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작이라고 할수는 없죠.. 안드용 칩으로 보면 퀄컴과 늘 1위 경쟁을 했고 cpu 성능 자체만으로 볼때는 퀄컴과 1위 경쟁에서 이기기도 지기도 했으니까요 물론 gpu를 arm mali 를 그대로 따와서 gpu성능에서 퀄컴의 adreno에 밀리긴해서 전체적인 성능이 떨어지긴 했으나 짐켈러의 엑시노스는 cpu 성능 자체는 퀄컴과 경쟁 할만 했습니다. 이전에는 cpu를 커스텀하고 gpu를 arm mali를 그대로 써왔다면 이제는 cpu는 arm에서 그대로 가져오고 gpu를 amd의 gpu로 커스텀해 쓰는 반대의 상황이 왔지만 짐켈러가 손댄 엑시노스의 영향이 이제는 남아 있을 시기가 아니니까요..
엑시노스 개발에 참여 했다는건 사실이 아닌거 같습니다. 관련업무가 삼성과 협업이라 그런 말이 돌은 거죠. 저전력을 저정력으로 발음 했습니다. 말을 할때 성조가 높아 설명한다거나 방송용 톤으로는 아쉬운거 같습니다. 기술 관련 방송이라면 x64가 32비트를 베이스로 확장한 개념이고 호환성을 가져서 표준이 되었고 상업적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라이젠이 성공할 수 있었던 건 경쟁사에서 고의로 코어를 늘리지 않고 시장이 정체에 있었는데 라이젠 출시로 데스크탑에서 저렴한 가격에 더 많은 (6~8)코어를 넣어 시장의 주류를 4코어에 6~8코어로 바꾸어서 더 많은 코어를 원하던 사용자들의 욕구를 채워 주었으며 2~3세대 뒤엔 성능마저 경쟁사를 압도하며 AMD를 살려냈다. 다만 도입된 인피니티 패브릭 구조로 인해 메모리 오버클럭은 필수가 되었다. 같은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설명도 부족했구요.
젊은 사람들도 짐 켈러를 알기 시작했으니, ㅎㅎ
한국도 개발자, 엔지니어, 기술직에 대한 인식과 대우가 달라졌으면..
다시 태어나면 짐 켈러 같은 사람으로
살아있는 전설 짐켈러...
짐켈러의 경쟁자는 짐켈러 본인이라는 소문이..
짐켈러에 대한 깔끔하고 좋은 설명입니다.
조금만 더 버티시면 분명 성장하실거라 봅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너무 이쁘고 목소리도 좋다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반도체 전공 대학생으로 많은 도움이 됐어요!
편히 듣기 좋은 영상이네요. 그런데 속도를 높히면 더 좋을 것 같아요. 1.25배는 조금 빠른 느낌이 있어서 1.15~1.2배가 적당하다고 생각해요.
오옷 의견 감사합니다!!!
삼성은 영입할려다 못한걸로 압니다. Jim Keller 기아 Soul EV 타고 다녔습니다.
짐캐리 폼미쳤다~~
뭐야 영상 너무 깔끔하고 깊이 있고 쉬운데 조회수가? 조만간 뜰거 같은데... 음..
댓글 감사합니다 ! 열심히 할게요
재능 쩐다
짐켈러매수법 퇴사후 4년뒤 그기업을사면 대박이난다..
인텔이 한번 대박날까요
오 재밌어요
반도체 주식하는 사람들이 하는 말이 그냥 짐 켈러가 소속한 회사를 사라는 말이 있죠...
기회가 된다면 라자 코두리도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참 좋은 채널같은데 이분 얼굴 썸넬에 박으면 최소 1만뷰는 나올듯
반도체 설계하려면 물리를 잘해야하나요
회로설계, 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공학수학, 반도체물리 등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애슬론64 -> A시리즈 -> Ryzen -> 엔비디아 테슬라 칩 -> 오션 코브
나레이션 누구신가요??
짐켈러의 개발과 가치창출로인한 영향력은 돈으로도 매길수없을듯하네요
역시 짐캐리 대단하네요
펙트: 오션코브는 지나가다가 조언하나 남긴 정도다.
이사람 가는곳마다 주식사면 되겠다
이런 사람은 죽을 때까지 굴려서 기술발전 시켜야 됨
이사람은 돈을얼마나벌까????????? 저사람처럼능력이되면 회장이든 대통령이든 무시절대못하겠다.
정부나 나사로부터 짐켈러의 기술력을 생각해본다면 1년에 천억이상
외계인임.
이세계 주인공도 저렇게 까지는 못살듯
짐 켈러는 그냥 프로 불편러가 아닐까ㅋㅋㅋ
이번에는 삼성으로...
엔비디아 빼고 다 감 ㅋㅋ
유일한 실패작은 엑시노스인가....
댓글 감사합니다 !
실패작이라고 할수는 없죠.. 안드용 칩으로 보면 퀄컴과 늘 1위 경쟁을 했고
cpu 성능 자체만으로 볼때는 퀄컴과 1위 경쟁에서 이기기도 지기도 했으니까요
물론 gpu를 arm mali 를 그대로 따와서 gpu성능에서 퀄컴의 adreno에 밀리긴해서
전체적인 성능이 떨어지긴 했으나 짐켈러의 엑시노스는 cpu 성능 자체는 퀄컴과 경쟁
할만 했습니다. 이전에는 cpu를 커스텀하고 gpu를 arm mali를 그대로 써왔다면
이제는 cpu는 arm에서 그대로 가져오고 gpu를 amd의 gpu로 커스텀해 쓰는 반대의
상황이 왔지만 짐켈러가 손댄 엑시노스의 영향이 이제는 남아 있을 시기가 아니니까요..
삼성에서 일한적 없는걸로 결론 ! 그래서 엑시노스 실패했나 ㅋ
엑시노스만 유일하게 변화가 없는 유일한 실패작
lg랑 손잡음 지금
삼성이라고 뜨던데? 엑시노스협역한다고 기사뜸
그러게. 분명 lg였는데. 하이재킹 당했나봄. ㅋㅋ
연예인이다
삼성 뭐하냐 엑시노스 살려보자 ㅋㅋ
엑시노스 개발에 참여 했다는건 사실이 아닌거 같습니다. 관련업무가 삼성과 협업이라 그런 말이 돌은 거죠.
저전력을 저정력으로 발음 했습니다. 말을 할때 성조가 높아 설명한다거나 방송용 톤으로는 아쉬운거 같습니다.
기술 관련 방송이라면 x64가 32비트를 베이스로 확장한 개념이고 호환성을 가져서 표준이 되었고 상업적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라이젠이 성공할 수 있었던 건 경쟁사에서 고의로 코어를 늘리지 않고 시장이 정체에 있었는데 라이젠 출시로 데스크탑에서 저렴한 가격에 더 많은 (6~8)코어를 넣어 시장의 주류를 4코어에 6~8코어로
바꾸어서 더 많은 코어를 원하던 사용자들의 욕구를 채워 주었으며 2~3세대 뒤엔 성능마저 경쟁사를 압도하며 AMD를 살려냈다. 다만 도입된 인피니티 패브릭 구조로 인해 메모리 오버클럭은 필수가 되었다.
같은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설명도 부족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