면 불량 생김😶 난리남
    또 교대조나 사원들끼리 싸움도 많이남 청소했니안했니등 하여튼
    교대규칙을 잘지켜야됨. 생산량 맞추려고 하다보니 교대규칙 제대로 못지킴.🤣
    사람이 로봇도아니고 컨디션이 다른데
    할말은 더있는데요
    하여튼 제조업도 만만치않아요

    • @상사꽃
      @상사꽃 4 года назад

      만만한 직종이 없는거 같아요.ㅠ

  • @행복기원-e9q
    @행복기원-e9q 3 года назад +7

    저도 이번에 전기공사업체에 입사하게 되는데 사실 마땅이 취업할 때가 없다보니 지원한거거든요... 이 영상보니 제가 버틸 수 있을려나 모르겠네요 ㅜ 혹시 플랜트 전기쪽 경력을 쌓으면 이직시 좋을까요? 공장 공무로도 경력 어느정도 인정 받을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아직 입사 3일 남았는데 너무 고민이네요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3 года назад

      경력인정 가능합니다. 종합건설이 아니라 전기쪽 전문공사업체인가요? 그렇다면 발주처한테 받는 스트레스가 가장 큰 고민거리입니다 ㅜ

    • @uuytnh
      @uuytnh 3 года назад

      근황이 궁금합니다

    • @행복기원-e9q
      @행복기원-e9q 3 года назад

      @@uuytnh 현대자동차 그룹 계열사에 입사하게 되어 입사포기 하였습니다.

    • @uuytnh
      @uuytnh 3 года назад

      @@행복기원-e9q 자동차 1차사로 가신건가요? 어디직군인가여

    • @김선미-d3m
      @김선미-d3m 2 года назад

      전기공사? 충청도판에 전라도가 끼대돌고 염병들을 할때 어떤식으로 돌아갔는지 세월이 흐르면 자료들이 남아서 돌아다니겠지!

  • @요롱롱-k8s
    @요롱롱-k8s Год назад +1

    저는 철콘. 골조 회사에
    공사.공무 관리자 인데 회식문화도 없고 잘 하지도 않고 안먹는다해서 눈치주지도 않고.. 휴일 근무야 말이 휴일이지 그날 일하면 또 다른 날에 쉴수 있고 건축은 미래가 창창한대 다들 어디서들 데이고 오셨는지 안타깝네요.. 화이팅

  • @영재-r3d
    @영재-r3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난 괜찮은 직구이라 생각하는데? 월급도 나쁘지않고 일하는시간이 좀 많다 하지만 안그럼 x 되서 그런것도 있지만 계속 배우는게 재밋기도 하고 현장 바뀔때마다 플랜트여서 매번 공부해야되는것도 재밌고 좋던데 사람마다 케바케인가? 난 그냥 게임하는 느낌으로 일하고있어서 재밌음

    • @지오폴리틱
      @지오폴리틱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야...신기하다 적성이 맞을 수도 있겠죠? 개인차가 심하니 ㅎㅎ 저도 비전공자인데 건설업해보고 싶네요...

  • @_moyaho
    @_moyaho 5 лет назад +11

    대기업 건설회사 공사관리업무는 어떤가요...?ㅠㅠ 야근과 주말근무가 많은가요?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5 лет назад +1

      영상 내용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ㅠ

    • @이이-r5z7p
      @이이-r5z7p 4 года назад +1

      네 다르긴하겠지만 단톡방있었을당시 새벽에도 톡오는걸 봤어요 철야도 할때도 있고 오후5시정도퇴근 할때도있고 주말 출근도하고 대신 이러한 경험을 가지다보면 좋은보상이 올에요

  • @90sajae
    @90sajae 5 лет назад +21

    탈건만이 살 길

  • @znos_
    @znos_ 5 лет назад +44

    어후 아프네요ㅋㅋㅋㅋㅋㅋ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5 лет назад +1

      뼈 조심. .

    • @znos_
      @znos_ 5 лет назад

      @TV티비 ㅋㅋㅋㅋ 공감되가지고여

    • @yoshiharuhabu
      @yoshiharuhabu 4 года назад

      밴쿠버, 캐나다 2021년1월6일/제이에스통신/극한직업 건설직원 오피오이드사용증가
      팔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허리통증, 염좌상어깨통증.
      건설현장에서 종사는 일꾼들이 많이 겪는 증상이다. 벽돌공, 목수 인력난과 함께
      코로나사태로 북미전역 오피오이드(아편 비슷한 작용을 가진 합성 마취약) 남용 사망자가 증가한 가운데, 건설현장노동자들의 오피오이드사용률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WSJ보도. 캐나다 밴쿠버시 소속 비영리단체 C.I.R.P는 건설현장은 다른 직종보다 통증(PAIN)관리가 더 필요한 산업이라고 언급. 제조업, 서비스업계종사자보다 건설노동자는 6배 오피오이드처방약에 중독될 가능성이 높다는 2019년 Barclays 리서치 인용보도.
      Construction Industry Rehabilitation Plan
      이메일
      info골뱅이constructionrehabplan쩜com
      전화 1-888-521-8611 or 604-521-8611
      주소 Suite #402, 223 Nelson's Crescent, New Westminster, BC V3L 0E4 CANADA

    • @다온다-j8r
      @다온다-j8r 3 года назад

      지노스님꺼보고 본사면접볼때 도움됬네요 ㅋㅋㅋ감사합니다

    • @znos_
      @znos_ 3 года назад

      @@다온다-j8r 어이구 감사합니다 ㅎㅎㅎ

  • @93남자
    @93남자 4 года назад +7

    그나마 주말 수당 챙겨주면 다행이고.. 저 설계하는데 6개월째 9시출근 밤 10시 퇴근합니다.. 본인 일 없어도 문화때문에 다른 사람 끝날때까지 기다렸다가 퇴근합니다 ㅎㅎ 딸린 가족 없을때 그만둬야됩니다 일에 자부심 있는 분들도 다른거 할거 잇으면 무조건 하라고 합니다 대학간거 자격증딴거 아까워서 계속 하지마세요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2

      대학간거랑 자격증 딴거 아까워서 한다는 말이 정말 공감이네요

    • @StormBackHit
      @StormBackHit 4 года назад

      건설업 중에서 설계세요? 아님 다른 기계 제조 이런 쪽에서 설계세요?

    • @진이-m7v
      @진이-m7v 4 года назад +1

      저도...격하게 공감..저는 도급순위 탑급 회사에서 근무했는데 3개월만에 탈주했습니다. 매일 8시출근 11시or12시퇴근.... 3개월동안 현장설계직으로 근무하면서 정시퇴근한적 1도없고 8시에 끝난적 두번있습니다. 나머지는다 11시,12시퇴근.... 본사근무였다면 회사앞에 월셋방 두고 자취했겠지만 공사기간도 짧았던 현장이라 집구하기도 애매하고 해서 지하철통근 편도 2시간씩 함... 다른건몰라도 5주연속 주1회 잣같은 회식이랑 (그시간에 집가서 잘수있는데 그러지못한다는게 개빡치고 ㄹㅇ2차회식부터는 남자직원들 다 이상한 바나 룸사롱감) 당장 남은 업무 없어도 "조직생활" 운운하면서 퇴근못하게하는거, 주말출근하는거.....진짜욕나옴 할일없어서 퇴근각재고 있었더니 시공팀 정산하느라 늦게간다고 퇴근하지말라하면서 할거없으면 옆에서 응원이라도 하라고해서 남았음 근데 10시 반에 자기들업무끝나니까 가버림,, 난11시부터 택시비 지원이라 11시까지 사무실혼자 남아있었음 지금생각하니까 개열받네 간만에 토요일에 쉬나했더니 시공기사는 할일많아서 토요일 혼자 출근이라며 부장이 나한테 시공기사 외로우니까 나도 출근하라함.. 하 푸념을 여기다 늘어놓네요 암튼 저는 이 동영상에 대해 격하게 공감합니다. 정말 직무 그 자체에 뜻있는 사람아니면 못할짓임 이거....

    • @StormBackHit
      @StormBackHit 4 года назад

      @@진이-m7v 분노가 느껴지네요 형님...

    • @93남자
      @93남자 4 года назад

      @@StormBackHit 저 토목 설계였습니다~

  • @층간소음-g3k
    @층간소음-g3k 2 года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영상 잘봤습니다! 건축학과 졸업후 설계사무소는 연봉이 너무 낮아 건설안전기사 취득 후 취업준비중이었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건설사 유지보수관리? CS업무 쪽으로 서류전형 합격해서 면접 일정을 기다리는 중인데 현장쪽 건설안전관리자와 비교했을때 업무 강도 차이가 많을까요??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2 года назад

      다른 업무강도죠. 민원상대가 스트레스 많이 줍니다. 근데 cs를 따로 뽑네요..?

    • @층간소음-g3k
      @층간소음-g3k 2 года назад

      @@취업리스트 아 안전관리를 지원했는데 안전관리는 서류불합인데 오히려 CS쪽에서 좋게봤다고 면접 보시겠냐고 연락이 와서 일단 알았다고 했거든요. 영상 보니까 제가 현장체질은 아닌듯한데 완전 공무쪽이나 산안기로 제조쪽으로 바꿔야할지 생각이 많네요 하하 ㅜ

  • @엉이부-x1r
    @엉이부-x1r 2 года назад +2

    토목과다 동기들 건설회사 2년다니다 전부 탈토하고 공무원아니면 자영업이다.설계쪽에들은 버티는데 밤샘근무로 전부 탈모 아니면 이빨다빠져서 임플란드 알아보고 있다

  • @user-st3727ytyrfuqd1
    @user-st3727ytyrfuqd1 4 года назад +7

    건설업은 안 하는게 최고
    월 6일 휴무 ㅋㅋ 이것도 안 지켜질때가 많음
    하청업체는 월 28정도 일 함

    • @yoshiharuhabu
      @yoshiharuhabu 4 года назад

      밴쿠버, 캐나다 2021년1월6일/제이에스통신/극한직업 건설직원 오피오이드사용증가
      팔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허리통증, 염좌상어깨통증.
      건설현장에서 종사는 일꾼들이 많이 겪는 증상이다. 벽돌공, 목수 인력난과 함께
      코로나사태로 북미전역 오피오이드(아편 비슷한 작용을 가진 합성 마취약) 남용 사망자가 증가한 가운데, 건설현장노동자들의 오피오이드사용률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WSJ보도. 캐나다 밴쿠버시 소속 비영리단체 C.I.R.P는 건설현장은 다른 직종보다 통증(PAIN)관리가 더 필요한 산업이라고 언급. 제조업, 서비스업계종사자보다 건설노동자는 6배 오피오이드처방약에 중독될 가능성이 높다는 2019년 Barclays 리서치 인용보도.
      Construction Industry Rehabilitation Plan
      이메일
      info골뱅이constructionrehabplan쩜com
      전화 1-888-521-8611 or 604-521-8611
      주소 Suite #402, 223 Nelson's Crescent, New Westminster, BC V3L 0E4 CANADA

    • @user-st3727ytyrfuqd1
      @user-st3727ytyrfuqd1 4 года назад

      @@yoshiharuhabu yes !!! absolutely right

    • @부원장-d8q
      @부원장-d8q 4 года назад

      하청업체들 3개월 월급 밀리근 곳도 많대요 본사는 다 제대로 주는대요 그래서 그만 두드라구요

  • @kkddk1063
    @kkddk1063 4 года назад +3

    건축기사, 건설안전기사,산업안전기사,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있는 사람인데 건축,건설안전기사 다 버리고
    전기기사 딴 다음 탈건하는게 답인가요?
    지금 5대 발전 공기업 하청업체에서
    폐수처리 중학생도 하는 업무
    지방 오지 4조 2교대 중인데
    배울게 너무 없어 시간 갈수록 몸만 축나고
    배우는게 아예 없으니 이직 고민 중입니다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1

      건축전공이세요? 발전공기업 하청이면 건설업체는 아니지 않나요? 안맞으면 자격증 버리더라도 옮기는게 맞긴하죠,,

    • @kkddk1063
      @kkddk1063 4 года назад +2

      아뇨 저는 기계 전공인데
      건축건설쪽 자격증을 따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우연찮게 발전소쪽으로
      들어오게 됐는데 그냥 존버하는게 답일까요?
      건설업 안전관리자로 가려 했는데 안 가는게 맞을까용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kkddk1063 건설 안전쪽은 전공 때문에 조금 그렇지만 자격증이 많으셔서 될 수도 있겠네요. 차라리 시설관리쪽 보시는게 더 나을수도 있습니다

  • @KS-je9fd
    @KS-je9fd 3 года назад +1

    아ㅋㅋㅋㅋ전공따라 취업한다면 설비시공으로 가야할텐데 이걸 보고나니 더 고민되네요.
    3년정도 버틴다는 생각으로 근무하다가 시설관리같은 다른 직무로 이직해야한다는 생각으로 시공을 해야할까요?ㅠㅠ

  • @paradisedg9493
    @paradisedg9493 4 года назад +76

    무슨 모든업종이 다 오지말라하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로 알아보는데ㅋㅋㅋㅋ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1

    • @jackkk7183
      @jackkk7183 4 года назад +20

      진로 알고싶으면 일단 유튜브에서는 찾지마세요 진심입니다. 주변에 멋있는 사람 아날로그적으로 만나거나, 다큐를 보는걸 추천합니다. 인터넷에서는 찾지않기를 바랍니다

    • @happyweall
      @happyweall 2 года назад +4

      이영상은 무조건 오지말라는게 아니고 현실이 이러니까 참고하라는겁니다
      진짜 건설업은 딱 저렇습니다 본사근무아닌이상
      건설업에 오래되서 베테량이신분들은 현실을 받아드리고 체념한겁니다 더 좋은 삶을 찾아갈수있음에도 일할수있고 급여가 만족스럽다던가 이유로 그냥 계속 일하는겁니다

    • @Ferrari-La
      @Ferrari-La Год назад +1

      님이 함해보세요 괜히하는소린지

  • @MRHan-dt9uz
    @MRHan-dt9uz 2 года назад +3

    추가로 살이 탐.....
    썬크림떡칠+자외선복면+ 장갑2장+긴팔
    이래도 탐....
    겨울에도 탐.....

  • @user-mx8ju5gc7x
    @user-mx8ju5gc7x 3 года назад +2

    토목 자재관리직무는 어떤가요? 무역전공인데 덜컥 자재관리팀에 합격해서 출근을 앞두고 있습니다. 건설업계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어서 미래 비젼조차 그려지지 않네요. 자재관리도 직무순환을 이유로 현장 근무할 수 도 있다고 면접때 언급했는데....조언 부탁드립니다!!

    • @웃을꺼야
      @웃을꺼야 3 года назад

      저는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계약으로 해외 현장관리팀으로 일해오고 있습니다.
      다 고생하시구 힘들지만 기자재 및 현지특성(대부분 인프라가 미약한 나라를 수주하죠, 부패하고 느린 세관업무등)을 고려하지 않는 현지구매...
      영상에서도 알려주시지만 불가능한 저가수주 사람갈아넣는 빡빡한공기 ㅎㅎ.
      그중에 항상 회의 시간에 소리 지르는건 대게 자재 조달 지연이 크더라구요.
      그게 크리티컬 패쓰이건 아니건 설혹 공사가 안되더라도 그자재는 도착해있어야 되더라구요
      본사도 힘들다 들었지만 현장 부임시 자재 담당이면 많이 치이실꺼에요
      이번주도 일주일에 하루쉬는데 현지 구매담당하고 저는 사이좋게 주말근무를 했어요
      나름 5위안에 드는 업체 몇곳 다녀봤는데 똑같더라구요
      토목이든 플랜트든
      저는 해외건설을 예로만 든것이니 힘내시구요

    • @김선미-d3m
      @김선미-d3m 2 года назад

      민주당이 40여년을 퇴행시켜?
      조태열vs김기열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 @jyl1099
      @jyl1099 2 года назад

      건설사 자체가 시간남으면 잡부라고 보면됨. 용역 잡부는 일당 좋음, 건설은 안하는 게 신의 한수.

  • @크냥-g8v
    @크냥-g8v 3 года назад +3

    저희 아버지가 건설회사 부업으로 운영하시는데 민간꺼는 안하시고 국가에서
    공사따서 하청업체에 주십니다(본직업이 세무사)
    제가 건축전공인데 만약제가 이 쪽 길로가면
    아빠회사에서 공사따고 제가 직접 시공까지 하면 마진이 잘 남아서 좋다고 하시는데
    이쪽길로 가는게 맞을까요??

    • @jwp7638
      @jwp7638 2 года назад +2

      무적권 탈건하세요

    • @창열박-u9o
      @창열박-u9o 2 года назад

      @@jwp7638 ㅡ

    • @user-rl2en3mw6s
      @user-rl2en3mw6s Год назад

      아빠가 개꿀이라고하면 무조건 좋은거에요. 애초에 건설회사 사업하시는거면 믿고 한번 가보세요.

  • @병신-n3z
    @병신-n3z 4 года назад +2

    진짜 노가대좀 했네요 6시30분 출근 퇴근시간 18시30분인디 야근안한다고 눈치줌 개같은 숙소는 맨날 술쳐먹고있고
    설거지해라 후라이꾸워라 10년째 10위 이내 대기업건설사 다니는중인데 그냥 군대보다 더심함 진짜 업무난이도 왔더헬 워라벨 왔더헬 돈많이주는것이 아니고 일을 그만큼시킴 노총각도 엄청많고
    어쩔수없이 가족부양하니라 하는거지 이건 아님 ㅠ ㅠ

    • @리마스터-l6e
      @리마스터-l6e 3 года назад

      산업기사 따고 건설회사 들어가면 현장에서 몸도 쓰나요?

    • @병신-n3z
      @병신-n3z 3 года назад

      @@리마스터-l6e 저는대기업인데도 뒤져요
      협력업체가심 헬게이트 열림

    • @리마스터-l6e
      @리마스터-l6e 3 года назад

      @@병신-n3z 회사 들어가도 노가다처럼 일하는건가요..?

  • @hxxcow
    @hxxcow 2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십니까? 건설 전기제어쪽 현장 공무직 입사 결정을 앞둔 취준생입니다.
    기존에 준비하던 분야가 있었는데 지인을 통해 알게된 중소기업회사에 면접을 보게되어 입사를 고민중인데.
    공무직이라는 자체를 처음 접하게 되다보니 정보를 구하고자 검색중 이 영상을 보게되었습니다.
    삼성엔지니어링에 수주받아 일을 하는 기업으로 알고있는데 중소기업이라는 특성상 연봉에 적은데 공무라는 일이 급여가 적더라고 배우면 비전적으로 대우를 받을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with-shaun
      @with-shaun Год назад +1

      공사를 꿰뚫고 원가계산, 견적, 입찰 정도를 할줄알아야되요. 공사를 모르고 공무를 하는건 그닥..

  • @맹구-u8m
    @맹구-u8m Год назад +1

    대기업 토목 현장직에 계신 선배님들께 여쭙고 싶습니다.
    저는 현재 인서울 중위 토목과 4학년에 올라가는 학생인데요.
    시공사에서 10년정도 경력 쌓고 감리로 이직한다면 어느정도의 워라벨이 보장되지 않을까 싶은데 현직자 분들께 의견 들어보고 싶습니다.

  • @Timing-x1g
    @Timing-x1g Год назад

    최소 5시출근 겨울6시반 여름 6시 아침 체조및 tbm이 있기때문에 그전에 도착하여 참여 근무시간으로 안춰줌 체조하고 커피한잔하고 7시 이전에 일시작함 11시30~ 1시까지 점심시간 5시까지 간혹 아직까지도 5시반 6시까지도 하는곳 있음 체조시간 머 시간 잉여시간뺀다 그러면 7시부터 일 했단 가정하에 5시까지 8시간 근무가 맞음 그러나 체조시간 체조대기시간 체조후 7시까지 대기하는경우도 잘 없지만 괜시리 7시까지 뻐기는 잉여시간 하면 8시간 넘고 체조시간떄문에 출근시간은 더 빨라지고 특히 겨울에 새벽에 나오면 뒤지게 추움 체조시간 앞뒤로 20분 30분 돈으로도 안쳐주는 잉여시간 진짜 아까운시간임 잉여시간처럼 커피나 몇잔먹고있다가 일이나 회의같은거 하면 그것도 일인데 일한시간 돈으로 안들어감

  • @user-dd9bh7hy6e
    @user-dd9bh7hy6e 5 лет назад +2

    d건설사 플랜트기계시공 h사 설계직무 고민중이었는데..제조업으로 결정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5 лет назад

      후회없는 선택이실거에요ㅎㅎ

    • @jji6247
      @jji6247 5 лет назад

      디 건설사이면 대ㅇ건설인가요??

    • @user-dd9bh7hy6e
      @user-dd9bh7hy6e 5 лет назад

      네 맞습니다

  • @user-kc7nn6jj8q
    @user-kc7nn6jj8q 4 года назад +10

    문과인데 건설업에서 나오지 못하는 이 아이러니함은 무엇? 어학전공자->해외건설 현지어 통역으로 시작해서 관리업무까지 하니까 여기 말고는 갈데가 없어졌습니다.

    • @mailmain6412
      @mailmain6412 4 года назад

      부럽네요 저도 어학전공했는데..중국어기도하고 여자라 그런가 취업이 아예 안되더라고요..ㅠㅠ 전공버리고 아무데나 취업했는데 주말엔 공식적으론 일 안 시킨다고 하고선 전화해서 원격으로 일하라시키고 평일에도 8시쯤까지 가서 11시까지 일했어요 근데 월급이 144만원;; 당시 만나던 남친도 저 엄청 무시해서 결국 헤어졌죠 뭐 별로 만난적도 없지만..내 뜻대로 능력을 펼칠수도 누굴 고를수도 없는 답답한 현실로 끌려살게 되더라고요.
      아주 나~~~~~~중에 서른이 넘어서야 면세점 취직해서 처음으로 전공살려서 일해봤습니다. 저는 남자 안 만나고 평생살아도 좋으니 한번이라도 능력있는 삶으로 살고싶네요ㅠㅠ

    • @user-IDGAF95
      @user-IDGAF95 Год назад

      님... 저도 문과 어학전공자이고 --> 해외 파견가서 영어로 소통 및 공무 업무 할것같은데 어떤가요 ...?

    • @user-kc7nn6jj8q
      @user-kc7nn6jj8q Год назад

      @@user-IDGAF95 공무하려면 시공을 우선 알아야합니다.

  • @londoneyeinkorea
    @londoneyeinkorea 3 года назад +2

    ㅋㅋ 무슨 기계나 생명공학 하면 서울에서 근무하고 군대문화 없을 것 같이 말하시네... 생명공학 하면 최고가 대전에 위치한 LG 생활건강 입니다. 기계공학??? 이분이 어떤 동영상에서 대기업 건설사 건축직렬의 학벌이 높다면서요? 다른 직렬에 비해서??? 이미 그건 구라라고 밝혀 졌구요. 기계, 화학은 대기업 가면 남미 오지 갑니다. 프랜트 지으러. 이 분은 보아하니 본인이 토목공학과 나오신것 같은데요... 토목공학과 나와서 기술사 따고 엔지니어링사 차린 선배는 만나 보신적 없으세요???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3 года назад

      1. 생명공학이나 기계는 오지근무 안한다는 말 한 적 없습니다
      2. 대기업 건설 건축사업부 건축이 기계보다 대체적으로 학벌 높은거 사실입니다

    • @londoneyeinkorea
      @londoneyeinkorea 3 года назад

      @@취업리스트 현대건설, 현대엔지어링에 사내 대학원이 있습니다. 인사고과가 우수한 각 본부별 1-2인의 우수사원에게 학비의 80%를 회사에서 지원합니다. 20명중 건축 토목 직렬이 14명, 기계2, 전기 2, 재경 2 명이 입학했습니다. 기계, 전기는 성대, 연대. 건축 토목 부문은 조선대 2, 원광대 1, 충북대 1, 부산대 1, 인하대 2, 아주대 2. 기타 지방대. 인서울은 한양대 2, 중앙대 1, 성균관대 1 고려대 1 정도 입니다. 삼성은 조금더 인서울 비중이 높을 수도 있습니다. 헌대와 현엔은 신입사원과 차세대 리더 그룹 출신이 전국적으로 분포 되어 있습니다.

    • @forcesass
      @forcesass 3 года назад

      토목이 학력 보고 뽑는거 맞아요 스펙 학력 가장 많이봄 그리고 국내현장에 정직원 별로 없음

  • @ycy2125
    @ycy2125 4 года назад +11

    건설쪽은 가지 않는게.. 불황이건 호황이건 잘되는 꼴을 못보네요

  • @윤짱-s6e
    @윤짱-s6e 4 года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현재 단종 석공 건축설계쪽은 보셨을때 어떤가요? 단종쪽이면 인생을 갈아야된다고 하던데 그렇게 힘들까요? ㅠ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사업을 하고 싶거나 한 분야 전문가가 너무 되고 싶은거 아니면 전 종건을 추천드립니다..

    • @최기표-z1q
      @최기표-z1q 4 года назад +1

      @@취업리스트 종건 추천하시는건 종건에 취직하라는 말씀인가요? 아니면 종건 창업을 추천하신다는건가요? ㅎ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최기표-z1q 취직을 하라는 의미입니다 :)

    • @최기표-z1q
      @최기표-z1q 4 года назад +1

      @@취업리스트 아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회사설립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ㅎㅎ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1

      @@최기표-z1q 그건 제가 잘 모르는 영역이지만 우리나라 건설쪽 시장은 워낙 과포화지 않나 생각합니다 :)

  • @TaeHyeongG
    @TaeHyeong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중견 전문건설업, 초봉 4천초반
    현장관리직(회계,총무,노무,자재)
    이거 붙었는데 가는게 맞나요?ㅠㅠㅠ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회사마다 다르니깐요ㅠ 일은 영상과 전혀 관계없고 생활은 비슷할 수 있습니다

  • @HK-wq4qg
    @HK-wq4qg 5 лет назад +16

    인생을 갈아 넣으라..이말이야!

    • @풉키탱키
      @풉키탱키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인생 갈아 넣고!
      철근 빼고!
      으이!

    • @성수트
      @성수트 5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풉키탱키

  • @jackpotchiken
    @jackpotchiken 3 года назад +2

    종합건설 시공
    사급공사와 관급공사로 나뉨
    사급공사: 서류 덜복잡, 노가다 잘시킴, 야근은 적은편
    관급공사: 서류 매우복잡, 노가다 가끔시킴
    야근 많은편
    떠돌이 생활 피하는 방법
    구조 회사, 설계사무소, 적산사무소, 감리 회사, 단종업체로 들어가기
    결론: 야근이 적은곳은 있지만 야근이 거의 없는 곳은 1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야근을 한다고 보면 된다
    보통스펙이 취업하는 방법
    1군회사 계약직 신입으로 들어가면 토익이 거의 불필요하고 진입장벽이 정규직 보다 낮은 편이다 하지만 여기도 경쟁이 많은편이다.
    이직순서는
    1군 계약직 1년근무하고→ 2군 혹는 중견
    건설사 정규직으로 가는게 좋다

  • @KeepGoing-jj6lm
    @KeepGoing-jj6lm 2 года назад +1

    플랜트 전기 시공(현x건설)으로 지원했는데, 해외로 많이 나간다는데 평생 일 할 자신은 없어서 1,2년 정도 다니다가 이직 준비할 생각입니다. 플랜트 전기 시공에서 배운 것들을 토대로 제조업 공무팀이나 공장 관리? 그런쪽으로 이직 괜찮나요??많이 어려울까요?? 건설업에 발 담그면 다른 사업으로 이직이 힘들다고 들어서 조심스레 질문 남겨봅니다!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2 года назад

      1,2년은 너무 짧아요. 대리 달고 이직 고민하시면 됩니다

  • @yobiyup
    @yobiyup 3 года назад +1

    말씀하신 삼물, 현건, S건 등등 에서 기계직이 현장 시공관리직만 하는 건 아니지 않나요 ?
    해당 기업 유튜브를 참고해보면 사업포트폴리오가 넓어서 기계직군에서 설계&시공을 병행하는 것으로 아는데 틀린것입니까 ?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3 года назад +2

      시공사는 시공관리가 인원이 가장 많습니다. 다니다보면 설계, 구매, PM등 넘어다니지만 시공이 메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웬만하면 플랜트로 간 사람은 거진 쭉 플랜트, 건축은 쭉 건축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건축하던 사람은 플랜트 할 줄 몰라요

  • @chocomint-hk9zj
    @chocomint-hk9zj 4 месяца назад

    다른거 보다 가장 큰 문제는 숙소임 그래서 지방은 원룸이나 오피스텔 월세가 30~40이면 되니까 주재비 받는 걸로 그냥 얻어서 혼자 사는 경우도 많음 최소한 이렇게 하면 숙소문제는 해결되는데 아직도 노가다 문화 강해서 회식자리 음주강요, 현장에서 업무중 폭언, 폭행 짬좀 있는 하도급 팀장, 기공들 말 좆나 않듣고 여러가지 힘든 직업임.
    나 같은 경우 건축설계만 오래했는데 시공쪽 파트로 옮겨볼까 하다가 그나마 안전관리로 갔다가 이것도 할짓이 못되는 거 같아서 감리쪽으로 이직함
    감리쪽은 같은 현장에 있어도 시공사랑 분위기가 달라서 워라벨 나쁘지 않음

  • @TOURBORATOR-TV
    @TOURBORATOR-TV 2 года назад +2

    건설업 안전관리자들의 커뮤니티공간
    [대건법]네이버카페 부매니져입니다.
    리얼리티한 영상내용 공감합니다^ ^;
    안타깝게도 부정할수 없는 내용들입니다.
    건설업 안전관리자 실무에 대해 유튜브로서 소개하고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터보레이터TV도 많은 이용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리틀포크맨
    @리틀포크맨 4 года назад +3

    오호 잘봤습니다

  • @sssss6689
    @sssss6689 2 года назад +2

    탈건했습니다. 제조업 안전직군으로 가려하는데 산업안전기사자격증을 취득하면 될까요? 현재 건안기 보유 중입니다. 학과가 건축공학과라서 지원요건에 충족되지 않는 경우가 몇 번 있었는데 잘 해결이 가능할까요…

    • @skccc111
      @skccc111 Месяц назад

      잘되셧나요?

  • @부스터-x4r
    @부스터-x4r 4 года назад +10

    현재 건설사 견적하고 있어요 현장경험 하시고 본사에서 견적배우고 마스터 되면 최고조 건설은 수주가 1순위 입니다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4 года назад

      견적은 티오가ㅎ

    • @jyl1099
      @jyl1099 2 года назад +1

      기능공이 몇년일하고(반장) 실수령 800~900만원 연봉 1억3천/ 건설기사 수령액(차장, 소장)500만원 중소기준(나이50대)

  • @진승우-o4n
    @진승우-o4n 3 года назад +1

    이번에 성대 또는 한양대 토목과로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고등학교때 그냥 돈 많이 주고 현장에서 감독?? 하여간 그런거 한다길래 지원했습니다(오래 앉아 있는거 못합니다) 애초에 공대생이라면 지방파견 근무는 필수인 걸 알고 있고 그럴 바엔 토목으로 가자고 생각했습니다 외삼촌이 토목공 나와서 지에스 칼텍에서 일하시고 사촌형이 건축공 나와서 삼성물산에서 현장에 일하시는데 두분 다 저가 토목 간다고 했을때 응원한다고 했지 말리지는 않더라구요 근데 또 토목과에 대한 비전을 알아보면 전부 다 탈토해라 이렇게 얘기하더라군요 저에게 조언 좀 해주세요 ㅜㅜㅜ 복전해서 기계도 공부해야할까요??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3 года назад +1

      토목이 TO도 많은 분야가 아니라 취업도 쉽지 않지만 댓글님 학교 정도라면 본인만 잘한다면 이건 문제 안될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업무적으로 토목이 건축보다 더 힘든 부분이 많다고 생각하기에 단순히 돈 때문이라면 반대합니다. (외지로 다니는 곳이 많고 토목 업무 자체가 그런 곳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 것도 있고.. )
      그리고 참고로 돈 많이주고 활동적인 일은 기계전기에도 널렸습니다. 삼성물산 통속직이나 기계직이나 연봉은 같습니다
      토목이라면 건축이랑 복수전공해서 시너지 내는게 일반적입니다. 토목보단 건축이 일자리도 많고 근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토목기계는 좀 뜬금 없는 경향도 있네요. 다민 건물 밖에 매설되는 배관에 있어서는 완전 메리트가 있겠죠. (건물 밖 배관은 토목 담당) 그래서 상하수도쪽으로 가고자 할 때 토목기계 복전하기도 합니다.
      제 기준에서 정리하자면 건설쪽 희망하시면 건축토목 복전
      탈건 희망하면 기계, 전기, 전자, 컴공으로 전과입니다

    • @uuytnh
      @uuytnh 3 года назад +1

      @@취업리스트 전기도 건축전기계열 있자나여

    • @진승우-o4n
      @진승우-o4n 3 года назад +1

      @@취업리스트 그리고 저가 개인사정으로 군대 면제를 받는데 불이익을 받을까요? 그리고 요새 석사는 필수라는데 궁금합니다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3 года назад

      @@uuytnh 네. 있죠

    • @취업리스트
      @취업리스트  3 года назад

      @@진승우-o4n 사유에 따라 다를것 같습니다. 석사 필수는 잘못된 얘기입니다. 다만 토목 엔지니어링 설계 희망하시면 석사가 많이 도움됩니다

  • @jyl1099
    @jyl1099 2 года назад +1

    건설기술자 건설사에서 대부분기능공 반절임금 받고 생활함.(기능공 보통 일당 거의 30만원)/ 대부분 반절급여가 보통

  • @해늘-i5c
    @해늘-i5c 3 года назад +7

    소장이란 양반이 일배우란 명목으로 주말 출근 시키는데 지들 자식들이나 그딴식으로 시킬 것이지 돈을 더 주는 것도 아니고 하 다시 생각해도 개빡친다

  • @찹쌀떡-h4c
    @찹쌀떡-h4c 4 года назад +3

    경력만 받아서 기술사 따고 나와야죠 ㅋㅋㅋ 그리고 대기업은 숙소는 하다못해 원룸이라도 개인별로 따로 주는뎅 ㅋㅋ 현장 노가더들이나 한방에 두명이서 잠자죠

  • @joinso3744
    @joinso3744 4 года назад +27

    5:47 강렬한 분노가 느껴지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