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라는건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와닿아야 되는데 이건 너무 복잡하게 되어있네요. 유리수는 빈틈이 있다는 자체가 와닿지 않네요.그냥 무리수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공리라는건 모두가 아는 도리라는 뜻인데 대부분 사람들이 그냥 와닿아야 되는데 소수의 사람들만 다루면 공리라고 말할수 있는지. 가설이라는 단어가 더 어울리듯. 암튼 모든 이론의 끝은 다 가설이니.좋은 이론 판단여부는 자체 모순이 없고 실제 문제를 해결하느냐에 있고
16년도 9평 30번 문제를 평균값정리로 푸는 법 증가함수로 푸는법 2가지가 존재하는데 대다수의 수험생이나 인강강사들은 평균값정리로 풀더군요 증가함수로 푸는법을 말하시는분들이 평균값정리로 푸는 풀이는 다른 풀이라서 배워야할게 아니라 아예 틀린 풀이라 생각할것도 없다 그러면서 저것을 증명할려면 실수의 완비성을 설명해야하는데 거기까지 가느니 그냥 증가함수로 푸는게 낫다고 하는데 이영상을 보고 약간이나마 이해가 되었습니다 이거 말고도 미분계수를 도함수의 극한으로 푸는 풀이가 대세인데(대부분의 함수들은 도함수가 연속이이까 도함수가 연속이라는 조건이 없을때도 사용합니다)고교과정으로는 말도 안되는 풀이지만 대학과정의 다르부 정리를 알면 가능하다는데 그거 관련해서 영상 가능할까요?
수학교육은 이렇게 쉬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 얼마나 아름답습니까? 많은 분들이 죽기 전에 이 영상을 봤으면 좋겠네요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상엽쌤 ㅎㅎㅎ
ㅘ...?
신기하다
정말 해석학 이 부분을 듣고 감동 받았습니다 ㅜㅜ
오, 실수를 모르는 상태에서 유리수의 무한한 조밀성에서 그 사이의 틈이 있는지 알아낼 수 있는가... 심오한 질문이네요. 결국 무한한 조밀성과 틈이 없다는 것은 동치가 아니군요.
너무 감사하고 존경합니다
3강 목빠지게 기다리고있습니다 !!
크 ㅠㅠ 아무래도 편집한 영상이다보니 완전히 이해하는 건 어렵지만... 오오 원본영상을 보고싶어진다는
정말 순수학문하는 분들은 행복하실듯
공리가 상하면? 상한공리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ㄱㅋㅋㅋ
어이없네 ㅋㅋㅋㅋㅋㅋㅋ
하면 할수록 재밌는게 유리수 무리수하면 또 디리클레도 다루고 그로인해 리만적분의 한계를 느껴 르베그적분도 하게됨
와! 스틸체스!! 측도아시는구나!!
이세계다..!
아 르벡 리만적분...이번에 extended essay로 쓰는데 ㄹㅇ 너무 재밌음 ㅋㅋㅋㅋㅋ
오랜만에 해석학보니까 엄청반갑고 즐거운 강의였습니다~
공리라는건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와닿아야 되는데 이건 너무 복잡하게 되어있네요. 유리수는 빈틈이 있다는 자체가 와닿지 않네요.그냥 무리수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공리라는건 모두가 아는 도리라는 뜻인데 대부분 사람들이 그냥 와닿아야 되는데 소수의 사람들만 다루면 공리라고 말할수 있는지. 가설이라는 단어가 더 어울리듯. 암튼 모든 이론의 끝은 다 가설이니.좋은 이론 판단여부는 자체 모순이 없고 실제 문제를 해결하느냐에 있고
무야호, 갓상엽
피타고라스 학파는 세상의 모든 수는 유리수라고 주장하고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루트2를 발견한 사람을 수장시키죠..
정말 많이 알아갑니다
서강대에서 응원합니다!
와 ㅋㅋ
좋은 강의네요^^ 상한 하한을 보니,,, 유계가 생각나네요 ^^
조밀성: 어떤 두개 사이에 무수히 많은 것들이 있다
완비성: 어떤 두개 사이에 빈틈 없이 많은 것들이 있다
이해한게 맞나요?
정말 흥미롭게 보고있는 고등학생입니다.
선생님 혹시 나중에 시간이 되시면 판별식에 대해 영상을 찍어주실수 있을까요
판별식에 대한 내용이 정말 궁금합니다
해석학 강의 3강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빨리 업로드 요청 드립니다
상한정리 증명하는 영상 보고싶당
넥타이가 정말 크시네요.. ㅎㅎ
실수의 조밀성은 정말 중요하죠 암 암
라그랑즈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너무 어려워요 ㅠ
영상 화질만 조금 더 나아지면 좋겠네요 !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해석학을 아직안봐서 잘은 모르겠는데 저쪽하한이 실수체계에 항상포함 안되는 경우도 있나요??
실수는 아래로 유계이면, 즉, 하계가 존재하면 반드시 최대하계, 즉, 하한이 존재합니다.
16년도 9평 30번 문제를
평균값정리로 푸는 법 증가함수로 푸는법
2가지가 존재하는데 대다수의 수험생이나 인강강사들은 평균값정리로 풀더군요 증가함수로 푸는법을 말하시는분들이 평균값정리로 푸는 풀이는 다른 풀이라서 배워야할게 아니라 아예 틀린 풀이라 생각할것도 없다 그러면서 저것을 증명할려면 실수의 완비성을 설명해야하는데 거기까지 가느니 그냥 증가함수로 푸는게 낫다고 하는데 이영상을 보고 약간이나마 이해가 되었습니다
이거 말고도 미분계수를 도함수의 극한으로 푸는 풀이가 대세인데(대부분의 함수들은 도함수가 연속이이까 도함수가 연속이라는 조건이 없을때도 사용합니다)고교과정으로는 말도 안되는 풀이지만 대학과정의 다르부 정리를 알면 가능하다는데 그거 관련해서 영상 가능할까요?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평균값정리가 고등학교 교과서에 들어가나요?
@@hyeonsseungsseungi 고등학교 교과서에 있긴한데 아마 증명은 안 하고 넘어갈거에요
@@hyeonsseungsseungi 롤의 정리를 이용해서 증명하긴 하는데 롤의 정리를 증명하지 않고 했던걸로 기억해요
롤의 정리 증명 합니다 정확한증명없이 그래프적 직관으로 넘기는건 사이값정리와 최대최소정리에요
유리수에서는 상한공리가 성립하지 않는다는게 데데킨트의 절단하고 연결되어 있는건가요?
♡
매스매틱스 읽고 온 사람 손!
유리수..이치가 있는 수. 무리수..이치가 없는수....그러나 정확한 표현은 아니죠. .뭐라 불러야 할지...실생활 수..잋가 있는 수라고 하면 되겠네요. ㆍ ㆍ 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