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азмер ви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ать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
Автоповтор
10:06 😮
적당히 외워서 풀었었는데..그래프를 그려서 증명해주시니..명확해지네요감사합니데이~
설명 너무 잘하신다~~ 정말 고마워요!!!!
감사합니다 이해 너무 잘 돼요!!!!!
지금 이차방정식 근의 위치를 배우고있는 중딩입니다 학원쌤이 백반번 설명해주셔도 모르겠던데 선생님 덕분에 이해할 수 있게됐어요!! 감사합니다😆
두 근 사이에 p가 있을때 대칭축(x=-b/2a)을 안봐도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p 에서의 함숫값이 0보다 작다는 것 만으로도 두 근 사이에 p 가 있다는 사실을 알기에 충분하기 때문입니다.굳이 대칭축까지 볼 필요가 없습니다.그래프 그려보세요
@@SAJD 아 그렇네요 이해됬습니다!
왜 허근은 대소관계 파악 할 수 없어용..?
1+2i 와 3-i 중에 어느 것이 더 큰 수라고 생각하세요?
@@SAJD 음 모르겠어유…
그래서 대소 비교가 안되는 것입니다.실수의 대소 비교는 수직선 상의 위치로 파악을 합니다.큰 수는 작은 수에 비해서 수직선 상에 오른쪽에 놓이게 되고, 작은 수는 큰 수의 왼쪽에 놓이게 됩니다.허수는 존재하지 않는 상상 속의 수입니다.수직선 위에 허수를 표현할 방법이 없습니다.수직선은 실수로 가득 채워지기 때문이죠.그래서 허수는 대소 비교가 불가능합니다.
@@SAJD 아하!! 감사해요☺️❤️❤️
10:06 😮
적당히 외워서 풀었었는데..
그래프를 그려서 증명해주시니..
명확해지네요
감사합니데이~
설명 너무 잘하신다~~ 정말 고마워요!!!!
감사합니다 이해 너무 잘 돼요!!!!!
지금 이차방정식 근의 위치를 배우고있는 중딩입니다 학원쌤이 백반번 설명해주셔도 모르겠던데 선생님 덕분에 이해할 수 있게됐어요!! 감사합니다😆
두 근 사이에 p가 있을때 대칭축(x=-b/2a)을 안봐도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p 에서의 함숫값이 0보다 작다는 것 만으로도 두 근 사이에 p 가 있다는 사실을 알기에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굳이 대칭축까지 볼 필요가 없습니다.
그래프 그려보세요
@@SAJD 아 그렇네요 이해됬습니다!
왜 허근은 대소관계 파악 할 수 없어용..?
1+2i 와 3-i 중에 어느 것이 더 큰 수라고 생각하세요?
@@SAJD 음 모르겠어유…
그래서 대소 비교가 안되는 것입니다.
실수의 대소 비교는 수직선 상의 위치로 파악을 합니다.
큰 수는 작은 수에 비해서 수직선 상에 오른쪽에 놓이게 되고, 작은 수는 큰 수의 왼쪽에 놓이게 됩니다.
허수는 존재하지 않는 상상 속의 수입니다.
수직선 위에 허수를 표현할 방법이 없습니다.
수직선은 실수로 가득 채워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허수는 대소 비교가 불가능합니다.
@@SAJD 아하!!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