뻐꾸기는 왜 남의 둥지에 알을 낳을까? 🐣 탁란 | 붉은머리오목눈이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뻐꾸기는 평균 16~20개의 알을 낳는다.
뻐꾸기는 탁란을 할 다른 새의 둥지를 탐색하는데 흰색 알이 있는 둥지에 낳으면 실패할 확률이 높아진다.
뻐꾸기는 주로 딱새, 붉은머리오목눈이 둥지에 알을 낳는데 생존할 확률은 30% 정도이다.
뻐꾸기는 5월에 우리나라에 와서 7~8월에는 다른 나라로 이동한다. 3개월이라는 촉박한 시간과, 새끼 한 마리가 둥지 전체를 차지해야하는 등의 이유로 생존 확률을 높이기 위해 얌체짓이 반복되고있다.
#뻐꾸기 #딱새 #조류다큐
탁란 당한거 보고 개 빡쳐 있었는데
이거 보고 복수한것 처럼 힐링받음
오목아 너 덕분이야..
불행하게도 인간 세상에도 탁란(?)이 있죠. 베이비박스, 해외입양.... 나쁜 인간들
@@꾀병통치약해외입양은 법규정을 지키는 정당행위인데 베이비박스도 부모가처벌되지않고 문제가없는데 왜발작임?
낳아서 죽이는것들이 문제아님?
본인이 고아라서 화가났어도 전혀문제가안됨
@@ipmanyeolmyeungura저거보단 남의 자식인 줄 모르고 키우는 남자들이 리얼 오목눈이지ㅋㅋ
@@꾀병통치약그건 탁란이라고 표현하는게 아니죠.. 남의 애 배어 와서 남편자식처럼 키우게 하는게 탁란이고😅
수만km를 날아와 남의 둥지에 알낳고 다시 가는게 ㄹㅇ찐광기;
왜냐고 우리나라 텃새들이 만만하거든
@@3번-c5f뭐가 만만함?
Ntr최적화형 조류 ㄷㄷ
@@전립 ? 사이즈부터 만만하잖아
ㅋ ㅋ 조나 힘들겠다 아프리카 갈려면 도중에 많이 디질듯
오목눈이 둥지에선 100% 성공 하는줄 알았는데 그것도 아니었네요 오목눈이 당하는 영상만 있어서 마음 짠 했는데 이런 똑똑함도 있었네
단점은 저렇게 쪼아버리고 남은 자기알도 포기해버린다는거
@@lIlIIlIl2 무정란이래요.
@@lIlIIlIl2알은 또 낳을수있으니까
우리나라에서 사는 새인줄 알았더니 아프리카로..ㄷㄷ
새들의 영역은 참 상상 이상이구나
뻐꾸기 우리나라에도 많아요
@@big0042...?
사정은 알겠지만 그다지 동정은 안 가네. 😑
진짜 자연의 신비란… 다른 새 등쳐먹는 뻐꾸기나. 그걸 알아 차리는 오목눈이나 신기하네
우리나라에서 아프리카까지 가는 철새라는게 놀랍네요.
탁란이 100퍼센트 성공하는게 아니었군요
만약 100%성공한다면 이 세상의 정의구현이 될 수 없겠죠..
탁란당해본 어미새들만 절케구분하는거 처음당해보면 100프로로 성공 그마저도2~3번 똑같이당하는 어미새도있고
@@Choi-z1b 30~40%가 어디서 나오나 했더니 그거였군요
탁란 성공율이 높으면 숙주는 이미 멸종당했음.
@@smmam315 야생에서는 생존 과 번식이 곧 정의입니다.
부모새에게 길러져서 배운것도 아닌데 남의 손에 길러진 그거도 텃새에 길러진 새가 다 자라면 알아서 아프리카로 다시 날아가는건가? 와 신기하다 자연은 역시 신비해
어미가 부르면 그때 훌쩍 생모(?)한테 감..
생모 ㅎㅎㅎ
표현이 재미집니다.@@삿갓김-b6j
오 오목눈이가 탁란 쪼아버리는 영상은 없나 조류 카메라 감독님한테도 여쭤봐도 그런 장면은 없다고 하셨는데 드디어 보게 되네요
감독님한테도 보여드려 보세요 ㅋㅋㅋㅋ
연출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화면을 잘 보시면 이유가 유추되죠..
@@ahnssni-you-real 전 못알아챘는데 어떤 연출이 있나요?
@@ahnssni-you-real 힌트좀
@@IlllIlIlIlIll 매우 진귀한 장면임에도 어미새가 쪼다가 편집되서 바로 껍질이 깨진 알로 넘어갑니다. 롱테이크로 찍으려고 했으나 어미새가 알을 깨지못하고 다시 품자 자리비웠을때 촬영자가 깬다음 껍질을 다시 넣었을것으로 추측됨.
그리고..어미새가 깼다면 알 내용물이 엄청 많이 남아있거나 둥지에 노른자 등이 쏟아져서 엉망이 되어있어야 하나 둥지는 깨끗하고 알껍질만 덩그러니 있음..(저런장면은 못찍을 경우 매우 오랜시간 대기를 해야하기 때문에 인위적인 연출을 하는경우가 빈번합니다.. 이해해야죠)
생태가 좀 신기하네요. 탁란 성공률이 30~40%인데 그 뒤에도 천적에게 사망하는 경우도 있는데도 탁란만으로 종이 이어져 온 게 신기하네요.
알을 자주낳으면 상관없는 문제인거 같네요
그만큼 육아를 하는데 소모를 안 하니 성체가 된 후 생존이 유리해서 개체수가 유지되는 걸지도 모르네요. 오래 생존하면 어쨌든 기회도 많아질 테니.
눈치밥9단..
30 40퍼는 하얀 알 둥지 기준이에요. 푸른 알 둥지는 조금 더 확률이 높지만 한 번 당하면 다시 안당하기도 하고 천적도 있으니 다른 새들이 한 번에 3~7개 낳을 때 뻐꾸기는 훨씬 많이 낳는 것도 있어요.
그렇게 생태계 개체수가 맞춰지는거죠.
탁란은 글타치자.
근데 원래 주인 알이나 새씨까지 다 밀어내 죽이는 거 보니 손 집어 넣어 콱 던져버리고 싶다. 진짜 얄밉.
꼬챙이에 꿰어서 불로 구워버려야죠~~
진짜 본능이겠지만 화나네요..
그냥뻐꾸기보이면사냥꾼불러요.
날먹할려는 징그러운 뻐꾸기알 깨는거 존나 통쾌하다
어릴적 상상은 뻐꾸기 두쌍이
알을 같은 둥지에 낳으면 어떤 배틀이 벌어질까 였다
지금도 약간 흥미진진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상상도 못했네
먼저 알깨고 밀어낸 쪽의 승리
무조건 자기빼고 다 밀어내기때매 먼저 깬 놈이 이김 둥지 독차지
@@대충-f8v 동시에 나오면...?
앵간해선 뻐꾸기가 먼저나옴
탁란 성공한 거 보여준 뒤에 탁란 실패 정의구현 보여주는 유튜브 알고리즘 ㄷㄷㄷ
어미 뻐꾸기 저거 눈까리 부터가 알코올 중독 무책임이 보이는것 같아 겁나 웃기네ㅋㅋㅋ
그래 알콜중독새다
다른 영상에선 탁란 실패한 둥지에선 오목눈이가 자기알도 버린다고 하더라구요. 한번 털린 둥지는 다신 안 품는다고
근데 진짜 신기하다 저 아기 뻐꾸기는 혼자 있어야 살아남는다는 걸 어떻게 알고 다 밀어내는 걸까.. 그리고 또 어떻게 아프리카로 돌아가는 거지? 신기쓰
아프리카 그 먼데로 아기새가 성장해서 어떻게 혼자가는걸까 ㅡㅡ
중간 중간 다른나라들려서 쉬면서갈듯
@@Bgjkroh 본능
그러니까 새 됐음 걸어서 못가잖음
@@김현규-s8w걸어가면 죽기전에 도착할까요
탁란 성공으로 오목눈이 개체수 조절에 도움이 된다는데 유기적으로 움직이는거 보면 자연은 참 신비로움.
우와 저걸 알고 깨는 경우도 있구나 무조건 탁란에 성공하는지 알았네요
저것도 운이따라줘야함 알색깔이다르면 깨버리는듯
청색알 둥지에 낳으면 탁란 성공율이 높음. 하지만 세월이 흐르고 데이터가 쌓이다 보니 오목눈이도 그에 대응해 하얀색알을 낳기 시작해서 하얀색알 둥지에 낳으면 거의 실패.
청색알을 낳으면 눈에 잘띄지않아 천적들로부터 조금은 방어가 되지만 탁란의 위험.그렇다고 마냥 하얀색알만 놓기엔 천적조류들의 눈에 띄기 십상. 오묘하죠 ㅋ
탁란 실패율이 훨신 많다는 특히 까마귀과 같은 새는 안당하거나 한번 당하면 다신 안당하죠
뻐꾸기가 노리는 새들도 방어를 하더라.
자기들 알이 흰색 뻐꾸기 알도 흰색.
근데 갑자기 몇년 지나고 자기들 알이 녹색 뻐꾸기 알은 흰색. 뻐꾸기 알은 바로 공격받아 없어짐.
근데 그 다음 몇년 자기들 알이 녹색 뻐꾸기 알도 녹색.
이런식으로 계속 변하는게 진짜 신기했음.
알색이 계속 변하면 뻐꾸기는 그만큼 살아남을 확률이 더 줄어드는거 같아서 아마 언젠가는 뻐꾸기도 종의 유지를 위해 노선을 바꿀거 같다.
이야 처음 알았습니다. 뻐꾸기가 지새기를 지가 안키우고 남의 새 둥지에 낳는 이유... 그리고 그 마저도 쉽지 않다는걸...
국진이 형이 여기서 왜 나와 ㅋㅋㅋㅋㅋ 반갑네
1:48 땅강아지 진짜 오랜만에 보네 ㅋㅋㅋㅋㅋㅋ
요즘도 공원이나 산골 캠핑장 놀러가면 자주 보이던데.. 적어도 반년에 한번씩은 보는듯
오랜만에 보는데 바로 하늘로 떠나버리심...
뻐꾸기는 됐고!!
땅강아지 증말 오랫만이다... 반갑다~
너도 벌레중 하나인데.. 강아지란 이름이 붙어서인가... 귀엽게만 느껴짐..
손가락 사이에서 발버둥치던 옛 추억이.. 진짜 반가워...
뻐꾸기가 아프리카에서 온다고? 헐
김국진 아저씨 목소리가 듣기 좋네요
탁란이 생각보다 쉽지않음 성공률이 높앗으면 뻐꾸기만 드럽게 마니 번식됏겟지 다른새들은 멸종 위기 올테고
한번 탁란을 당한 새는 다음엔 뻐꾸기 알을 구분한다던데 그때문인가 아님 다른 이유가 있는걸까
노련한 경험많은 오목눈이는 알색깔이다르다는것을 파악한듯
탁란은 볼때마다 충격적이네..
그나저나 나레이션 김국진아재인가
듣고보니 그러네.. 맞는거 같기도하고 아닌거 같기도하고…
2:11부터 진짜 소름이돋네요
저도 그거 보다가 소름 돋고 역겨웠습니다 뻐꾸기한테 정 가는 일은 없을거 같네요
허이짜~~ 허이짜~~😊
붉은 머리 오목눈이....
영원한 뻐꾸기의 희생양...
새들은 다 미련한줄 알았는데 오목눈이는 똑똑하네
알 색이 너무 달라서 그래요
새들이 오히려 생각보다 지능이 높습니다. 까마귀 까치나 앵무새종류가 유명하죠
한두번 당해봤어야죠.
아마 오목눈이도 진화하는듯
@@푸름-r3f 다른새들도 진화해서 뻐꾸기도 지알은 지가품는 쪽으로 진화되길 ㅋㅋ
니가 미련하니까 새들도 미련한 줄 착각하는 거란다ㅋㅋㅋ
[계란의 민족 알림!]
뱀 님의 댓글
☆☆☆☆☆ 분명 작은 붉은오목눈이알을 주문했는데 거대한 뻐꾸기를 서비스로 먹었습니다! 계란이 맛있고 사장님이 친절해요~
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이고 깜짝이야.. 사장님이 맛있다는줄 ㅋㅋㅋ
센스가 엄청나시네요 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렇군요. 3개월 내에 다 해결해야 되는군요. 둥지를 만들고 포란할 시간도 없군요. 16개에서 한 두개 성공하면서 아프리카를 오가는군요. 3개월만에 부화하고 자라고 여행준비를 마쳐야 하는군요.
뻐꾸기는 부화하자마자 하는 짓이 살조네. . .넘 살벌하고 무서운 자연이네 ㅜ.ㅠ
어쩐지 5~6월 때는 들렸는데 7~8월 때는 안 들리더니.. 뻐꾸기도 본능이여서 어쩔 수 없네요.
조물주 당신은 대체..
이 영상을 통해 대한민국의 저출산의 원인을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네요. 여유가 없어요, 여유가…
뻐꾸기는 기르진 않지만 낳기라도 하지...
진화론. 오목눈이가 생존을 위해 하얀 알을 낳게 되는 것이 아니라 하얀 알의 생존 확율이 높아지며 점점 대세가 되는 것이다. 이게 맞나??
진화론을 잘 이해하고 계시네요. 진화엔 목적성이 없죠.
ㅇㅇ
강한자가 살아남는것이 아니라 살아 남은자가 강한것이다 같은거 아님?
@@TheRhksgud0731 맞음 그냥 우연히 그 환경에 유리하게 태어난 돌연변이가 살아남는거임
ㅇㅇ 맞음.
근데 진화론을 표현할 때 '오목눈이는 하얀 알을 낳는 것으로 진화했다' 라는 표현을 쓰는것 때문에 이상한 오해하는 애들이 많음.
거기에 포켓몬 디지몬 같은거 보면서 그거 믿음.
그 후엔 알려줘도 이해못함
와 뻐꾸기가 아프리카가 본거지(?)인 철새라는 사실은 처음 알았네;;
태어나서부터 마치 누구에게 배운마냥 다른 알들 밀어내는 본능(?)부터 소름돋았는데 어떻게 알고 아프리카로 돌아가는건지는 더 신기하네;;;
국진이형님?
뻐꾸기의 시간 부족때문에 딱새의 도움을 받는군요. 3개월이라~~
땅강아지...반갑네요 ㅜ
땅강아지 힘 엄청 세요
뻐꾸기의 생존과 삶의 사연이 그렇군요
2:18 박스아웃 폼 미쳤네ㅋㅋㅋㅋ
국진아저씨 목소리 되게 영상에 잘 어울리네요^^
아 영상 너무 짧아~~~ㅠㅠㅠ 더보고싶은데 끊김..ㅠㅠ 또륵...
아프리카요 그먼데서 이곳까지 뻐꾸기 지구력대단하네요 근데 목소리 해설하시는분 혹시 김국진?
참고로 뻐꾸기가 송충이 잡아먹어주는 새... 잠실에.서.살았어서 송충이에게 고통을 어마어마하게 당해봐서 그런지... 그거 알고나서 뻐꾸기 좋아짐
넘신기하네요~생존의삶이~~뻐꾸기실제로처음보내요ㆍ소리가듣기좋아요ㆍ
근데 오목눈이 너무 귀엽다
뻐꾸기 탁란 성공한거 보고 왔는데 속 개시원하네 ㅋㅋㅋ
남한테 자식 맡기는데 그정도 살아야지 생존율 높일려면 지가 키워야지
니는 왜 그따구로 사냐ㅋㅋ 한달에 400은 벌고 사냐?
@@개ka123 니가할 말이냐?니부터400벌고 말해라 ㅋㅋ
오.. 인간사회에도 탁란이 존재하는데 친자확인으로 실패하는 경우 봤어요 그거랑 비슷하네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탁란이든 뭐든 그런 개체는 싹 다 죽여야 합니다ㅋㅋㅋ 지 친부모를 원망해야죠
늘 피기생 당하는 생물이 멸종 당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했죠.
피기생 당하는? 피와 당하는을 같이쓰네ㅋㅋㅋ 역전앞????
@@노네임-l9d ㅇ
@@노네임-l9d ㄹㅇ 2중 피동이 문법적 오류라는 걸 모르는 국평오임
걍 숙주라고하지;;;;;;;
@@jamsiler 단어가 잘 기억 아나서요
뻐꾸기도 마냥 둥지 강탈에 성공하는게 아니였군요..
태어나자마자 밀어내는 본능은 진짜 어떻게 생기는거냐? 저게 가능해? 저것은 긴시간에 걸쳐서 생기는 현상이 아니고 프로그래밍 돼 있는거라고 봐야지.
긴 시간에 걸쳐 DNA에 프로그래밍 되어있는거죠
태어나자마자 안밀어내는 뻐꾸기들은 전부 죽었거든
@@김재원-c6n9q 태어나자마자 밀어내는 유전자 자체가 미친 거 같음 ㅎㅎ
긴 시간에 걸쳐 DNA에 프로그래밍
나래이션 김국진님인가요?
오목눈이 똑똑하네요....
노른자 익은거봐ㅜㅜㅋㅋㅋ
뻐큐기는 인간세상에도있다
뻐꾸기가 오목눈이랑 비슷한 알을 낳아서 탁란을 함 >> 뻐꾸기랑 비슷한 알을 낳는 오목눈이의 개체수가 감소함 >> 뻐꾸기랑 알의 색이 현저하게 다른 오목눈이만 생존함 >> 오목눈이가 자기 알과 다른 알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됨
이것도 미세진화의 결과입니다.
그리고 매번 반복..
뻐꾸기 사이즈면 둥지 짓는 데만 한 달은 걸릴 테니 아무래도 시간이 촉박하죠
국진님 테마게임에서 새 둥지에서 알 깨고 나오는 소리 녹음하는 역할하신게 기억나네요.
역시 정의구현이 있군
이런거 보면 누군가가 조절하고 디자인 한것 같다. 정말 신비롭네 🎉🎉🎉🎉🎉
어머 탁란 성공율 높은줄 알았는데
16개 낳고도 저런다니
자연은 극한의 밸런스 패치...
0:53 누룩뱀
새도.지능.높은새가있군.뻐꾹기가.그렇게.나쁜.기질이.있는줄은.사람도.나쁜.피가.있어요
다른집에 알낳으려고 아프리카에서 날라오는 새
탁란한 거 보고 화났었는데 알고리즘 귯
김국진씨 목소리네요ㅎ
아프리카에 간다는 사실에 놀람
뻐꾸기 이 녀석은 키우기 싫으면 알을 낳으면 안되는데
알 낳고 버리는데 경찰 신고해서 유기 혐의로 체포 해야합니다
뻐꾸기 소리가 너무 듣기좋음. 뻐꾸기가 산을 풍요롭게 만듬
새들이 사람사는곳에 자꾸 알을 낳는 이유는 사람 사는 근처엔 뱀이 드물다는것 뱀의 천적이 사람인걸 아는거임
해냈다 해냈어 오목눈이가 해냈어
그러네오목눈이 최고
드디어 ㅜㅜ 탁란 당하는거만 보고 엄청 괘씸했는데
똑똑한 오목눈이도 있구나
뻐꾸기는ᆢ둥지를 지을
시간이 3개월밖에 없어
디른 종의 새 둥지에
탁란을 한다는거네요?
시간이 아니고ᆢ둥지를 지을
기술이 없는거지!!
자연의 신비 ㅠㅠ
여러모로 부모가 멍청하면 자식이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는 영상.
아프리카로 가는건 한국에서 겨울나기가 어려워서 인가요??
탁란현상을 보면 항상 궁금합니다.
저 뻐구기가 오직 유전자에 의해서 저런 행동을 하는지, 그렇지않으면 남의 둥지에 알을 낳아서 대신 길러달라해야지 하는 사고방식을 거칠정도로 IQ가 있는건지
제가 쓴 댓글이 별건 아니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ㅎㅎ
뻐꾸기도 제비와 같이 우리나라가 고향인 철새네요...
뻐꾸기 우는소리는 너무 좋아요
편안^^
뻐꾸기 알 하나에 쇠구슬 3개 넣어놓으면 뻐꾸기 밀어내다가 3대 500 칠까?
Good job!
뻐구기.소리.참 듣기 좋다고 생각했는데... 이제는 돌 던질듯😅
너무 낯익다 했는데 2:11 영화 비바리움 오프닝에 쓰인 자료랑 같은 자료인데
오목눈이 둥지 주변 가지 다 쳐내고 찍으신건가요…? 저래도되나
마냥 새대가리인줄 알았는데 다행이네요😊
오목눈이는 알아채는구나
사기꾼들이 변명하는거랑 비슷한 사연
탁란 안하고 직접 키우는 뻐꾸기도 있을까요
속시원하구먼 ㅋㅋㅋㅋ
진짜 악마다ㅠㅠ😢😢
와 인간의 탁란이 성공률이 훨씬 더 높네
퐁퐁
그래서 님들도 살아남은거임ㅋㅋ
뻐꾸기알을모아 한둥지에서키우면 자기들끼리 경쟁할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