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압이 위험할까 전류가 위험할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сен 2020
  • 안녕하세요, 다산에듀 원장 전병칠입니다.
    전압과 전류! 둘 중에 어떤것이 더 위험할까요?
    여러분께 도움이 되는 소중한 시간이길 바랍니다.
    전병칠 드림.
    ps.
    전기가 어렵거나 따분하지 않고,
    즐겁고 명쾌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항상 여러분들과 함께하는 마음으로 새 책을
    소개합니다. '찐초보 걸음마 전기' 많은 사랑을 부탁드립니다.
    * 예스 24
    www.yes24.com/Product/Goods/10...
    *교보문고
    www.kyobobook.co.kr/product/de...
    ■ 다산에듀 네이버 공식카페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cafe.naver.com/dasanpass
    #감전#전압과전류

Комментарии • 665

  • @user-kw4ls4pk8l
    @user-kw4ls4pk8l 3 года назад +38

    전압,전류에 대해 명확하게 정리해주셔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wq2dr1ys1f
    @user-wq2dr1ys1f 3 года назад +5

    정말 너무 유익한 정보를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u1il6gc8w
    @user-vu1il6gc8w 3 года назад +22

    오늘도 흥미롭게 잘들었습니다.

  • @user-ko7wr7fc5g
    @user-ko7wr7fc5g 2 года назад +3

    참 이해가 쉽게 설명 하시네요ㅋ
    전기 재미 있게 배우고 있답니다
    감사 합니다

  • @user-qr2jl3bz4s
    @user-qr2jl3bz4s 3 года назад +36

    원장님덕분에 기능사 전기기사 자격증땄읍니다.
    강의 너무 좋아요.

    • @MC-cq4vr
      @MC-cq4vr 4 месяца назад

      기능사만 강의하지 않나요?

  • @dhoh3599
    @dhoh3599 Год назад +3

    정말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해주시내요.

  • @billevans3092
    @billevans3092 3 года назад +23

    이렇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시다니...
    설명에 대해서는 천재급이신데요...

  • @user-ku4px2bg7h
    @user-ku4px2bg7h 3 года назад +3

    원장님 오늘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to1dq9kt6s
    @user-to1dq9kt6s 3 года назад +17

    향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코로나가 하루빨리 진정됬으면 좋겠어요.

  • @user-wn6tn5tg1d
    @user-wn6tn5tg1d 3 года назад +4

    강의 감사히 잘들었습니다 :)

  • @rkdgur90
    @rkdgur90 3 года назад +8

    병칠이 형님, 눈웃음 살살 녹습니다.

  • @user-pm5px4zz1n
    @user-pm5px4zz1n 3 года назад +40

    전병칠 원장님 전기관련하여 너무나 많이 알고 계시며 무료동영상을 베풀어 주셔서 진짜진짜 감사 합니다.

  • @user-re8re9qj9j
    @user-re8re9qj9j 3 года назад +26

    오늘도 재밌는 강의 감사합니다.
    전압 전류가 가장 기초인데 완전 명쾌하네요

  • @daesansystem1769
    @daesansystem1769 3 года назад +5

    너무 재미있어요. 대학때 전기가 전공이었는데 학교 졸업하고 다른 분야 일을 하느라 잊고 있었는데 재미있는 전기 이야기네요.^^

  • @user-lg1zq8pq6c
    @user-lg1zq8pq6c Год назад +1

    원장님 좋은강의. 잘듣고
    있읍니다
    정말감사 합니다

  • @ghksdyd510
    @ghksdyd510 Год назад +2

    와 이해가 딱 됐어요!
    설명 진짜 잘하신다!

  • @mwh753
    @mwh753 Год назад

    Excellent presentation! The water gun analogy is wonderful. Thank you so much!

  • @shlee6128
    @shlee6128 3 года назад +25

    무서운 전기인데, 알기 쉽고 편한 강의로 진행해 줘서 감사합니다~~!

  • @user-bq8hb6yg4n
    @user-bq8hb6yg4n Год назад +1

    선생님 명강의 감사합니다.
    꾸벅.

  • @user-fh2yl7ww9i
    @user-fh2yl7ww9i Год назад +15

    늦은 나이에 전기공부해볼까해서 영상 몇개 봣는데 진짜 잘가르쳐주시네요 쉽게가르쳐주기 쉽지않은데 책도 꼭구입해서 보고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 @user-ru2ic2qq8h
    @user-ru2ic2qq8h 3 года назад +3

    오늘부로 구독합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ey8tu4se6f
    @user-ey8tu4se6f 3 года назад +12

    준나 재밌네요 강의 ㅋㅋㅋㅋㅋ

  • @parisrain7565
    @parisrain7565 Год назад +24

    언제나 들어도 명강의입니다~ 쉽게 설명해주셔서 기억에 오래 남는 전압과 전류 강의 감사합니다.

  • @user-ru8rt7ug5b
    @user-ru8rt7ug5b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으로 간략 명료하게 설명을 잘 하십니다 강의 많이 듣고 싶습니다

  • @user-yo7zo3sq3u
    @user-yo7zo3sq3u Год назад +2

    정말 훌륭하십니다
    존경합니다

  • @kimjunggin
    @kimjunggin 3 года назад +1

    지나가던 사람인데 강의 너므 좋네요
    감사합니다

  • @NoxPark
    @NoxPark 2 года назад +43

    내가 90년대 고등학교 댜닐 때 애들 잘 안때리고 화도 잘 안 내시지만 또한 보수적이시고 엄한 면이 있으신 전형적인 FM 교사 선생님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박식하고 교양이 풍부하신 분 같네요.

    • @user-pp4ft9du2m
      @user-pp4ft9du2m Год назад +9

      내 유전자는 fm이다 유전률은 [F/m]

    • @ouya6967
      @ouya6967 Год назад +1

      잘 안때리고 ㅋ

    • @user-ey2sf7fq9h
      @user-ey2sf7fq9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01년도 초 07년도 중 10년도 고 초중고 귀때기를 안맞은적이 없음... 아주평범한 학생이였음...

  • @user-yx7xf2zp6c
    @user-yx7xf2zp6c Год назад +1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ft9cw9xy8y
    @user-ft9cw9xy8y Год назад +1

    설명 참 잘하십니다 좀경스럽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zu2fe3ij5c
    @user-zu2fe3ij5c 2 года назад +1

    선생님 강의 오늘 처음 접했는데 내친김에 다섯 번째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aptkmj
    @aptkmj 3 года назад +1

    전압과 전류에 대하여 잘 보았습니다.

  • @user-cd3rn9ys2b
    @user-cd3rn9ys2b 3 года назад +77

    6:12 명대사

    • @user-vr3vc8xx8b
      @user-vr3vc8xx8b 3 года назад +8

      이거했다가 살아 돌아오면 똑똑해진다는 속설이 있던데 원장님도 그런 유형일까 궁금하네요

    •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 3 года назад +1

      저도 궁금해서.. 지식0 상태로
      차단기 교체 하다가 뻥!! 하고
      눈앞에서 터지는거 본 이후 전기가 너무 무서움

    • @Ardllan
      @Ardllan 2 года назад +1

      @@user-vg9he5jo5s 그러다 잘못하면 죽습니다.

    • @user-lw5oh6dj8i
      @user-lw5oh6dj8i 2 года назад +1

      아 저도 1997년도쯤에 (당시 5세의) 110v콘센트에 젓가락으로 쑤셨다가 감전되서 죽을 뻔 한 경험이 있었는데 다행히 엄마가 발로 밀쳐서 겨우 살았죠 병원에 실려갔는데 조금만 늦었다면 죽었을거라 했습니다 진짜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근육에 힘을 못쓴다’라는 표현이 정확합니다 ‘제 힘으로는 절대 벗어나지 못한다’라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 @user-sk4ny9wy9t
    @user-sk4ny9wy9t Год назад +1

    단어 선택이나 표현하시는게 되게 고급지시네요 ㅎ

  • @user-lg9ry9ku4e
    @user-lg9ry9ku4e 3 года назад +3

    전병칠 ~ 원장님 전기에 강의 정말 무엇 보다 최고 의 기술 재미 있네요

  • @user-ru6th7xu7y
    @user-ru6th7xu7y Год назад +1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c9ul6tn1m
    @user-hc9ul6tn1m 3 года назад

    유 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

  •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 3 года назад +11

    잘생겨서 유투브 구독자가 많은줄 알았는데..
    잘알고 쉽게 풀이 해줘서 많은거였슴..ㄷㄷ;

  • @TheGnakful
    @TheGnakful 3 года назад +3

    흥미로롭고 유익한 주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KRLEE-dj5cc
    @KRLEE-dj5cc 3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항상 잘 배우고 있습니다.

    • @user-gk8np5ro7h
      @user-gk8np5ro7h 2 месяца назад

      😅😅😅😅😅😅😅😅😅😅😅😅😅😅😅😅😅😅😅😅😅😅😅😅😅😅😅😅😅😅😅😅😅😅🎉

  • @user-jm4yx8iw2u
    @user-jm4yx8iw2u 3 года назад +3

    이해하기 쉽게 논리정연하게 설명감사합니다. 차후 인덕션 하이라이트 등 원리 쉬어가는 시간으로 설명 부탁드려요.^^

  • @happytoday5426
    @happytoday5426 3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오늘만 2시간째 공부중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rl8zc3cx2l
    @user-rl8zc3cx2l 3 года назад +1

    설명이 참 깔끔하네요. 짝짝

  • @hand18
    @hand18 3 года назад +1

    언제나 감사합니다~

  • @user-cc2uu6bs8e
    @user-cc2uu6bs8e День назад

    논리적인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dreamy-star
    @dreamy-star 3 года назад +1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ㅎㅎ

  • @bonsaistory-jg7fv
    @bonsaistory-jg7f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많이 배우고 감니다
    감사합니다

  • @parkjeanghun
    @parkjeanghu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강의가 귀에 쏙 들어 오는 게 재미를 배가 시켜주네요
    아무튼 감사합니다

  • @ssik0082
    @ssik0082 3 года назад +3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user-dj4rd3vv4y
    @user-dj4rd3vv4y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익한 강의 고맙게 잘들었습니다 ㅎ
    감사합니다 ㅎ
    선생님 궁금한게 있는데 여건되시면 답장 부탁 드릴께요 ㅎ
    전기를 많이 쓰는데 단상이거든요 현제 7키로 들어와 있는데요 20키로로 증설을 해야하는데 단상에서 20 키로 증설 할수 있나요?

  • @techsinc
    @techsinc 3 года назад +5

    V=IR. 젖지않은 상태의 사람의 몸의 저항 ~ 100KOhm. 즉, 어느 하나가 위험한 것이 아니고 V=IR에 의해서 결정되는 전류가 30mA 정도 되면 위험하다고 해야겠지. 전압도 0.03A*100,000Ohms = 3000V 정도면 젖지않은 몸이 치명적으로 감전 가능. 젖은 상태에서는 저항이 1KOhm 정도, 즉 30V도 위험.

  • @im_Ctype
    @im_Ctype Год назад

    오 평소에 궁금했는데 잘 이해하고 갑니다

  • @hyunson8694
    @hyunson8694 4 месяца назад

    알기 쉽게 강의 감사 합니다

  • @user-zo1fu7ww4h
    @user-zo1fu7ww4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기 지식이 전무한 사람으로서 너무 유익한 방송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rm3di2sl3x
    @user-rm3di2sl3x 2 года назад +1

    너무 재밌게 보고갑니다!

    • @elec7
      @elec7  2 года назад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h4ou2wh9p
    @user-hh4ou2wh9p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재미 있게 설명

  • @emaban
    @emaban 2 года назад +1

    오... 제목보고 고민했는데.... 고민이 아주 명확하게 해결됐네요....ㅎㅎ

  • @mathnfish
    @mathnfish 3 года назад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sungminamohe
    @sungminamohe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강의 신청해서 들어야겠어요ㅋㅋ

  • @JSkim-ot6xj
    @JSkim-ot6xj Год назад

    멀리 미국에서 동영상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쉽게 이해 하도록 설명을 잘 하는데 말이 좀 빨라서 돌려 보고 있습니다.
    감사 합니다.

  • @user-kc3dn7pz8c
    @user-kc3dn7pz8c 3 года назад +2

    이런 질문/내용 참 좋다... 자주 올려주세요,,,전기와 생활

  • @gohomefire
    @gohomefire 3 года назад

    호기심 해결 감사합니다 :)

  • @user-hw2yc2mc7k
    @user-hw2yc2mc7k 2 года назад

    수고하셨습니다 😊 😊

    • @elec7
      @elec7  2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

  • @user-si4ff1ez1o
    @user-si4ff1ez1o 3 года назад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전기의 모든걸부탁드릴께요~

  • @wkdrhsl
    @wkdrhsl Год назад +1

    1년전 영상임에도불구하고 .. 초보인저도 이해가 쉽습니다.
    덕분에 구ㅡ좋ㅡ알 = 3상 박고갑니다!!

  • @HowAreYouMyFriend
    @HowAreYouMyFriend 3 года назад

    와... 설명 정말 잘하신다...

  • @Jesuslovee709
    @Jesuslovee709 3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강의 감사해요

  • @user-bz7lj5hp2x
    @user-bz7lj5hp2x 3 года назад +42

    때에따라 다릅니다.
    흔히 말하는 감전당해서 죽었다고 하는경우에는 높은 전압이 몸에 인가되어 몸을 통해 전류가 흘러 죽는 경우입니다.
    옴의법칙으로 (i=v/r) 전압이 높거나 몸의 저항이 낮을때 그 전압으로 인한 전류로 사망하게 되는것이죠. 그렇다고 무조건 전압이 높다고 죽는것도 아닙니다. 더 말하자면 길어지지만, 우리가 건전지 양단을 손으로 만졌을때 아무런 느낌도 나지 않는데, 이것은 피부의 저항이 높아서 전류가 적게 흐르기때문에 아무 영향이 없는것처럼 느껴지는거죠 실제로 미세한 전류는 흐릅니다. 그리고 이게 혓바닥에 건전지를 댔을때 살짝 찌릿하는 느낌이 나는것은 수분과 얇은 점막으로 인해 낮아진 저항으로 이루어진 혀를 통해 조금 더 높은 전류가 흘러서 따가운겁니다.
    그렇다고 전류가 위험하지 않다는건 아닙니다. 전류는 직접적으로 흐르고 있는 상태의 경우, I^2*R = P로 인해 높은 전류에 제곱한 값만큼 에너지가 발생합니다, 용접기의 경우도 전압은 수십볼트, 또는 수 볼트로 아주 낮지만 전류를 높여서 접촉 면적에 발생되는 면 저항의 발열을 통해 금속판을 용접시킬 만큼의 에너지를 발생시켜서 용접을 하는겁니다. 아래 다른 댓글들 보면 배터리에 스패너가 닿았더니 녹아내렸다던가 하는것처럼 그 접촉부에 순간적으로 많은 열이 발생하여서 그 열로 인해 녹아내린것이지, 저항치가 높은 손이 닿게 되면 아무런 일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말이 길어지고 횡설수설하게 되었지만, 간단하게 말하자면, 전압이 높을땐 전류가 마찬가지로 높아지기 때문에 위험한 것으로 상호 영향을 끼치는 것이지 정확히 전압이 위험하다, 전류가 위험하다, 라는 것은 전제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sg4dq6qo3l
      @user-sg4dq6qo3l 3 года назад

      제대로 된 설명. 케바케라고 할수있음.

    • @om_WHAT
      @om_WHAT 3 года назад +2

      맞습니다. 좀 더 첨언하자면 인체는 저항체(대략 100K~혹은 그 이하)라서 인체에 전류가 흐르면 주울열이 발생을 합니다. 그 주울열로 인체의 세포가 파괴됩니다.
      (익거나 타거나~끔찍하죠? 제가 예전에 살갖에 국부적으로 감전이 되어서 살이 익은적이 있었습니다.ㅠㅠ 흉터가 아직도~ ㅠㅠ)
      혹 그 전류의 흐름이 심장을 통과하게 되면 심장이 익거나 타게됩니다. 그래서 감전된 사람들이 살아남는 경우를 보면 대부분 피부로 전류가 흘러서 피부에 화상(익어서)만
      입는 경우는 생존하는 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재수없게 심장 관통하거나 머리를 관통하면 살아남기 어렵습니다.
      220V는 아주 위험하고 110V는 220V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습니다. 220V에서 감전되어서 죽은 사람도 봤습니다.
      그게 심장과 머리쪽으로 전류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220V도 아주 위험합니다..
      전기 가지고 장난치면 절대 안됩니다. 함부러 전기설비를 조작하거나 움직이면 더욱이 안됩니다. 조심합시다!!

    • @kansaewoo
      @kansaewoo 3 года назад +1

      제 질문에도 답해주실 수 있을까요?
      흔히 전기를 물에 많이 비유하잖아요. 예를들어, 100미터 높이에서 폭포가 떨어지고 그 밑에 사람이 물을 맞고 있다면.. 많이 아프겠죠? 근데 만약 100미터 높이에서 물 한 방울이 떨어지면 안아플거같아요(아프더라도 그 부분만 빨개지고 말거라서 생명엔 지장이 없겠죠). 이 경우가 정전기, 또는 캐패시터에서 나오는 전기랑 비슷할거 같은데요. 이 경우 아프다/안아프다를 결정하는게 전압이나 전류일까요 아니면 전기가 흐른 시간(양과 관계)일까요?
      정전기의 전압이 매우 높은데 이동하는 실제 전하는 양이 매우 적잖아요. 이게 전류의 작을으로 표현되는지, 전류가 흐르는 시간의 짧음으로 표현되는지 궁금합니다.

    • @om_WHAT
      @om_WHAT 3 года назад +4

      @@kansaewoo
      전류가 지속적으로 얼마 이상 흘러야만 신체에 세포에 영향을 줍니다.대략 20~30mA이상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면 사람에게 타격이 있습니다.
      사람에게 타격이 있다는 내용은 위 댓글에 있습니다.
      그런데 일상에서 만나는 정전기로서는 대부분 아주 짧은 순간이지만 큰 전류가(수A) 흐를 수 있습니다.
      당연히 옴의 법칙 I = V / R에 의해 전압이 높거나 저항이 낮으면 전류는 많이 흐릅니다.
      그런데 정전기는 전압은 높지만 갖고 있는 전기량(C)이 적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흐를 수 있으나 대부분 지속이 되지 않습니다.
      만약 이 전류가 지속이 된다면 매우 위험합니다.
      일상에서 만나는 정전기는 극히 짧은 순간에 몸을 통해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몸에 그다지 큰 타격을 주지 않습니다. 그냥 깜놀하는 수준..
      예를 들어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의 정전기가 땅과 만나면 벼락으로 정전기가 땅으로 큰 전류가 흐릅니다.
      그래서 벼락 맞거나 나무에 벼락이 떨어지면 나무가 순식간에 타거나 합니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로서는 그냥 따끔하는 정도의 느낌만 가집니다.(큰 전류가 흐른다고 해도 시간이 워낙 짧아서 수us단위)
      그렇지만 큰 정전기를 만나면 아주 위험할 수 있습니다. 벼락같은 정전기현상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 겨울이 돌아오니까 정전기가 많이 일어나겠네요? 조심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 @user-pq8ep7hd6e
      @user-pq8ep7hd6e 3 года назад

      제목 그냥 어그로 끌려고 지은거겠죠 뭐

  • @myhong2040
    @myhong2040 7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잘 배웠습니다~

  • @jamesdesignschool7981
    @jamesdesignschool7981 3 года назад +3

    평생의 궁금증을 여기서 풀고 갑니다!!

  • @user-pp1bc2vz4s
    @user-pp1bc2vz4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dn3rw9xt7m
    @user-dn3rw9xt7m 2 года назад

    와 재밌어요 ㅋㅋ 감사합니다!

    • @elec7
      @elec7  2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

  • @user-ew2gu3hh5f
    @user-ew2gu3hh5f 3 месяца назад

    명강의 잘들었습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220V 한선을 잡고
    고무로 된 운동화 신고
    시멘트 바닥을 밟으면
    감전이 되나요?
    또 그 상태에서 맨발로
    땅을 밟으면 감전되나요?

  • @starbucks1971
    @starbucks1971 3 года назад +2

    잘봤습니다. 김경민씨

  • @user-ju2iw7zo9t
    @user-ju2iw7zo9t 3 года назад +1

    항상 많은 시간 들여서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us9yk5yr8q
    @user-us9yk5yr8q 3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 @user-lu8vt5dm5c
    @user-lu8vt5dm5c Год назад

    유년기 시절 행적을 보아하니 타고난 전기능력자셨네요 ㅋㅋ

  • @user-vk2fe1sx8j
    @user-vk2fe1sx8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설명을 쉽게 하니 좋아요 ᆢ 전기가 누전이 되면 누전 차단기가 내려가면서 전기가 차단 되는데 만약 선풍기를 콘센트에 연결 했을때 누전 차단기가 내려가면 누전이 된건가요 아니면 합선이 된 건가요 누전과 합선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 @ID_Kira
      @ID_Kir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나라 차단기는 단락(합선, 쇼트)와 누전을 둘다 감지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차단기의 원리는 인풋과 아웃풋의 전류량이 다르면 떨어지는거고..
      확인하는 방법은
      차단기에 물려있는 해당 부하를 다 빼낸 후,
      차단기를 올려서 배선 자체에 누전이 없는지 확인 한 다음
      부하를 하나씩 물리면서 해당 부하에 쇼트나 누전이 없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합선은 대체로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나,
      합선을 테스트한다기보단 누전테스트기로 누전을 테스트해서 쇼트냐 누전이냐를 판단합니다
      합선은 만나지 말아야 할 두 선이 만나서 쇼트가 난 상태고(원인이 합선, 결과가 쇼트, 단락)
      누전은 애초에 가지 말아야 할 루트로 전류가 나가는 현상입니다

  • @jjjjjjjjjjjj0812
    @jjjjjjjjjjjj081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뭐야 공부하고 싶다 너무 재밌다!!!!!

  • @nahyongjin
    @nahyongjin 3 года назад

    제가 찾던 채널이네요!

  • @user-rx9yv5hk6j
    @user-rx9yv5hk6j 3 года назад +9

    전기기능사 필기를 앞두고 있는 학생입니다. 중요한 정보 감사합니다!

    • @user-bb1kf7ok2s
      @user-bb1kf7ok2s 3 года назад +2

      취득하셧나요

    • @user-mv9sf6fl7y
      @user-mv9sf6fl7y 3 года назад +1

      준비하시는군요 절대 어디가서 전압이 위험하냐 전류가위험하냐 이런질문하심 안됩니다

    • @user-rx9yv5hk6j
      @user-rx9yv5hk6j 3 года назад +1

      @@user-mv9sf6fl7y 넵!

    • @user-rx9yv5hk6j
      @user-rx9yv5hk6j 3 года назад +1

      @@user-bb1kf7ok2s 취득 했습니다~~

  • @user-kv4ps4yi9n
    @user-kv4ps4yi9n 3 года назад

    박사님 질문 있습니다
    비가 계속해서 내리는 날에 피복이 안된 고압선 밑에서 전선을 맡고 흘러 내리는 빗물에 신체가 닿이면 감전이 되나요?

    • @user-pf2bw4kp1p
      @user-pf2bw4kp1p 2 года назад

      방울로 떨어지는 빗물에는 감전 안됩니다.

  • @GongNer
    @GongNer 3 года назад

    아니 왜 예전에 본것 같을까요 ㅎㅎ 아는것도 한번 더 숙지 되는 느낌입니다.ㅎㅎ

  • @thanksgod1910
    @thanksgod1910 3 года назад

    매우 흥미롭고 유용한 정보인데요 한가지 더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큰 전류가 흐를때, 한쪽은 초고압의 경우이고 한쪽은 저압의 경우이고 직접적으로 충전부에 닿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저압의 경우는 공기에 의해서 절연이 되기때문에 전류가 아무리 커도 사람에게 흐르지 않지만 초고압의 경우는 절연을 파괴하고 아크가 발생하고 사람에게까지 전류까지 흐를수 있기때문에 이럴경우에는 전압이 큰 위험요소라고 봐야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220v에서는 손을뗄수 없을정도라고 설명하셨는데 220v에서는 110v에서보다 더 적은양의 전류가 흐를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덜 위험해야 되지 않을까요?? 여전히 궁금증이 남네요..

    • @sarang4014
      @sarang4014 3 года назад

      당연히 초고압에서는 전압이 훨씬위험합니다.
      그런데 그런 초고압을사용하는이유가 바로 2차측에서 큰 전류를사용하기위함이고요.
      일반적으로 활선상태의 초고압을상태에서 안전장치없이 사람이 노출되는경우는 없다고 보니까 가정을 하는것이죠.
      이렇게 따지면 154라인에 전류가 1암페어만 흘러도 220쪽에는 700A가 흐릅니다.
      다타겠죠. 가정을하고 분석해보는것이죠~

    • @sarang4014
      @sarang4014 3 года назад

      220과 110의차이에서 간단하게 전류는 전압나누기 저항 일때
      인체저항을 3000으로 본다면
      220/3000 = 0.073A
      110/3000= 0.037A
      옴의법칙에서만 봐도 인체로는 두배의 전류가 흐르게되지요
      같은 전력을 소비할때 220v의기기에는 110v일때보다 절반의 전류가흐르게되는데
      인체는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개념으로 보시면 안됩니다. 그냥 저항중의 하나라고 보셔야 됩니다.

  • @user-nx4zb6ut1b
    @user-nx4zb6ut1b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강의 감사합니다 / (전봇대에서 집으로 오는 전선 2가닥에 + 통신선 = 분전함에 220V 전선이 차단기에 연결되면 220V 정상 전압이 되고, 차단기에서 한전 전원선을 떼면 22V이하 혹은 0볼프(V) 무통전 상태로 만들 수 있는다면 전기 사용에 더 안전할 것같습니다. . 더큰 곳에 적용도 하여 산업재해중 전기사고예방에 큰 보탬이 될 것같다는 생각 해봅니다 = 비용과 기술개발 = 신도시 적용)

  • @user-wx7ep3bi8e
    @user-wx7ep3bi8e Год назад

    결론은 전압 이군요
    감사합니다.

  • @disco9328
    @disco9328 3 года назад +1

    저같은 초보자들에게 아주이해가 쉽게 설명이 됩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 @gugudan007
    @gugudan007 3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user-qm9gt2pg1l
    @user-qm9gt2pg1l 3 года назад +12

    달찌엘과 쾌펜의 주장이 서로 다르지요?
    어느 것이 더 위험한가? 대전압에 감전되면 팔뚝이 잘리거나 하지요.(제가 근무하던 회사에서 229에서 작업중 실제로 일어난 사건입니다.)
    그러나 12V 자동차배터리 양극을 손으로 잡고있어도 아무런 감각이 없습니다.(직접 실험해보임)
    전압과 전류의 위험도 박사님께서 참 쉽게 설명을 하셨는데...
    인체감전사고는 좀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할 듯 합니다.
    다시말해 사람의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서 위험도가 다르다는 이야기 지요.
    30mA가 안전전류량이라 하지만...사람에게 30mA의 전류가 흐르려면 인체저항이 3000옴이라면 90V이상의 전압이 되어야만합니다.
    참고로
    안전전압은 25V(몸이 흠뻑 물에 젖어있을때)건조한장소에서는 50V 이내가 안전전압이고
    심실세동전류는 0.1mA 인데 우리나라는 누전차단기를 그냥 3배 안전하게 정하자고 해서 위원회에서 인체보호용 누전차단기를 30mA이렇게 정해놓은거지요. 이것도 못마땅해 어느 위원장이 뻑뻑우겨서 고감도가 탄생을 했습니다.
    일본은 0.1mA 였고 차단속도 역시 0.1sec였는데 우리나라는 3배 강하게 하자고 뻑뻑 우겨서 0.03sec로 하고있습니다.
    제가 프라스틱 사각통에 수돗물을 붓고 220V 전원선을 담그고 그물에 제 손을 직접 넣은 적이 있습니다.(직접 실험해보임)
    감전 느낌도 없습니다. (실험 영상이 아마 제계정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유는? 수돗물의 저항과 제 몸의 저항 그리고 대지와의 절연(가죽신발) 때문이지요.
    다른 것은 몰라도 인체 감전위험을 말씀하실 때는 전압 전류 저항 이 3가지를 모두 고려해야만 합니다.
    단순하게 전류가 위험하다. 전압이 위험 하다 이렇게 말하기는 좀...
    오래전에 서울과학대 안전공학 교수 정모, 김모 두분 역시 단편적으로 생각하다가 망신 아닌 망신을 당하신 적이 있습니다.

    • @user-ru4tk8up8k
      @user-ru4tk8up8k 3 года назад

      이분이 제대로네요
      이론강의는 좋지만
      이번편은 듣기좀 그랬어요

    • @user-zx5uo1pu9o
      @user-zx5uo1pu9o 3 года назад

      아 그래서 핸드폰 충전기가 5v 2A이지만 감전이 안되는거군요. 너무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minjae92
      @minjae92 3 года назад

      @@user-zx5uo1pu9o 충전기 전류는 2A지만 사람 몸의 저항으로 인해 동일한 전압이 흐른다 치면 인체에 흐르는 전류는 엄청 미미하죠.
      그에비해 콘센트 전압은 인체에 유해할정도로 커서...

    • @kansaewoo
      @kansaewoo 3 года назад

      제 질문에도 답해주실 수 있을까요?
      흔히 전기를 물에 많이 비유하잖아요. 예를들어, 100미터 높이에서 폭포가 떨어지고 그 밑에 사람이 물을 맞고 있다면.. 많이 아프겠죠? 근데 만약 100미터 높이에서 물 한 방울이 떨어지면 안아플거같아요(아프더라도 그 부분만 빨개지고 말거라서 생명엔 지장이 없겠죠). 이 경우가 정전기, 또는 캐패시터에서 나오는 전기랑 비슷할거 같은데요. 이 경우 아프다/안아프다를 결정하는게 전압이나 전류일까요 아니면 전기가 흐른 시간(양과 관계)일까요?
      정전기의 전압이 매우 높은데 이동하는 실제 전하는 양이 매우 적잖아요. 이게 전류의 작을으로 표현되는지, 전류가 흐르는 시간의 짧음으로 표현되는지 궁금합니다.

    • @mincheollee8372
      @mincheollee8372 3 года назад +1

      @@kansaewoo '전력량 = 전압 x 전류 x 시간' 입니다
      정전기의 경우 전압이 1만V를 넘고 전류도 수십A에 달할 정도로 엄청납니다
      하지만 정전기가 흐르는 시간은 고작 0.000002 초입니다
      이처럼 아주 짧은 시간 동안 흐르기 때문에 우리 몸에 정전기가 따끔 할 뿐입니다
      위의 공식에 각각 대입해보면 전력량은 사실상 작습니다
      반면 어떤 냉장고에 큰 누전이 생겨서 흐르는 전기가 전압이 220V 전류가 0.5A라고 칩시다
      인체에 220V에서 0.5 A 전기가 흐를 경우 신경이 차단되어 우리 몸은 절대로 움질일 수 없게 됩니다
      그럼 그 움직이지 못하는 시간은 1초...2초... 계속해서 늘어날 것이고 결국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것이죠
      이것을 위의 공식에 대입해보면 1초로 계산해도 전력량이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user-rf6eq3gc4z
    @user-rf6eq3gc4z 2 года назад

    존잘~!

  • @_SH
    @_SH 3 года назад +1

    생각지도 못했는데 제목 보자마자 궁금해져서 들어왔어요 ㅎㅎ

  • @user-ghj3d8dgh
    @user-ghj3d8dgh 2 года назад +8

    감전만 따지는 경우 인체는 대략 1kΩ 정도 저항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전압이 대략 30V 이하에서는 아무리 높은 전류원을 가하더라도 불수전류(30mA)가 흐르기 어려워 감전되지 않습니다.

    • @minserpark8407
      @minserpark8407 2 года назад +2

      그럼 자동차 시동걸 때 한손엔 배터리 전선하나 다른 한손엔 시동장치쪽 전선을 잡고 시동걸어도 전혀 위험하지 않겠네요?전선으로 연결시에 배터리 12v, 전류500a나오겠지만, 몸으로 연결시는 저항이 커서 그만한 전류가 안나올테고

    • @user-ghj3d8dgh
      @user-ghj3d8dgh 2 года назад +2

      @@minserpark8407 네 맞아요.

  • @sgtno3226
    @sgtno3226 2 года назад

    따봉!

  • @lukelee6078
    @lukelee6078 3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 @user-io6oy2cf1w
    @user-io6oy2cf1w 2 года назад

    궁금한게 어떻게 전류랑 전압이랑 따로 볼 수 가 있는 건가요?? 세상모든 물체는 다 저항이 있고, 그에 따라 V=IR 라고 배웠는데 어떻게 전압만 따로 쎄게 주고 전압은 괴장히 낮게 전류만 굉장히 높게 올릴 수 있는 건가요??
    예를 들면 한 도선에 300V에 1ohm 인 회로가 있다고 했을 때 전류는 300A 입니다. 근데 이걸 사람한테 쐈다고 한다면, 사람 몸의 저항이 만약 100ohm이라고 하면 전류는 300A가 모두 흐르는건 아니지 않아요? 오히려 3A에 가깝게 흘러야 하는거 아닌가요?

  • @jmbjmk
    @jmbjmk 3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 감사합니다

  • @user-wk8qy9el4p
    @user-wk8qy9el4p 3 года назад

    석유화학회사에 오랫동안 근무하고. 있는데....전기는 잘. 몰라서. 구독 했는데. 이해하기. 편해서. 넘. 감사합니다

  • @user-kt6pz6pu2f
    @user-kt6pz6pu2f 3 года назад +8

    전병칠 선생님도 유튜버 다 되셨군요 썸네일보고 들어왔습니다

  • @Bangxx
    @Bangxx 3 года назад

    이런거 넘 재밌어요

  • @user-mt1zh2py6q
    @user-mt1zh2py6q 3 года назад

    글씨 잘쓰시네요

  • @kgt34487201
    @kgt34487201 Год назад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