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로 배우는 GPT 보호회로 2부 (GPT, CLR, SGR)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авг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74

  • @dumanjeon7669
    @dumanjeon7669 2 года назад +4

    너무쉽게 설명해 주시네요 정성이 느껴집니다 지금까지본 동영상중 최고네요! 99프로 이해했는데요! 두번째동영상 마지막에 질문인데 피더 1쪽에 지락발생하면 피더1만 선택적으로 차단되는건가요? 피더2에대한 동작여부설명만 추가되면 100프로 이해겠는데요ㅠㅠ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 года назад +2

      아 ㅎㅎ 너무 당연해서 제가 설명이 없었나요..? 피더1만 말그대로 '선택적으로' 차단 됩니다, 말씀하신 바와 같이 피더 2는 건전선로니 차단이 안됩니다. :)

    • @JuDung2
      @JuDung2 17 дней назад

      제 생각에는 피더 1의 T상은 직접적으로 대지와 연결이 되어 있기때문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회로가 구성되고, 정상적인 피더2에서는 T상이 대지와 연결이 되어 있지않는 개방 상태이기 때문에 CLR에 의한 전류가 피더 1에만 흘러서 그런 것 같습니다! 제 생각이기 때문에 아닐수도있어요~

  • @user-vg9ns6qk9b
    @user-vg9ns6qk9b Год назад +7

    평생 전기기술인으로 살면서 학원과 현장을 누비며 다녔는데 [전기혁명]
    처럼 아주 쉽게 설명해주는 상대는 없었습니다.
    틀에 박힌 설명만 해대는 교수들 보다 백 번 났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위대하십니다.
    구독하고 엄지척 하고 갑니다.

  • @yjd0103
    @yjd0103 18 дней назад +1

    두고두고볼 영상입니다.

  • @kwangmin6376
    @kwangmin6376 2 года назад +2

    항상 좋은 콘텐츠제작 감사드립니다.

  • @user-lb1bn2wn6g
    @user-lb1bn2wn6g 2 года назад +6

    CLR(전류제한저항기) 역할은
    (1) SGR, DGR을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유효전류 발생
    (2) 3차권선 출력의 제3고조파전압 발생방지
    (3) 중성점의 이상현상 억제

  • @user-xk9oi3fz2u
    @user-xk9oi3fz2u 3 месяца назад

    전기안전관리대행20년수많은.비접지계통.고압.저압설비를봐왔지만.항상 어려웠는데.전기혁명덕분에.문제발생시원인해결에.어느정도자신감이생기네요.
    감사합니다.

  • @user-im5cs9vg5u
    @user-im5cs9vg5u 2 года назад +3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Данила_Багров
    @Данила_Багров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너무 감사합니다

  • @TV-pe4jn
    @TV-pe4jn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되네요

  • @nikishin9261
    @nikishin9261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GPT+SGR 완전 이해 되네요.
    책에서는 담기 힘든 애니메이션이 이해에 큰 도움이 되었어요. (만드시긴 힘드시겠지만..)

  • @sonyg-
    @sonyg- Год назад +1

    큰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4312ksm
    @4312ksm 2 года назад +1

    전기기사 취득 하고 1년 가까이 지났는데 새롭네요. 잘 봤습니다.

  • @user-oe9cn2jl2q
    @user-oe9cn2jl2q 2 года назад +1

    정말 잘 보고 가네요
    감사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 года назад

      가유님께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큰 보람을 느낍니다. :)

  • @user-ki5gl5dp3i
    @user-ki5gl5dp3i 2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 @picturebig5048
    @picturebig5048 2 года назад +1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davidd850
    @davidd850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건전기술사 공부중입니다. 학원이나 인강에서도 상세히 알려주지않아 강제로 머릿속에 입력하다보니 금방 잊고 또 외우고 무한 반복이었는데 덕분에 각인되었습니다 ㅜㅠ 암기할거 줄었네요... 합격하고 크게 후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제 회로도 안외워도 그릴 수 있을것같아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3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드립니다, 3부도 기획하고 있는데 꼭 제작해서 공유드리겠습니다. :)

  • @user-fg6tn6oc8f
    @user-fg6tn6oc8f 2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user-sk6vh2lc8z
    @user-sk6vh2lc8z 2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 года назад

      과카몰라님~ 항상 애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user-pp3pf2zj3x
    @user-pp3pf2zj3x Год назад +1

    댓글을.안달수갖없네요 님 도데체 정체가. .

  • @user-lr4up4tv6h
    @user-lr4up4tv6h Год назад +3

    와우 오픈델타 전압의 실체가 넘 궁금했었는데 이렇게 상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기술사님 이신가요? 아직 이시라면 충분히 되실만한 실력이신거 같아요 지난 영상들을 보면요 ㅎ 요새 전기혁명을 알게되어 감사히 시청하고 있습니다

  • @user-bd4px9jw1z
    @user-bd4px9jw1z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에니메이션이 큰 역할을 하는데... 우리.. 학원 강사들은 돈도 잘 벌면서 이런거 만들 생각을 안하네여... 역시 그대는 혁명입니다..

  • @user-be6bs7ui3o
    @user-be6bs7ui3o Год назад +1

    와 진짜 개쩐다

  • @user-iv5kc9oh8e
    @user-iv5kc9oh8e 2 года назад +1

    전기 초보자라서 아직 이해는 안 되지만,, 재밌게 시청했습니다..

  • @user-im5cs9vg5u
    @user-im5cs9vg5u 2 года назад +2

    두번째 영상 보는데 CLR의 역활이 확실히 보이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 @user-tp1yz8yz4d
    @user-tp1yz8yz4d Год назад +1

    내용을 넘 설명을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LR 용량 계산하는 부분이 없어서 조금 아쉽네요
    다음 3회 추가해서 3.3KV, 66KV, 22.9KV -CLR 용량 구독 할 수 있도록 부탁드려도 될까요

  • @user-lb1bn2wn6g
    @user-lb1bn2wn6g 2 года назад +1

    바보도 이해할 수 있는 탁월한 설명이였습니다.
    다만,
    *******
    [아쉬운 점1] 기기의 약어인 GPT, ZCT, R,S,T, TC, CB, ZCT와 양기호인 C, V, I를
    모두 직립체로 표기함으로서 육안으로 쉽게 구별이 아니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양기호는 국제표준(IS)에 의한 표기법인 경사체(이태릭체)로 표기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V1, V2, V3, C1S, C1R, IC1S, IC1R, IC2S, IC2R 등에서 V, C, I 등은 경사체로 표기하여야 합니다. (아랫첨자는 직립체이어야 함)
    [아쉬운 점2] 2:47/16:52
    3차권선의 유기전압 표기중 V2를 V1로, V1을 V2로 표기하는 것이 이해가 빠를듯합니다.
    (2차권선결선(Y)에서 3차권선결선(델터)로 하였으니 30도의 위상차가 발생하지만,
    이를 무시하는 조건임)
    2차권선과 3차권선의 벡터위상을 바꿔놔서 초보자들은 ????? 할 것같습힙니다^^

  • @user-tc7pf8bw7m
    @user-tc7pf8bw7m 2 года назад

    영상 감사히 잘봤습니다 오늘 현장 판넬에 문제가 있어 전압을 찍어봤는데 회로쪽 대지전압이 이상해서 찍다보니 조작용 tr의 2차측 한쪽 상의 대지전압은 110v 다른쪽 대지전압은 220v가 뜨고 두 선간 전압이 220v가 뜨던데 이 tr은 무슨 결선일까요? 일차측 전원은 삼상3선식 380v 전원에서 RT상을 받습니다 각 상의 대지전압은 220v 고요.

  • @user-xf6us4cu4y
    @user-xf6us4cu4y 2 года назад +1

    그래픽이 더 좋네유~감사~

  • @user-eq6im8ky5z
    @user-eq6im8ky5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12:29 이 부분 질문있습니다 !
    ZCT2는 역방향의 충전전류이기 때문에 감지를 못한다고 하셨는데, 방향에 상관없이 상쇄가 일어나지 않고 한 방향으로 ZCT2를 통과하면 감지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답변이 다소 늦었습니다. SGR 말고 ZCT 입장에서는 '상쇄'가 아닌 한 당연히 '감지' 즉, ' sensing' 을 하긴 합니다. :) 그러나 SGR입장에서는 이 역방향 전류는 '감지'의 대상은 아닙니다. 이는 SGR 계전기가 가지는 방향성 떄문인데요, SGR의 동작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즉 동작범위 영역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압과 전류의 각도 부분은 영상이 너무 길어져서 미처 설명하지 못했습니다만 제가 링크를 하나 걸어드리겠습니다. (추후에 전기혁명도 3부로 만들어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ruclips.net/video/-h-QvMPBgqg/видео.html

  • @user-oi2lt2jw3i
    @user-oi2lt2jw3i Год назад

    2번 보니 이해가 좀 되네요. 그런데 피더1은 CLR때문에 SGR이 동작되는데 피더2도 연결되있다면 SGR이 동작하는거죠?
    보통 CLR쪽에 피더1,2 다 연결되어있나요? 안연결된 피더도 있는지요?

  • @TV-kw3vg
    @TV-kw3vg 2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SGR계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OVGR계전 기능만 사용한다면 CLR은 설치하지 않아도 되지 않나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 года назад +2

      그렇지 않습니다, 먼저 질문하신 상황은 피더가 여러 개가 있는 것이 아닌 단일 피더 또는 더 아랫단의 말단의 피더인가 보군요, OVGR은 대체로 비접지보호회로에서 '보조용' 개념으로 쓰이는데 예를 들면 보호하고자 하는 전로가 2개 이상이면 어느 한 전로에서 지락이 발생해도 영상전압이 무조건 검출되므로 경보용으로 많이 쓰입니다. CLR은 SGR이 동작할 유효한 전류를 만들어주기도 하지만 GPT(변압기류)의 자화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제3고조파 발생분도 흡수해주며, 중성점이상 전위진동이나 불안정 현상을 억제해주므로 GPT가 있다면 CLR이 있는 것이 정석입니다. 그러므로 CLR을 설치하지 않으면 OVGR의 전압공급분 여자전류에 고조파전류가 들어가게 되어 OVGR이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게 됩니다.

    • @TV-kw3vg
      @TV-kw3vg 2 года назад +1

      답글 감사합니다!!

  • @ssipark3656
    @ssipark3656 4 месяца назад +1

    SGR 계전기는 영상전압과, 영상전류, 소스를 감지해야하고, 위상각도 45도 정도가 됩니다.
    그런부분도 나중에 설명해 주시면 좋을듯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물론입니다,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 올려드릴 예정입니다. 3부는 사실 이미 만들어놓았는데, 1부와 2부를 많이들 어려워하셔서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

  • @GOAT-mn7ec
    @GOAT-mn7e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선생님 clr이 없는 경우에 지락났을때에는 왜 gpt1차 권선 중성점 접지선을 타고 역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는거죠??? feeder1,2의 대지와의 충전용량에 의해서도 역으로 흘러들어가는데.,, 역으로 흘러들어가는데 너무 작아서 무시하는건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훌륭한 질문이 아닐 수 없습니다. 먼저 CLR이 있든 없든 GPT와 SGR의 여자전류는 존재합니다(다만 매우 매우 작을 뿐입니다). 그리고 CLR이 있든 그리고 없든 지락시, 지락전류(대지충전에 의한)가 GPT 1차 권선 중성점 접지선을 타는 루프로 흐르진 않습니다. 영상에서와 같이 오직 자기 부하회로(대지와의 충전용량성분: 대지정전용량)를 루프로 삼아 흐르게 됩니다. 즉, SGR은 GPT의 전압요소(영상성분)와 ZCT의 전류요소(영상분)를 입력받아 고장을 판단하는 계전기인 것이고, GPT 1차 중성점 접지선을 타는 루프로 전류가 흐르기 위해서는 GPT 3차에 저항을 달아야 하는 것입니다.

    • @GOAT-mn7ec
      @GOAT-mn7e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electric_revolution 답변 감사합니다.ㅜㅡ 선생님 계속 이해가 안갑니다 자기 부하회로를 루프로 삼아 흐르게 된다는게.. 왜 흐르기 편한 접지선을 놔두고 굳이 대지와의 충전용량을 타고 자기 부하회로로 귀로 하는지... 어떤 특성때문이죠

  • @user-lb1bn2wn6g
    @user-lb1bn2wn6g 2 года назад +2

    GPT 3차권선에 연결하는 저항기를 왜 '전류제한저항기(Current Limit Resistor)'라고 하는가?
    [이유] 영상전류값은 GPT의 3차측(open delta측) CLR의 저항값의 크기에 따라서 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규약된 영상전류의 크기는 0.38 A이다.
    지락사고시 이 전류를 선택지락계전기(Selective Ground fault Relay : SGR)의 동작전류로 확보하기 위하여 CLR 저항값을 결정하는데 CLR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서 GPT 1차측 전류값이 정해지고 그에 따라 GPT 용량값 또한 결정된다.
    그러므로,
    영상전류값을 일정값이상 일정값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 @user-vv8vc7ok1i
    @user-vv8vc7ok1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1.결론은 CLR이 없으면 정전용량의 의한 충전전류만 흐르므로 충전전류는 매우 작아 SGR이 동작을 못하고 CLR이 있어야만 ZCT에 유효전류를 흘려 SGR이 동작한다는 거죠?
    2.SGR,DGR이 아닌 OVGR을 설치하여도 동작조건의 맥락은 같은건가요? 물론 SGR이 아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동작은 못하겠지만요
    3.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user-zk9sb8mv4i
    @user-zk9sb8mv4i 2 года назад +1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마지막부분이 이해가 안되서요!
    1. CLR로 인한 In이 zct1,zct2 두곳 모두 지락된 t상에 흐르는것 아닌가요? 선택적으로 지락된곳만 차단시킬려고하는데 말이죠..
    2. 아니면 In+ I(C2R) + I(C2S) 때문에 피더1만 sgr이 동작하는건가요?
    3. 그리고 피더2는 지락이 발생하지않은곳이아 충전전류 I(C2T)가 존재하는거 아닌가요? 그림에도 같이 지락된거처럼 되있어서 헷갈리네요.
    정말알고싶습니다! 답글부탁드려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 года назад +2

      라라리라님, 질문에 답변드립니다. ^^
      1. 폐루프가 있는(t상 지락이있는 피더1) zct1에만 흐르게 됩니다.
      2. 네 맞습니다.
      3. 아닙니다, I(C2T)가 존재하려면 메인 고압케이블 T상의 대지전압이 0v가 아니어야 합니다. 고압케이블 T가 지락이 났으니 피더1의 t상의 대지전압도 피더2의 t상의 대지전압도 모두 0v가 됩니다. 그러므로 t상의 대지정전용량이 의미가 없어지게 됩니다.

    • @user-zk9sb8mv4i
      @user-zk9sb8mv4i 2 года назад +1

      아 깨달았습니다!!!! 시험하면서 항상 궁금했었는데 너무 감사합니다!! 좋은영상 계속해서 올려주세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 года назад

      @@user-zk9sb8mv4i 깨달음을 얻으셨다니 대단하십니다ㅎ 오늘도 영상하나 올라와요! ^^

  • @hg8855
    @hg8855 2 года назад

    전자식지락보호계전기 전류 세팅값은 어떻게 선정하나요?
    슈나이더 EGR-05N27M 전류 범위가
    30~500mA입니다 그리고 영상변류기 타입입니다 현장에 300mA로 셋팅 되어 있는데 동작해서 절연저항 측정해보니 100메가옴이라서 다시 리셋해서 하고 가압하니 또 트립되어서 전류값을 350mA에 설정하니 트립이 안 되고 정상 동작하네요

  • @ssy29
    @ssy29 2 года назад +1

    잘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마지막부분 한류저항기가 없는경우 지락발생시 지락전류가 대지정전용량을 타고 선로로 유입된다고 하셨고, CLR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1차측접지측으로 지락전류가 유입되어 지락을 감지한다고 하셨는데... 이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를 않습니다. 일단 지락이 발생하면 대지정전용량으로도 지락전류가 유입되기는 하겠지만, 한류저항기가 있던 말던 상관없이 접지점으로 지락전류가 유입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류저항기 때문에 지락전류가 감지 된다고 하시니 다소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때문에 이부분에 대한 설명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상식은 1선지락 발생시 지락전류는 충전전류는 무시할만큼 적게 흐르게 되어 일반적으로는 무시하며, 이 때문에 GPT 1, 2, 3차측 모두를 접지하는 것이고, 지락전류는 1, 2, 3차측 접지점으로 대부분 유입되게 되고, 이로인해 1, 2, 3차측의 모든 건전상의 대지전위는 루트3배 상승한다 입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 года назад

      13:40 부분 참조하시면 될 듯합니다. :) 말씀하신 바와 같이 일단 지락이 발생하면 CLR이 있던 말던 상관없이 1차측으로도 유입이 됩니다.

    • @ssy29
      @ssy29 2 года назад +2

      @@electric_revolution 아 죄송하지만 제가 지식이 짧아서 동영상만으로는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일단 제가 알고 있는 상식은 이러합니다. 1선지락이 발생하면 3차측 접지점으로 지락전류가 유입되고 이 지락전류가 너무 크기때문에 CLR을 통해서 전압과 전류를 제한시켜 SGR이 동작가능한 전류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설명하시는 내용으로는 CLR이 마치 SGR만의 전용 내부저항(유효전류를 발생시키는 저항)인것처럼 설명하고 계셔서 잘 납득이 안가는 것입니다.(이 부분은 사실 제 문해력이 딸려서 오해하고 있을 수 있으니 제가 잘 모르고 하는 질문이라고 이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아무튼 CLR은 하부 부속기기들(SRG, OVGR, Vo등등)에게 적절한 전류와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설명하시는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2 года назад

      말씀하신 내용 고맙습니다, 음...일단 설명드리자면 전기는 '중첩의 원리'를 반드시 만족하므로, 한편으로는 복잡한 회로도 별개의 독립된 쉬운 회로들로 분해해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영상에서처럼 t선에 1선지락이 발생했을 때, 지락전류가 GPT 3차의 코너접지로 가는 생각을 잠시 멈춰보시고 상식적으로 폐회로가 있는 GPT 1차의 중성선으로 간다고 생각을 해보시는 것에서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차전류=3차전류(변압비고려) 라는 공리에서 GPT 1차 전류의 크기는 반드시 GPT 3차 전류의 크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 때 GPT 3차 전류의 크기는 GPT 3차 부하에 의해 결정되며, GPT 3차 부하가(예.CLR) 없다면 GPT 1차 전류도 없습니다. CLR이 없으면 t상의 1선 지락전류가 대단히 크다라고 생각이 될 수 있는데 그렇지도 않습니다. 쉽게 말씀드리자면, GPT 1차의 Y결선 그리고 중성점 접지선이 이 지락전류의 완전한 통로가 되지 못합니다, 우리가 변압기 이론을 배울 때 변압기 1차 그리고 2차 회로를 상상하자나요, 변압기 2차에 부하가 없다면 변압기 1차에는 겉으로 보기에는 GPT 1차의 Y처럼 1차 전원과 완전한 연결회로로 보이지만 이때는 여자전류만(자화전류와 철손전류의 벡터합) 흐르게 됩니다. (작성중이예요, 출근중이라 업무보고 마저 작성해드릴게요.^^)

    • @ssy29
      @ssy29 2 года назад

      @@electric_revolution 아~ 제가 전기공부를 잘못한건지 일단 답변을 완료하시기 이전에 추가질문을 해야 할것 같습니다.
      제가 알기로 만일 한류저항기가 없다면 1차측전류가 모두 여자전류가 되니 2차측(오픈델타)에 달려있는 기기들은 그냥 소손될것 같습니다.
      한류저항기는 일종에 병렬부하의 역할을 하는것이고 이와는 별개로 영상전압계등등도 각자의 고유저항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또한 일종에 병렬부하에 해당한다고 생각됩니다. 이말은 한류저항계가 있던말던 전류는 흐르는것으로 추측됩니다. 때문에 한류저항계가 없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부분이 잘 납득이 가지 않는것이며, 변압기라는것이 분명히 직접적인 회로연결은 아니라 할지라도 동일의 원리에 따라 1차측의 출력만큼 2차측에 동일하게 전달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당연히 2차측에서 소모하는 부하만큼의 전류가 흐를것이라 생각됩니다.
      말씀하신데로 동일철심에 2차측(2차와 3차로 나누어 결선한 GPT)접지쪽으로 지락전류가 유입되지 아니함을 가정해 보더라도 1선지락시 지락상은 0V, 건전상은 대지전위가 루트3배 상승되어 평형붕괴가 발생하므로 이를 ZCT가 감지하는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다소 무식한 질문일지도 모르는데 이렇게 까지 친절히 답변해주셔서 송구한 마음 금할길 없지만 제가 무얼잘못이해하고 있는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elfyuna
    @elfyuna 4 месяца назад

    8:10 190이 어떻게나오나요?

  • @sangwadle
    @sangwadl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벡터계산 할 수 잇는 링크주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user-zz5gx5uw1k
    @user-zz5gx5uw1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Clr 설명이 너무 엉터리라~
    한류 저항기 역활이 sgr로가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이 목적 아닌가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너무 한가지 사실에 집착하는 사고방식은 올바른 학문이 아닙니다.^^ 저항은 전류를 제한하기도 하지만 회로 내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는 역할도 한답니다. 회로에 적절한 저항이 없으면 적절한 전류도 없습니다. 영상에서와 같이 SGR이나 DGR이 동작하기 위한 '유효'하면서도 '제한'된 전류가 발생해야 한답니다. 배움에 있어 마음을 활짝 열고 고정관념을 버리시면 더 풍부하고 깊이있는 아름다운 전기세계의 맛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user-zz5gx5uw1k
      @user-zz5gx5uw1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electric_revolution 이미 190v전압원이 있는데 그것을 저항을통하여 전압강하시켜 sgr에 필요한 동작전류로 쓰면됩니다
      이상한 상상을 발휘하여 다시유도전류를 만들어 1차에피드백해서 동작전류로 쓴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 @user-zz5gx5uw1k 비접지계통에서는 지락이 나더라도 '매우 흥미롭게도' 그 지락전류의 크기가 대단히 작습니다. 지락전류의 근간을 이루는 대지충전전류 자체가 원래 작기 때문입니다. 케이블이 짧은 경우에는 훨씬 더 더 작죠. 따라서 이 지락전류가 SGR이 동작할만큼의 충분한 크기의 전류는 아니기에 '비록 이상해보이지만 충분히 좋은 아이디어'인 CLR을 달아 옴의 법칙에 따른 '유효한 동작전류'를 발생시켜 SGR이 감지하도록 쓰는 것입니다. 물론, 이 동작전류도 380mA 내로 제한합니다. 조금 더 깊이 설명해드리자면, 1선지락이 났을 때의 대지충전전류는 대지충전용량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사실 보호계전기의 아라고원판을 돌릴 수 없는 용량성 성분이 거의 대부분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이 무효전류는 유효전류와는 달리 '일'을 할 수 없으므로, 유효한 성분인 R 즉, 저항성 CLR을 달아 아라고 원판을(과거 기계식 계전기로 설명하자면) 회전할 '유효'한 전류(380mA 이내로 제한된)를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이것을 셋팅위상각이라고 합니다, SGR계전기 셋팅할 때 볼 수 있는 45도니 동작영역이니 말하는 바로 그것이고, 이는 CLR에 의한 '유효전류'와 지락에 의한 대지충전류에 의한 '무효전류'의 각도가(벡터합으로) 적절해야만, 아라고원판이 회전할 유효한 에너지에 의한 '일(동작)'을 얻기 위함이죠. 이것을 두고 '동작범위 내 에 있어야 한다'라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