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S 띵작 몰아보기] 이중표교수-부처님의 진리를 배우는 것 "불교의 출발점으로 돌아가라" (10강-최종)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BBS 띵작 몰아보기]이중표교수-어떻게 진리를 알 수 있을까? 진리에 접근하는 방법 (10강-최종) #진리를찾아서 #바른견해
    ▶초기불교와 니까야를 통해 부처님의 사상과 철학을 살펴보는 시간 이중표 교수의 '붓다의 철학'입니다. 이중표 교수는 불교는 진리에 접근함으로써 합리적이고 철학적인 생각을 정리하는 종교라고 말합니다.
    10강 : 부처님은 진리를 어떻게 가르치셨나 부처님께서는 스스로 깨달으신 진리에 대해 어떤 방법을 통해 가르치셨는지를 알아봅니다. 진리를 인식하는 방법과 이를 제자들에게 가르치신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11강 : 마음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12강 : 불교의 출발점으로 돌아가라
    현재의 불교가 너무나 많은 사공을 가진 종교로 변했다고 진단합니다. 선 수행에서 주력수행에 이르기까지 많은 수행법과 많은 관점으로 인해 불교가 무엇인지도 모른채 공부하고 수행하는 모습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고 지적합니다. 그래서 불교의 출발점에서 불교를 다시 살펴보는 불교공부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불교의 출발점은 바로 사성제와 팔정도, 그리고 12연기의 통찰, 중도적 관점에서 불교적 진리를 바라보려는 자세가 필수적이라고 말합니다. 이중표 교수의 붓다의 철학 12강 불교의 출발점에서 바라보는 중도와 12연기에 대해 살펴봅니다.
    ------------------------------------------------------------------
    ▶BBS불교방송 Buddhist Broadcasting System
    1990년 5월 1일 지상파라디오방송 개국/ 2008년 불교전문 BBSTV 개국
    [불교계 유일, 비영리재단이 운영하는 공익방송 BBS불교방송입니다!]
    만공회 후원(보시)와 방송광고수입을 방송포교불사로 환원하는
    불교계 유일의 비영리재단 ‘공익방송'
    ▶불교방송 유튜브 구독하기 : bit.ly/3gYjXnI
    ▶불교방송 후원 '만공회' 가입하기
    m.bbsi.co.kr/M/...
    ▶한국불교의 미래를 만드는 방송포교후원 동참 발원
    1855-3000 (가입문의 / BBS 후원상담실)
    ▶ BBS 불교방송을 만나는 더 다양한 방법!
    앱 다운로드 : 구글 플레이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
    홈페이지: www.bbsi.co.kr/
    페이스북: bitly.kr/Xh2Wyu
    트위터: / @bbs_tvnradio
    유튜브 연계채널: 불교방송NEWS, 보이는라디오, BBS플러스, 닥잠

Комментарии • 57

  • @김승호-u8s
    @김승호-u8s Год назад +7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찬탄합니다 ()

  • @Simone_jw
    @Simone_jw 2 года назад +7

    54:30 너무 중요한 내용. 이중표 교수님 감사합니다. 건강하십시오.

  • @잼나-i9j
    @잼나-i9j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귀한 법문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leeyeonok
    @leeyeonok 2 года назад +8

    이중표교수님의 부처님의 진리,
    연기의 깨달음 가르침 길,,,
    우리 스스로 실천과 정진,
    부처님의 말씀 잘들었습니다,
    감사함니다, 고맙습니다,

  • @비내리는날-n9g
    @비내리는날-n9g Год назад +4

    부처님 가르침을 교수님의 동영상

  • @김정근-h1e
    @김정근-h1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불교가 멀리있는 것이 아니네요. 깨달음의 진정한 의미를 알게 되었습니다.

  • @윤말숙-c5y
    @윤말숙-c5y Год назад +8

    오늘도 교수님 강의을 경청하고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강라리횬
    @강라리횬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임선희-g6e
    @임선희-g6e 2 года назад +11

    다른누구에게의지하지않고나자신에의지하여살아가라 ᆢ외롭고힘들어도그게곧법이라는부처님말씀ᆢ날마다교수님법문들으며내삶이되게끔실천해가려고합니다

  • @박명대-l4l
    @박명대-l4l 2 года назад +14

    부처님의 가르침을 먼저 제대로 알아야 깨침이 시작된다. 감사합니다.

  • @이미하-l5p
    @이미하-l5p Год назад +4

    존경합니다

  • @밴후건-h8e
    @밴후건-h8e 2 года назад +5

    어떤 법사님이 연기론 대해 이견이 있는거 같아서,교수님이 하시는 강의를 언급했습니다.

  • @김상찬-t3g
    @김상찬-t3g 2 года назад +12

    이중표교수님 부처님 법문 잘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덕분입니다

  • @임기택-x2y
    @임기택-x2y Год назад +8

    참다운 부처님의 가르침을 자상하게 전해주시는 교수님께
    합장 공경합니다.

  • @원주김-y9v
    @원주김-y9v 2 года назад +5

    감사 또 감사

  • @유영호-w3f
    @유영호-w3f Год назад +2

    ❤❤❤

  • @yunhendricks860
    @yunhendricks860 2 года назад +10

    헉! 네 이해가 됩니다! 불교 를 이해하게 하시는 최고의 학자 이십니다.

  • @득도자경주최00
    @득도자경주최00 Год назад +5

    참 좋아요 ~^^

  • @처누남
    @처누남 Год назад +6

    너무 재미고 이해가 잘대서 최고요 👍

  • @이승철-l6k
    @이승철-l6k 2 года назад +12

    교수님 항상 건강하십시요

  • @보리보미-e9n
    @보리보미-e9n 2 года назад +8

    감사합니다 😄 🙏

  • @크리미-v5c
    @크리미-v5c 2 года назад +9

    정확히 전수해 주시는데서 많이 배웁니다!

  • @권경애-p5y
    @권경애-p5y 2 года назад +5

    좋은 인연에 감사합니다 🙏

  • @돌부처-n5f
    @돌부처-n5f 2 года назад +4

    어렵네요 체험이 필요할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 @황규련-d5u
    @황규련-d5u 2 года назад +3

    이욕악불선법 ....이라고 하셨는데, 악 자는 미워할 오 자로 발음하기도 합니다. 악 이라고 발음할 때에는 "나쁘다"라는 형용사적 의미로만 쓰이고, 동사로 쓰일 때는 미워하다_"오"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욕심을 여의고 불선을 미워하여야 한다 라는 의미의 맥락에서는 "악"이 아니라 "오"라고 발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이영희-n2s3s
      @이영희-n2s3s 2 года назад

    • @자연스럽게-p8o
      @자연스럽게-p8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악(법)과 불선법에 대한 욕망을 멀리하라'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러운데요.

  • @kimdokju
    @kimdokju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감사합니다 교수님

  • @자연스럽게-p8o
    @자연스럽게-p8o 2 года назад +8

    맞습니다. 자귀의 법귀의 (8정도수행)
    그런데 대승불교에서는 이뭐꼬 염불 다라니 사경 108배 오체투지 등 .... 잘못된 수행을 합니다.
    8정도 수행이 바른 수행입니다.

    • @이란숙-n5d
      @이란숙-n5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종범스님 범문

    • @이란숙-n5d
      @이란숙-n5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종범스님 번문

    • @자연스럽게-p8o
      @자연스럽게-p8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란숙-n5d 종범스님 법문? 무슨 말씀이신지?

  • @naruteo31
    @naruteo31 2 года назад +3

    ... 삼매를 잘못 알고 잘못 가르치는 사람들이 있네요 싯달타가 수행중에 체험한 비상 비비상을 맛 보았으도 ? 이거는 아니네? *** 다시 고요한 곳으로 옮겨 가서 스스로 연기법을 알아차림(깨침)을 이루었다고 불교경전에서 전하고 있습니다
    삼매수행을 하다 보면 ... 신기루같은 온갖 헛 것을 보게되드군요 {그것까지도 !!!} 다~내려놓아야만 .. ? 반야의 상태 ?에 머루게 됩니다 이때 어렵지 않게 5온5취온이 보이더라 입니다 이사람은 업장이 두꺼워서 죄송 .....
    어머니아버지부처님 참으로 고맙습니다 ()

  • @조영봉-f4o
    @조영봉-f4o 2 года назад +3

    중생이 그 이치 를 알수만 있다 면 아라한 으로 가는 지름길 일 겁니다

  • @iovh6506
    @iovh6506 Год назад

    내 직책은 "막내"다 .

  • @꼬르륵-t1o
    @꼬르륵-t1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부처말씀더읽고들으셔야할분이시구만
    가르침에서 깨달았다고 말씀하심

  • @jyseoh
    @jyseoh 2 года назад

    1:17:45

  • @Simone_jw
    @Simone_jw 2 года назад +1

    45:35 10강의 끝인가여? 영상이 짤린건가요?

  • @이두수-e7h
    @이두수-e7h Год назад +1

    불교를 알려면 삼시부터 ㅡ정법시대 상법시대 말법시대 ㅡ지금은 말법시대 입니다 ㅡ석존 구원실성부처 ㅡ외용상행 내증 자수용보신여래 구원원초 본불 ㅡ우상의 본불은 없다 ㅡ우주생명 묘호렌게교 일체중생 개성불도 시효양약 입니다 ㅡ삼세인과이법 윤회생사 ㅡ

  • @irchama
    @ircham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입보살행론 중에서 지혜바라밀 (샨띠데바 보살 지음)
    이전에 부처님이 설하신 모든 방편의 수행들은
    궁극적으로, 공성의 지혜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니
    공성을 깨닫는 지혜가 있어야
    윤회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라네.
    모든 것은 허공과 같다(=공하다)는 것을
    나처럼 완전히 깨달을지니,
    이것이야말로 윤회의 뿌리를 자를
    가장 예리한 칼이요
    깨달음에 이르는 가장 중요한 길이라네.
    이 세상에는 고통에 이르는 함정들이 많아
    해탈에 이르는 공의 길을 찾기 어렵지만,
    그러나 윤회의 세계에 있는 동안 공의 길을 찾지 못하면
    우리는 존재에 대한 집착으로 묶여 있게 된다네.
    사람들은 이렇게 살면서 자기들이
    늙거나 죽지 않을 것처럼 생각하지만
    결국 염라왕에게 잡혀 무서운 고통을 받고
    견딜 수 없는 악도의 고통 속으로 던져진다네.
    * 부처님께서 증명해주신 책입니다.

  • @연기법상담과견성
    @연기법상담과견성 Год назад +2

    견성이란 견불성을 말하고요
    달리 말하면
    참나를 찾는 것이고
    부처님께서 자신의 깨침을 전해주기 위한 방편으로 연기외 사성제 8정도를 설했을 뿐입니다
    이걸 깨달았다고 한다면 부처님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 하겠네요

  • @user-king21ck1
    @user-king21ck1 2 года назад +4

    답은 연기

  • @박고홍
    @박고홍 2 года назад +1

    한국 대승불교 재가연대 총무원장 이중표 대종사

  • @irchama
    @ircham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교수님.
    왜이리 헛다리를 잘 짚으십니까.
    불교를 하나도 모르면서 다 안다고 착각을 너무 너무 심하게 하고 계시네요.
    성불하면 생사가 없는데 어떻게 되느냐?
    제가 알려드리겠습니다.
    성불하기 전에는 육도윤회를 합니다.
    이것은 업력에 끌려 다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생사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 못합니다.
    어떻게 태어나고, 죽고나면 어떻게 되는지 알지 못합니다.
    그냥 다람쥐 챗바퀴 돌리듯 이 윤회 속에서 사는 상태입니다.
    이것이 중생입니다.
    이 육도윤회를 벗어나야 그것이 성불입니다.
    그러면 성불한 부처님께서 왜 사람으로 남아 있었고.
    입적하신 다음에는 어떻게 되느냐.
    성불하신 부처님께서는
    법신 상태로 자유로이 계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몸으로 법을 전하셔서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서 사람의 몸으로 있었던 것이죠.
    이때는 아무리 부처님이라고 해도 인간의 몸일때는 인간의 몸의 제약이 있습니다.
    그리고 법신 상태에서는 보살도를 위해서 사람으로 다시 오시는 겁니다.
    이때에는 육도윤회가 아닙니다.
    자유로이 지옥에도 가고 천상에도 가고
    필요하면 인간의 몸으로도 나오고 그러는 겁니다.
    이게 중생과 불보살님의 차이입니다.
    아직 깨닫지 못한 중생은 인간이건, 천상에 있건.
    육도윤회를 하는 것입니다.
    -----------------------------
    반야의 지혜 라고 하시는데.
    육바라밀을 제대로 모르고 계시네요.
    육바라밀은 동시에 되는 것이긴 하지만.
    일단은 순서대로 하나씩 되어야 가능한 것입니다.
    즉 인욕바라밀 아직 다 안된 상태라면 그 위의 다른 바라밀은 될 수가 없다는 것이죠.
    인욕이 완성이 되고.
    그다음 정진을 합니다.
    이 정진바라밀이 완전해지면
    그다음 선정바라밀
    그 선정이 깊고 깊어지면 그리고 나서야 반야의 지혜가 열리는데.
    이게 반야바라밀이고 보살의 경지는 되어야 나타나는 겁니다.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때 오온이 공함을 보고 모든 고통을 벗어났다.
    여기에 답이 있어요.
    보살급은 되어야 하고.
    깊은 반야바라밀다 이뤄야 하고.
    그정도 되야 오온이 공함을 보고 (공성을 깨달음)
    모든 고통을 벗어났다. (성불)
    정진과 선정이 안되었는데
    반야의 지혜가 나온다구요?
    거 말도 안되는 말좀 그만하십시요.
    '입보살행론' 읽어 보시길 추천드리며
    불교가 무언지 아시려면
    구인사의 3대 종정 스님을 한번 만나보세요.
    ---
    부처님의 설법은 부처님 또는 부처님께 인가를 받은 스님만이 하시는 겁니다.
    지금 현재 세상에 드러나 있는 분은 구인사의 3대 종정 스님 밖에 안계십니다.
    -------------------------------
    탐, 진, 치 삼독.
    탐욕 (명예욕)
    치 (깨달았다고 하는 착각, 윤회를 부정

  • @irchama
    @ircham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불교 경전에 나오는 깨달음의 과위가 그냥 나온게 아닙니다.
    수다원도 못 이뤘는데 반야의 지혜가 나오고, 성불한다구요?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죠.
    깨달음과 성불을 너무 쉽게 생각하시는 거에요.
    ---------------
    그런데 범부중생이 한생에 성불 할 수도 있어요.
    그건 부처님을 만나야 가능합니다.
    ----------------
    기초가 안되어 있으면 진도가 나가봐야 헛일입니다.
    윤회는 부처님의 가르침 문제가 아닙니다.
    그냥 지구가 둥근것 처럼. 현재 진행중인 현상인거죠.
    기독교는 지구가 평평하다고 하죠?
    그래서 그들은 외도가 되는 겁니다.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똑바로 보지 못했기 때문에.
    윤회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이 죽으면 업력에 의해서 다시 태어납니다.
    본인이 저술한 맛지마 니까야 '업력을 설한경' 에 보세요.
    이게 가장 기본입니다.
    이걸 흔들면 나머지는 모두 모래성이 되는 거에요.
    기본이 안되어 있는데.
    그다음이 있을까요?
    망상 망상 일뿐..
    그 지독한 어리석음에서 빠져 나오시길 바랍니다.
    부디 부처님 만나시고.
    성불하시길.

  • @smithhong5635
    @smithhong5635 2 года назад +2

    쓱 보면 알 수 있어야지 공부를 열심히 해야 알 수 있다면 모두가 포기하고 싶지 않을까요? 머리도 나쁜데 공부를 안해서 깨닫지 못할 정도의 진리라면 세상살기도 복잡한데 그걸 굳이 알아야 할 만큼 세상이 살기 편한 곳이 아닙니다.

    • @yunhendricks860
      @yunhendricks860 2 года назад +5

      3년후 다시본다면 다른 각도에서 이댓글을 올릴겁니다. 그리고 공부 안해도 이런 강의들을 들으면 삶과 자신이 좀더 성숙해져요. 적어도 그렇게 부정적이진 않게 될 겁니다😊

    • @임기택-x2y
      @임기택-x2y Год назад +1

      자기를 스스로 한정해서는 아니된다고 봅니다.

  • @iovh6506
    @iovh6506 Год назад

    깨닳음은 모르겠고 ,
    세상에서 원 이루지 못해서 아는데 ,
    곱게 자신부터 가꾸고 아껴라 .
    배려같은거 하면 , 호구되기 싶다 .
    이게 , 쓰레기들이 이끈 ,
    우리 세상이고 ,
    내가 배운건 , 이것들한테 없다.
    그 어디 유튭에 , 없다 .
    그건 , 자신이 느끼고 배우고 , 아픈 과정이지 ,
    날 , 시험하려 , 비틀어 재끼는것들과
    마주치기도 싫다 .
    교회 , 불교 , 서로 잘남만 따지는것들과
    논쟁도 생각나눔도 하기 싫다 .

  • @동호이-v2l
    @동호이-v2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깨달음이 뭔지도 모르면서 깨달음을 이야기하니 답답하네요.

  • @mikeyun5089
    @mikeyun5089 Год назад +1

    핵심을 잘정리하지 못하는 다시 난해한 강의입니다 교수법의 큰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