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블이 봤던 은하를 제임스 웹으로 다시 봤더니... 벌어진 난감한 현재 상황 🤪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3 авг 2024
  • 👍 #허블 #제임스웹 #빅뱅 #허블텐션 #우주팽창 #변광성 #초신성 #우주배경복사 #hubble #jameswebb #hubbletension #cmb #cepheid #supernova #cosmos #universe
    📝 칼럼 링크
    m.post.naver.c...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
    🎁 BODA X 우주먼지, 콜라보 우주덕후들을 위한 굿즈!
    smartstore.nav...
    레퍼런스
    iopscience.iop...
    ui.adsabs.harv...
    www.stsci.edu/...
    blogs.nasa.gov...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591

  • @wz_mz
    @wz_m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다양한 분야의 존경하는 교수님들과 함께 출연하고 있는
    가 책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
    영상 속에서 다 담지 못했던 다양한 과학 이야기와
    뒷이야기, 그리고 구독자분들의 다양한 질문들을 모아 열심히 준비했습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 케미로
    다양한 콘텐츠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0870284
    ✅예스24 : www.yes24.com/Product/Goods/123258602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27870262

    • @user-pe4ur1id5f
      @user-pe4ur1id5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주님 궁굼한게 있어요
      우주가 팽창하는데 왜 별이 멀어 지는거에요? 우주라는 공간이 팽창 하면서 별 또는 은하를 끌고 간다는 말인가요?? 우주 공간 자체는 중력이 없는데 어떤 힘이 작용 해서 별이 딸려가는건가요?
      그렇다면 지구와 달도 멀어져야 하는거 아닌가요? 중력에 의해 은하가 통체로 끌려가는건가용??
      아니면 빅뱅이 찰나의 순간으로 끝난게 아니라 하나의 빅뱅이 계속 우주를 밀어내고 있는걸까요?
      밀어 내고 있다면 별 들이 멀어지는게 이해는 돼는데
      팽창해서 멀어진다는게
      이해가 안돼 물어봐용
      전 평소에 우주에 관심이 없는데
      알고리즘 으로 인해 시청하고 궁굼 해서. ㅠ. 죄송합니다

    • @ajuga9392
      @ajuga939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2번입니다. 기존 과학자들의 사고의 한계점에서 비롯되어 관측 우주가 현재 우리 지식내의 물리우주라는 전제가 틀린게 아닐까요?
      현재 우주론의 모델 수정이 필요합니다. 상수가 두 측정 방식에 따라 갈리는 이유는 우주가 피지컬 우주와 영적 우주로 갈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관측을 통한 우주는 팽창률이 높고 열 전달에 의한 우주는 물리적 우주로만 전달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느리게 상수가 잡히는거 아닐까요? 그리고 우리가 관측하고 있는 물리적 우주이므로 우리가 관측하는 순간 해당우주도 관측 물리적 우주의 특성을 띄게 되어 영적우주가 물리적 우주적 특성을 띄게 될거라 추측해봅니다. 그래서 물리우주 사이에 끼인 영적 우주, 높은 차원의 우주는 높은 팽창률에 기여하고 말이죠 그 럼 정확하게 계산된 두 값의 차이로 영적 우주와 물리적 우주의 구성을 판별하는 도움이 될지도요

  • @user-mc4gn5ho6n
    @user-mc4gn5ho6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40

    난 학생과학 68년도분부터 읽던 천문학 추종자였는데 시대상황이 여의치 않아 법대로 진학했어요. 직장을 다니면서도 꾸준히 브라이언그린의 엘리건트유니버스 우주의구조 등과 리사랜들, 맬깁손 등등의 우주론과 양자역학에 관련된 책을 사서 읽었지요. 재미있게도 브라이언그린과 리사랜들은 나와 동갑이더군요. 아무튼 요새도 신간서적나오면 꾸준히 사서봐요. 최근에는 유튜브가 좋은 채널이 많아 자주 시청합니다. 어린시절 꿈을 키워준 천문학은 지금도 나에게는 호숫가의 조약돌같이 즐거움을 준답니다!

    • @user-jx8ed1pm2y
      @user-jx8ed1pm2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9

      선생님, 어릴 적에는 책 한 권 한권이 정말 비싸고 흔치 않은 자원이었을 것일텐데... 짧은 글이지만 선생님의 열정이 대단하면서도 부럽습니다!

    • @intj917
      @intj91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6

      천문학이 호숫가의 조약돌같은 즐거움을 준다는 표현이 넘 멋져요!

    • @hotcurry1108
      @hotcurry110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9

      이렇게 지식의 즐거움을 아는 사람이 행복한 사람이 아닐까

    • @physic404
      @physic40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우주의 구조 엘리건트 유니버스...좋은 책이죠

    • @Wooriwoowoo
      @Wooriwoowo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멋지십니다

  • @cataclysmhw4394
    @cataclysmhw439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67

    장님이 손으로 코끼리 더듬듯이 빛으로 우주를 더듬는 것 같네요.

    • @lIIIllIIl
      @lIIIllII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8

      표현이멋지네요

    • @parte-one5240
      @parte-one524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1

      오!! 좋은 예시입니다.

    • @user-du1jj6tr8j
      @user-du1jj6tr8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lIIIllIIl 이넓은 우주에 우리는 왜 여기있나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가는가 과학이 대답을 못하니 허접한 종교라도 믿는거죠

    • @user-pq9yg5cq7e
      @user-pq9yg5cq7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2

      아~~~ 님아 거긴 ~~~아~

    • @feeling_soso
      @feeling_sos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표현력 갑

  • @hellpoome
    @hellpoom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8

    배경복사의 결함/오류가 있을 시 우주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다음 편에서라도 자세히 다뤄주셨으면 합니다.

    • @Sanith_
      @Sanith_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3

      연세대 모 교수가 주장한거처럼 암흑물질,암흑에너지,팽창우주론 등 기존 이론의 근간 자체가 다 재검토되야한다는 소리입니다

    • @user-vo2kd2vs1g
      @user-vo2kd2vs1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자세한 내용이 담기려면 다음편은 최소한 50년쯤 후가 되겠네요.....

    • @brotherjin9725
      @brotherjin972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관측이 틀린게 낫다고 하자나요 ...우주배경 복사 오류시 이제까지 우주론은 싹다 지워 버리고 다시 시작해야 하는데 쉽지 않아요 ㅋㅋㅋ

    •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만약 우주배경복사 자체가 틀릴경우....현대천문학은 날라가고....아니 그럼 남는게 없잖아?
      그냥 처음부터 시작해야됩니다.
      뭐.....좀 많이 좋은 망원경을 가지고요.

    • @user-fj3iq8dc8b
      @user-fj3iq8dc8b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즉 우리가 초딩때부터 배워 온 빅뱅우주론이 틀린 이론일 수 있다는 거죠 우주가 전혀 다르게 창조 됐을 수 있다는 말이겠죠

  • @007cube2
    @007cube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사실은 난제인 이유는 고차원에서 보면 문제가 없고 단순 우리가 살고 있는 차원에서는 구할 수 없는게 아닐까 하네요... a와 b를 xy축에서 거리를 재는거랑 z축이 추가되면서 거리를 재는건 거리가 달라지는 느낌처럼 말이죠

  • @user-qi5oh7hd6t
    @user-qi5oh7hd6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1

    왠지 CMB 이론이 잘못 되었을 것 같네요. 허블이나 웹으로 직접 측정하는 '단순한' 방식은 어쨓든 직접적인 관측 결과에 기반을 두고 있는 반면에, CMB는 이론으로 예측하는 '복잡한' 방식이라 이론을 보정해서 실제 관측값과 비슷하게 맞추는게 그동안의 과학 발전 방향 아니었을까요?

    • @Curaria
      @Curari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망원경으로 직접 측정하는 방식도 티끌만 남은 정보에 추론에 추론을 더해 원래의 형태를 예측한다는 점에서 말씀하신 '복잡한' 방식에 가깝긴 합니다. 영상에서 설명했듯이 그냥 망원경으로 보고 기록하기만 하면된다면 다행이지만, 거리가 너무 멀어서 관측하는 빛 자체가 여러 의미로 왜곡됩니다. 극단적으로, 빛의 속도로 우주의 나이만큼 가야 도달할 수 있는 거리에서 오는 빛은 우주 초기에 발생한 빛입니다. 결국 인간은 지구가 태어나기도 전에 출발한 빛을 관측해서 원래의 형태를 추론해야 하니, 당연히 가정에 가정을 덧씌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추론 과정에 오류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는 과학자들도 많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는 그쪽을 지지하구요...

    • @FP_FivePine
      @FP_FivePin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Curaria실제로 초신성을 이용한 측정방식(또는 이를 보정하는 데 쓰인 변광성을 이용한 방식)에 오류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지지도가 꽤 있는 편이죠.
      만약 계산식이 잘못되었다면 아무리 정밀한 관측을 하더라도 계산 과정에서 결국은 틀린 값이 나올 테니까요.

  • @hjow7
    @hjow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9

    간단히 요약하면, 예전부터 "우주팽창이론"하고 허블망원경 관측결과가 조금씩 달라서 애매한 상황이었는데, 더 정밀하게 보면 괜찮겠지 싶어서 제임스웹 망원경으로 더 정밀하게 봐보니 관측결과가 더 심하게 달라서 결국 이론 자체가 잘못되었을 것이다 라는 얘기

    • @rossbyj4882
      @rossbyj488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ㄷㄷ

    • @sh20000sh
      @sh20000s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심하게 달라진 게 아니고 허블이 틀렸을까 싶어서 제임스웹으로 봤는데 그냥 허블 굳히기 들어간거임. 오차는 그냥 비슷한 수준인듯

    • @user-ut3kk6vg7w
      @user-ut3kk6vg7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너무 시각적인것에 의존한 오류 아닐까요?
      물리법칙에 의하면 회전하는 구체가 폭발하면 각 분진과 덩어리들이 팽창하면서 서로 간섭하는 게 당연합니다
      우주 팽창론을 너무 단면적으로 생각해서 외부 은하나 우주의 영향력을 간과한 탓은 아닐런지

    • @Suk2_0313
      @Suk2_031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여전히 시간이라는 한계 속에서 살아가는 생명체가 시공간이 일그러지고 늘어났다 돌아왔다 하는 곳에 대해서 이론으로 단정지어온 것 자체가 이미 오류.. 그걸 상식이라고 가르치는것 또한 이상한 일, 더 나아가서는 작은 존재가 가진 엄청난 교만

    • @lockdown-e34r
      @lockdown-e34r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Suk2_0313 뭔 교만이여 ㅋㅋㅋ 그냥 중력을 모르는 사람이 물이 아래로 흐르는 사실밖에 몰라서 그것만 가르쳐주는거지😂

  • @bottaYG
    @bottaY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7

    어려운 이야기를 늘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LaLa-il7rp
      @LaLa-il7rp День назад

      헉 그래도 어려운데요 ㅠ

  • @kblee3719
    @kblee371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3

    항상 좋은 컨텐츠 정말 감사합니다. 한가지 덧붙이자면 우주배경복사 모델과 관측 모두 정확하더라도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Einstein equation에서 non-homogeneous인 LTB metric으로 풀어본다면 국부적, 전체 우주팽창률이 다를 수 있습니다. 어쩌면 이러한 메트릭을 뒷받침하는 증거일 수도 있습니다.

    • @user-bl9ju9bt5u
      @user-bl9ju9bt5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정신차리고 증명가능한 과학을 연구하세요 소설에 혹해서 시나리오 써 갈기지 말고

    • @hyungijeong1260
      @hyungijeong126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reynardpark9362
      @reynardpark936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user-bl9ju9bt5u중국인이냐 ㅋ

    • @kblee3719
      @kblee371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bl9ju9bt5u 조금 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허블 팽창 계수 (우주 팽창 속도)는 아인슈타인 방정식에 homogeneous하고 isotropic하다는 결론에서 나온겁니다. 우주를 크게크게 잘라서 보면 잘 맞는 얘기이지만, 작게 잘라서 보면 좀 다릅니다. 당장 우리 은하 안에서 본 우주, 은하와 은하 사이에서 본 우주는 주변이 다르죠. 그렇게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되면 non-homogeneous하게 되고 그걸 설명하는 메트릭이 LTB metric입니다.
      Tully-Fisher관계로 유명한 Tully와 기타 천문학자들은 우리 위치가 Local Void 안에 있다는 것을 관측과 컴퓨터 도움을 받아서 주장하고 있습니다. 만약 실제 우리 은하가 밀도가 낮은 지역 안에 위치한다면 팽창속도가 빠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cmb로 잰 것을 크게크게 본 homogeneous한 우주의 팽창계수라 한다면 변광성으로 본 것은 국소적으로 non-homogeneous한 우리 주변 우주의 팽창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관측 결과는 LTB metric+local void가 예상한대로 관측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user-ut3kk6vg7w
      @user-ut3kk6vg7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우주 팽창이 한 방향으로 이뤄졋다고 어떻게 확신하고
      우리가 볼 수 있는 부분이 어떻게 우주의 모든 부분이라고 단정 할 수 있나요?
      동으로 팽창한다고 믿었던 그 동쪽에 또 다른 우주가 있을 수 있다는 겁니다
      애초에 빅뱅이론에 모든 답이 있습니다
      회전하는 물체가 연쇄 폭발하며 퍼져 나가는 모습
      그래서 우주 공간이 왜곡되고 은하 충돌이 생기며 거대 덩어리가 폭발한 자리에 블랙홀 같은 모습
      행성과 해성들의 회전이 일치 하지 않는 모습등

  • @jayounyi9766
    @jayounyi976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그동안 날로 봤는데 구독 좋아요 오늘 첨 눌렀어요. 글로벌로 많은 지식 공유해 주시면서 더 많은 구독과 복받으시길 바랍니다. 사랑합니다.

  • @user-zj7hi3nl1u
    @user-zj7hi3nl1u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20년 이상 내 분야에서 연구하면 느낀건.. 실험하면서 데이타가 쌓이고 깊이 들어갈수록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기고 항상 긴장이 생긴다 이다.

  • @user-ef5gy7hq6m
    @user-ef5gy7hq6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오늘도 우주는 신기했다~~

  • @tae_won
    @tae_wo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음...그럼 현재 적용하고 있는 우주 배경 복사의 모델 ACDM(?)이 어떤것인지, 또다른 우주 배경 복사 모델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해지게 되는 영상이네요 ㅠㅠ 그래도 질문만이 남았다는것은 설명을 너무 잘 해주셨다는 야기죠 ㅠㅠ 늘 감사합니다

  • @glimelite
    @glimelit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전에 어떤 물리학자가 현대 우주론이라는 게 온갖 가정으로 이뤄진 사상누각 같은 건데 (은하 거리 측정이나 우주상수 계산 같은 것을) 어떻게 믿을 수 있느냐고 하기도 하더군요.
    그 물리학자 이야기가 과도한 면도 있었지만, 현대 우주론의 여러 구성요소들이 많은 가정 아래 얻어졌다는 것은 사실이기도 해요.
    다른 분야를 예를 들어, 지구 생물의 진화론도 사실 많은 가정 아래 세워진 것이라서 창조론자들의 (설화에 기반한 비과학적인 주장이지만) 공격 거리가 되기도 했죠.
    지구 생물 진화론의 경우, 다양한 방면으로 과학적 관측 결과가 축적되고 세세한 부분에서 검증과 보강과 오류 교정이 늘어나면서, 이제는 과학적 사실이라고 할 수준의 과학 이론이 되었거든요.
    비슷하게, 우주 진화론도 큰 틀에서는 과학적 사실 수준이지만, 세세한 부분에서는 아직도 걷어내야 할 가정과 교정해야할 부분이 많이 있는 것으로 봐야겠네요.

  • @user-sz9ew5sg9f
    @user-sz9ew5sg9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얼마전에 봤던 영상이 생각나네요 ^^ 멀리있는 그림을 확대해봤더니 작은 눈알안에 또 다른 세상이 있고 그곳을 확대해 보았더니 작은 그림안에 그보다 더 큰 세상이 들어있고~ㅎㅎㅎ 더 좋은 망원경으로 확대해서 보면 뭔가 보이고 해결될거 같았지만 결국 더 큰 문제만 생긴게 비슷한 느낌이네요 ^^

  • @user-qn7eb5ix9f
    @user-qn7eb5ix9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우주 배경 복사는 현재의 팽창률이고 망원경에서 관측한 팽창률은 과거의 팽창률 아닐까요? 빛이 도달하기 까지 시간이 필요하니까요.

  • @user-wt6zr8orhd
    @user-wt6zr8orh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선생님 제 이마에 머리가 나지 않는 ’난제‘는 언제 풀릴까요?
    탈모의 팽창율도 점점 빨라지는 것 같습니다....

  • @user-mv6vt1pr7b
    @user-mv6vt1pr7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은하관측은 더 정밀해져서 기존 관측의 오차를 줄임으로서 옳음이 증명되었고
    그게 배경복사 관측과 차이가 있다면 배경복사 측정쪽에 오류가 있다는 이야기일텐데
    둘이 머리끄댕이 잡고 싸울건지 아님 배경복사팀쪽에서 오류를 인정하고 바로잡을것인지만 남았네요 ㅋㅋㅋ
    과학자들 살벌하게 진영싸움 하던데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 @user-eu2wd2fk7s
      @user-eu2wd2fk7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뇌과학분야에서 fmri 기준 캘리브레이션 에러를 보는 것 같네요. 과학의 기반은 검증인데...

  • @kimbibbyap
    @kimbibbya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그래서 우주팽창을 바라보는 방식을 싹 다 바꿔야한다는건가요...?

    • @hactivisms6785
      @hactivisms678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지금 계속 나오고 있는 결과들을 보면 그게 맞을 것 같아요. 여태 몇 십년간 같은 우주모델을 써왔고, 그 가정하에 쌓아온 데이터가 매우 방대해서 다른 확정적인 우주모델이 나오기 전까지는 쉽게 확정 나지는 않겠지만, 확실한건 여태까지의 우주모델과는 다른 모순점이 계속 관측되고 있는 것이니까요.

  • @Bosuh
    @Bosu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1

    세페이드 변광성에 대해서 조금 자세히 다뤄주실 수는 없을까요?
    밝기와 주기 간의 관계가 일정해서 우주의 거리를 잴 때 기준으로 삼는 다는 것은 알겠는데, 모든 변광성은 동일한 건지, 아니라면 왜 세페이드 변광성만 그런 건지, 어떻게 관측하는지 등등 궁금하네요.

    • @greenoh2737
      @greenoh273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

    • @hakdeok
      @hakdeo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도 이 부분이 궁금합니다 변광성은 왜 주기가 같으면 같은 밝기를 가지는지.. 또 변광성은 왜 밝기가 변하는지.. 그것부터 이해시켜 주셨으면 합니다

    •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hakdeok 저도 이 부분이 굉장히 궁금합니다. 질문 잘 하셨습니다.

    • @cerebrat2
      @cerebrat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글에 검색하면 자세히 나와요

    • @jfdkslfjdp9
      @jfdkslfjdp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infrared_ 비유가 너무 훌륭합니다

  • @youngtaefly
    @youngtaefl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이 재미없는 주제를 너무 재미있고 흥미있게 들었습니다
    딕션이 최고이시네요~~~^^

    • @user-yc3te4us3g
      @user-yc3te4us3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주제만 들어도 재밌는데
      관측이 정밀해도 값이 저렇게 차이나는게 그 안에 있는 새로운 비밀을 발견할 가능성도 있고

  • @JL-bl3eq
    @JL-bl3eq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뭔말인지는 모르겠는데 왜 재미있지….

  • @user-vz7xe6xz4o
    @user-vz7xe6xz4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아요, 우리 모두는 우주입장에서 보면 먼지 이지요.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user-dn7ry1bc3l
    @user-dn7ry1bc3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오늘도 잘 봤습니다 ^^

  • @ksgams
    @ksgam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10분짜리 영상인데 다음날까지 꿀잠을 잤어요

  • @FuwaSakii
    @FuwaSaki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짜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감사힙니다!

  • @leeyg1551
    @leeyg155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간중간 모습 보여주시니까 보기가 더 좋네요 ㅎㅎ

  • @daeshikuhm7758
    @daeshikuhm775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런 지식을 어디에서 얻을수 있겠습니까?
    항상 고맙습니다.
    건강하시길!!

  • @jazzy3720
    @jazzy372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일반인높이에 낮추서 쉽고 재밋게 설명해주셔서 항상 흥미있게 봅니다 고맙습니다

  • @lIlIlIlI-fq4xk
    @lIlIlIlI-fq4x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덕분에 숙면 취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pt8ek7nw5y
    @user-pt8ek7nw5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type1a 초신성의 절대밝기가 우주 전체 역사를 통해 동일하다는 전제가 잘못되었을 것 같은데요... 그러면 거리측정에서 오류가 생기지요.

  • @polaring3376
    @polaring337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결국 과학연구에 있어 중요한 것은 미지를 인내하는 마음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 @kwangsup1967
    @kwangsup196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국부은하군내의 은하들도 어떤 거대 중력원으로 끌려 간다고 했는데 우주 팽창과 국부은하군내의 이동으로 은하의 팽창속도에 오차가 발생하는 건 아닐까요?

    • @K-Mobilehouse
      @K-Mobilehous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럴수도 있겠네요. 공감합니다.

    • @ss-bb9uj
      @ss-bb9u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런 매우 기초적인 변인통제를 못 했을 리가 없죠

  • @kimjo5355
    @kimjo535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오늘도 화이팅 입니다 가즈아 ^^❤❤❤

  • @user-ui2bg1ut7t
    @user-ui2bg1ut7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궁금한게 하나있습니다 발사체가 지구를 벗어났을때 추진동력은 무엇이로 사용돼나요? 상식으로는 산소가 없으면 불이꺼지는것 아닌가요 ??

    • @user-yl5yo3cj7m
      @user-yl5yo3cj7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그래서 액체산소를 산화제로 같이 가져가죠. 연료와 산소를 섞어서 폭발시키고 그 추진력으로 운동하는 기관이 로켓 기관입니다

  • @user-bw9fw6ku4h
    @user-bw9fw6ku4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하나 더 기준이 있어요. 현재 우주가 첫번째 빅뱅만 터진게 아닐경우. 이 경우도 있지요. 그러면 오차가 있는게 당연할테죠. 문제는 이걸 증명할 방법이 없다는거? 그래서 가능성 자체를 무시당하고 있을수도 있겠죠.

  • @Uahhhhhhhhhhhhhhhhhhhhhhhhhhhh
    @Uahhhhhhhhhhhhhhhhhhhhhhhhhhhh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주에 대해 잘 모르고 단편적인 정보만 접했던 사람 입장에선 그냥 지구에서 렌즈를 통해 단편적인 모습만 관측하는데 단순히 예전에 관측했던 행성이 더 멀어졌다는 이유로 우주팽창이론까지 나온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과학자들의 상상력 폭발을 구경하는건 재밌지만 그저 많은 과학자들이 증명되지 않은 이론을 바탕으로 오랜 기간 동안 연구하고 그게 정설인 것 마냥 교과서에 올라온게 참 재밌기도 해요. 언젠가 우리가 정설로 받아들였던 이론도 교과서에 나오는 발전과정에서 그땐 그랬지~식으로 나올걸 생각하면 참 즐겁습니다.

  • @miriyua
    @miriyu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08 냥이 이름 웅장한거 좀 봐 ㅋㅋㅋㅋ 코페르니쿠스적 발상!!

  • @CP-yc7gv
    @CP-yc7g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도 이번 거는 혼란이 왔어요 왜케 이해하기우렵지😂 ㅋㅋㅋ

  • @therock79983
    @therock7998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즐감

  • @smthing_do
    @smthing_d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팽창속도가 그 우주에 따라서, 시간에 따라서 다를수 있는거 아닌가요? 꼭 전 우주의 팽창속도는 동일해야 하나요? 우주에도 밀집도가 다른 지역이 있을텐데 밀집도에 따라서 팽창속도가 달라질 수는 없는건가요?

  • @waddabuda
    @waddabud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먼지님 한번 입문용 천문망원경 추천하는 컨텐츠도 해주실 수 있나요?

    • @bienerosa5740
      @bienerosa574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거 좋다

    • @beomkun
      @beomku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중고밖에 없긴 한데 코동이 입문용으론 최고죠

    • @틀딱씹선비
      @틀딱씹선비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추천드립니다

    • @롤케익
      @롤케익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틀딱씹선비 저번에 입문용으로 중고로 구해서 사용해봤는데 해상도가 썩 괜찮더라고요~ 사용감 심한것 빼면 쓸만합니다.

    • @zzzzzzit
      @zzzzzzi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틀딱씹선비초보자면 입문용으로 허블 추천합니다

  • @hhan536
    @hhan53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태양계 행성들은 왜 전부 한 평면 위에서 공전하는지 궁금해요! 소행성이랑 혜성, 오르트구름도 전부 하나의 평면에 위치한 비슷한모양인지 궁금하고 다른항성계도 비슷한지도 궁금합니다

    • @K고딩평
      @K고딩평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실제로는 한 평면 위에서 공전하지 않습니다
      태양계 모형을 보신 것 같은데, 그런건 보기 편하라고 일부러 그렇게 만들어요.
      공전궤도도 원이 아니라 타원이고요.

  • @user-ot6ne6ix1o
    @user-ot6ne6ix1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세한 내용은 이해하기 어렵지만, 별의 팽창과 온도의 팽창은 서로 다른 성질이 있기 때문에 그 차이가 생기는것 같습니다. 열이 존재하는 부분과 별이 존재하는 부분이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생기는것 같습니다.

  • @Parkjk09
    @Parkjk0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43 각도때문인지 허블 우주망원경이 마치 지구에 접착제로 붙어있는것처럼 보이는 CG네요... ㅋ

  • @wonilshim6195
    @wonilshim619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재미있네요~ ^^ 복사 모델과 관련 된 관측 범위가 복사가 미치는 영향의 범위가 다르고, 허블/제임스웹이 관측하는 범위와 달라서 그렇지 않을까 막 짐작 해 봅니다.ㅋ

  • @shinkyukang
    @shinkyukan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근데 갑자기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 우리는 우주의 크기를 모르고 있고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만 있다고 하는데.. 근데 빅뱅이 136억년전인 것도 알고 있고 팽창속도도 알고 있으면 역산하면 현재 우주의 크기가 얼만큼 된다는 것도 알 수 있는 거 아닌가요? 너무 무식한 질문일까요? ㅜㅜ

    • @bookcollector1
      @bookcollector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주는 가속팽창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류는 그 팽창속도의 극히 일부 편린만을 관측했기에 우주의 팽창속도 곡선을 정확하게 그려낼 수 없습니다. 게다가 아직 밝혀진 것이 거의 없는 암흑에너지의 영향도 계산할 수 없죠.

  • @Hk-cv5ly
    @Hk-cv5l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우주먼지님 양자역학에 대해 갑자기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관측전에는 파동 이였다가
    관측후에는 입자로 관측되는데
    왜 전에는 파동이고
    후에는 입자인걸가요?
    전에 입자이고
    후에 파동이여도 될텐데
    궁금한데 답을 찾을수가 없어서요
    감사합니다

    • @아나타가습기
      @아나타가습기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답이없죠 인간은아직못찾아냄

    • @Hk-cv5ly
      @Hk-cv5l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나타가습기 아직 답을 못찾은건가요? 관련한 연구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이중슬릿의 물음이 관측에 따른 변화보다 왜 입자와 파동으로 관측 되는가로 한번 연구하는게 있다면 알고싶습니다

    • @hdudhfhdx8976
      @hdudhfhdx897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Hk-cv5ly 아무도 모릅니다 그 질문은 왜 수소가 우주의 제일 기본적인 원자인가요?? 랑 같은 질문이에요 우주법칙이 그냥 그렇게 정해져있어서요

    • @machmax7
      @machmax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양자 미시세계에선 관측이라는 행위자체가 에너지를 전달 관측대상의 운동을 바꾼다고...😊

    • @System.Error.
      @System.Erro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둘다 가능

  • @enginerd_3789
    @enginerd_378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자연과학이 제일 답답한 점: 궁금해 미치겠는데 아무도 스포일러를 안 해줌

  • @user-uf5vv8no3y
    @user-uf5vv8no3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신비롭습니다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현자타임즈 "제임스웹 허블 텐션" 재밌어요

  • @BalaDang1115
    @BalaDang111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하나 더 날려 보내야 한다는 거죠?

  • @user-fk8kn8pf7b
    @user-fk8kn8pf7b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주의 팽창이 빛의 속도보다 빠르다면 이런 속성을 참고해서 빛의 속도의 우주선을 만들수 있지 않을까요? 가령 공간간 팽창을 폭발력으로 실현한다면 쉽게 말해 직렬로 폭발물을 놓고 동시에 폭발시켜서 그 밀어내는 힘으로 우주선을 가속한다면 엄청난가속이 가능할꺼 같은데..

  • @user-xu5jh7ty3v
    @user-xu5jh7ty3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더 큰 문제가 발생한게 아니라 밥그릇이 넉넉해진겁니다. 연구자들은 목적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지만 그들의 밥그릇은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유지되지요.

  • @user-gr3ed7zr5p
    @user-gr3ed7zr5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랑해요 너무 잘봤습니다.

  • @dollungc906
    @dollungc90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우주는 팽창하지 않아요"
    빛이 우주의 중력권
    내에서 존재한다면,
    적색편이가 관측자로부터
    멀어지는 항성의 빛에서도 관측되지만,
    정지한 항성에서 발사된 빛이
    관측자로부터 멀어져 되돌아온
    빛에서도 관측된다.

    • @dollungc906
      @dollungc90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주배경복사는
      우주내 전자기파의 메아리
      마이크로파 배경복사, 적외선 배경복사,
      감마선 배경복사, 가시광선 배경복사 등,등
      전자기파인 별빛 배경복사 또한
      지구내 모든 방향에서 균등하게 관측된다.

  • @melotoha
    @melotoh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2:50 우주먼지현자님(?) 우주 말씀하실 때 왜 우↘↗주 라고 하시나요?😅 반복되는 쪼가 너무 독특해서 귀에 걸리네요
    하지만 귀한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감사

  • @elgb5671
    @elgb567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블랙홀이나 기타 중력렌즈 효과는 상관없는건가요?

  • @seungshin943
    @seungshin94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재밌어요

  • @user-lu7iw6bm1d
    @user-lu7iw6bm1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직접 관측으로 우주의 거리를 잴때가 우주배경복사로 잴때보다 더 길게 나오는건 은하가 계속 멀어지고있어서 그렇다고 설명할수는 없을까요?

  • @qwertyuiop-d4t
    @qwertyuiop-d4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오늘도 독일어 강좌 잘 들었습니다

  • @user-gu7qq3ej5i
    @user-gu7qq3ej5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둘다 맞는게 아닐까요? 우주배경복사로 측정한 값은 빅뱅이후 지금까지의 팽창 속도의 평균값인거고 변광성을 관측해 얻은값은 비교적 최근의 값이라고 하면 말이될것같습니다

  • @HJ-xt3cm
    @HJ-xt3c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일반인 입장에서는 관측상의 문제를 다루는 국면에선 많은 세부 기술적인 내용을 전혀 몰라도 결과제시만 주어진다면 곧바로 납득하겠지만,
    우주론 모형상의 문제라면 이론적인 얼개라도 알아야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 상황인지 파악할텐데 냉정히 말하면 교양 수준에선 제대로 이해한다는게 불가능한 작업이라 늘 갈증이 느껴집니다.

  • @user-cp1sg4ls7t
    @user-cp1sg4ls7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우주배경복사를 이용한 방법의 문제점으로 우리가 잘 모르는 암흑물질 암흑에너지의 비율을 정해야 하는 점을 이미 언급하셨던것처럼. 더 직접적인 관측법이 더 사실에 가깝다고 생각되네여

  • @user-rz1db7we3v
    @user-rz1db7we3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허블 텐션을 보면 양자역학 느낌남 빛이 파동인것도 맞는데 입자인것도 맞아 와 어쩌라고 근데 이쪽도 맞는데 저쪽도 맞아 근데 둘이 달라 환장하겠다

  • @leehyunkida
    @leehyunkida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주복사열로 측정할 때,
    고려하지 않은 것이 있죠,
    별들이 우주로 방출하는 열에너지를 무시해버렸다는 것.
    그러면서
    이러한 별들의 근처를 우주복사열 측정지대로 선정했다는 것.
    이런 이유로 허블텐션이 커지고 있는 겁니다.
    우주복사열로 측정할 때, 각각의 별들이 우주로 방출하는 열에너지를 측정해서 반영해야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적용하면 허블텐션은 줄어들겁니다.

  • @trollmaster6848
    @trollmaster684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언젠가... 연구가 더 진행된다면 기존의 우주관련 측정 계산식들을 전부 갈아 엎어야 할 수도 있겠네요....

  • @user-dt5eo9sx7p
    @user-dt5eo9sx7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우주의 모든게 톱니바퀴처럼 척척맞물려 돌아가는 것은 아닌것으로 보인다 거대한 우주소용돌이 블렉홀 우주팽창 소멸 이걸다 어떻게 마치 통계학처럼 측정을 할수있을까 ? 지구의 기상조차도 제대로 관측을 못하고 있는데

  • @yongjunkim4804
    @yongjunkim4804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허블과 제임스웹의 빛 이미지 기반 팽창률의 기준점은 우리 은하이고 우주배경복사 기반 팽창률 계산의 기준점은 해당 은하의 최초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어디인지는 모르지만 최소한 우리 은하는 아닐텐데요. 이 둘에 대한 보정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이미지 기반의 관찰은 우주 팽창에 따라 거리가 먼 곳에서 출발한 빛의 속도 변화 정도를 감안해야 하지만 배경복사의 변화 패턴은 이를 감안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이 역시 보정을 어떻게 하는지....보면 볼 수록 궁금한 것이 많아지는 재미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 @mrhoho
    @mrhoh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 보고 갑니다

  • @vinyltent1021
    @vinyltent102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임스웹이 맞는다는 가정으로 같은 수치가 나오도록 우주모델을 수정해보는 연구도 하고있겠죠?

  • @shimhwoo
    @shimhwo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근데 결과가 다 다른값이 나온다면 최초의 가설.. 우주는 구형이라는 명제에 대한 의문은 없는건가요 ? 그건 완전하게 증명된 건가요 ? 그리고 각 방향별로 팽창의 속도가 같다는 것도 가설 아닌가요 ? 천문학에 대해 1도 모르는 사람이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 @viasdkd
    @viasdk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빅뱅이론 자체부터가 말이 안되는 추측 가정이기때문에 그렇습니다

  • @user-vp1qp5dn3d
    @user-vp1qp5dn3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주상수 1 이하라면 제임스웹이 더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끼워맞춰야 하는데 난제가 있었떤게 아니라 난제이기에 끼워 맞출수 없을지도 모르는거니까요?

  • @Brick_in_wall
    @Brick_in_wal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우주가 찌그러져서 있나보지....그래서 보는 위치마다 평창이 틀린게아닐까?

  • @utena6910
    @utena691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34 확실하게 아니면 더 정확하게아 아니라 안전하게라 말하는 이유는 뭔가요 ? 테클이나 그런건아니고 뭔가 천문학적 이유가 있나 순수하게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 @jour2024
    @jour2024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암흑물질이 균질한 밀도로 우주공간을 채우고 있지 않을 가설을 세워볼 수 있죠
    우주론 모델에서 암흑물질 밀도를 설정하는데 거기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단겁니다

  • @히타
    @히타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오호... 역시 빅뱅은 없었어~~~

  • @pilsnerurquell6227
    @pilsnerurquell622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튜브 제품보기 안보이게 하는방법 없나요?

  • @kimbo-kyoungclairehana599
    @kimbo-kyoungclairehana59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James Webb? As long (far) as I remember, David Webb on the cemetery 'Jason Bourn' lol
    + Miss Claire is 김보경 +

  • @user-ow5ii7uk8y
    @user-ow5ii7uk8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정말 자세하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물론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는 못했습니다.

  • @user-pw8no6ni8x
    @user-pw8no6ni8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에테르 기반의 steady-state 우주를 시사하는 게 아닐까요? 우주의 공간이 에테르로 가득차있는데, 이 에테르는 기본적으로 음전기의 입자의 양전기가 균형을 이루면서 궤도운동을 하는 셀들로 이루어져 있는 겁니다. 이는 운동에너지를 의미하는 것이고 그래서 우주배경복사 에너지가 관측되는 것이죠. 그러니 CMB에 근거한 우주팽찰률이 적색편이에 근거한 우주팽창률과 일치하기란 문자 그대로 하늘에서 별따기가 아닐까요? 그리고 먼 곳에서 오는 빛일수록 이 에테르 셀들에 의해 에너지를 더 많이 잃게 되면서 더 많은 적색편이가 있는 것처럼 착각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니 우주 거리 관측에 기본적으로 하자가 있다고 보기 보다는 우주 팽창이라는 전제에 하자가 있는게 아닐까 싶군요. 우주 어느 곳에서 측정을 하더라도 적색편이 양상이 똑같아서 우리의 우주가 마치 상대론적 세상인 것처럼 착각하게 아닐까요?

  • @sanchaeB
    @sanchae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속도가 들쑥날쑥하게 팽창하거나 삐쭉삐쭉 팽창하면 다르게 나오지 않으려나요 ㅎ

  • @jfdkslfjdp9
    @jfdkslfjdp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 생각에는
    1.예전 TV브라운관의 우주 배경 복사 전파 소리는 플라즈마 상태의 소리와 흡사하다.(우주 배경 복사는 마치 누가 벽에 흩뿌린 모양이다.)
    2.우주 초창기 초고온플라즈마 상태에서 시간과 공간이 나오면서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는 꺼졌을 것으로 예상 된다.(각각의 상태로 있는 플라즈마는 있을지언정, 초고온 플라즈마는 급격하게 식었을 것이다.)
    3.급격하게 식은 상태의 우주는 규칙적인 활동이 시작 되었을 것이다.
    4.급격하게 내려갔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공간이 물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 즉, 에너지가 바닥인 상태가 물질이 안정적인 상태로써 어떤것이든 (규칙에 따라서)생성되기 때문이다.
    5.그러므로 공간의 팽창과 온도의 관계는 없을 것으로 생각 된다.

  • @wjyoun
    @wjyou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맞네! 나도 먼지지! 반갑다 우주먼지들... ^^

  • @Sol-Chan23
    @Sol-Chan2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양이가 귀엽내요 ㅎㅎㅎ

  • @kju42
    @kju4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혹시 우주가 한쪽은 팽창하고 한쪽은 수축하고 수시로 교대로 그러는 거 아닐까???

  • @user-ss4dj4fi2z
    @user-ss4dj4fi2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흠 그래 완벽히 이해했어..😅

  • @ol_astronomy
    @ol_astronom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 재밌어요

  • @Rumisiela_Platrabbit
    @Rumisiela_Platrabbit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냥 단순하게 두 방식의 관측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다른 것 아닌가;하나는 A 하나는 B 둘 중 하나가 팽창률 일 수 있고, 둘 다 팽창률 이랑 관계가 없을 수 도 있고

  • @simonlee2216
    @simonlee221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제 4인대담유튜브 잘보았어요 ㅎㅎ 오늘 영상도 잘보고 갑니다 ^^ 먼지님이 연령대를 알수있어서 좋았 (퍼퍽)

  • @user-pg7dr2zh5g
    @user-pg7dr2zh5g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배경복사로 추측한 우주의 전체그림이 잘못됐다는건가요? 중간부턴 이해가안되네

  • @아나타가습기
    @아나타가습기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은하가 멀어지는것이 우주가 팽창하는 근거가되나요? 이동하는것이 아닌이유가 있는지 궁금

    • @user-gf4se5rl9r
      @user-gf4se5rl9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혹시 과학이란거 들어 본적있음?
      우주가 팽창한다는거
      혹시... 모름 ㄷㄷㄷ?

    • @아나타가습기
      @아나타가습기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gf4se5rl9r근거는요?

  • @mikeryu61
    @mikeryu6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주 공간이 팽창한다는 것을 "고르게" 팽창한다고 가정을 했는데 이 생각부터 다시 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는 무심코 고무 풍선이 커지는 것처럼 우주 팽창을 생각하고 있을 겁니다. 그래서 팽창률을 상수로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고무 풍선이 커지는 이유는 알고 있지만 우주 팽창은 그 원인을 모르고 있습니다. 우주가 팽창하는 이유를 모르는데 그것을 상수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잘못일 수 있습니다. 즉 우주의 팽창은 고르지 않고 팽창률은 상수가 아니고 팽창률 자체가 변수이면, 그것은 변수이므로 어떤 방정식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주의 어느 지점에서 그 방정식을 풀면 그 지점에서는 팽창률이 얼마이다 라고 계산되어질 것입니다. 어느 지점마다 그 공간에서의 주변의 질량이나 중력이나 혹은 암흑 에너지의 크기가 다르고 그 요소들이 방정식을 구성하는 종속 변수일 수 있지요.

  • @mamdearo8126
    @mamdearo812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난 궁금한게 빛을기반한 측정이 맞는건지 그건 단지 모델일뿐 별은 많은가스와 자기를 형성할텐데 그빛이 정확히 아무영향없이 직진하는게 맞는지 오차는 없는지 밀도에따라 달리봐야하는건 아닌지 지구를 기준으로 볼게 아니고 지구보다 몇백배 큰행성과 은하와 구성성단의 환경을 먼저 생각하고 그다음 빛의 거리를 측정해야하는건 아닌지 그런 보정모델이 있어야 할듯싶은데!

  • @kimking1440
    @kimking1440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주 단순하고 다른 이야기일 수도 있는데
    두개가 미묘하게 다른걸 측정하는 중일지돟ㅎㅎ

  • @user-zu5rd1ft8w
    @user-zu5rd1ft8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태양계 생성이후 빛의 이동 시간을 제외하고 먼지구름이 행성으로 진화하는 시기만 제외하면 뭐,,,,, 가스 구름들이 막고 있던 시기 제외하면 태양계는 단 하루도 불이 꺼지지 않는 난로위에 있는데,,,,, 왜 추운가 하는점이죠.

  • @user-xj8lq7jr8p
    @user-xj8lq7jr8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달.화성표면을 선명하게 보듯이 10광년내에 있는 행성표면 이라도 볼 수 있으려면 아직 멀었겠죠?

  • @user-ig7nj1xb5r
    @user-ig7nj1xb5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초신성 밝기와 거리문제도 해결해야하지 않나요?

  • @jiyoo6448
    @jiyoo644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지의 우주에 대한 불확실성의 법칙을 제임스웹으로 관찰해 버림으로써 하나의 가능성으로 결정되어져 버리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