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튜버님. 논문에선 물, 아세톤, 메탄올 등 여러 용매속에 있는 형광물질 데이터들이 많던데요. 이것들을 데이터셋으로 이용해서 딥러닝으로 DMSO 내의 형광물질의 흡광 계수 예측할 수 있나요? 실험데이터 값은 다양한 용매로 쓴 형광물질인데 예측은 DMSO내의 형광물질들로 대부분 예측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요즘 진단시약 이런게 많다보니깐 단백질 타겟에 직접 결합하는 실험에선 화합물을 DMSO 에 주로 녹여서 실험하다 보니깐 그렇습니다. 똑같은 형광물질이라도 서로다른 용매에따라 흡광도 변화 공식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실험데이터는 비록 아세톤에서 했지만, 딥러닝에 의한 예측은 DMSO 용매에 똑같은 그물질의 형광값을 예측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부분은 수업에서 다루었던 데이터의 출처인 아래 논문에서 도움을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olvent와 solute를 모두 고려하여 분광학적 특성을 예측한 논문입니다. pubs.acs.org/doi/abs/10.1021/jacsau.1c00035
안녕하세요 유튜버님. 논문에선 물, 아세톤, 메탄올 등 여러 용매속에 있는 형광물질 데이터들이 많던데요. 이것들을 데이터셋으로 이용해서 딥러닝으로 DMSO 내의 형광물질의 흡광 계수 예측할 수 있나요? 실험데이터 값은 다양한 용매로 쓴 형광물질인데 예측은 DMSO내의 형광물질들로 대부분 예측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요즘 진단시약 이런게 많다보니깐 단백질 타겟에 직접 결합하는 실험에선 화합물을 DMSO 에 주로 녹여서 실험하다 보니깐 그렇습니다. 똑같은 형광물질이라도 서로다른 용매에따라 흡광도 변화 공식이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실험데이터는 비록 아세톤에서 했지만, 딥러닝에 의한 예측은 DMSO 용매에 똑같은 그물질의 형광값을 예측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부분은 수업에서 다루었던 데이터의 출처인 아래 논문에서 도움을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olvent와 solute를 모두 고려하여 분광학적 특성을 예측한 논문입니다.
pubs.acs.org/doi/abs/10.1021/jacsau.1c0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