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is the speed of light thought to be constant? - Electromagnetics Part 4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554

  • @hoyongna6592
    @hoyongna6592 6 лет назад +16

    소름돋는 정리에 감탄(감사)합니다. 어렴풋했던 개념의 조각들을 역사적인 내용들을 이용해 맞춰주시는게 소름돋습니다. 많이 배워 갑니다.

  • @hypershotk6688
    @hypershotk6688 6 лет назад +60

    과학쿠키는 팀인가요? 과학지식과 컨텐츠의 수준이 굉장히 높은데, 영상 편집과 영상 내의 드로잉도 퀄리티가 너무 높습니다.

    • @blancle4989
      @blancle4989 6 лет назад +5

      너무 높아

    • @배규천-h2k
      @배규천-h2k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물리 전공하신 선생님이었다고 하더라구여.
      학교보다 유튜브에서 과학을 알리는게 효과적이라 판단하셔서
      활동중인걸로 알고 있어요.

  • @strangerh1134
    @strangerh1134 6 лет назад +3

    깊게알진 못하나 과학적인 이야기들이나 사실에 대해 큰 흥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정말정말정말정말 너무 재밌고 기다려지고 취향에 딱맞는 최고의 유투버인거같아요!!!

  • @잘생긴남자-e6i
    @잘생긴남자-e6i 6 лет назад +3

    빛의 속도와 전자기학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 정말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시네요.

  • @jasonkim8410
    @jasonkim8410 6 лет назад +4

    월드컵 끝나고 보는 물리학 재미있게 봤습니다. 흥미롭네요. 서양인의 정밀하고 깊숙함 님도 아직 통합되지않은 물리학의 차이를 이론으로 풀어주실 인재로 거듭나길 토목공사 전공한 한 사람으로서 기원합니다.

  • @sphere1-d2p
    @sphere1-d2p 6 лет назад +210

    한국 과학 관련 유튜버 중에서 제대로 알고 있는 거의 유일한 채널 같습니다.

    • @꿈꾸는모험가
      @꿈꾸는모험가 6 лет назад +5

      '박카리스'님의 일반인을 위한 과학영상도 아주 유익합니다.
      ruclips.net/video/Ql2k7-Jtpao/видео.html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되는 채널인 만큼 과학에 목마르신 분들께 공유합니다.
      지식탐구는 공유하면 할수록 풍요로워지니까요 !

    • @정운석-x7g
      @정운석-x7g 6 лет назад +4

      광속 불변은 미국학자 미켈슨이 실험으로 밝혀냈고 아인슈타인은 그 다음에 나왔습니다. 의심되면 학술논문들 찾아보시길.

    • @허준-t9p
      @허준-t9p 5 лет назад +2

      많이 있습니다. 쿠키채널보다 더 명확한 내용을 전달하는 채널조 있죠.
      다만 보는데 강의를 보는마냥 지루하고 그러하므로 인기가 없을 뿐입니다.

    • @cuel0188
      @cuel0188 5 лет назад +4

      지식보관소 괜찮음

    • @허준-t9p
      @허준-t9p 5 лет назад

      @@cuel0188
      차라리 카오스

  • @탑승장인
    @탑승장인 6 лет назад +3

    전자기학 part 1부터 이번편까지 보면서 느낀건데 εo(입실론 제로)나 μo(뮤 제로) 같은 단어의 뜻이나 유래도 알려주면 더 잘 이해될 것 같아요. 저의 작은 소망입니다. ㅎ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안상진-f6s
    @안상진-f6s 5 лет назад +3

    그동안 책을 읽으면서도 이해되지 않은 로렌츠 변환에 대해 알게 되었네요. 참으로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 @jh6649
    @jh6649 6 лет назад +5

    항상 유익한 영상이 올라와서 알림 뜰때마다 들어가게 되는 것 같아요! 다른 채널은 뭔가 뜬구름 잡는 느낌인데 쿠키님은 진짜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알려주셔서 과학을 단순히 흥미위주로 보는 게 아니라 이해하게 되는 것 같아서 정말 좋습니다. 볼 때마다 느끼는 건데 그냥 책으로 지식으로 지나가는 사건이나 인물들이 쿠키님이 설명해주시면 이렇게 대단한 거였구나 느끼게 됩니다. 쿠키님 채널 잘 됐으면 좋겠어요! 후원합니다!!

    • @pakfamily615
      @pakfamily615 2 года назад

      그래요~~~??
      그럼 어디 4년전일을 구독을 누루고 한번 들어 보겠습니다.

  • @mr.twomin9607
    @mr.twomin9607 6 лет назад +3

    물리학에 관한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정말 유익한 채널이군요...

  • @맣-l7g
    @맣-l7g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 @hwayeonhong3717
    @hwayeonhong3717 6 лет назад +2

    카메라를 바꾸셨는지 화질이 좋아진거같구 영상이 엄청 깔끔해졌네요! 발전하는 과학쿠키! 오늘도 재밌는영상 감사합니다 :)

  • @참깨-c4l
    @참깨-c4l 6 лет назад +3

    과학쿠키 최고예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D

  • @wayne.x48
    @wayne.x48 6 лет назад +2

    어려운 이야기를 깔끔하게 정리해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최고😊

  • @하창현-h7b
    @하창현-h7b 5 лет назад +1

    많은 분들이 물리와 친해 지도록 노력 부탁드립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 @이프로-k2p
    @이프로-k2p 6 лет назад

    오늘 역시~~♥
    영상에 감동과 전율이 느꺼지네요
    더위에 건강조심 하세요

  • @Ohmin12
    @Ohmin12 6 лет назад +2

    잘 보고 갑니다. 과쿠님^^
    영상 만드시느라고 고생 많으십니다.

  • @smithjohn1987
    @smithjohn1987 6 лет назад +4

    전자공학 전공입니다 정말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전자기학에 대해서 머릿속에 더욱 잘 확립될 수 있게해주는 영상이네요

  • @대한민국-e1z
    @대한민국-e1z 6 лет назад +7

    오, 광속 불변의 원리에 이러한 역사가 있었군요. 쿠키님 덕분에 학교에서 배우는 물리의 내용을 더 깊이 있게 알게 되면서,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해지는걸 느낍니다! 다음 영상도 너무 기대되네요. 다음에 올라오게 되는 다섯번 째 전자기학 영상과, 쿠키 영상에서 언급하신 빛이 파동이 되는 이야기를 다뤄주시는 영상이 너무 기대되네요. 재미있을 것 같아요. 오늘 영상도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항상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

  • @응우옌-y1t
    @응우옌-y1t 5 лет назад +2

    진짜 요즘 쿠키님 영상 정주행하는 중인데 매 영상마다 사람을 소름돋게 하시네요..

  • @yjj-l4q
    @yjj-l4q 5 лет назад +4

    설명을 진짜 잘 하시네요...

  • @user-peterpan
    @user-peterpan 2 года назад

    그림까지도 잘 그리시네요. 머리에 담기지는 않지만 계속 볼 것입니다. 뭔가 배우고 있다는 착각? 에 편안해지니까요ㅎㅎ

  • @junhyeokbae43
    @junhyeokbae43 5 лет назад

    좋은영상 깔끔한영상에 감탄하고가요 너무 잘봤어요

  • @TON7756
    @TON7756 6 лет назад +1

    매번 좋은 영상, 편집, 그림, 내용, 설명, 감사합니다. 구독 추천 누르고 가요~

  • @roadking1191
    @roadking1191 6 лет назад +1

    이번강의는 다 알아듣진 못해도 묘한 감동도 있내요 감사합니다.

  • @htlo2264
    @htlo2264 6 лет назад +4

    이번 영상도 너무 좋네요 , 아인슈타인 나올때 진짜 아인슈타인은 대단하구나 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 좋은영상 정말 감사해요 !

  • @내가옳아
    @내가옳아 6 лет назад +55

    유투브에서 가장 의미있는 채널

  • @김-o1h5n
    @김-o1h5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공간(=거리) 즉 우리가 사는 우주라는 거시세계는 시간으로 서로의 거리와 위치를 결정하기때문에 공간이라는 것은 즉 시간의 장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거리(=공간)가 있어야 위치가 생기고 그로써 너와 나라는 상대적인 개념이 생기는 즉 구체적인 물질이 생기는 거 같네요
    상대적인 거리는 시간으로 얼마나 걸린다고 표현하므로(이게 속도라는 거죠) 공간은 시간과 함께하는 개념이며 공간=시간 이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우리 거시세계를 시공간이라고 하잖아요!
    양자세계에서는 시간이 0 이라는 즉 시간이 없다는 주장과 생각이 있고
    이에 따르면
    시간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속도라는 개념이 없으므로 당연히 시간이 흐른다고 여기는 우리의 거시세계관으로는 양자얽힘이 빛보다 빠르다고 착각?하는 거 같습니다만...
    특수상대성이론은 빛보다 빠른건 있을 수 없다라고 하는데 양자미시세계에 시간이 없다면 속도는 의미가 없겠죠(속도 분수식에 시간을 0으로 대입하면...)
    시간이 없다면 속도, 위치가 있겠습니까? 즉, 특정할 수 없겠죠 그러니 시간이 없는 양자미시세계에서는 파동으로서 모든 곳에 동시에 중첩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겠죠...
    상호작용으로 파동으로서의 양자세계가 깨져 입자화되어 시간(엔트로피)이 있는 거시세계로 구체화되며 속도, 위치 등이 특정되는 거 아닐까...
    우리 거시세계는 모두 상호작용으로 이뤄지고 작동되는 것 같습니다... 시간이라는 개념이 없으면 엔트로피가 있는 우리 거시세계를 설명할 수 없을 거 같구요... 그러니 시간이 없는 양자미시세계를 이해하기 어렵겠죠...
    상호작용으로 시간이 생성되는게 아닐런지... 즉 상호작용이 곧 시간이 될 수 있겠네요!
    빛과 관련해 보면 빛이 상호작용의 요인인지 결과인지는 모르겠으나... 우리 거시세계에 빛보다 빠른건 없다는데 빛과 상호작용하여 우주가 생성되는거라면... 우주는 시공간이니 그걸 만드는 우주 생성 요인인 빛보다 더 빠른건 거시세계에 있을 수가 없겠죠!
    시간(=엔트로피 =상호작용)이 거시세계의 근본 같네요...
    변화, 소멸, 죽음 등이 다 엔트로피 아니겠습니까?
    거시세계의 특정존재가 소멸하면 파동화되어 시간이 없는 모든 가능성을 지닌 절대적인 미시세계(우리 인간의 관점에서 이 미시세계가 영혼의 정신세계가 아닐런지...)로 가고 또 어떤 계기로 상호작용해 시간이 있는 상대적인 거시세계로 입자화되어 나타나는듯...
    마치 윤회처럼...
    "상호작용(관측, 관계)이 시간이다" 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동영상 참고!!!
    논문

    • @MoonlightTube
      @MoonlightTub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관점의 차이로 물고 뜯다가 인류의 역사는 종말을 맞이할 것입니다. 단 하나의 진리에도 이르지 못한채. 참된 지식은 믿음에서 나옵니다. 참된 믿음은 지혜와 계시에서 비롯됩니다.

    • @hinova77
      @hinova77 2 месяца назад

      절대영도의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엔트로피는 0인 상태가 지속된다면 이는 미래로갈 수 없으며 시간이 정체된 것이다. 빛의 여행중에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정지된시간속에서 빛의 속도는 엔트로피가 양수인 입자로 모여진 시공속에서 파악된다. 물질과 파동의 이중성은 시간도 양자화하여 시공간에서 불연속이며 시간의 흐름이 나타났다 사라질수 있으며 질량이 0 인 빛의 시간 흐름은 일정하다.

  • @김정훈-d6g
    @김정훈-d6g 6 лет назад +77

    전자기학을 이렇게 쉽게 설명하시다니요. 그렇게 나이가 많아 보이시지도 않는데 15년 넘게 현업 종사자로서 부끄럽네요^^ 교수님들이 원망스러워지기도 합니다. 맥스웰 방정식과 그 유도식을 그냥 외우라고만 했었으니...ㅋㅋ 정말 오랜만에 유튜브에서 좋은 컨텐츠를 봅니다.

    • @shy1897
      @shy1897 3 года назад +1

      공부 더 하세요... ㅎㅎ

    • @김영우-q3f7m
      @김영우-q3f7m 2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을 원망하진 마세요~ 다들 열심히해서 그자리 있는거니까요

    • @ryo484
      @ryo484 Год назад

      @@김영우-q3f7m 모르는 소리 마세요ㅋㅋ 학문적 성과가 있는 사람이라는 이유만으로 전달능은 하나도 고려하지 않은 채 철밥통 교수로 앉혀놓아 얼마나 씨앗들이 싹도 못틔우고 좌절했을지 안타깝지 않으십니까. 범재고 천재고 흥미로부터 시작하는건데? 학과교수의 지도능은 학문적 성과와 별개이고, 그걸 구분하지 못하거나 영우님같은 가치관으로 권위에만 의존해 전임교수로 앉히는순간 해당 학과의 장기적 아웃풋은 개작살나는겁니다. 많은 학과에서 괜히 개론강의 강사를 두는게 아니죠

  • @bluefighterj
    @bluefighterj 6 лет назад +5

    물리학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이해하기가 좀 어려운 부분들이 많네요. 그래도 과학은 항상 인간을 ?으로 가득차게 하는 놀라운 학문이니 이러한 설명들이 어느정도 충족이 되네요. 이런 채널을 이제야 알게되다니.. ㅠ 유튜브에 가짜 뉴스들이 판치는데 정말 가장 훌륭한 채널입니다!!

  • @nukaskim2438
    @nukaskim2438 4 года назад +1

    몇번이나 이 영상을 시청하지만, 설명을 엄청나게 깔끔하고, 잘해서 놀랍습니다.
    그런데, 왜 내가 이것을 수십번 봐도 이해가 안되어서 자꾸 보게 되는거지??

  • @채준영-i1q
    @채준영-i1q 6 лет назад +1

    드디어 파트 4다!! 기다렷어요!

  • @hobock
    @hobock 6 лет назад +3

    정말 귀에 쏙쏙 들어오게 설명해주시고 재미도 있는데..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을 도출해내는 과정은 있지만 정작 빛의 속도가 왜 일정한지는 설명해주시지 않았네요 ㅠㅠ 광속 불변의 법칙은 그냥 실제로 이러하니 받아들여야 하는 공리 비슷한 건가요?

  • @melonlemon658
    @melonlemon658 6 лет назад

    너무큰도움됩니다 응원할게요!!

  • @yejungpark5813
    @yejungpark5813 6 лет назад

    수업중인데 영상올라와서 ㅋㅋ 괜히 힘이나네용! 쿠키님♡

  • @Anggomozzi
    @Anggomozzi 6 лет назад

    항상 즐거운과학 감사합니다

  • @khkim4821
    @khkim4821 4 года назад +1

    양자 역학에 따르면 빛은 속도를 측정할때만 일정하고, 측정하지 않을때는 무한대라고 하네요.
    이유는 빛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빛을 비추는 순간 빛의 속도는 0이 되기 때문입니다.

  • @ILOVEJUNHO
    @ILOVEJUNHO 4 года назад +1

    진까 몇년동안 광속 불변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 했는데 이 영상을 세네번 보니깐 이해가 되었어요
    진짜 감사해요
    제 인생 멘토에요

  • @chasunghan
    @chasunghan 3 года назад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고오-t5k
    @고오-t5k 6 лет назад

    흐큐ㅜㅠㅜㅜㅜㅠㅜㅠㅠㅠㅜㅜ리락쿠먀ㅜㅜㅠㅜㅠㅜㅜㅜㅜㅠㅜㅎ규ㅜㅜㅜㅜㅡ귀여워ㅜㅜㅜㅠㅜㅜㅠㅜㅜㅠㅠㅜㅠ 이번 영상두 잘보구가용 완벽행❣

  • @sokheejung
    @sokheejung 6 лет назад +5

    아주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 @김치-n3v
    @김치-n3v 4 года назад +1

    대단합니다!!

  • @Pf_Jin
    @Pf_Jin 6 лет назад

    part 5 기대되네요 ~!

  • @곰도링-i7i
    @곰도링-i7i 6 лет назад

    과학쿠키님 너무 멋지십니다😭😭

  • @미누-s9e
    @미누-s9e 6 лет назад +1

    쿠키님 카메라 바뀌셨나봐요?
    오늘도 감명 깊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

  • @홍성호-u1h
    @홍성호-u1h 6 лет назад +93

    역시 기승전 아인슈타인... 아인슈타인.. 당신은 대체...

    • @권순범-q9o
      @권순범-q9o 6 лет назад +12

      여러 사람들의 노력에 완벽한 마무리를 지어준 그는 도덕책

    • @관운장KOR
      @관운장KOR 4 года назад

      그렇게 부러워만 하지말고 니고 공부해서 아이슈타인처럼 될 생각을 해봐라

    • @kimsuhyeok
      @kimsuhyeok 4 года назад

      @@권순범-q9o 와 초딩순범님!!
      석군의 비밀 수납장에서 보셨던 그 똑똑이 맞으신가요?

    • @지호-m6j
      @지호-m6j 4 года назад

      관운장 아무리 열심히해도 아인슈타인처럼 되는건 불가능임 ㅋㅋ

    • @ffg6533
      @ffg6533 4 года назад

      @@관운장KOR 평생을 바쳐서 공부해도 재능없으면 절대안됨

  • @미로-c1g
    @미로-c1g 5 лет назад +1

    쿠키님 영상만 봤는데 물리 1이 거의 이해 되네요 !

  • @dachu1036
    @dachu1036 6 лет назад +1

    호옹.... 에테르가 자세한 모형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오늘 처음 알게되었네요!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daeguyoon1644
    @daeguyoon1644 2 года назад

    전기기사 전자기학과 다른 역사를 알게되니 재미지네요

  • @wayne.x48
    @wayne.x48 6 лет назад

    보고 또 봐도 감동적이네요😂

  • @ksl2179
    @ksl2179 6 лет назад +1

    쿠키님의 영상을 매번 보면서 느끼는데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bgm을 적절히 사용해주셔서 더욱 몰입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아인슈타인이 얼마나 위대한 과학자인지..

  • @seonhyangjang1159
    @seonhyangjang1159 6 лет назад

    와우! 똑 부러지게 설명 잘 하네요.

  • @신라면-r9b
    @신라면-r9b 6 лет назад

    넘나 꿀잼... 쿠키님 다가오는 월급날에 후원금 쏩니다~~~~!

  • @WooSup111
    @WooSup111 6 лет назад

    어린나이에 정말 대단하네요 존경합니다.

  • @bini_59
    @bini_59 6 лет назад +11

    또인슈타인.. 그저 빛..

  • @octo_tinyseed
    @octo_tinyseed 6 лет назад +26

    형의 영상 덕분에 과학고등학교에 합격했어요!!!!
    늘 존경합니다ㅏ 형처럼 되고싶어요오

    • @octo_tinyseed
      @octo_tinyseed 6 лет назад

      aa ! 어.. 저 올해 붙어서 드릴만한 팁이..
      과학에 관심 많으면 되지 않을까요..?

    • @arenouveau2905
      @arenouveau2905 6 лет назад +1

      금딸

    • @octo_tinyseed
      @octo_tinyseed 6 лет назад

      aa ! 아아.. 경기과학고에용

    • @홍성호-u1h
      @홍성호-u1h 6 лет назад

      와우... 대단하시네요...

    • @이프로-k2p
      @이프로-k2p 6 лет назад

      축하드립니다

  • @단비-l1z
    @단비-l1z 6 лет назад

    목소리에 힘있는게 넘오죠아요 오홍홍홍
    귀에 팍팍 박히는느낌^^7

    • @단비-l1z
      @단비-l1z 6 лет назад

      좀더 짧은시간 3~4분짜리 영상도 제작하시면 더 좋을것같아요 우리 오린이 친구들은 인내심이 그리 강하지않거든요^^7

  • @khanzan4463
    @khanzan4463 6 лет назад

    이렇게 역사적으로 하나씩 과학적 계념을 잡아가니까 상대성 이론도 손에 잡힐것만 같아요

  • @앙그래짐토
    @앙그래짐토 Год назад +1

    애초에 맥스웰의 빛은 파동이라는 생각이 틀렸고, 빛은 입자입니다. 따라서 빛에는 관성이 적용되고 마이컬슨 몰리의 실험에서 빛이 관성을 가진다는 것이 보이게 됩니다. 광원과 반투과거울, 무늬가 맺히는 상은 같은 관성계(지평좌표계)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험이 행해진 것입니다. 마이컬슨몰리 실험은 에테르가 존재하지 않는다, 광속이 불변한다는 것이 아닌, 애초에 빛은 입자였고 빛은 관성을 가지며, 따라서 광원이나 반사체의 속도에 따라 광자의 속도는 가변하게 된다. 즉 광속은 거의 멈춰있는 물질내부나 주변에서는 일정하지만 움직이는 물질이나 강한에너지를 가진 전자(원자)에서 나온 광자는 더욱 빠르고 강한광자가 되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짧은 파장으로 인식되는 것이고 광속은 색에 따라, 물체의 속도에 따라, 중력에 따라 유동적으로 가변됩니다.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처럼 속도가 빠른 대상은 시간이 느리게 흐르거나 그 대상이 볼때 길이가 수축되는것이 아닌 속도가 빠른 대상은 이동하면서 속도가 느린대상보다 더 많은 주위의 입자들가 상호작용하게되어 에너지가 증폭되는것 같은 현상을 겪는 것입니다. 즉 속도가 빠를수록 주변과 더욱 많이 상호작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중력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지구를 도는 달처럼 달이 이동하기 때문에 중력이 증폭되는 효과를 가져 움직여서 생기는 관성력(원심력)에도 궤도를 벗어나지 않게되는 것입니다.
    m.blog.naver.com/0078abab/223308502423

  • @sejinjeon9303
    @sejinjeon9303 4 года назад

    상대성이론 얘기 나올 때마다 빛의 속도가 왜 일정하다고 하는지가 궁금했는데 마이컬슨 몰리 실험에 의해 관측된 현상이었군요. '매질에 변화를 줘도 빛의 속도가 변하지 않더라'... 어렴풋이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ㅠㅠ

  • @s.a.e8654
    @s.a.e8654 5 лет назад +15

    나 학교 다닐때 이런 선생님이 필요했어 ㅠ

  • @simhae1775
    @simhae1775 3 года назад

    이것만보고 유튜브 끌랬는데 그냥 내일 앞에 세편 부터 보고 이거까지 쭉 정주행해야겠네요

  • @오프로-f5u
    @오프로-f5u 6 лет назад +22

    빛의 매질인 에테르를 증명하기 위한 마이켈슨과 몰리의 실험은 처음의 목적만 놓고봤을때는 실패한 실험이지만 반대로 에테르는 존재하지 않고 광속불변의 법칙으로 이어지게 되어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실패한? 실험이 되었죠.
    여담으로 마이켈슨은 이 연구로 인하여 광학에 대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게 되어 미국인 최초로 1907년 노벨물리학 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 @tones2766
    @tones2766 5 лет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지난번 강의에서, 왜 빛의 속도가 불변한다고 가정하게 되었는지, 궁금해서 / 질문을 드렸었는데, 이렇게 훌륭하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또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대요. 중력은 뉴튼의 법칙처럼, 물체가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이 아니라, 질량을 가진 물체의 주변의 시간과 공간이 휘어져서, 자연스럽게 질량이 가벼운 물체가, 더 무거운 물체를 돌면서, 점점 접근해 간다는 설명해서요. 그 넓은 천으로 설명을 해시는대요.?? 이 때에도, 아래로 무언가 힘이 작용해야 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저의 이해력이 짧아서 죄송합니다.^^;; (저는 문과생입니다.ㅎ)
    궁금해서 ... ㅎㅎㅎ

  • @lillllliill2723
    @lillllliill2723 6 лет назад +43

    기승전 빛버트 아인슈타인

  • @Y0utube._.
    @Y0utube._. 6 лет назад +7

    과천과학관 왔는뎅 과학쿠키님 영상 널렸네 ㅋㅋ

  • @jkw5672
    @jkw5672 6 лет назад

    쿠키님도
    Draw my life 해보는게 어때요?
    그림 잘그리시고 글씨 예쁘셔서
    잘 될것 같은데요

  • @Gabalus_elio
    @Gabalus_elio 6 лет назад +24

    한개도 못알아 듣겠지만 그래도 정말 재미납니다.

  • @AI-ee1db
    @AI-ee1db 5 лет назад +1

    초딩때 아이슈타인 위인전 읽어도 그는 그냥 똑똑해서 위인인줄 알았지만 배우면 배울수록 그는 그저 빛...

  • @yoonseo_ji
    @yoonseo_ji 4 года назад

    와 대단하세요~

  • @김모씨-u4k
    @김모씨-u4k 6 лет назад

    빛의 속도가 왜 일정한지에 대해서 이해하려고 노력했는데 여전히 어렵습니다.
    움직이는 관측자가 29만키로로 움직인다면
    빛은 왜 1만키로로 보이는게 아니라 30만키로로 보이는가에 대해서요.
    시간을 많이 말씀해 주시는데 전 여기서 움직이는 관측자의 질량도 가늠해야 하지 않나 생각했어요.
    빛은 질량이 없기 때문에 빨라질수록 시간이 느려지지 않지만(속도가 변하지도 않지만)
    관측자는 속도가 빨라진 만큼 시간이 느려지게 되어 결국 빛은 여전히 빛의 속도가 된다고 생각해요.
    질량이 없는 것의 시간과 질량이 있는 것의 시간의 상대성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질량과 시간의 합이 항상 일정하고
    시간이 늘어나면 질량이 줄고 질량이 늘면 시간이 줄고
    그래서 시공간의 합은 늘 제로섬이며
    그 합만큼의 속도가 빛의 속도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물질은 빛의 속도를 넘을 수 없죠)
    여기서 말하는 질량은 질량x에너지를 편하게 이야기한 의도예요.
    저의 이해가 맞는건지 틀린건지도 모르겠어요.
    쿠키님이나 잘 아시는 분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 해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김신사-l1h
    @김신사-l1h 6 лет назад

    영상 내용과는 관계없디만 2:34에 왼쪽머리에 붙어있는 흰 물제가 자유낙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네요.
    ㅋㅋㅋㅋㅋ신경쓰였다
    그나저나 4:30 도 마찬가지로 전부터 느꼈는데 손동작이 굉장히 유연하신듯.. 연습하시나요? ㅋㅋ

  • @kluencros
    @kluencros 6 лет назад +4

    과학쿠키님 정말 고마워요
    제가 그토록 궁금했던 광속불변의 법칙 까지 설명해주시다니
    소름이에요!!
    연출이 날로 늘어서 이 과학자가 바로 우리가 너무 잘 알고 있는 아인슈타인 입니다 할때 닭살 돋아버렸네 ㅎㅎ

  • @대왕오징어-s4g
    @대왕오징어-s4g 6 лет назад

    믿고보는 과학쿠키!

  • @정근희-y6d
    @정근희-y6d 6 лет назад +117

    항상 보면서 느끼는거지만 편집실력 진짜 대단하시넴 EBS에서 이런분 안데려가시나

    • @권순범-q9o
      @권순범-q9o 6 лет назад +12

      정근희 다큐 하나 만드셔야함. 그 2014년에 빛의 물리학 그거 보다 더 뛰어난 다큐 만들어질듯

    • @sicko-m4m
      @sicko-m4m 6 лет назад +10

      다큐나오면 실검1위일듯

    • @외계에서온숏다리
      @외계에서온숏다리 6 лет назад +6

      이 분은 애니메이션 작가로 데뷔하셔도 대박나실 것 같습니다.

    • @willkim8048
      @willkim8048 6 лет назад +7

      반드시 깊이 공부하셔서,
      지금처럼 그본질을꽤뚫는 직관의힘도 계속 키우셔서
      어렵고어려운현대과학을
      대중들도 쉽게이해하시는일도
      가끔 취미로하셔요.

    • @el-it2vm
      @el-it2vm 5 лет назад +2

      뉴스에 이분 코너가 있습니다

  • @PIGeon0515
    @PIGeon0515 6 лет назад

    이번에도 잘보고 갑니다☆_☆

  • @user-tc2gi4cz8j
    @user-tc2gi4cz8j 6 лет назад

    최고다 과학쿠키 최고다

  • @PjhMusicChannel
    @PjhMusicChannel 3 года назад

    로렌츠의 전자이동이 맥스월방정식과 어느부분이 잘 들어맞지않아 변환해야했는지에 작은 코멘트가 있었으면하는 바람입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 @yeonwoojeong3776
    @yeonwoojeong3776 5 лет назад

    유익한 영상입니다 근데 말씀하시는분 텐션을 조금만 낮줘서 차분하게 진행하면 더 좋을 듯

  • @박영민-b7o
    @박영민-b7o 6 лет назад +2

    로렌츠 인자가 특수상대성 이론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전자의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아가게 되네요 ㅎㅎ 그런데 항상 쿠키님은 정말 막힘없이 내용을 이끌어 가시는거 같은데, 이러한 지식들을 익힐려면 어떠한 공부를 해야할까요? 물리에 관심히 많은 여러 학생중 한명으로서 쿠키님처럼 다른 친구들에게 물리의 역사를 알고 설명해 주고 싶습니다.(쿠키님의 영상도 유익하지만, 어느정더 추가적인 공부를 하고 싶습니다 ㅎㅎ)

    • @vinniesalla8974
      @vinniesalla8974 6 лет назад +2

      영마닝 물리란 세상의 모든것이기때문에 어느 특정분야에 먼저 관심을 가지고 파는게 좋아요. 저같은 경우에는 천문학에 관심이 있어 천문학 서적을 보다가 다른 분야까지 관심을 가지게되었는데 결국 서로 각 분야가 연관이 있어 공부할수밖에 없어요

    • @박영민-b7o
      @박영민-b7o 6 лет назад +1

      홍순빈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문정훈-r8u
    @문정훈-r8u 3 года назад

    쿠키님..
    서로 빛의 속도로 멀어져 가고 있는
    두 물체위에 있는 관찰자 들은 서로를 볼 수 있을까요..
    우린 이미 빛의 속도와 근접하게 또는 같게 움직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과연 우리가 관찰하고 있는 것이
    빛일까요..

  • @whitecolour1
    @whitecolour1 6 лет назад

    part5 언제 나오나요?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 @march9836
    @march9836 6 лет назад +2

    특수 상대성이론 part 5는 언제
    쯤 나오나요 ?!

  • @오윤성-h1k
    @오윤성-h1k 4 года назад +1

    맥스웰 방정식은 모든 관성계에서 성립한다.
    빛의 속도는 맥스웰 방정식에서 유도되었다.
    따라서 빛의 속도는 모든 관성계에서 일정하다.
    이게 광속 불변의 이유가 맞나요?
    광속 불변의 법칙이 아니라 원리인 이유는 뭔가요?

  • @내안에하늘과숲과슬기
    @내안에하늘과숲과슬기 4 года назад

    한편한편이 기승전결이 완벽한 드라마 같네요 바로 또 다음편이 궁금해집니다.

  • @모하비-i8q
    @모하비-i8q 5 лет назад

    쉽게 설명하면 머리나쁜 사람도 과학에 접근할수 있고, 어렵게 설명하면 머리좋은 사람도
    과학에 접근하기 어렵다.
    이런 생갹이 듭니다.
    과학에 접근 해볼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user-vs8sy7rp4p
    @user-vs8sy7rp4p 5 лет назад +1

    이 분 영상을 보면서 항상 느끼는 건데 그림을 겁나 잘 그림

  • @MrTired92
    @MrTired92 6 лет назад

    가려웠던곳을 긁어주는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 @StK_1127
      @StK_1127 6 лет назад

      강무빈 과학 효자손인가

    • @MrTired92
      @MrTired92 6 лет назад +1

      이동하는 대상에따라 왜 빛은 속력이 일정한가에 대해서 엄청 찾아다녔는데 이렇게 이야기해주는 곳은 없었거든요 ㅠ
      이번영상은 그고민을 해결해주는 영상이군요 ㅎㅎ 5편도 보면 제대로 이해갈것같습니다

  • @부드러운눈송이
    @부드러운눈송이 6 лет назад

    진짜 재미있당~~

  • @闵丙益
    @闵丙益 4 года назад +1

    쿠키님 잘 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어요. 빛이 휘어질때 속도가 느려지나요? 우리가 운전할때 돌아가면 시간이 오래 걸리듯 그런가요? 아니면 휘어져서 도달한 빛의 속도는 같은가요? (도착시간,빛의 속도 두가지 측면에서 볼때.....)

  • @엄세현-r3w
    @엄세현-r3w 6 лет назад

    믿고보는 과학쿠키!!!!!!!!!!

  • @hellodevils
    @hellodevils 6 лет назад

    파트 5 언능 올려주세요 ㅠㅠㅠ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

  • @saigan06
    @saigan06 6 лет назад +2

    요즘 과학쿠키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워낙 과학에 문외한이라 영상 보면서 많은 걸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지난번에 과학쿠키 빛의 속성이라는 영상을 보았는데요. 전자기학에서는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고 하셨는데,
    역으로 매질의 밀도 등에 의해 빛이 간섭을 받아 속도가 저하된다고도 하셔서 헷갈립니다.
    진공상태와 같은 특정조건하에서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것인지 아니면 제가 영상을 볼 때 뭔가 빠트리거나 잘못 이해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ㅠㅠ 제가 문과라 ㅠㅠ 답변 부탁드릴게요 엉엉

    • @snceckie
      @snceckie  6 лет назад +1

      빛에서 말하는 '매질'은 빛이 나아가는 길의 방해물로 인식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

  • @surionkim9760
    @surionkim9760 4 года назад

    빛이 매질없이 그냥 공간을 이동한다면: 빛은 어떠한 매질에도 영향을 받지 말아야 합니다. 하지만 빛은 진공/공기/물에서 각각 속도가 다릅니다. 밀도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고 굴절이 일어나고 거울에는 반사가 됩니다. 매질없이 이동한다면 모든물질도 투과해야 합니다. 모순입니다.

  • @muujuu2507
    @muujuu2507 4 года назад

    영상 제작자님께서 11:27 부분에서 주장하는 광속이 일정하다는 사실이 에테르 속에서만 성립한다는 것은 한번 사실 여부를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 제가 알기로는 맥스웰 방정식은 그 자체로 모든 관성계 변환에 대해 covariant 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에테르 여부와 상관없이 맥스웰방정식은 항상 성립하며, 광속불변 역시 에테르와 상관없이 방정식 자체 속에 내재된 것입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아인슈타인은 맥스웰방정식에 들어있던 특수상대성이론의 결과를 재발견 한 것일 수도 있어요....

  • @안녕-m6t
    @안녕-m6t 2 года назад

    전파과 석사 졸업 후 반도체회사에서 일하면서 다 까먹어버린 내용들 정리해주샤서 감사합니다. 졸업하면서 의문점을 가진 두가지가 있는데, 1. 안테나가 빛의 주파수에서 동작하게끔 설계하면 전자파가 빛처럼 보일까요? 2. 왜 빛은 매질이 없는데 상대유전율 투자율이 1인 공기중의 전파속도와 완전히 일치하는 걸까요?

  • @우럭의과학채널
    @우럭의과학채널 6 лет назад +3

    0:48 과학쿠키님 오른쪽에 화학식모형있음 ㅋㅋ(갖고싶다.)

  • @시민러너
    @시민러너 6 лет назад

    빛의 속도는 빛의 애테르 , 즉 매질에 의해서 빛의속도가 정해진다는 멕스웰 원리에 의해 증명 됬으나
    아인슈타인에 의해서 매질이 필요없다는,,, 이론을 증명 한거네요
    공부 해야 겠네요 영상 잘봤습니다

  • @이상윤-x3z
    @이상윤-x3z 6 лет назад +3

    8:50 에테르가 있으면 자전축-회전축에 따라서 빛의 속도가 달라져야한다는 전제가 이해가 안되요 ㅠ 왜 달라야하는거예요???

    • @도훈김-h9y
      @도훈김-h9y 4 года назад +1

      아마 지구의 자전 때문일거에요 지구가 회전을 하니깐 빛이 같은 방향에서 온다면 빛의 소스를 다가가거나 멀어지거나 하니까뇨

  • @jongsoochung1155
    @jongsoochung1155 6 лет назад +2

    1700, 1800 년대 과학자들이 어떻게 저런 생각에 이를 수 있었는지? 정말 천재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