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트륨배터리는 LFP배터리처럼 이미 과거에 개발된 배터리이며 미국에서 전기차용으로는 부적격하다는 판단을 이미 오래전에 결론지었습니다. 그 이유는 나트륨배터리 역시 리튬배터리에 비해서 에너지밀도가 낮고, LFP배터리보다도 조금 더 낮은 에너지밀도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리튬배터리와 비슷한 에너지밀도를 위해서는 2배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해야하며 이것은 주행거리에도 영향을 줍니다. ESS용으론 LFP배터리처럼 적격하나, 나트륨 원소가 지닌 문제를 해소할 방법은 없습니다. 나중에 LFP배터리와 같이 시골이나, 섬지역, 또는 짧은 주행거리로도 충분한 일부 지역에서 사용될순 있으나, 중대형차, 고급세단, 또는 스포츠카등 고사양의 자동차에는 절대로 사용될수가 없습니다. 다양한 배터리가 전기차에 장착되겠지만, 궁극적으론 리튬황배터리가 개발되면 전고체배터리를 제외하고는 전부 사장될것입니다. 전세계 수많은 기업들이 리튬광산이나 리튬호수를 확보할려고 혈안이 된 이유는 대체 불가의 원소이기때문입니다. 애초부터 나트륨배터리를 연구개발해서 전기차에 장착할수있다는 결론이 나왔다면 어떤 바보가 리튬광산에 투자를 하겠습니까... 그리고 나트륨배터리가 상용화될려면 나트륨배터리에 사용될 전용 양극재, 음극재 등의 하도업체들이 셋팅되어야하는데, 과연 누가 나트륨배터리의 시장성을 보고 투자를 할것인지는 아직 어떤 기업도 없는 상태입니다. 전고체 배터리가 궁극의 배터리라고 이야기하는것은 과학자들의 공통된 견해이며, 전고체 배터리가 가격만 낮아진다면 고사양의 자동차에 장착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설령 몇억대의 전기차라고 하더라도 1000km를 주행하고, 태양광 패널과 함께 유지비가 매우 저렴하고 안전과 자율주행까지 장착되어 있다면 부자에겐 가격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않기때문입니다. 배터리를 만드는 기술은 생각외로 매우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수율때문인데, 높은 수율을 위해서는 몇십명의 전문인력이 팀으로 구성되어야만 수율을 높힐수있을만큼 진입장벽이 생각외로 높습니다. 지금은 전기차 초입단계이기때문에 LFP배터리도 사용되고 있지만, 이 역시도 시간과 함께 사용될 가능성이 낮은데, 그 이유는 미국에서 EU와 연합하면서 LFP배터리는 리사이클문제와 환경문제를 제기하면서 수입불가를 천명해버리면 LFP배터리는 대부분 중국산이기때문에 이 협약으로 중국산 전기차는 끝장을 낼수 있습니다. 지금은 초입단계이고 과도기이기때문에 어떤 문제가 발생해도 지켜보고 과정을 수렴하지만, 리튬배터리가 연구개발을 통해서 전고체배터리와 리튬황배터리로 안전과 가격을 잡아나가면 미국은 언제든지 중국을 죽이기위해서라도 LFP배터리 장착 전기차는 미국 수입을 불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LFP배터리가 안전면에서는 우수하지만 리튬황배터리나 전고체 리튬배터리가 출시되면 저렴하다는 것말고는 전혀 장점이 없는것이 LFP배터리입니다. 자동차 수입만큼 규제가 심한 제품도 드뭅니다.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기때문에 자동차는 생각외로 매우 까다로운 테스트를 합니다. 에어백, 유리창, 도색, 매연을 비롯해서 생각외로 매우 까탈스러운 테스트를 거쳐야하는것이 자동차산업입니다. LFP가 대세라면 가격도 비싸도 안정성도 조금 떨어지는 NCM배터리를 한국과 1,000조가 넘는 물량을 미리 계약하는 미친놈들은 없을겁니다. 조만간 LG에너지솔류션에서 리튬황배터리가 개발되면, 가격도 저렴하고, 안전성, 그리고 가벼운 특징때문에 항공기에도 적용되겠지만, 전기차 중에서 중저가용으로 LFP를 대체할겁니다. 이미 개발된 리튬황배터리지만 전기차에 적합하도록 하기위해서 여전히 연구중이고, 몇가지만 해결되면 조만간 출시될것으로 확신합니다.
무슨 재료를 쓰든 폭발, 화재는 전류 폭류 때문이다. 이를 줄인다해서 극간 중앙에 필터같은 것들을 이것 저것 바꾸어 보아도 소용없다. 전류 폭류가 발생 조짐이 보이면 충전 극의 전자배출 면적을 줄여야 한다. 원자로에서 연료봉의 접촉면을 가감하는 원리이다. 이 방식, 시장의 어떤 밭대리도 채택하지 않고 있다.
소듐배터리의 안정성은 소듐 자체의 안정성이 아니라 전해질과 음극재의 차이 (리튬배터리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에서 생기는 것 아닌가요?
ess용으로는 나트륨배터리가 매우 좋은거 같긴 합니다.
나트륨배터리는 LFP배터리처럼 이미 과거에 개발된 배터리이며 미국에서 전기차용으로는 부적격하다는 판단을 이미 오래전에 결론지었습니다.
그 이유는 나트륨배터리 역시 리튬배터리에 비해서 에너지밀도가 낮고, LFP배터리보다도 조금 더 낮은 에너지밀도를 가지고 있기때문에, 리튬배터리와 비슷한
에너지밀도를 위해서는 2배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해야하며 이것은 주행거리에도 영향을 줍니다.
ESS용으론 LFP배터리처럼 적격하나, 나트륨 원소가 지닌 문제를 해소할 방법은 없습니다.
나중에 LFP배터리와 같이 시골이나, 섬지역, 또는 짧은 주행거리로도 충분한 일부 지역에서 사용될순 있으나, 중대형차, 고급세단, 또는 스포츠카등 고사양의 자동차에는
절대로 사용될수가 없습니다.
다양한 배터리가 전기차에 장착되겠지만, 궁극적으론 리튬황배터리가 개발되면 전고체배터리를 제외하고는 전부 사장될것입니다.
전세계 수많은 기업들이 리튬광산이나 리튬호수를 확보할려고 혈안이 된 이유는 대체 불가의 원소이기때문입니다.
애초부터 나트륨배터리를 연구개발해서 전기차에 장착할수있다는 결론이 나왔다면 어떤 바보가 리튬광산에 투자를 하겠습니까...
그리고 나트륨배터리가 상용화될려면 나트륨배터리에 사용될 전용 양극재, 음극재 등의 하도업체들이 셋팅되어야하는데, 과연 누가 나트륨배터리의 시장성을 보고
투자를 할것인지는 아직 어떤 기업도 없는 상태입니다.
전고체 배터리가 궁극의 배터리라고 이야기하는것은 과학자들의 공통된 견해이며, 전고체 배터리가 가격만 낮아진다면 고사양의 자동차에 장착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설령 몇억대의 전기차라고 하더라도 1000km를 주행하고, 태양광 패널과 함께 유지비가 매우 저렴하고 안전과 자율주행까지 장착되어 있다면
부자에겐 가격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않기때문입니다.
배터리를 만드는 기술은 생각외로 매우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수율때문인데, 높은 수율을 위해서는 몇십명의 전문인력이 팀으로 구성되어야만 수율을 높힐수있을만큼
진입장벽이 생각외로 높습니다.
지금은 전기차 초입단계이기때문에 LFP배터리도 사용되고 있지만, 이 역시도 시간과 함께 사용될 가능성이 낮은데, 그 이유는 미국에서 EU와 연합하면서
LFP배터리는 리사이클문제와 환경문제를 제기하면서 수입불가를 천명해버리면 LFP배터리는 대부분 중국산이기때문에 이 협약으로 중국산 전기차는 끝장을 낼수
있습니다.
지금은 초입단계이고 과도기이기때문에 어떤 문제가 발생해도 지켜보고 과정을 수렴하지만, 리튬배터리가 연구개발을 통해서 전고체배터리와 리튬황배터리로
안전과 가격을 잡아나가면 미국은 언제든지 중국을 죽이기위해서라도 LFP배터리 장착 전기차는 미국 수입을 불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LFP배터리가 안전면에서는 우수하지만 리튬황배터리나 전고체 리튬배터리가 출시되면 저렴하다는 것말고는 전혀 장점이 없는것이 LFP배터리입니다.
자동차 수입만큼 규제가 심한 제품도 드뭅니다.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기때문에 자동차는 생각외로 매우 까다로운 테스트를 합니다.
에어백, 유리창, 도색, 매연을 비롯해서 생각외로 매우 까탈스러운 테스트를 거쳐야하는것이 자동차산업입니다.
LFP가 대세라면 가격도 비싸도 안정성도 조금 떨어지는 NCM배터리를 한국과 1,000조가 넘는 물량을 미리 계약하는 미친놈들은 없을겁니다.
조만간 LG에너지솔류션에서 리튬황배터리가 개발되면, 가격도 저렴하고, 안전성, 그리고 가벼운 특징때문에 항공기에도 적용되겠지만, 전기차 중에서
중저가용으로 LFP를 대체할겁니다.
이미 개발된 리튬황배터리지만 전기차에 적합하도록 하기위해서 여전히 연구중이고, 몇가지만 해결되면 조만간 출시될것으로 확신합니다.
전기차에는 안될듯 ess라면 모르겠는데 리튬을 안 넣는다고 가격이 떨어질 거라고 보지는 않지만 공장을 돌리는 고정비를 커버를 못할텐데
단지 가격상의 이점이 최대 장점인가요? 흠.
가격이랑 저온 사용성이 좋습니다. 저온상황에서도 기본대비 90%정도라네요
가격 싸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안전성은 아직이라고 들었는데 누가 헛소문을 퍼뜨린 모양이죠. 사막에서 쓰면 좋을겁니다. 거긴 가격이 제일 중요할테니까요.
소듐이나 리튬이나 똑같이 불안정하군요 안정성은 lfp 가 최고군요
진짜 소디움 배터리라고 말할 수 있는 수준인지 궁금하네요.
lfp에 리튬이 6kg정도 들어간다고 들었는데...이건 어느 정도 들어갈까요.
베터리는 납이건 망간이건 리튬이건 소듐이건 저장한 에너지 밀도에 비례한 화재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기차용 배터리는 NCM기반이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리싸이클링 밸류체인 규모의 경제로 원가를 낮춰야겠지요
무슨 재료를 쓰든 폭발, 화재는 전류 폭류 때문이다. 이를 줄인다해서 극간 중앙에 필터같은 것들을 이것 저것 바꾸어 보아도 소용없다. 전류 폭류가 발생 조짐이 보이면 충전 극의 전자배출 면적을 줄여야 한다. 원자로에서 연료봉의 접촉면을 가감하는 원리이다. 이 방식, 시장의 어떤 밭대리도 채택하지 않고 있다.
소금은 아직 안되는걸로
나트륨은 물에 넣으면 탑니다. 물은 안타지만 수소는 타는거랑 마찬가지.. 그러니 리튬보다 나트륨이 반응성은 좀 낮아요.
@@신-w2p Cs > K > Na > Li .... 이렇게 물에 대한 반응성이 높습니다. 단지, 매우 저렴하게 만들수 있습니다. 충전시 C 로 Na 가 고체로 석출되어 실제로 크게 차이가 없으며, 밀도가 높아서 상대적으로 고온 동작을 합니다.
@@MKimID 칼슘나마철니상납수구수은백금 ㅋㅋㅋ
결국 핵심은 얼마나 싸게 가성비 나오느냐.
LFP는 이론상은 NCMA보다 오래 쓴다지만, 현실에서 고C레이트가 빈번한 차량에 사용하니 수명이 더 짧아지는 단점이 있더라구요.
NCM보다 압도적으로 싼 것도 아니라서.이대로 가면 LFP는 밀릴듯
전기차에 넣는구나
기술력이 안되니 저급한거 하네요 ㅠ
현재는 catl의 lfp가 대세가 아닌가 런던고라니라는 유투버가 그리 얘기하던데
어찌된건가요 우리나라 삼원계 답이 없다고 얘기합니다
런던고라니는 런던으로 보내세요. 는 lfp배터리와 가격이 거진 비슷합니다. 폐차할 때 재활용과 겨울철 배터리 사용량까지 고려하면 ncm이 더 좋을 것 같네요.
@사람사랑-d5k 자세한 내용 감사합니다
런던 고라니 한번씩 보는데 다른 목적을 가진게 분명해 보이더군요. 어차피 시간이 지나면 다 드러나게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