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초로 대기압에서 다이아몬드를 만들어냈다?! 우리나라가 주도할 수 있는 합성 다이아몬드 시대! 드디어 열리나? [항성의 우주속으로]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15

  • @SDKIM-wd9zq
    @SDKIM-wd9zq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0

    김범준 박사님 채널에서 대략적인 내용은 들었는데 이렇게 자세히 자료까지 첨부해서 설명해 주시니 이해가 너무 잘되네요. 앞으로 심순애가 김중배의 다이아몬드에 넘어갈 일은 없어지고 디카프리오도 아프리카까지 가서 고생할 일이 없어지겠네요. 항성님 얼마 안되는 짧은 시간에 자료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geerapiujrpiun
    @geerapiujrpiu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7

    이렇게 논문 설명하는 컨텐츠 너무 좋은 것 같아요.

  • @듀폰-v3x
    @듀폰-v3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9

    다이아가 보석 외에도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고루 쓰인다던데
    저렇게 값싸게 공급이 된다면 진짜 다방면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겟네요

  • @hyo3377
    @hyo337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3

    다이아몬드가 비싸서 그렇지 정말 엄청난 쓰임새를 가진 소재로고 본적이 있는데 이렇게 훨씬 저가로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면 활용도가 정말 커지겠네요.
    언젠간 다이아몬드 밧줄, 전선, 반도체등도 나올듯.

  • @꿈동산-p9z
    @꿈동산-p9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14

    안녕하세요. 본 연구의 참여자입니다. 저는 1저자도 아니고 2저자도 아닌 3저자오브3저자입니다. 그래도 안될과학에 소개되어 영광입니다.
    종종 이공계를 잘 모르는 지인들에게 제가 하는 과학이라는 일이 무엇을 하는거냐는 질문을 받습니다. 제 대답은 한결같습니다. "(빵끗 웃으며) 손에 들고 계신 스마트폰이요. 입고 계신 옷이요. 저기 충전 중인 전기차요." 이렇게 대답한 후에 제가 '진짜로' 하는 일을 간단하게 설명하곤 했습니다.
    이젠 답변이 하나 더 추가되겠네요. "끼고 계신 반지에 다이아몬드요."
    처음부터 이렇게 이상한 답변을 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진짜' 제 일에 대해 먼저 이야기하면 모두가 약속이라도 한 듯 똑같이 되묻더라구요. "아휴 머리아파. 그런걸 해서 어디에 써먹어요? 그걸 누가 알아줘요?" 그래서 답변 순서를 바꾸었을 뿐입니다.
    제가 여태 한 연구는 늘 일상의 발전과 함께 해오고 있다 믿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이공계 분들에겐 너무도 당연한 일상이어선지 그 당연함이 어느 날 갑자기 뚝 떨어졌다 여기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기둥 뒤에 사람있어요!)
    이번 연구를 이공계가 아닌 분들과도 나눌 수 있어 참 기쁩니다. 제가 참여한 연구가 예상치 못한 각종 사이트에서 언급되리라고 생각해 본 적은 한 번도 없었거든요. (이제 연금술로 금을 연성하자는 분이 계셨는데 가장 인상적이었어요.)
    이번 연구를 접한 분들께 과학이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여겨졌으면 좋겠습니다. 하물며 지금 들고 계신 스마트폰 뒤에도 과학자가 있으니까요. 스마트폰이 자기 혼자서 뚝딱뚝딱 발전해오지 않았습니다.
    이번 연구로 조금 더 과학에 가까워지셨길, 그리고 그로 인해 즐거우셨길 바랍니다.
    + 울산과학기술원 화이팅!

    • @DG_Seo
      @DG_Se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연구는 한번도 발을 딛지 않은곳을 걷는 것이라고 강연에서 들은 적 있습니다. 각자 분야의 프론티어가 되겠다는 열망으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울산,광주,대구,대전 과학기술원 여러분들 응원합니다.

    • @PonyboyKim
      @PonyboyKi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대량 생산 언제 즈음 가능하나요?

    • @amigoblast2095
      @amigoblast209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대단한 일을 하고 계시는 것에 존경을 표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qhtmxjalspdl
      @qhtmxjalspd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응원합니다

    • @신데렐라잠못자면-r9u
      @신데렐라잠못자면-r9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글에서부터 본인이 하고계신일에 대한 자신감과 자부심이 느껴지셔서 너무 좋습니다
      자세히 풀어서 30분정도에 불과한 설명이지만 이걸 직접 이뤄내시기까지 상상도못한 노력과 시간이 들었다는것은 의심할 여지가없겠지요 항상 감사하게생각하고있습니다
      모든 과학자 연구원분들 응원합니다 화이팅!!

  • @zoo2_dev
    @zoo2_de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2

    논문이 어렵다는게
    논문이 복잡하다는게 아니라
    너무 내용이 탄탄해서 그런거였군요

  • @allenyoo57
    @allenyoo5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4

    공업용 다이아몬드가 합성다이아몬드가 사용되기 시작한지는 꽤 오래 되었습니다. 합성다이아몬드 제조할때 크기가 큰 보석수준의 다이아몬드는 잘 안만들어지고 결정성이 떨어지는 다이아몬드가 주로 만들어져서 보석등급이 아닌 다아아몬드는 공업용으로 사용했습니다. 여러가지 절삭용이나 연마용 공구에서 사용되는 다이아몬드는 거의 합성다이아몬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 @hongsukbeum
      @hongsukbeu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요즘은 사치용 다아아도 나옵니다 천연보다 훨씬싸고 품질도 좋습니다 다만 환금성이 떨어집니다

    • @J.H__
      @J.H__ 9 месяцев назад

      ​@@hongsukbeum천연도 별로

    • @흰집토끼
      @흰집토끼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다이아가 비싼건 공급량통제가 큰 이유

  • @랫서팬더-c9y
    @랫서팬더-c9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난 항성이 진짜 다른 석박사들보다 설명 잘해 주는 분야가 있을 거라 믿었었는데 믿음에 보답하는구나 그전처럼 재미만을 추구하지말고 자신의 개성과 장점을 살려 이런 식으로 진행하면 궤도보다 더 인정받을 수 있다고 본다

  • @haejigwon8867
    @haejigwon886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규소가섞인다이아몬드도 생성이가능한거면 나중에 다른게 섞인다이아몬드는 일반적인 다이아랑 다른 성능이나 다른강도나 다른색으로 발견될수도 있을거같네요
    진짜 상업용을 떠나서 흥미로운 연구인데 결과물이 나오기까지 연구원분들 정말 고생하셨습니다!

  • @KingOfHajike
    @KingOfHajik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이대로 가면 임플란트 크라운으로 다이아 옵션도 나오겠네요. 블링블링!

    • @얍브로
      @얍브로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거지!

    • @poa_
      @poa_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이가 갈리잖아요 그러면 ㅋㅋㅋㅋ 맞닿는 부분도 같이 다이아로 해야할듯

    • @Zwischen_Verrater_8_patriot
      @Zwischen_Verrater_8_patrio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 해결책 감사합니다 ㅋㅋㅋㅋ맞닿는 치아도 다이아로 바꾸면 되겠군요 ㅋㅋㅋㅋㅋㅋㅋ

    • @김유빈-h6m
      @김유빈-h6m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깨져요

    • @isshim62
      @isshim6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리도 아주 얇게 만들면 깨지 않는것 처럼 다이아도 박막으로 만들면 깨지지 않을것 같기는 한데...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상압에 저 조성으로 된다는걸 알기까지 얼마나 많은 실험을 했을까ㄷㄷ

  • @raykim1812
    @raykim181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53
    아무리 커팅을 동일하게 했어도 두개의 서로 다른 다이아몬드 이미지가 저렇게 완벽하게 동일할 수 있을까요?
    동일한 이미지라는 의구심을 지울 수가 없네요

  • @황건하-d4m
    @황건하-d4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냥 뉴스만 봤을땐 회의적이였는데, 이렇게 논문+해설을 들으니까 믿음이 가네요

  • @식물원-g4w
    @식물원-g4w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화학적 방법 설명하실 때 탄소를 가지고있는 기체로 수소가 어떤 의미인가요? 6:30

  • @LF-mz5if
    @LF-mz5i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설명을 들어보니 저도 다이아몬드 만들 수 있을 것 같네요 지금부터 예약 받아요

    • @하루종일배고파-m6b
      @하루종일배고파-m6b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예약합니다. 5천원치 만들어주세요.

    • @푸른바다-p4c
      @푸른바다-p4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루종일배고파-m6b이분 거 사지 마세요… 전기밥솥에서 만든 거라 잘 부서져요!!!
      제가 압력밥솥으로 성장시키느누방법을 개발했어요…
      Trandisional Gama of korea historic(TGKH) 기법을 개발했어요!!!

  • @MultiLecIEL
    @MultiLecIE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합성 다이아몬드를 전공학 박사로서 물론 합성 메커니즘은 조금 다르게 저는 연구했지만 이렇게 우리나라도 다이아몬드를 연구하고 있다 라는게 세상에 알려지니 기분이 좋습니다..ㅎㅎ

  • @이해안-s3i
    @이해안-s3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최고의 설명..

  • @아반떼도르-g1k
    @아반떼도르-g1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우리나라가 다이아 수출국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Do_Chi
    @Do_Ch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대한 풀어서 설명해주셨지만 그럼에도 간혹 어려워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 있었지만 정말 좋은 리뷰였다고 생각합니다
    종종 이렇게 콘텐츠를 다룰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parkin-soo3324
    @parkin-soo332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좋은 내용 쉽게 해설 감사합니다. 다만 중간에 TEM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알려주셨는데요. 주사전자현미경은 SEM이고, TEM은 투과전자현미경이라 바꿔서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 @park6808
    @park680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설명 너무 쉽게 잘해주시네요 ㄷㄷ

  • @Minority1376
    @Minority137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근데 다이아에만 초점이 맞춰진거 같은데, 메탄 가스를 다이아로 즉, 대기중의 탄소를 고압축의 고체로 고정을 시키는 결국 탄소포집기술 아닌가요.
    지구온난화에 혁신적인 기술 같은데

    • @이성준-n5o
      @이성준-n5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메틴가스를 가장ㅊ고부과가치러 바꾸는것 같습니자 이햐 동감합니다.

    • @Zwischen_Verrater_8_patriot
      @Zwischen_Verrater_8_patrio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 일리는 있어 보이는데, 지금 정도의 사용으로는 너어어어어무 미미해서 아직은 탄소포집기술이 가능해졌다는 언급은 안 한 것 아닐까 합니다

    • @팩트폭력배-v3c
      @팩트폭력배-v3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탄소 포집기술은 이미 있어요. 가동하는데 발생하는 에너지가 더 커서 실용성은 없지만요

  • @jinyoungjung4417
    @jinyoungjung441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06 에 나온 사진은 두개가 다른게 아니고 같은 사진 복붙으로 보이는데요;;; 전체 내용에서 중요한 부분은 아니겠지만요...

  • @7H_SARGU
    @7H_SARG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제작 방식부터 다이아몬드 시드들이 여럿 모여서 만들어지는거보니 공업용 다이아몬드 제작에만 사용될 수도 있을거같네요 다결정 다이아몬드면 아직 발전해야할 측면이 많은건데.. 사람들이 보석으로 의미를 두는 다이아몬드가 주로 단결정 형태라서 실용화하려면 오래걸릴듯?

  • @LeeTaeha
    @LeeTaeh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컴퓨터 써멀도 다이아몬드 들어간거 있던데 뭔가 그런데도 활용이 더 되겠죠?

  • @이하윤-r1y
    @이하윤-r1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엄청 흥미로운 주제였는데 쉽고 구체적인 정보전달 감사합니다~ 저도 설레발 치게 되네요 전폭적인 지원 받기를!!!!

  • @싸백-q1z
    @싸백-q1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와.. 정말 신기하네요
    항성님 설명도 너무 쉽게 잘해주셔서 재밌게 볼수있었습니다!!

  • @Renlaw666
    @Renlaw66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이제 다이아몬드 수저 다이소에서 파나요?

    • @le6356
      @le635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상용화 될려면 10년은 더 기달려야 할걸요
      이번 연구는 상온에서도 인공다이아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결과고요.

    • @슈퍼nova
      @슈퍼nov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고체 밧데리 아직도 연구중

  • @muse1318
    @muse131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상식을 깬 연성입니다. 다이아몬드를 떠나 '액체연성'으로서의 가능성으로 제 2의 연금술 시대를 열어준 것 같아요!

  • @김범재-m4o
    @김범재-m4o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상적인 절연체에 가까워서 전기전자분야에서 비싸서 못쓰던 븐야에서 활용이 가능해 지겠군요.

  • @항송-i2k
    @항송-i2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실이고, 박막을 고품질, 그리고 크기를 키울수 있다면,
    반도체 분야에서는 일대 혁명이 일어 날거에요
    열 때문에 못하던 반도체 분야의 발전을 몇 단계는 끌어 올릴수 있을듯
    가격이 초반 아주 저렴하지 않더라도, 특수분야, 군사분야에서는 쓰이니까 성능이 된다면, 가격과 관계 없이

  • @cookhun
    @cookhu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증착같은게 가능하면 액정필름도..?

  • @yoyolover2000
    @yoyolover200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5캔크리는 몇캐럿???

  • @dobby.is.free.
    @dobby.is.fre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5

    이 방식으로 다이아 만들어서 프로포즈했습니다

    • @삼악여우
      @삼악여우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그리고 거절 당했나요?

    • @dobby.is.free.
      @dobby.is.fre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삼악여우집에서만든 상온초전도체를 보여줬는데도 거절당했습니다

    • @박승수-q8z
      @박승수-q8z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너무해...

    • @elvenisar
      @elvenisa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이런식으로 장신구용 큰건 만들수 없구요, 공업용 만드는겁니다. 다이아몬드 샤프너(사포... 근데 사용법 지켜 쓰면 20년도 쓸수있는....) 나 드릴팁같은거...

    • @poa_
      @poa_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elvenisar고온 고압으로 장식용 다이아 만들어서 팔고 있긴 합니다. 저걸로 장식용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 @Happyday-m6u
    @Happyday-m6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옷감이 저렴해지고 대량생산되면서 패션산업이 부흥한것처럼, 다이아 원석이 저렴해지면 유럽 왕족이나 하던 왕관이나 팔찌 목걸이도 일반 서민들도 할수 있는 시대가 올것 같아요!! 우리딸 시집갈땐 10캐럴짜리 다이아로 프로포즈 받으려나?? ^^

  • @luneclips
    @luneclip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이아몬드 반도체소재 기대해봅니다

  • @hchoi31
    @hchoi3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희 어머니가 저런 실험실에서 만든 다이아를 샀는데 자연 다이아보다 훨씬 저렴하고 봐도 다른점이 전혀 없다고 하더라구요. 실제로 보니 그냥 완전 똑같아요

  • @오늘도_화이팅
    @오늘도_화이팅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빨리 상용화해서 다이아몬드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 @오메-r2d
    @오메-r2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미래에는 다이아로 임플란트하면 튼튼하고 좋을듯

  • @mina-p3c-z4y
    @mina-p3c-z4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나도 모르겠지만 실생활에 싸고 쉽게 쓰일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면 온실 기체인 메탄을 다이아 형태로 만들어서 탄소 중립 같은거에 기여도 가능한건가...?

  • @sang-wookahn2147
    @sang-wookahn214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와 이렇게 되면 각종 색깔이 들어간 다이아몬드도 생성할 수 있겠네요!!! @0@

  • @MrBangbe
    @MrBangb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 연구를 실용화.대량생산에 나서려면 또 한 20년 30년은 걸릴 겁니다. 그 과정에서 또 무수한 시행착오와 오류들, 가성비문제등이 발생되겠죠..ㅜㅜ

  • @건전지맛사탕
    @건전지맛사탕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다이아몬드에 붕소 넣어서 다이아몬드 반도체 기판이 가능할까요?

  • @블루잉-p7v
    @블루잉-p7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30 사진이 똑같아 보이는 것이 아니라 그냥 똑같은 사진이네요. 황우석도 아니고.. 실망이야 ㅡㅡ

  • @CrazyDOX
    @CrazyDOX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53 그냥 같은 사진이자나

  • @나이즈-h1c
    @나이즈-h1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염전에서 소금이 생성되듯이, 영하의 온도에서 얼음이 만들어 지듯이, 다이아몬드가 자라면서 생성되는 환경을 만들어 냈다는 게 놀랍네요!

  • @로키비키
    @로키비키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탄소주택의 시대가 오는겁니까.
    탄소포집도 동시에 가능하겠네요.

  • @Jackal_GN
    @Jackal_G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예전 과학 선생님이 다이아몬드는 독점해서 비싼 거라고 이야기 들었네요. ㅎㅎ

  • @Elhwarang
    @Elhwara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무려 네이쳐
    제발 다이아몬드커터 가격이 싸지길…!

  • @퍼런냥이네로
    @퍼런냥이네로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쩌네. 이러면 M4 Tap이 다이아로 나올수도 있나?? 이제 진정 부러지지 않는텝이 나오는건가..

  • @낄낄대마왕
    @낄낄대마왕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마인크래프트 업데이트가 기대되는 현실패치네요

  • @sunplekim
    @sunplekim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와 그냥 단순히 만들어냈다가 아니였네요

  • @sfk1031
    @sfk103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용암으로 다이아몬드가 생기면 백두산은 다이아몬드가 널려있어야지.
    유리보다 약간 경도가 높은거 뿐인데

  • @danntz_nimlord
    @danntz_nimlor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처음부터 끝까지 스톱안하고딴거안보고 눈을땔수없게 지금까지알고 잊고지냇던 지식들이 쏙쏙살아나 재밋게들엇습니다

  • @victorchoi8102
    @victorchoi810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판도라는 랩그로운 다이아몬드를 상업생산해서 대박내고 잇던데 분발합시다!

  • @barcef
    @barcef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역시 다이아몬드도 자연산이죠

  • @zoo2_dev
    @zoo2_de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노가다의 민족

  • @dss905
    @dss90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드비어스 비상회의 하는 소리가 들린다~ 대충 보니깐 랩그로운 방식까지 컨트롤 해서 천연시장 가격방어 노력하더만.

  • @lighthouse00
    @lighthouse0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사실 다이아몬드보다 금이 훨씬 가치있는건데...
    다이아몬드는 영원히.. 라는 잘만든 광고문구 하나로 값어치를 사기치는 수준임..

  • @Hoectun
    @Hoectu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산업스파이를 잡는 인력을 확충하고 처벌하는 법규도 강화해야 합니다

  • @이몽몽이
    @이몽몽이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신기방기

  • @ho-cd4el
    @ho-cd4e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고급 기술이 아니라면... 가난한 개도국 시골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공장마냥 찍어낼 수 있지 않을까요 ?

  • @azoozypark
    @azoozypar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이아몬드 안경 가능?

  • @좌파혐오
    @좌파혐오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압력없이 만든 다이아의 물성이 기존의 것들과 동일할 것인가? 이게 중점이 될 듯 하네요.
    뭔가 쉽게 으스러질 것 같음.

  • @mochamzi
    @mochamz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래서 화학을 전공해야

  • @easttop1214
    @easttop121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제 동네 대장간 수준에서도
    다이아몬드 생산이 가능하겠군.

  • @강병길-j3r
    @강병길-j3r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구분돼는데 합성이 진하고 천연이연함

  • @paluna77
    @paluna77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걸 보자 마자 다이야몬드 반도체가 생각이 나네요

  • @jaylee5197
    @jaylee519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이아 틀니하면 간지날듯.

  • @밥퉁이
    @밥퉁이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 @비타미니-t2w
    @비타미니-t2w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와~~ 이정도면 노벨상 감 인데요

  • @너행나행
    @너행나행 8 месяцев назад

    CH4에서 C를 분리 하면 수소도 만들어 지나요??

  • @MrMildeye
    @MrMildeye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랩다이야가 더 발전할것 같아 다야몬드 반지는 결혼할때 뺐는데 올바른 판단이었네요 ㅎ

  • @zoo2_dev
    @zoo2_de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이아몬드는 도체인가요? 부도체인가요?

    • @ChunSik262
      @ChunSik26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반도체

    • @InitialJKJ790
      @InitialJKJ79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부도체입니다. 윗 댓글 분 제대로 알고 글을 쓰세요. 다이아몬드는 부도체이면서 금속 못지 않는 열전도성 특성을 가집니다.

    • @ChunSik262
      @ChunSik26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InitialJKJ790 님이나 제대로 알고 글 쓰세요. 나노단위에서는 반도체입니다.
      논문 찾아보니 요즘은 다이아몬드에 도핑까지 일부 성공했다는것 같네요

    • @InitialJKJ790
      @InitialJKJ79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ChunSik262 어휴 일반 물질과 나노크기 물질은 나눠 말해야지. 다이아에 대해 묻는데 나노다이아는 반도체니까 님 틀렸음 하는 수준. 그렇게 따지면 나노금은 보라색이니까 금은 노란색 금속성 광택물질이라 하는것은 틀림이라고 하는 거랑 뭐가 다름?

    • @ChunSik262
      @ChunSik26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InitialJKJ790 나노크기에 의한 특성은 아님. 그래서 님 말이 틀린것임. 다이아몬드의 밴드갭을 조정하면 반도체 특성이 나타나게 되는데 현재로써는 나노 단위에서만 가능할뿐임. 그리고 반박할거면 최소한 논문은 읽고와

  • @seorang67
    @seorang6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압력없으면 쉽게 깨지겠죠

  • @JminKwon
    @JminKwo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이아몬드 행성 그거 둘리에서 봤음.

  • @발광견
    @발광견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연금(강석)술 ㄷㄷ..

  • @lumina3914
    @lumina391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탕후루도 이렇게 만들면 장난아니겠는대요?

  • @notime4caution
    @notime4cautio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거 보고 다이아반지 사지 말자했다가 싸웠습니다

  • @heroturbo76
    @heroturbo7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이아몬드를 예물로 사용하는일은 점차 사라질듯하군요

  • @셩이름
    @셩이름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귀금속 다이아몬드 가치 하락.. 하지만 산업에선 널리 이롭게 쓰일듯

  • @장재혁-v9g
    @장재혁-v9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원이 없으면 만들면 되지 ㅋㅋㅋㅋ
    잘 들었습니다.

  • @sunglee500
    @sunglee50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상온초전도체 2탄 아닐까?

  • @jmc9678
    @jmc967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노벨상 도전!

  • @wpoijwelifongewqth2775
    @wpoijwelifongewqth277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다이아몬드에 가장큰 문제는
    합성다이아몬드하고 찐다이아몬드하고 구분하기가 쉽지않다는거임
    이게 시세를 개떡락 시킨다
    다른 명품이라고 부르는것들도 마찬가지임
    모든 명품이라는거에는 짭이라는게 모두다 존재함
    그게 얼마나 구분을 하기쉽냐에따라 명품이 가치를 받는거임
    명품들은 최대한 짭들이 따라오지못할 식력들 제품에 보여주는것이고
    짭은 최대한 찐이랑 구분하기힘들정도로 따라하는거임
    그게 차이가 크면 명품의 가치가 높아지는거고
    짬과찐이 구분하기 점점 힘들어짐에따라 명품의 가치는 떡락하는걷임

    • @orayang76
      @orayang7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다 아는 얘기를 넘 자신있게

    • @121laudarg
      @121laudar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차피 다른 점이 없는데 시세 떨어지면 좋은거지 뭐 ㅋㅋ

  • @mudkorea
    @mudkorea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래서 언제부터 생산을 할수 있는데... 삼성에서 뛰어 들어야 반도체공장에서 만들수 있는 건가?

  • @떠도는이야기-j6c
    @떠도는이야기-j6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뉴스에서 여자분이 다이아몬드 만들고 있더라구요. 그분이 만든 합성다이아를 가지고 많은 남자들이 자연다이아라고 여자들을 속일 수 있습니다. 여자의 적은 여자인것 같아요.

  • @lichttages2509
    @lichttages250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 방법으로 탄소 포집이 가능하면 좋겠다고 생각해뵜네요 개굿

  • @김규수-v8o
    @김규수-v8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허 슈퍼맨 다야모드

  • @슈퍼nova
    @슈퍼nova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렇게 쉬운데 다른팀이 도전하지 않았다는게 미스테리 한국 연구진만 성공했다는게 소름 결론 말이않됨

  • @희택-1
    @희택-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언젠간 금도 만들어질까요. 파장이 정말 클듯.

    • @내년-s7s
      @내년-s7s 9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지금도 가능. 근데 만드는데 금값보다 돈이 더 많이 들어감

    • @PETBOY
      @PETBO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금은 힘듬 제작비용이 훨 많읻ㅁ

    • @jechun772
      @jechun77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인공의 다이아몬드는 흑연의 탄소를 구조만 다르게 만드는 것이고 납등을 이용햐소 금을 만드는 것은 원자 자체를 바꾸는 것이라 난이도가 많이 다릅니다. 그러니 지금 다른 방법의 인공의 다이아는 있지만 인공의 금은 없습니다.

  • @다시다Begin
    @다시다Begi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 인조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면 다이아몬드 회사와 블러드 다이아몬드 그리고 많은 가공업자들 굶어죽는건가 궁금하네

  • @ParkChangHoon
    @ParkChangHoo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이아몬드 총알 추천

  • @어슬렁곰아재
    @어슬렁곰아재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레이저 무기의 보편화 시대가 오지 싶네

  • @user-dj7wo8hx1j
    @user-dj7wo8hx1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김범준교수 영상만봤을때는 먼소리야 했는데
    논문가지고 쉽게얘기해주니까 귀에 쏙쏙박히노

  • @0Ooc
    @0Oo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사등!!

  • @hojoonruooct1653
    @hojoonruooct165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이아 인조뼈.치아로 건강하게 살아갑시다

  • @tko2384
    @tko2384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비브라늄의 시작인가..

  • @H2024-k2e
    @H2024-k2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드비어스가 창고에 다야몬드 쟁여놓고 조금씩 조금씩 풀면서 꿀팔던 시대가 가는구만.

  • @diaragon6
    @diaragon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제 다이아몬드로 표면 코팅한 차도 나오겠네....
    잔기스 걱정 마세요. 문 콕도 신경 쓸 필요 없습니다......뭐 이런 문구 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