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전기차 사도 되는 줄 알았는데.. 결국 예상치도 못한 문제 터졌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spoiler_official
    @spoiler_official  2 года назад +24

    섬네일 이미지 : 네이버 남차카페 - 김진선님 제보
    cafe.naver.com/motorsjason/276

    • @SaharaMoon
      @SaharaMoon 2 года назад

      베터리산업이 극악의 지구파괴산업이라고 합니다.
      희귀금속 몇그램을 얻을려고 산 하나가 날라간답니다.
      지구를 더빨리 파괴할려는 사탄주의자들의 선동질이라고 합니다.

    • @커서히딩크
      @커서히딩크 2 года назад

      허경영이 핵연료를 소형화한다고 했는데 가능할수도...

    • @한용-j2z
      @한용-j2z 2 года назад +1

      영상은 아주 잘봤습니다.
      영상의 내용처럼 여러문제점때문이란 구조때문에 전기차시장이 아직은 시기상조란말은 다소 저의 입장에서는 와닫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시기상조는 딱히 존재하지 않는듯합니다.
      어느 분야가 발전하기위해서는 투자가 필요합니다. 그 걸 피해라고 할수없는것이죠
      자그럼 기존의 내연차는 완전한 성능으로 차가 처음부터 뛰었났을까요 ?? 아니죠 수십년동안 꾸준히 발전해서 온게 지금의 내연차들입니다.
      그 수십년동안 투자 구매 투자 구매가 이루어짐으로인해서 발전하게된것이죠
      전기차시장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더빠른 발전을 위해서는 투자가 필요합니다.
      전기차가 아직은 시기상조이다 그래서 전기차구매들을 더안하고 늦어진다 그럼 늦어질수밖에없습니다.
      천기차를 구매함으로 인해서 계속 꾸준히 발전하면 더빠르게 그분야의 시장체제는 시간이갈수록 더빠르게 발전할수밖에 없습니다.
      향후 5~10년까지도 전기차시장은 급부상하겠지만 더빠르게 급부상하면 그에 맞추어서 관련 기술은 더빠르게 성장할수밖에없습니다.

    • @jw9913
      @jw9913 2 года назад

      명절때 5분내외로 완충안되면 ㅈ되는거지. 그 이야긴 결국 충전소에서 더 많은 충전기가 생기더라도 전기차 보급이 급격히 되면 답이 없는 문제임. 따라서, 기술발전을 계속하며 전기와 휘발유의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수소의 하이브리드로 가야하지 않을까 개인적인 내피셜임..매년 전기차수요가 늘면서 더딘 충전보급과 한계 임계점이 있는 충전속도로는 급격한 전기차 보급은.재앙이 될지도 모름.

  • @이름-k8h1z
    @이름-k8h1z 2 года назад +138

    BMW회장이 던진 화두를 지금 현대사회가 전부 나서서 소통과 토론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봐야할텐데 과연 이권이 걸린 문제에 대해 얼마나 건전한 담론이 오갈지 개인적으로 좀 회의가 듭니다 영상 잘보고 갑니다

    • @karisam91
      @karisam91 2 года назад +16

      자동차가 시속 10km를 막 넘어가고, 교통사고 사망자가 나타날때 마차회사들이 했던 말과, 저 집세 회장이 하는 말이 같습니다. 시기상조다. 주유소도 모자르다. 마차로 더 가야한다. 그러다가 마차는 이제 관광지에나 남았습니다. 비엠더블유가 "우린 아직 준비가 안됐다."이 소릴 하는 것 뿐이죠. 현대만 해도 충전소 자기들이 여기저기 만들고 있는데요. 비엠더블유는 충전소 만들어봐야 남 좋은 일만 시킨다는 결론을 내린거죠.

    • @JNGWKLEE
      @JNGWKLEE 2 года назад +1

      @@karisam91 차이점이라면 과도한 정부개입 아닐까요?

    • @karisam91
      @karisam91 2 года назад

      @@JNGWKLEE 다른 나라들은 보조금 한국보다 많습니다. 한국이 보조금 줄인다고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냔 소리 들을 만큼이요. 즉.정부개입 뿐 아니라 국제기구의 개입이 있습니다.
      CO2줄이는 건 세계적 합의이고, 그래서 전기차에 보조금 주고, 생산량의 일정량을 전기차, hev,phev로 만들도록 강제 하고있습니다. 독일도 강제하는데, 독삼사와 폭스바겐이 능동적으로 대응 못하고, 결국 뒤쳐지고 있으니 갑자기 마차회사가 소비자 걱정 하던 짓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바꾸라고 강제해도 설마? 이러던 오만함이죠.

    • @JNGWKLEE
      @JNGWKLEE 2 года назад +2

      @@karisam91 국제기구도 결국 정부들이 모여 만든거니 정부개입이라고 무방하죠. 친환경차 쿼터제 정도야 다들 알고 있는 사실이죠 phev 같은 경우는 독일 브랜드들도 제법 많이 판매하고 있죠. 앞으로 전기차 시대가 오는건 확실하지만 소비자들도 부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저처럼 소비자입장에서 선택지가 줄어드는게 불만인 사람들도 제법 있습니다. 몇몇 브랜드들 만의 걱정이 아닌거죠. 개인적으로 PHEV까지 남는것도 나쁘지 않을거 같습니다. 유로7을 넘어서 유로8,9까지 기준을 만들면 OEM들도 기준을 맞추기 위해 개발을 하거나 아니면 포기하고 완전 전기차로 넘어갈 수도 있겠죠. 제 기준에서는 이런면이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했습니다. Co2 감축면에서 전기차가 도움이 어느정도 도움이 되는건 맞지만 사실 세계의 공장을 맡고있는 국가들의 협조없이는 사실 종이빨대정도의 임팩트라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옵션이 많은것도 좋구요. 저는 전기차 내연기관차 둘다 좋아하는 입장으로서 여러 선택지가 좀 더 오래 남아있으면 좋겠습니다.

    • @karisam91
      @karisam91 2 года назад +2

      @@JNGWKLEE 정부개입이 없다는 말씀이 아니었다는 건 아실테구요, 친환경이라는건 강제가 아니면 이루어지질 않습니다. 강제와 혜택. 폐수배출도 수질기준을 만드는게 이미 법이고, 정부인걸요.
      그런데 그 강제가 나라의 경제로 넘어가면 무너집니다. 자국의 이익이 환경에 우선하는 거죠. 그게 지금 벌어지기 시작한거라 봅니다. 그런데, 자꾸 그러다보면 암담한 미래는 더 빨리오는게 문제죠.

  • @karisam91
    @karisam91 2 года назад +12

    이게 전기차만 남고, 내연기관차를 없애면 독일이 경제 위기로 빠집니다. 독일 경제의 20%가 자동차입니다. 독일 국민 5명 중 1명은 자동차 관련산업에 종사한다는 거구요, 전기차 시장은 계속 커지는 데, 독일의 전기차 점유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독일 경제학자들이 독일 경제가 전기차 때문에 위험해질 수 있다고 경고를 계속 해왔구요,
    게다가 독일이 eu에서 입김이 셉니다. 그래서 내연기관차 없애는 시점을 뒤로 미뤄야 하는 논리를 개발한겁니다.
    전기차 운영을 위한 인프라는 전기차가 많아지면 그게 돈이 될 거기 때문에 사기업체들이 돈을 보고 뛰어들게 됩니다. 그걸 쓸 데 없이 차 회사가 걱정을 한다? 웃기는 짓이지요.
    독일이 지금 전기차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고 있다보니 이런 어거지를 쓰기 시작하는 건데요, 독일이 입김이 세지만, 미국 입김은 더 셉니다.
    시대의 흐름을 일개 차회사가 바꾸지는 못합니다. 마차타고 다니던 시절에 자동차들 시속 12로 갔습니다. 그러다가 교통사고나서 사람들 죽고 그랬을 때, 자동차는 시기상조란 소릴 마차회사들이 계속 했죠. 그러나 지금 어떤가요. 마차는 관광지에나 있습니다.

  • @JNGWKLEE
    @JNGWKLEE 2 года назад +130

    전기차가 예전보다 많이 팔리는 이유는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보다는 이제 살만한 상품이 되어서겠죠. 이제는 전기차만의 장점이 뚜렸하고 치명적인 단점들이 어느정도 개선이 되었으니까요. 근데 역으로 생각해보면 보조금이나 법적으로 내연기관차를 급히 금지시키려는 움직임 또한 아직 전기차가 가진 한계가 명확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너무 급히 추진하는 느낌이 강하긴 하네요.

    • @zeataa5615
      @zeataa5615 2 года назад +4

      급하게 움직인다고 생각할수 있는데 현재
      2040~50년이 인류 멸망급 지구 오염이라고 예측하고 있음 이산화탄소 배출때문에 .. 그래서 현재 빠르게 친환경으오 전환해야되는데 아직도 늦은 편이죠
      실제로 환경 개선하려면 당장 전 산업에서 탄소 마이너스 배출량을 이루어야 합니다.

    • @dbstjrdufqudtls
      @dbstjrdufqudtls 2 года назад +4

      지구를 최우선으로 생각한다면 절대 급하다고 생각할수 없음. 지금도 늦었음. 괜히 전기차에 목메는게 아님. 지구를 구할 시간은 너무 없고 현재로써 가장 괜찮은 대안이 전기차야서 그런거지. 비엠회장? 그사람도 환경을 제일 먼저 생각했다면 저런말 못하지. 물론 전기시장 원자재 독점이라는 문제는 있다고 치나 지구가 언제까지 기다려줌? 사태의 심각성을 좀 알아야 할듯

    • @NGC_4594
      @NGC_4594 2 года назад +3

      @@dbstjrdufqudtls 뭐가 어떻게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려줘야지 그냥 존나 심각함 해야함 그럼 누가 믿어주냐

    • @JNGWKLEE
      @JNGWKLEE 2 года назад +3

      인류멸망급까진 아니고 이런저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높음. 그렇다고 해도 우리는 계속해서 고효율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은 변함이 없음.
      자동차를 평가할때 현재의 CAFE(단순 운용에서 배출되는 탄소배출) 방식에서 LCA로 평가를 하면 전기차가 인류를 온난화에서 구해줄 이미지가 아니게됨. 그리고 LCA (생산부터 운용, 폐차까지의 탄소배출) 가 더 합리적인 평가 방법임. 신재생 에너지면 LCA가 더 낮아지겠지만, 유럽이 2050년까지 목표로 하는 풍력발전량을 도달하기위해 배출해야 하는 이산화탄소가 9000만톤으로 추정됨. 원자력 발전을 무한정 늘릴 수도 없고 말이야.
      거기에 개도국들의 탄소배출을 해결하지 못하면 선진국에서의 전기차 강제는 스벅 종이빨대 급이 될 수도 있음. 좋은 영향력이 없진 않겠지만 의미있는 임팩트가 없다는거지.
      자원의 무기화는 사실 둘째 문제고 EU나 사람들이 생각하는 전기차 위주의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자원 생산량이 말도안되게 증가해야됨. 영국의 모든 자동차를 전동화 시키려면 주요 광물 전세계 생산량의 배가 필요함. 유럽 말고 영국만 해도 이정도임. 그리고 그 자원 생산은 절대 깨끗하지 않음.
      현실에서 전기차는 부자들의 세컨카에 더 가까움. 나나 대다수의 서민들이 '불편함'없이 쓸 수 있는 전기차를 살 수 있는 시점이 도대체 언제오는 걸까 하면 아무도 모름. 보조금도 어떻게 될지 모르고. 여러 문제가 얽혀있긴 하지만 지금 요정도 수요로도 자원값이 폭등했음. 동일모델이 거의 자연산 회 싯가 수준으로 가격이 오름.
      그럼에도 전기차가 가진 장점이 뚜렸하기 때문에 점유율을 꾸준히 오를거임. 그렇지만 모두가 불편함 없이 탈 수 있는 전기차가 언제 가능 할지는 아무도 모름. 그래서 소비자들에게 선택권을 줘야한다고 생각함.
      개인적으로 유럽연합은 그들이 계획한 신재생 에너지 부문에서 '실제'로 성과를 내는거에 맞춰서 전기차 정책도 유연하게 바꿔 나가야 한다고 생각함.

    • @ddcgggggjig
      @ddcgggggjig 2 года назад +8

      @@dbstjrdufqudtls 환경생각하면 하이브리드타야지 전기는 피카츄가만드냐 당장에 배터리폐기하는것도문젠데

  • @Byeongcheol-LEE
    @Byeongcheol-LEE 2 года назад +25

    국제정세에서 전기차 주도권을 유럽이 가져가지 못하는게 가장크게 작용했겠죠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미국은 그렇다 치는데 그들기준으로 듣보였던 한국이나 중국이 치고 올라오니 그꼴보기가 어렵겠죠.

    • @정진원-k4b
      @정진원-k4b 2 года назад +3

      이것도 무시못한다 ㅋㅋㅋㅋ

    • @dolphinpark2264
      @dolphinpark2264 2 года назад

      무식하기는...
      밧데리 소재가 중국이나 러시아 같은 공산주의국가.사회주의 국가에 편중되어 있어서 이를 무기화 할수도 있다잖아요!

  • @nightelf998
    @nightelf998 2 года назад +4

    1. 전기차보다 환경오염이 적은 내연기관차는 영원히 만들 수 없습니다. 이건 조금만 공부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는 겁니다.
    2. 지금 현재까지 과학기술을 통해 밝혀진 상황은 CO2의 배출량을 단순히 줄이는 것으로 현재의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면, 현단계에서도 이미 zero 배출량이 아니라 마이너스 배출량이 필요한 단계에 와 있다는 겁니다.
    내연 기관차로는 아무리 잘해도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뿐이란 점은 굳이 더 이야기할 필요가 없죠.
    결국 전기차와 국가 전력계획이 같이 연동되어 가야 하는 거죠. 신재생에너지, CCUS, 최근에는 소규모 원자력 발전 등에 관한 논의가 괜히 나오는 게 아니잖아요..

  • @5oggor1
    @5oggor1 2 года назад +29

    전기차 타고 있어요 근데... 내연기관보다 새롭게 다가오는 그동안의 불편함이 장점으로 전환되어 다가오지만 내연기관차를 타면서
    장점이었던것들이 단점으로 다가오네요. 공감되는 부분이 많네요

  • @안주용통닭
    @안주용통닭 2 года назад +14

    맞습니다 지금 테슬라 타고있지만 아직 불편한점도 많고 기존 lpg 디젤 수소 가솔린처럼 양립해서 개선해 나가는게 좋은거같습니다

  • @luno3897
    @luno3897 2 года назад +89

    이제 50년 짧다면 짧게 살아 봤습니다. 초기에 어떤 산업이든 문제가 많이 있었어요 특히 컴텨는 1990초에는 게임기라고 할만큼 할것도 없고 어플도 빈약하고 인터넷도 안되고 그랬죠 전기차가 문제가 많지만 아마 많이 팔리게 되면 빠르게 해결해 갈껍니다. 문제가 안되던게 갑가지 터지면 문제가 되지만 예상된 문제들은 다들 빠르게 잘 해결하더라구요

    • @rational_thk
      @rational_thk 2 года назад +9

      정답이네요

    • @리차드수동기어
      @리차드수동기어 2 года назад +5

      전기차는 일단 충전자리가 없다는 겁니다. 핸드폰 충전하듯이 간단한게 해결될게 아니죠. 전국에 약 2500만여대의 차를 충전할 자리가 없다는게 관건입니다. 그렇기에 한국은 내연기관이 존재할 이유중에 하나라고 봄

    • @junminlee8355
      @junminlee8355 2 года назад +14

      @@리차드수동기어 그것은 충전기술과 배터리 기술이 상향평준화 된다면 극복하지 못할 문제는 아님 지금은 당장 급속층전기가 많이 보급되어 않지만 시간이 지나 설치 비용과 난이도가 낮아진다면 보급을 늘리면 되고 그래도 부족한 부분은 지금처럼 완속으로 보완하면됨. 적어도 10년 정도 지나면 윗분처럼 생각보다 빠르게 해결될수 있음. 당장5년 전만 해도 전기차는 너무나 먼 미래의 제품이었지만 한국에 17년도이후 테슬라가 들어온것처럼 . 한국에서 자동차를 석유에만 의존하는 것은 너무나 위험함…

    • @리차드수동기어
      @리차드수동기어 2 года назад +4

      @@토리-i5e 급속충천하면 할수록 배터리는 맛가겠죠

    • @kochangil
      @kochangil 2 года назад +5

      @@리차드수동기어 뭐 그것도 윗분말씀데로 충전기술과 베터리 기술이 상향되면 해결될 문제겠죠

  • @쿵짜작쿵짝
    @쿵짜작쿵짝 2 года назад +30

    bmw가 저말을 하니까 이렇게 받아들여지는거일듯.. 현기가 이런말했으면 다들 비웃었겠죠. 듣는사람들이 피디님들처럼 철학적으로 들어주면 좋겠지만 대다수의 일반사람들은 쫄리니까 시간벌기하네로 들을듯...

    • @75grosso
      @75grosso 2 года назад +11

      저도 현재 전기차가 기존 내연기관 차량과 산업적 생태계를 대체하기에 시기상조라고 생각하지만 bmw 측에서 저런 얘기를 하는건 시간 벌기로 밖에 안보임
      애초에 bmw는 선도적으로 전기차 개발 하다가 때려친 전적도 있고 지금 전기차 분야에서 이름값 못하고 있는것도 사실이니

    • @이석훈-l3l
      @이석훈-l3l 2 года назад +2

      @@75grosso 전기차시장에서 우리나라만을 본게아닌 세계로본다면 테슬라 미만 잡인데;; 국내에서나 현기가 시장을 장악하고있으니 그렇지
      세계로보면 현기는 기술이고나발이고 그냥 우리가 중국산보는시선임 아무리 좋다는중국산이나와도 의심들고 꺼려지는 거란 말입니다
      고로 bmw가 이름값을못하는게아니라 테슬라 미만은 다 못하고있는겁니다

    • @yosephjo5120
      @yosephjo5120 2 года назад +4

      @@이석훈-l3l 으음.. 캐나다에 살고 있는 저로써는 공감가는 댓글은 아니네요. 현대가 한국기업이라는건 알 사람은 다 알고 있습니다. 요즘은 거리에 아이오닉5도 자주 보이고요.

    • @yosephjo5120
      @yosephjo5120 2 года назад +3

      @@이석훈-l3l 그리고 내연기관은 모르겠지만 전기차에서는 테슬라 다음으로 현기가 맞습니다. 현기가 테슬라보다 잘하는것도 있고요

    • @이석훈-l3l
      @이석훈-l3l 2 года назад

      @@yosephjo5120 어느기업이나 잘하는건 있습니다 단지 인식의 차이인거죠 국내에서나 우리나라기업이니까 빨아주는거죠
      중국산도 타기업들보다 잘하는게 하나씩은 다 있습니다 그리고 현기가 잘하는게 대체멀까요 배터리는 LG가 최고고 데이터베이스는 부족하고 현대가 내새울껀 수소뿐인데 그거또한 너무 미흡한거아실텐데

  • @alexyang7554
    @alexyang7554 2 года назад +2

    전기차의 전제에 착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전기차의 전환은 편의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입니다
    이는 탄소정책때문이고 탄소정책을 미룰수 없는 유럽연합의 입장입니다
    정치 경제적 이유로 탄소정책은 항상 연기되어 온 것을 이제는 할 수 밖에 없는 겁니다
    BMW는 기업이고 당연히 이익을 위해서
    항상 현실성을 언급하는 것일뿐입니다
    온도가 조금 더 오르면 탄소정책이 모든것을 우선할 수 있고 이상황에 거의 직면해있습니다

  • @shawn3292
    @shawn3292 2 года назад +23

    BMW가 테슬라급으로 전기차 기술이 발전했더라도 저런말을 했을까?
    를 생각하면 답이 나오네

  • @지민-k4f
    @지민-k4f 2 года назад +5

    정말 동감합니다. 나아가 단순히 자동차의 문제 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 방식에 큰 변화가 생기는 시기인것 같아요. 아직 누구도 정답을 모르고 미래에도 화석연료랑 이차전지 둘 다 병행하며 나아갈지도

  • @lord38317
    @lord38317 2 года назад +15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전기차 전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볼 수 있었습니다~

  • @nolaw1
    @nolaw1 2 года назад +16

    제가 보는 진짜 큰문제는 전기난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름철 에어컨 사용으로 인하여 전기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지금은 전기차가 많지 않아서 문제가 없을것으로 보이지만, 전기차 수요가 늘어나면 그때는 자동차 5부제, 2부제 진행하겠죠. 그리고 전기요금은 폭탄이 될것이구요. 인푸라는 둘째라고 생각합니다.

    • @scratch-giggs
      @scratch-giggs 2 года назад +1

      님이 생각하시는 걱정은 오토기어에서 잘 설명해 주십니다..

    • @nolaw1
      @nolaw1 2 года назад +2

      @@scratch-giggs 네.. 제 생각을 올렸을뿐이에요^^

    • @두번째수
      @두번째수 2 года назад +4

      @@goldmedalpapa 우리나라 전기의 35프로 이상이 화력발전인데,,발전소를 더지으면 과연 친환경 맞습니까?

    • @mypigret
      @mypigret 2 года назад +2

      @@goldmedalpapa 원자력과 화력빼고나면, 과연 발전이라는 단어가 의미가 있을지 궁금하네요.
      내연기관과 기존사용량외에 차량 충전으로 사용하는 발전중, 과연 어느게 친환경인지 냉정하게 생각해봐야 하는 시점인거 같습니다.

    • @두번째수
      @두번째수 2 года назад

      @@user-cp7ie2vk7h 그렇다면 친환경 맞겠네요

  • @johnchoi-ni1hx
    @johnchoi-ni1hx 2 года назад +95

    근데 정말 좋은 시사점이네요. 그동안 내연기관차가 성능이나 연비를 중심으로 발전이 있었다면, 전기차를 계기로 내연기관차 또한 친환경적으로 충분히 발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친환경과 탄소중립 등에 대해 포커스가 맞춰져있는 현 상태에서는 내연기관 분야에서 친환경적인 결과물을 내놓지 않는 이상 전기차 흐름을 막기는 어려울 듯 싶네요

    • @이강환-e8k
      @이강환-e8k 2 года назад +1

      공감합니다. 탄소배출량이 전기차와 동일한 내연기관차가 나와야 저 논의가 의미가 생길 거 같습니다
      일단 기준과 기간을 정한 유럽이 잘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많은 시간이 있었지만 전기차만큼의 친환경 내연기관차는 나오지 않았죠. 물론 기간을 주면 나올 수 있겠지만 그전에 전기차로 전환으로의 흐름이 더 빠를거라 생각되고 그에 따라 전기를 생산할 대체 에너지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게 환경적으로나 효율적으로 더 좋을 거 같네요.

    • @잘자란막내아들
      @잘자란막내아들 2 года назад +7

      전기차 eGMP전용모델 오너로서 전기차 운전해보는 순간 내연기관은 더이상 의미없다는걸 알게됩니다.
      유지비.성능.차량유지비 어느것 하나빠짐없습니다.
      특히 동력성능은 슈퍼카가 아닌이상 내연기관이 따라올수 없고 운전중 뒷자리 탑승객과 큰소리로 대화 하지않아도될정도로 정숙합니다. 우려했던 충전속도 또한 보급이 많이된 100Kw 고속충전에서는 30분이면 400Km 정도의 주행가능거리가나옵니다..
      같이 충전해본 테슬라 충전시간 은 1/4 정도 현대의 충전기술만은 칭찬할만 합니다.

    • @sanggyungkim9513
      @sanggyungkim9513 2 года назад +5

      @@이강환-e8k 뭐든지 획일적으로 도 아니면 모식으로 결정하고 실행하는건
      어리석은 짓이라 봅니다. 내연기관차가 환경문제를 가지고있기에
      전기차로 대체하겠다는 큰 대의는 문제없지만 선을 그어 다른 좋은 대안과
      가능성마저 차단하고 획일적으로 정책을 세우는건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박탈하는거고 더 좋은 효율과 대안을 스스로 걷어차는 꼴이죠.
      이영상에 잠깐 언급됐던 바이오연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차라면
      화석연료나 원자력으로 전기를 생산해서 전기차를 운용하는것보다 더
      친환경적일수도 있다는 과학적 기술적 가능성을 배제해선 안되는거죠.
      환경문제가 기술적으로 해결되어 전기차 내연기관차가 공존한다면
      전기차나 내연기관차나 장단점과 특성이 다르기에 소비자 개개인의 조건,
      취향에 따라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것이니까 바람직한것이죠.

    • @잘자란막내아들
      @잘자란막내아들 2 года назад +9

      @@sanggyungkim9513 바이오 연료는 아니라고 봅니다.식품업계 종사자로서 바이오 연료는 그 원료가 곡물인 관계로 이게 에너지원으로 쓰이게 되면 폭등하는 곡물가격으로 지금보다 더한 인플레이션을 일으킬수 있습니다.딱 15년전에 유가폭등으로인한 바이오 연료 과다생산으로인한 곡물가 파동이 있었습니다. 이후 사료값폭등 육가공류 폭등 식료품가격인상 지금과 비슷하죠

    • @신동민-q7f
      @신동민-q7f 2 года назад +3

      @@잘자란막내아들 꼭 전기차만이 답이 아니라고 봅니다. 그저 선택지 중 하나로 놓고 생각하는거죠. 그중 쟁점인 탄소중립을 지킨다 하에 내연기관차량의 발전도 모색할수 있구요. 다만 지금의 논쟁중 정유회사나 아니면 석유가 많이 나오는 나라의 정치적 문제 또한 있기에 전기차량의 배터리문제 또한 비슷할것이라고 봅니다. 결론은 빨리 행융합자동차가 나왔으면 좋겠네요.

  • @j.youn.23
    @j.youn.23 2 года назад +26

    개인적으론 bmw입장에서 이득을 따져봤을때 전기차가 시기상조다라고 느껴지네요

  • @따봉드림
    @따봉드림 2 года назад +9

    카메라에서 필름에서 디지털로 넘어갈때도 이와 비슷한 토론이 있었습니다...

    • @sunjinkim9534
      @sunjinkim9534 2 года назад

      공감합니다. 필름 감성이야기 하면서... 디지털 사진은 건조하다며... 그랬던 기억이 나네요~

    • @sootvkorea
      @sootvkorea 2 года назад

      필름 에서 디지털은 마차 에서 자동차 정도의 차이인듯 합니다 ㅎㅎ 음... 아니면 디카와 폰카의 차이 정도지 않을까요^

  • @kogoro2652
    @kogoro2652 2 года назад +8

    빠르게 내연기관차를 버릴려는거는 중국의 힘이 어느정도 작용했습니다.
    자기들이 거의 지배할수있기때문이조.
    기술적으로도 자기들이 유리한위치에 설수있기때문에

  • @윤건원-l7b
    @윤건원-l7b 2 года назад +23

    에너지효율이 80%이상 나오는 자동차 엔진이 개발된다면 굳이 전기차를 타지 않아도 되겠지요.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누가 무슨 말을 하든 전기차가 답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 @kodavid536
      @kodavid536 2 года назад +1

      전기차도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로 충전하는데, 발전소 효율도 80%가 안됩니다요.

    • @kodavid536
      @kodavid536 2 года назад +3

      거기다가 전기차 베터리의 겨울철 자연방전은 심각한 수준입니다. 오히려 내연기관 효율보다 못할 정도.

    • @karisam91
      @karisam91 2 года назад +2

      @@kodavid536 베터리 개선을 해야한다는 논리는 되지만, 그게 내연기관 계속 써야한다는 근거는 안되죠.

  • @youngmoon8762
    @youngmoon8762 2 года назад +1

    심란할 정도의 헛소리를 진지하게 들을 뻔했네. 내연기관차를 규제하고 전기차를 늘리는 것은 전기차가 더 좋으니까 그거 타라고 하는게 아님. 한마디로 돌아다닐때 CO2 뿜지마라는 것임. 비싸건, 불편하건, 만들기 힘들던 상관없고 전기차를 타건가 아니면 자전거를 타던가 아니면 걸어다니던가...그런데 BMW회장이 아직 전기차는 비싸고, 불편하고, 만들기 힘들어서 전기차는 시기상조다 라고 말하는 것과 같음. 그럼 자전거를 타던가 걸어다녀야지....너무 자동차 메이커에만 치중한 발언임. 다른 사업도 지금 RE100이나 EGS를 못맞추면 망하는 상황임. 우리가 휘발유 50리터를 쓰면 CO2가 액체상태기준 100리터발생함. 다만 이걸 공기중에 머플러로 뿌리고 있으니 얼마나 많은 양인지 우리 스스로도 모르고 있는 것임. 그리고 전기차보다 CO2 배출량이 적은 내연기관차를 과학기술이 발전해
    서 개발한다는 것은 무슨 뻘소리. 전기차보다 CO2 배출량이 적은 내연기관차는 수소연소엔진차 밖에 없음. 수소연소내연기관차는 낮은연비, 높은 생산비용 등등의 이유로 개발을 포기한게 자동차 업체들임...특히 BMW. 결국 BMW사장은 기술에 자신이 없으니 징징거리는 것에 불과

  • @aftwrk
    @aftwrk 2 года назад +34

    BMW 입장에서 시기상조 라는 의미인듯

  • @intermission911
    @intermission911 2 года назад +14

    너무 웃긴게 하이브리드는 너무짧게 지나갔죠
    하이브리드로 변화하고 그때부터
    전기차인프라를 늘렸다면 환경도 타협하면서
    자연스럽게 바뀌지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다만 하이브리드시장에선 일본도 강세니
    잘된일이다생각했는데
    참...

    • @doo-doong-tak
      @doo-doong-tak 2 года назад

      하이브리드는 지나가지도 않았고 현재까지도 개발하고 있는 영역이며 전기차랑은 전혀 다른 메커니즘이라 세대교체 과정의 일환이라고 보기도 어려움.. 더군다나 100%내연>하이브리드>전기차 이렇게 구분할 이유도 없지만 하이브리드 과정에서 전기차 인프라가 갖춰줘야 할 이유도 없음... 그냥 전환기라면 현재 이 모습이 더 자연스러운듯..

  • @이름-k3k7w
    @이름-k3k7w 2 года назад +121

    이슈에 대해 스스로 복기하고 질문을 수정하면서 문답을 찾는 고차원적인 생각이 가능하다는게 부럽네요. 안피디님 분석과 논평은 믿고봅니다 목소리부터 신뢰가 가요

    • @lezquel
      @lezquel 2 года назад +9

      저도 같은 감정을 느꼇구요 단순히 사람들간의 좋고 나쁨을떠나서 전체적인 사회와 국가단위로 생각을 공감할수있어서 좋은 영상 같아요

    • @박블랙-l7m
      @박블랙-l7m 2 года назад

      그게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입니다...

    • @X-MANX-MAN-e3u
      @X-MANX-MAN-e3u 2 года назад

      기본 전제부터가 잘못된거같은데 ㅋㅋㅋ
      연료부족으로 전기차를 타고 다니느게 아닌데요..
      탄소문제 때문이지

    • @doodoo7673
      @doodoo7673 2 года назад

      그냥 전제부터 잘못 출발한 영상 전체가 개소리에요...

  • @goyangyi
    @goyangyi 2 года назад +2

    이 모든 논란은 기후변화에 대한 문제에 대해 논의가 가장 먼저 우선되어야함.
    유럽이 빨리 전기차로 가려는 이유는 환경문제와 그것이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 때문임.
    그래서 중국도 생산을 줄이는 것이고(중국의 생산감소나 베이징 봉쇄는 우크라이나 사태보다 더 급격한 인플레이션의 원인이라고 봄.)
    이게 근본이유.
    CO2농도를 빠르게 낮추지 않으면 결코 되돌릴 수 없는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 때는 기후변화로 인한 생명체 대절멸을 피할 수 없다는것이 학계의 정설

  • @윤종현-t8q
    @윤종현-t8q 2 года назад +4

    아무리 해도 전기차에서 답 안나오니까 징징대는 말로밖에는 안들림. 전기차로의 전환에 많은 문제점이 생기겠지만 결국 가야하는 길임엔 틀림없음. 그 문제점들을 극복하는게 결국 기술이고 기술없는 회사들의 죽는소리 다 들어줄만큼 지구 환경문제의 여유는 없다고 봄. 단 10%의 탄소배출을 줄인다해도 분명 내연기관보다 칞한경이 맞음. 지금 국제문제로 베터리 원자재값 상승등의 이슈가 있지만 결국 극복할 것이고, 비용이 더 증가된다 하더라도 환경을 우선으로 두는 정책이 맞다고 봄.

    • @다이어트유지중인돼지
      @다이어트유지중인돼지 2 года назад

      극복 못해요 이건 조금만 알아보면 나옴
      시장 자체가 성립이 안됨
      새로운 진짜 신기술이 나오는거 아닌이상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 커질수록 감당 못하고 내연기관차가 전부 사라진다고 계산 하면 지금에 전기 충전비용이 최소 30배이상 뜀

    • @다이어트유지중인돼지
      @다이어트유지중인돼지 2 года назад

      리튬을 대체할 무언가가 나와야함
      참고로 전기세도 단순히 숫자상
      30배이상 뛰는거지
      100배로 뛰어도 충전못할거임
      실제로 한전은 매년 적자임 지금 한전이 매년 만드는 전기량을 단순 계산만 해도 지금 우리나라 전력량 배가 있어야함
      문제는 우리전력은 원자력이 35프로 이상
      의지 하고 있는데 이 원자력이 사라져야할 전력공급책이라는거임 답이 없는상황

    • @다이어트유지중인돼지
      @다이어트유지중인돼지 2 года назад

      생각해봐요 공장돌려야할 전기를 고작 전기차 충전하는곳에 써서 공장을 못돌리게 막겟어요???
      정말 단순 숫자상으로 30배고 100배로 오른다고 해도 충전 못할수도 있어요
      당연히 원자력으로 저어~기 중국처럼
      오지게 지어서 전력 충당할줄 알았더니 친환경이 모터니깐 의미가 없고
      농촌땅에 태양광 설치 하고,전기 만드는것도 몆년전에 하던데 이걸 다시 부활시겨서 모든 농천지를 이걸로 대체할수도 없음 어느정도에 농천은 꼭 필요함 자급자족이 안되는 국가는 위험이 커요 그렇다고 우리 전력생산량이 적은게 아님 세계 랭킹권임 실제로 소비도 세계 8위고

  • @ysw198111
    @ysw198111 2 года назад +2

    석유는 특정국가에 의존 않하남? 그저 트렌드 변화에 뒤쳐져 사라질 위기에 처한 기업의 생명연장 또는 기술을 따라잡을 시간을 벌 목적 일뿐 전기차 단점은 수소전기차와 투톱체계로 가야 전기차 충전인프라 부화율이 낮출수 있고 한때 그 누구보다 순수 전기차를 내논 브랜드 BMW가 기존 내연기관 설계 관점을 뒤집지 못해 한 그저 변명 유럽이나 일본이나 기존 기술을 장인정신 잘 포장해 프리미엄 언고 조금씩 발전? 환경규제로 기술진입장벽 만든게 유럽이고 이제는 더이상 자신들도 기존 기술 뒤집고 새로 시작할라니 힘들수 밖에 한때 바이오연료 붐이 있던 시절 대체 연료라고 했지만 바이오 연료 만든다고 숲 다 태워 없애게 인간임 결국 오염만 심해지고 전기차 전환 문제의 진짜 핵심은 결국 유럽내의 고용문제로 심각한 이슈와 차량의 판매 이윤이 사실상 베터리 제조사 주머니로 들어가 차량 브랜드는 사실상 재주부리는 곰으로 전락할 위기의 몸부림? 유럽의 자동차 브랜드는 20년뒤 이름만 남기고 새로운 주인을 맞이 할듯 아직도 저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니 도요타와 뭐가 다른가 ㅋㅋㅋㅋ

  • @엄원선
    @엄원선 2 года назад +17

    음... 코닥과 노키아처럼 전처를 밟지않는 판단하기를 바랍니다.

  • @mansuper8751
    @mansuper8751 2 года назад +12

    논리가 BMW라 기우는거 같은데요.. 무슨기술이든 리스크 안고 진행해야 선도할수 있는데.. 5g폰 모든나라 다 안되고 직진성이커서 단점이 많으니 4g기술 표준으로 천천히 가자는 말이 랑 별차이 없는 논리라 봅니다. 5G폰은 비싸고 모든나라가 산다고 그서비스 이용도 안되니 보편화된 3g 4g 폰 갑시다 라는건 틀릳말이죠.

    • @롱런가자
      @롱런가자 2 года назад

      엥 차로비유하자면 님의 논리데로 하이브리드가 있습니다 그 경계를 하이브리드로 나누는거죠

    • @mansuper8751
      @mansuper8751 2 года назад

      네 이해합니다 저도 하이브리드 탑니다.. 베터리효율 안좋으니 스마트폰 대신 5인치 HD폰도 충분하다 괜히 비싸고 큰 OLED폰 보편화 하지말고 더 늦추자 소니도 OLED생산 충분해지면 가자 원래 패널은 소니였다 이리 이야기 하면 좀더 이해 되시려나요?

  • @GOA7520
    @GOA7520 2 года назад +15

    전기차 수준으로 탄소배출 저감이 가능한 내연기관차 개발이 정말 가능하다면야
    일리가 있습니다만..
    BMW가 그 가능성을 증명하는 물건을 제시하지도 않았고 최소한의 연구성과 또한 보여주질 않았으니 설득력이 떨어진다 봅니다.

  • @안문현대희
    @안문현대희 2 года назад +1

    저같이 빌라나 원룸사는 사람들도 문제입니다. 가장중요한게 집밥설치인대 많은 원룸입주민들은 1~2년 살다가 이사를 많이 가는데 이걸 이사갈때마다 자비로 설치할수도 없는거고 결국 집주인이 설치해줘야 하는대 당장 집주인들이 돈들여서 설치를 해주냐 문제죠. 수요가 있으면 집밥설치된 빌라나 원룸이 생기기야 하겠지만 결국 또 월세상승으로 이어지겠죠. 전기차를 가지고 있으면 이사다니는데 또한가지 제약사항이 생기게 되는거죠.

    • @mjpark1008
      @mjpark1008 2 года назад

      그런 문제들은 당연히 이슈가 될것이고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과 기술이 개발될 것입니다, 예를들어 공영주차장의 무선충전설비 라던가. 아무튼 문제가 발생하면 산업은 이를해결하기 위한 발전을 하겠죠. 모바일등 기존 산업 발전이 다 그렇게 흘러왔죠, 단편만 볼께아니라 흐름을 봐야죠

  • @쏘일상-t5f
    @쏘일상-t5f 2 года назад +22

    다른게 문제가아니고 베터리가 문제임니다 베터리는 수명이 정해져잇고 교체비용이 만만한것도아니며 교체후 페 베터리가 얼마나 재활용되고 폐기물은 얼마나 나올지 그리고 충전하는데 필요한 전기는 소량이 친환경이고 나머지는 화력과 원자력인데 단순하게 생각하는듯 함니다.

    • @leekb724
      @leekb724 2 года назад +1

      독일은 전기생산 50%이상 재생에너지에요 원전도 올해 탈원전한다했고 원전으로 생산하던 전기는 러시아 천연가스로 대체할려고했는데 전쟁이 나서 ^^

    • @셔니-b6c
      @셔니-b6c 2 года назад +2

      영상처럼 나온단점은 극히일부고
      배터리사고나도 내연기관보다 비용도비싸고
      수명도 작음

    • @우르르쾅쾅-p6w
      @우르르쾅쾅-p6w 2 года назад +4

      폐배터리 관련시장정보 찾아보세요 향후 미래먹거리입니다.

    • @leekb724
      @leekb724 2 года назад +1

      @@iddov4448 석탄 석유보다는 ^^ 일단독일은 원전보다는 천연가스가 낫다고 보는거 같네요

    • @애셋빠덜
      @애셋빠덜 2 года назад

      이말이 답임

  • @baaraam1048
    @baaraam1048 2 года назад +1

    일단은 왜 사람들이 전기차로 갈려고 하는 지에 대한 확실한 대답이 필요합니다.
    이유는 전부 알고 있죠.
    바로 환경문제입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문제가 있죠. 지금까지 쏟아져 나와있는 수많은 기름차들과 그 인프라를 대체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겁니다. 대답은 간단합니다. 하이브리드와 수소차로 중간단계를 거쳐서 전기차로 넘어가는 거죠. 어떤 분들은 수소를 뽑는데도 거기에 사용되는 인프라로 인해서도 오염 물질이 나오지 않느냐라고 말하는데 전기생산에도 오염물질은 나옵니다. 그리고 수소는 기름을 생산하는 인프라보다는 오염 물질이 적게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또 제 생각에는 기존 기름 자동차가 화석연료 발전소라고 한다면 전기차는 핵발전소로 비유하면 맞을 겁니다. 나중에 엄청나게 쏟아져 나올 사용 후 폐 베터리는 어떻게 처리할까요? 전부 재활용이 가능 할까요? 인간들이 쏟아내는 쓰레기들 전부 재활용을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없겠죠? 제가 볼때는 현재의 전기차는 눈가리고 아웅하는 겪입니다. 아직 전기자동차도 기반 기술이 사용하기에는 성숙도가 많이 떨어진다고 봅니다.
    기름자동차 내연기관에서 나오는 공해물질을 처리하지 못해서 지금 이 사단이 난건데 전기자동차에서 나오는 베터리 뒷처리 어떻게 감당할까요? 제 개인적인 느낌에는 그 베터리들 절대로 뒷처리 못합니다. 재활용 해봤자 몇개나 재활용 합니까? 그리고 재활용 한 다음에 다쓰고 나서는 어떻게 처리를 하려구요. 버려요? 분해해서 각 부분별로 녹여서 써요? 그 안에 들어있는 유독성 화학물질들은 어떻게 하구요. 그냥 바다에 버립니까? 현재의 기술로는 결국에 전기차도 똑같다고 봐야 합니다.
    결국 베터리 기술이 어느 정도 성숙해질 때까지는 수소차가 답이라고 보네요.
    참고로 인간들이 만든 유독성 화학물질들은 대부분이 재활용이 안되고,처리가 힘들어서 공기중이나 바다로 버려집니다. 아니면 어딘가에 잔뜩 쌓여있겠죠.
    폐 베터리를 재활용 하다라.......... 그냥 웃지요.

  • @신승우-u3z
    @신승우-u3z 2 года назад +7

    전기차인프라가 아직문제가 많은건 사실이죠...내연차에서 전기차로 넘어가는것도 자연스럽게 넘어가면 좋은데 국제적으로 정치적문제가 크죠... 환경규제를 걸어놓으면 거기에 맞게 자동차산업이 따라가야하는게 피치못한 사정이라...

  • @빅코인-d2h
    @빅코인-d2h 2 года назад +7

    글쎄...이미 호랑이는 달리기시작했고 모두살려고 등에 매달리기는 했는데 결국 전기차 혹은 친환경차라는 호랑이 등에서 떨어지면 잡아먹힐일밖엔...

  • @chegalou
    @chegalou 2 года назад +19

    솔직히 뭐 테슬라까지는 몰라도 후발주자인 현대보다 기술 디자인 딸리니 열받긴 하겠지...

  • @mk-zb8cg
    @mk-zb8cg 2 года назад +4

    전기차오너로서 전기차 많아지는건 너무 싫다
    제발 사지좀 말아라~~

  • @그누가
    @그누가 2 года назад +7

    효율적인 대기중 온실가스(탄소 등) 포집기술을 개발하는게 최선일 듯 하네요.

  • @가을바람-i9q
    @가을바람-i9q 2 года назад +17

    가장 중요한 문제는 지구가 기다려줄 것이냐 하는 것인데요.........
    온도가 0.7도가 올라갔다고 하잖아요. 1도를 올라가면 인류는 지구를 반납해야 한다고 하던데.......

    • @김구-e4g
      @김구-e4g 2 года назад +1

      저도 결국 님말에 동의합니다.

    • @한만희-l5t
      @한만희-l5t 2 года назад +1

      동의합니다.
      2030년의 내연기관 신차가 원하는 친환경이 될까요?
      지구와 미래 후손을 생각하다면 더는 나의 입장, 이익에 매몰되어 궤변(심한가?)을 늘어놓는 일이 없어졌으면 합니다.

  • @mint3892
    @mint3892 2 года назад +12

    정말 만약 모든 차가 전기차가 되서 밤에는 충전을 해야되는데,
    주차장이 만석이면 길가에 주차할수도 없고 쉽지 않은 문제겠네요...

  • @haleyshin2330
    @haleyshin2330 2 года назад +2

    2030년까지 내연차 퇴출이 그냥 나온게 아닙니다.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가 이미 극한을 지나는 중이라 당장 내연기관 금지해도 늦었다는게 과학계의 정설입니다.
    편리하고 경제적이라서 전기차를 타는게 아니라 인류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서 정부에서 저런 결정을 한 것입니다.
    설마 전세계의 대부분의 정부에서 bmw회장만 큼 고민도 안해보고 이런 중대한 결정을 했으리라 생각하시나요?

    • @LEGO-kj5xz
      @LEGO-kj5xz 2 года назад +1

      백번 천번 동감

  • @S1TH-34H0
    @S1TH-34H0 2 года назад +5

    대중차 브랜드인 현대,기아,폭스바겐,토요타,르노,혼다,GM,포드 였다면 용기에 박수 처줄만한데 돈은 돈대로 다 받아먹는 프리미엄 브랜드인 BMW가???? BMW가 전기차 기술이 가장 좋았다면 과연 내연차퇴출을 늦춰야한다고 했을까???

    • @얌냠꿍
      @얌냠꿍 2 года назад

      참 생각이 짧은 사람의 글.
      bmw가 전기차 기술이 어느정도인지도 모르고 있는 사람일 뿐더러, 이렇게 심층적인 내용을 다룬 동영상을 보고 나서도 이따위 iq 두자리 정도 수준의 글을 남기는거 보면… 학창 시절에 중간 이상은 못했을듯

    • @S1TH-34H0
      @S1TH-34H0 2 года назад +1

      @@얌냠꿍 그러니까 내연기관 더 연장하는걸 대중차 브랜드가 주장했다면 박수치고 응원해주겠다고 bmw가 대중차 만들던 회사임??그리고, Bmw가 기존 내연기관 제조사들 중 가장 먼저 전기차에 뛰어들었음에도 뭐가 있는데?? 현기처럼 v2l지원하길 했음? 테슬라처럼 모터출력,소프트웨어가 좋길 함? 현기,아우디,포르쉐의 350kw나 테슬라의 250kw에 비해 200kw로 충전 속도도 떨어져 모터,배터리,소프트웨어 중 그 어느것도 전기차에서 압도적인게 없는데 무슨 전기차 기술??

  • @이게뭐야뚬빠뚬빠
    @이게뭐야뚬빠뚬빠 2 года назад +2

    인정.. 여름되면 기업에서 전력아끼기로 전등다끄기 행사 그런것도했는데 대형마트나 아파트에 전기차가 가득있다고 생각하고 충전을 한다고 하면 그 전기는 과연 어디서 계속나오는걸까요

  • @bigbrother3974
    @bigbrother3974 2 года назад +4

    일단 전기차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하려면 친환경성에서 전기차 근접한 내연기관의 방향을 제시하고 말을 꺼내야하는데 대책은 없다는게 집세 회장이 떼쓴다는 평을 듣는 이유라고 봅니다
    여러 현실적인 문제가 있지만 매년 올라가는 온도도 분명 현실적인 문제중 하납니다

  • @rational_thk
    @rational_thk 2 года назад +8

    BMW는 디테일이 없이 시간을 더 주면 전기차보다 더 환경적인 내연기관 나올꺼라는 기대는 1도 안됩니다.
    최근 환경문제는 정말 심각해지고 있죠, 과학자들 말론 환경재앙을 피할 골든타임이 지나고 있는중이라고 합니다.
    환경적인 문제는 선진국에서 먼저해야 중진국, 후진국 등에서 따라오고요. 환경피해가 큰 지역(중국같은)에서 더 적극적으로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BMW는 고객층이 대부분 선진국이나 중국 같은 빅마켓인데, 여기가 전세계적으로 전기차 전환이 가장 빠르죠, 아마도 걱장이 많을겁니다.
    BMW같은 기업이 럭셔리 포지션을 바꾸기도 어렵고요, 현 판매량 수준에선 BMW는 전기차 부문 적자가 내연기관의 이익을 다 까먹고 있을꺼고요
    결국 저런 발언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대응할 시간이 없거든요, 게다가 전기차의 핵심중 하나가 자율주행이니 이건 유럽에선 황무지와도 같죠 (IT불모지)
    ---------------------------------------------------------------------------------------------------------------------------------------------------------------------
    반면 일본 도요타 같은 기업은 일본을 제외하고 미국(서서히 밀림), 그리고 동남아 같은 동남아 같은 제3세계에서 강합니다.
    일본은 2050년까지 매우 여유가 있고, 제3세게는 아마 전기차 전환이 100년 더 걸릴지도 모르죠
    하지만 태슬라가 최근 일본 전기차 1위를 하고 있고, 본진이 털리는 도요타도 다급해지긴 했죠 (아이폰이 파나소닉을 종말시켰던거 처럼)
    결론은 그렇습니다. BMW가 처한 상황은 다른 모든 내연기관 회사들이 보고 있는 전기차 미래와는 다를꺼라고 봅니다.
    전기차쪽으로 기우는 기술의 방향에 브레이크를 잡을수도 없고 그래서도 안된다고 봅니다.
    모토로라처럼요

    • @rational_thk
      @rational_thk 2 года назад +1

      반대되는 댓글이라 악플처럼 쓴데가 없나 몇번 읽었는데, 혹시나 기분 나쁠수 있는 표현이 있다면 수정하겠습니다.
      그리고 항상 재미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

    • @mjpark1008
      @mjpark1008 2 года назад +2

      맞아요, 제가 볼때 설사 EU가 내연기관차 퇴출 시기를 늦춘다 한들 지금의 전기차시장의 트랜드를 멈추지를 못할꺼 같아요, 이미 산업의 전환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흐름에 역행하면 노키아 소니 꼴 날겁니다

    • @정현석-g2j
      @정현석-g2j 2 года назад +2

      동감합니다. 전기차 보다 더 친환경적인 내연기관 자동차를 개발할 수 있는 시간은 이미 충분히 많았었다고 봅니다. 발등에 불 떨어지니 이제야 시간을 더 달라고 한들 이미 시대는 변하고 있는거죠.

  • @TaleOfSeraph
    @TaleOfSeraph 2 года назад +5

    완전 동의함. 인프라 구린데 굳이 지금 이순간에 전기차로 넘어가는건 문제 있다고 생각함. 차라리 시간 늘리고 그동안 전기차 및 수소차 같은 대체연료와 대체연료를 사용하는 차를 개발하는게 제일 효율적인거같음

  • @shtac35
    @shtac35 2 года назад +14

    BMW 회장의 발언을 굉장히 심도있게 보시는군요....
    맞는부분도 있다고 보지만 기본적으로 BMW 회장의 발언은 자기네 기술력 없으니 기다려달란 소리로밖엔 안들리던데요...ㄷㄷㄷㄷㄷㄷ

  • @youngchanpark8166
    @youngchanpark8166 2 года назад +12

    알쓸신잡에서 정재승 교수님 말씀을 아주 적절히 인용한 분석이라고 생각합니다. 냉정한 현실과 막연한 이상을 적절히 융합할 리더가 자동차 시장에 필요한 시기인 것 같네요. 애청하고 있습니다.

    • @pongdee742
      @pongdee742 2 года назад +1

      정재승 한마디에 신뢰도가 확 떨어지네

  • @thepostcard_pub
    @thepostcard_pub 2 года назад +16

    내연기관이 계속 유효하다면 그냥 하던대로 하면 되겠지요. 굳이 회장이 나와서 전기차 시기상조론 운운할 필요 없겠죠.
    그런데 BMW 전기차는 현재 테슬라에겐 7-8년, 현대보다도 4-5년 이상 뒤처져 있기 때문에 그 기술 격차 때문에 프리미엄 내연기관 차의 위상마저 위협받고 있다고 봅니다.
    압도적 엔진 기술력이라는 명성 때문에 프리미엄 대접 받았는데, 전기차 모터•자율주행으로 최첨단의 이미지가 옮겨가니 BMW 자체가 한물 간 자동차 느낌을 받게 되는 거니 문제라고 느끼는 거겠죠.
    토요타도 마찬가지겠고요.

    • @bokyoungkim4872
      @bokyoungkim4872 2 года назад

      말그대로 시 기 상 조임
      지금은 아니라는거지
      친환경NO 배터리한계 50만km이하
      충전문제
      배터리가격에서 오는 차량가격
      경제적인가 배터리재활용 사실상 불가능

    • @thepostcard_pub
      @thepostcard_pub 2 года назад +6

      @@bokyoungkim4872 논쟁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한국인 하루 평균 주행거리가 38.5km입니다.
      500,000÷38.5÷365=약 35년 탈 거리입니다.
      한국인들의 새차 폐차 주기가 10년 20만 킬로이구요.
      배터리 효율이 조금씩 떨어지는 문제가 있겠지만, 50만 킬로가지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보입니다.
      내연차 시기상조론의 문제는, 전기차 비율이 코로나 백신 맞듯이 일정 기간 내 80%이상 되는 게 아니듯이, 비율이 점차적으로 늘러날수록 충전 장소 확충 외 충전기술도 점차 늘어나겠죠.
      전기차 사는 사람들의 불편함이 엄청날 거라는 가정은 지금의 불편함을 먼 미래 80% 전기차 시대에 투사해서 그런 게 아닐까 싶습니다.
      여하튼 지금 전기차 타는 다수가 사람들이 전기차를 안 사길 바라죠.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기존 사용자는 블편해질 수도 있다고 보니까요. 현실은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편의점이나 개선도 더불어 늘어날 거라는 점.

  • @kalmorning
    @kalmorning 2 года назад +4

    시기상조의 문제는 환경을 위해 사람들이 친환경 에너지시대로의 전환에 필요한 대규모투자를 제대로 할 의지가 있다먼 쉽게 풀릴 문제다. 태양열이나 풍력등의 재생에너지원에 대한 투자와 그걸 분배힐 전력그리드에 대한 투자 그리고 발전과 소비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채울 배터리 용량확보는 투자만 제대로 한다면 충븐히 준비 가능하다.

  • @user-jg2dq3kb5j
    @user-jg2dq3kb5j 2 года назад +6

    도로에서 배출되는 메테인가스보다 가축들이 내뱉는 가스가 더 많다는거

  • @lowarm
    @lowarm 2 года назад +25

    bmw입장에서는 전기차 기술이 아직 본인들이 최고가 될기술력이 부족하기때문이 아닌가 하는 느낌도 지울수가 없네요...
    초기니 당영히 문제점이 많을테지만 보든분야가 다ㅣ 초기는 단점이 많이 보이지만 BMw 는 본인들에게 아무래도 유리한 쪽으로 할테니.....
    솔직히 전기차 태양열 판넬 추가되면 충분히 러시아워때 고속도로에 서있어도 충전이 충분히 커버 가능한데...
    우선자동차 회사가 그걸 안하고 있다는것이 문제지만 이것도 설치하면서 그 문제를 해결하면 가능하죠..
    사실 단점이 있다고 안하면 나중에도 분명 그 문제는 발생하기 마련,....그러니 지금 그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지 단점으로 시기장소라고 할부분이 아니라는 생각이네요..
    다 생각나름이지만..전 지금 시기상조 아니라 단점은 해결해야할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dolphinpark2264
      @dolphinpark2264 2 года назад

      소재가 중국이나 러시아에 편중되어 있어서 문제가 된다 잖아요!

    • @잠만보-t9k
      @잠만보-t9k 2 года назад

      태양열 패널??????? 뜬구름 잡는 소리하고있네 ㅋㅋㅋㅋㅋㅋㅋ

    • @punch-bear
      @punch-bear 2 года назад +1

      일단 태양열이 아니라 태양광 패널을 말씀하신듯 하구요. 실제 운용해보면 태양광 패널의 효율성이 면적 대비 매우 낮습니다. 제차를 캠핑카 느낌으로 꾸며보고자 태양광 패널 효율 상급을 구매 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전기 생성 발전 효율이 20프로가 안됩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충분한 면적 확보가 안되면 조그만 충전기 정도 돌리는 전력밖에 안됩니다. 날씨 및 태양광 조사각에 따른 일정하지 못한 전기 생성 효율 저하의 문제도 크고요. 무튼 일반 승용차 상부를 전부 태양광 패널로 덮는다고 해도 꽤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통상 1000와트가 넘는 드라이기, 청소기 등을 태양광만으로 지속적으로 돌리긴 꽤 힘들다는 것이죠. 하물며 현재 운용되는 전기차 전체를 구동시킬만한 에너지를 태양광만으로 가져다줄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버스 형태의 캠핑카들이 지붕 전체를 태양광 패널로 덮어도 그것으로 감당하기 매우 힘드니 기본 전력용 배터리(보통 납축 또는 리튬인산철) 더 나아가서는 기름으로 구동되는 발전기까지 가지고 다니는 것은 다 이유가 있습니다. 제조사들이 일부러 패널을 적용안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그렇다고 봅니다.

  • @blueitems1
    @blueitems1 2 года назад +9

    다른거 다 제껴두고 전기차가 고장이 없고 관리가 쉽습니다. 물론 배터리에 사용되는 원료가 너무 절대적이긴한데 이는 배터리의 종류를 다변화해서 개발이 가능할듯하네요.
    결국 전기차로의 전환이라는 큰 흐름은 막을수 없을듯합니다. 스마트폰 초기에도 이런 시선이 있었죠. 자동차와 ai가 융화되는 관점에서도 내연기관이 지속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 @xatine0453
    @xatine0453 2 года назад +6

    친환경 어쩌고저쩌고
    클린디젤 사기친 유럽회사 ceo가 할말은 아닌듯 ㅋ

  • @ParkHS-h2b
    @ParkHS-h2b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기 엄청 비싸질것임 차늘어나는비즁에맞게 같이 올라갈것임

  • @Denny9ray
    @Denny9ray 2 года назад +4

    Bmw회장이 전기차를 칭찬할 수 있는 입장이 못 된다는게 이 논점의 한계입니다
    그런 비판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나름 열심히 논리적으로 근거를 가져다 대지만 결국은 정해진 대답을 위한 구차한 변명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 @kimeugene816
    @kimeugene816 2 года назад +2

    회사에 전기포터가 있어서 화물기사님이랑 자주 같이 타고 지방가는데 탈때마다 다음차는 내연기관 장기랜트나 리스 좀 타야겠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너무 공감되는 이야기네요

  • @이웃집또털어-e4r
    @이웃집또털어-e4r 2 года назад +10

    전기차는 시가상조라는 입장. 애초에 전기를 생산하는 원자재 부터가 탄소배출이 많이 발생시키는 석탄이기 때문.. 풍력이나 태양광은 우리나라에서는 맞지도 않고 원자력을 늘리자니 고장나면 방사능 때문에 안된다 또는 우랴늄 생산이 유한하기때문에 대체가 안된다 할 수도 있는거고.. 어찌됐던 전기 생산부터 원초적 해결을 해야 전기차로 넘어가는게 맞다고 봄..

    • @하성진-t1e
      @하성진-t1e 2 года назад

      유저는 그거 따질필요가 없어요.나랏돈 줄때 받아서 요새 피붙여 팔거든요.공짜로 전기차 탑니다.근 5년 전기차타고 손해 본적이 없음.공짜로 타든가 피붙여 팔든가 ㅋ

    • @iron_child51.5
      @iron_child51.5 2 года назад +1

      ㄹㅇ 전기차는 친환경이야라고 하는데 전기는 어디서 만들어지는지 알면 전기차도 100프로 친환경은 아는거지 전기차 인프라 구축하려면 못해도 10년은 걸릴거고 지방에 전기차 충전소 호텔 시청 이런곳밖에없고 아파트에 있어봐야 열자리도 안되고 주택사는사람들은 마당에 전기콘센트 만들어놓고 쓰면 되지만.. 그리고 전기차 에어컨 열선켜면 주행가능거리 확확준다잖아 전기차 사고 나면 수리 해주는곳도 없고 사고나서 배터리의 일부라도 먹고 들어가면 폐차해야 될 수준이고 100프로 시가상조

    • @somgurm106
      @somgurm106 2 года назад

      자동차가 효율을 높이는 동안 발전소도 놀고 있지 않습니다. 발전소도 전기 생산 효율을 계속 높여 왔어요. 대규모 발전소의 에너지 효율과 작은 자동차의 에너지 효율은 상대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또한 대규모 전기 생산시설의 환경저감 시설과 작은 자동차의 환경저감 장치와는 상대가 되지 않을 것 같고요. 전기차가 불편해서 좀 늦게 왔으면 하는 것 말고는 공감하기 힘드네요. 이번 영상은 의견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네요.

    • @이웃집또털어-e4r
      @이웃집또털어-e4r 2 года назад

      @@하성진-t1e 님은 글 쓴내용으로는 투자로 보고 타는듯 합니다. 투자로 보는 것도 보기 나름이지만 전 따질 이유가 있다고 봅니다. 친환경차인데 연료로 쓰는 전기는 친환경이 아니니..

    • @이웃집또털어-e4r
      @이웃집또털어-e4r 2 года назад

      @@somgurm106 저도 님 의견은 공감하기 힘드네요. 발전소 매연배출이 자동차 한대만큼의 매연배출이면 모를까…

  • @hmk1558
    @hmk1558 2 года назад +2

    맞는 말씀이지만 그 고민을 말을 타고 다니던 사람이 차를 타고다녀야 할 시기에 했던 고민이겠죠.

  • @레저팩토리
    @레저팩토리 2 года назад +8

    개인적으로는 BMW회장의 발언은 그냥 지금 BMW의 전기차 개발능력이 경쟁사 대비 많이 뒤처진 것을 고백하는 것 외에는 의미없다 생각됩니다.
    가장 중요한 내연기관차를 전기차 만큼이나 효율을 높인다는 것인데... 불가능하죠.
    전기차나 내연기관차나 출발 연료는 화석연료입니다. (물론 전기차는 다른 에너지도 사용합니다.)
    발전소에서 석탄이나 석유를 태워서 발전하면 열효율이 7~80%에 달합니다. 하지만 내연기관은 기껏해야 2~30%입니다.
    사람들이 전기차도 결국 석탄을 태워서 발전한 뒤 전기로 저장해서 그것을 다시 동력으로 사용하니 비효율적이라고 하는데 아닙니다.
    그리고 발전량을 말씀하셨는데 발전소에서 발전하는 전기는 그냥 그것으로 끝입니다. 수돗가에서 콸콸트는 물을 받아서 사용하느냐 하수구로 버리느냐의 차이입니다. 수돗물을 물통에 담아두듯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려면 별도 에너지 저장장치가 필요합니다.
    지금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은 전기사용량을 예측하여 그것에 여유 분을 두어 발전을 합니다.
    전기차를 사용하고 데이터가 쌓이면 그 부분도 예측해서 발전을 합니다.
    오히려 사라지는 전기에너지를 전기차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양의 석유로 발전을 해서 전기차로 굴리는 것과 그냥 기름통에 저장해서 엔진에서 태워버리는 것 자체가 배 이상의 기름량이 차이가 나죠.
    길게 쓴 것같지만 한마디로 BMW 회장의 말은 자기는 다 알면서도 BMW의 현실을 회피하는 멍멍이 소리라 생각됩니다.

    • @kobekang8298
      @kobekang8298 2 года назад

      발전소 열효율은 40프로 내외입니다.

  • @operonx
    @operonx 2 года назад +10

    역사적 흐름은 거부할 수 없고 여기서 스텐스를 어설프게 하다가는 경쟁에서 영원히 밀려 기회가 없을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끊임없이 눈치싸움이 필요

  • @신경끄기
    @신경끄기 2 года назад +3

    저는 돈의 입장에서 새로운 산업을 추진했다 그렇게 생각하고는 있어요. 말씀중에 사이클에 대해 언급하시고 시간을 두고 판단해야 한다는 부분이 와닿고 고민을 많이 해봐야 하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해요

  • @김광수-g6z
    @김광수-g6z 2 года назад +1

    유럽이 기간을 짧게 잡은 이유가, 지구 기후가 예측햇던 거 보다 더 빠르게 올라가고 있데요. 그런부분도 끼워서 만들엇으면 더 재미졋을거 같아요. 좀만 더 생각을 넓혀서 다시 만들어보시는게 어떤가요?

  • @청효-x5h
    @청효-x5h 2 года назад +5

    논리가 성립하려면.. 전기차보다 환경 오염이 적은 내연기관을 만들어놓고 얘기해야 맞을 것 같네요.
    생각해봐야할 문제이긴 하지만 대안 없는 태클이란 생각이 드네요.

    • @yosephjo5120
      @yosephjo5120 2 года назад

      사실 배터리를 만드는데 필요한 광물들을 가공하는거 만으로 어마어마한 공해가 일어나고 있어요. 소비자 입장에서나 매연이 안나와서 좋아보이는거지 더하면 더했지 덜 하지는 않을겁니다.
      아직은 친환경적으로 전기를 생산해낼수 있지도 않고요

    • @niceshot687
      @niceshot687 2 года назад

      전기를 만드려면 석탄이나 석유를 태워야 하죠. 거기서 발생하는 오염도가 장난 아닙니다. 태양열집열판은 약품처리로 비가 내리면 토양오염이 심각하죠. 수명이 다해 버릴때도 오염이 심각해집니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도 소모품이니 출고 후 몇년쯤지나 폐기될 그 배터리들은 과연 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모르죠.(휴대폰 2년쓰면 배터리 수명 반이나 그 이하되잖아요.)아직도 한여름이나 열대야가 오면 전기가 부족한 대한민국인데 여름은 어찌나실 생각이신지? 지금도 전기값이 비싸다고 난리인데 전기 소모량이 늘어 전기값이 오르면 차량의 경제성도 낮아질거고, 여름에 아무리 더워도 에어컨 리모콘 전원버튼을 손쉽게 누르지 못하실건데...
      별다른 대안없는건 전기차 공급도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 @청효-x5h
      @청효-x5h 2 года назад

      @@niceshot687 저도 전기차가 만능이다라는 주장을 하는건 아닙니다. 단지 영상에서 "오염이 적은 내연기관이 나온다면" 이라는 전제로 얘기하는것에 대한 의견입니다.

  • @MOON-qi4fc
    @MOON-qi4fc 2 года назад

    현재 국내하이브리드 초창기인 13년부터 타고있는 오너이고 전기차 부품업체에 다니고 있습니다.
    예전에 LED 조명 초창기에 LED 조명의 가장 큰 장점으로 부각되던 에너지 절감과 장수명에 의한 탄소배출량 절감에 대한 담론이 생각나는 이야기군요...
    LED 조명이 전기를 훨씬 적게 쓰고 더 오래가고 하니까 탄소배출량이 적다...라는 모두의 확신에...
    누군가 이런 물음을 던졌죠...
    결국 조명은 사람이 쓰는 조명기준(밝기)가 정해져 있고(특히 도로같은 곳은 안전기준이죠) 그 조명기준의 만족을 위한 빛의 양을 내기위해서는 이전에 큰 광원 하나면 충분했던 것을 수백개의 LED 소자를 써야한다... 거기다가 LED소자 자체는 반영구적이나 그것이 빛을 내도록 구동하는 회로는 수명이 정해져 있다... 심지어 큰 광원하나에는 생각하지도 않던 제어를 위해 회로는 굉장히 복찹하고 전기소자도 훨씬 많이 들어간다...
    그렇다면 당신들이 이야기하는 적은 탄소배출량의 실체는 무엇인가? 단지 당장 전기를 드라마틱하게도 아닌 몇 십와트 적게 먹는 최종 제품으로만 따지는 것인가?
    큰 HID램프하나를 만드는 것이 탄소배출량이 적은 것인가 수백개의 LED 소자를 만들기 위한 부대비용과... 그전에는 실제로 안정기는 반영구적이라 일년에 한번정도 광원만 바꿔주면 됐지만 이제는 5년에 한번 회로 드라이버를 바꿔야하고 +전기적 영향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LED 소자를 바꿔야하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그 폐기물 배출량은 어떠하며 폐기물의 오염물로서의 레벨은 어떠한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전부 LED를 쓰고 있긴 했고... 저것이 소수의견이었죠...
    서론이 길었습니다만...
    저도 하이브리드를 타고 주변에 전기차 오너도 많습니다. 저포함 오너기준 모두 만족하고요...
    하지만 전기차로 가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보면 위의 사례를 빗대어 그리고 영상의 내용을 빗대어 의문이 들 수 밖에 없죠...
    환경오염, 탄소배출량, 에너지 절감... 과연 맞을까요?
    내연기관을 사용함으로 탄소배출량이 늘어난다면, 전부다 전기차로 넘어감으로써 생산의 증폭이 필요한 전기는 어떨까요?
    현재까지 가장 효율적인 전기생산 방법은 핵과 화력이죠... 그렇다면 그것의 탄소배출량과 폐기물의 레벨이 정말 내연기관사용에서 발생하는 그것보다 적을까요?
    아울러, 전기는 국가적인 자원이고 그 생산시설은 결국 전국민이 부담해야하는 것이라... 그에 대한 사회적 비용은 계산이 된걸까요?
    내연기관을 없애고 전기차로 100%전환되면 사회적 비용도 반드시 늘어날 텐데 그 때도 과연지금처럼 충전비용이 쌀까요? 회사에서 아파트 주차장에서 무료 또는 싼값에 충전이 가능할까요?
    눈에 보이는 현상만을 보고 판단하면 안된다는 아주 적절한 영상이군요
    감사합니다...

  • @우꺄꺄-y7m
    @우꺄꺄-y7m 2 года назад +4

    좋은 주제이긴 한데, 내용에서 놓치고 있는 것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1. 그냥 환경오염에 대한 것이 아니라, 온실가스 문제가 산업 전체적인 관점에서 '매우' 시급한 문제라는 겁니다. 몇몇 대륙에서 이렇게 강제로 억지로 전환시켜도 절대 모든 자동차가 전기차로 바뀌지 않습니다. 불편하니까, 돈이 안되니까 늦추자라는 식이 되면 온실가스 문제 해결은 더 늦어지는거고, 그러면 지구 온난화는 돌이킬 수 없는 수준에 다다르는데 훨씬 빨라집니다.
    2. 전체 자동차중에서 전기차 비율이 매우 높아져서 백만대가 완속으로 동시에 충전하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대당 7kW 기준으로 7GW 가 늘어나며, 심야시간대의 전력 예비율을 고려하면 여전히 꽤 여유로운 예비율입니다. 전기차 충전으로 인해 발전을 더 많이 해야만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데, 심야에 버려지는 전기가 어마무시한 걸 안다면 그런 소리 못합니다.

  • @donjuable
    @donjuable 2 года назад +8

    전기차 타는 게 충전이 편한 조건에서는 더할 나위 없이 좋지만 시기상조냐 아니냐 라고 물었을 땐 당연히 시기상조가 맞죠. 전국 차량 1/4 만 전기차가 돼도 난리가 날텐데 이거 하나로 답은 정해져있다고 생각합니다.

  • @mincheolsong1800
    @mincheolsong1800 2 года назад +4

    정말 좋은 내용이였습니다. 다만 한가지 빠진게 있는거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환경에 대한 문제입니다. 왜 내연기관차를 이토록 빨리 퇴출시킬려고 하는지에 대한 고찰은 없어보입니다. 내연기관차를 말씀하신거처럼 전기차보다 탄소배출이 작게되도록 기술개발을 할수 있겠죠. 다만 그 기술이 언제 개발될지 모르죠 그렇지만 그건 그거대로 연구하고 개발 해나가야 합니다. 다만 현재 지구의 시간은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비용이 얼마가 들더라도 현기술에서 탄소배출을 최소화항수 있는 전기차로 빨리 가야한다는 겁니다. 전기차보다 더 탄소배출이 낮출수 있는 차가 나오면 그땐 또 페러다임이 바뀌겠죠. 이제는 성능/효율보단 환경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전기차로 가는 상황이라고 생각됩니다. 자동차 시장을 이제는 이전 시각으로 보면 안됩니다.

    • @다이어트유지중인돼지
      @다이어트유지중인돼지 2 года назад +1

      문제는 중국이나 러시아가 장악하고 있다는거 환경 생각하다가 개네들에게 잡아먹혀요

  • @sinee9
    @sinee9 2 года назад +2

    비디오 테이프가 그랬고, 워크맨이 그랬고, 삐삐가 그랬다. 기술력이 떨어져서 사라지는 기업의 사장의 외침일뿐...

  • @별이하나-m8y
    @별이하나-m8y 2 года назад +5

    환경을 위해서 전기차로 바꿔야 한다고 하는말이 좋은 예기인건 아는데
    모든 사람들이 전기차를 사도 충전에 문제가 없을 정도는 되야지 전기차 시장이 제대로 활성화 되겠네요.
    아님.. 전기 오토바이 중에 배터리 교환 해주는 곳 있던데
    그처럼 자동차도 배터리 모양 통일 시키고 교환식으로 개발 하던가요

    • @장재영-i6r
      @장재영-i6r 2 года назад +1

      환경을 위해서 전기차? 전기차를 사면 왜 환경에 좋죠?
      그보다 환경이란게 뭐죠?

    • @최길동-w1c
      @최길동-w1c 2 года назад

      @@장재영-i6r 난 누구지?

    • @장재영-i6r
      @장재영-i6r 2 года назад

      @@최길동-w1c : 길동이?

    • @sanggyungkim9513
      @sanggyungkim9513 2 года назад

      @@장재영-i6r 재영이가 환경이...

    • @neoncloud0110
      @neoncloud0110 2 года назад

      배터리 교환 이야기하는데 배터리가 늘어나면 환경적으로 뭐가 좋을까요? 폐 배터리 처리 기술이 확실하게 나오지 않는 이상 무리라고 봅니다.

  • @beyondorganic-d8w
    @beyondorganic-d8w 2 года назад +1

    훌륭한 내용을 말씀 하셨지만
    전기차 전환의 큰 동력은 편리함이나 기술의 발달이 아닌 지구온난화입니다
    온난화가 심각해서 선진국으로 부터 전기차전환을 서두르고 있는거죠
    실제로 오일을 자동차에 직접 쓰는것보다 발전을 통해 사용하면 30%이상 절감되고 대기는 덜 나빠진다고 합니다 알라스카의 요즘 여름 온도가37도라고 하네요
    전기차가 안좋더라도 전기차로 대체해야할 위기 시점입니다

  • @a-nida
    @a-nida 2 года назад +5

    전기차 개발이 내연기관보다 더 이르지만 내연기관의 로비로 전기차개발이 늦혀졌다. 그때도 특정 나라나 기업이 이익을 봤는데 지금와서 30년까지 바꿔도 200년 이상 늦는 시기인데 단지 그 기업이 이득을 못취하기 때문에 늦춘다는것 또한 어불성설이다.

  • @파란만장-g1x
    @파란만장-g1x 2 года назад +1

    저는 다르게 생각합니다. 전기차가 더빨리 개발되서 문제가 빠르게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문제 개발 속도에 있는거지 내연기관차의 기대수명을 늘리는것에 있는게 아닙니다. 10년 뒤에는 지구가 멸망할 가능성이 더 높기때문입니다. 지구 온난화가 진짜 심각합니다 사실상 복귀 불가능한 현재시점에서 저는 더 빨리 내연기관차가 없어져야 합니다. 진심입니다. 지구가 없어질 가능성이 더 큽니다.

  • @이동훈-e4v
    @이동훈-e4v 2 года назад +3

    따끈따끈한 영상이군요!! 항상 업로드 감사합니다.

  • @_euio2991
    @_euio2991 2 года назад +1

    좋은 내용이네요.. 많이 생각해볼 거리입니다

  • @고니-f1h
    @고니-f1h 2 года назад +14

    나중에 휘발류값보다 전기세가 더 많이 나올수있어요 내연기관차도 같이 가야된다고 봅니다

    • @별이빛나는밤-w4t
      @별이빛나는밤-w4t 2 года назад

      @@goldmedalpapa 전기를 만들때 나오는 이산화탄소 양이랑 비교가 가능한가요 ㅇㅅㅇ?? 생산 ㅡ> 공급 하면서 사라지는 전기의양은요?

  • @규호황-i7f
    @규호황-i7f 2 года назад +2

    예전 영화 백투더퓨처가 생각나네요...
    연료가 필요하니...쓰레기통 뒤져서 바나나껍질(맞나???!)을 넣고 연료로 사용하던 모습...새로운 바이오 에너지....좋죠..빨리빨리 개발되기를...

  • @jso5439
    @jso5439 2 года назад +15

    왠만해서 댓글 잘 안다는데 오늘의 안피디님의 의견은 정말로 맞는말입니다. 전기차는 그냥 현재 진행형 유행에 불과하지 않습니다. 자동자가 우마차인 시절 포드가 엔진개발해서 지금의 내연기관차를 개발할때 모두가 다 미친짓이라고 했던것처럼, 또는 쉽게 이야기해서 예전에는 바지를 스키니를 입었다면 지금은 와이드팬츠를 입는거와 마찬가지입니다. 안피디님처럼 한쪽만 보지 말고 모두가 과거를 통해 돌아보고, 미래를 그리고 대화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유투버,특히 차튜브에서 이정도 심도있는 내용을 다룰 수 있는 채널이 있을까 싶네요. 생각이 아주 깊은 안피디님 화이팅입니다. 뭐 그럴일 없겠지만 악성댓글 신경쓰지마세요.

  • @musicandcar2169
    @musicandcar2169 2 года назад +1

    비슷한 생각입니다. 다른 나라도 그렇고 아이오닉5 출시전에 온통 전기차 시대 하며 떠들썩했지만 그후 지금까지 적어도 제가 생활하는 빅3(1기신도시 2곳, 주택단지) 거주지역엔 전기차 인프라가 전혀 없습니다. 그런데 언론에선 여전히 전기차 시대인것처럼 심심치 않게 기사가 나와요. 주행거리보다 인프라만 개선 되도 참좋은데 충전때문에 발 뻗고 쉬지 못 한다면 그건 불편입니다.
    이번 bmw 회장 발언을 잘 정리 하주셨네요! 잘 보았습니다.

  • @WICKED_WE_KID
    @WICKED_WE_KID 2 года назад +5

    전기차가 과연, 정말 친환경적이 맞긴 맞냐는 댓글들이 많은데...
    일차원적으로 봐도
    내연차보다 덜 친환경적이었으면
    비엠 회장이 저렇게 기자회견을 하진 않았겠죠
    온갖 논문과 전문가들 불러서 반박하고
    내연차가 답이다 라고 말했을겁니다.
    누구보다 그렇게 외치고 싶겠죠...
    좋은내용, 영상 잘봤습니다

  • @HHO0
    @HHO0 2 года назад +1

    전기차 보급율이 늘면서 어느정도 탄소중립이 실현되면 규제가 완화되어 각 회사에서도 지금 전기차 전용 모델을 만드는것처럼 그때는 전기차가 기본이고 내연기관 전용모델을 만들어 팔지는 않을까... 그러면서 친환경 수소엔진을 개발하여 아날로그시계 디지털시계 가 공존하는것처럼 내연기관과 전기차가 공존하며 취향이나 여건에 따라 선택하는 시대가 오지는 않을까 상상해봅니다...

  • @chet7110
    @chet7110 2 года назад +3

    전기차보다 효율적인 내연기관차? 왜 그런 가정을 하며 기다려야하는지 모르겠네요
    이미 몇년전 유수의 내연 자동차업체가 내세운 논리고 이미 식은떡밥입니다

  • @슐랜스키
    @슐랜스키 2 года назад +1

    결국 지들이 잘 못만들어서 하는말… 분명 지들이 전기차 1위였음 저런말 안함…

  • @SKY-yj2yr
    @SKY-yj2yr 2 года назад +10

    환경 더 악화되기 전에 전기차는 진행해야 한다고 봅니다.
    물론 어떤 변화든 피해보는 사람이 있겠지만 먼 미래를 위해서 어느정도의 희생을 불가피 한것 같네요.
    그리고 언제나 늘 그랬든 베터리 문제도 해결될겁니다.
    10년후에 그러겠죠. "10년전에 베터리때문에 전기차를 기피했었데!"

    • @GBCSCYS
      @GBCSCYS 2 года назад

      그래서 전기차를 진행하지 말아야되는게 아니라 전기차는 계속 개발하면서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은 더 뒤로 미뤄야 되는거죠.
      전기차로 인한 문제나 불편함을
      해결하고 내연기관차를 중단하냐
      감수하고 중단하냐의 입장차이고
      개인마다 관점이 다르겠지만
      전기차와 내연기관을 비교했을때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전기차를 선택할정도로 전기차의 문제나 불편함이 해결되었을때
      내연기관차 판매 중지하는게 더 나은 방향이라고 봅니다.

    • @heeyaa1392
      @heeyaa1392 2 года назад

      중국 공장만 어떻게 되면 대부분 해결됨 공장 정지 했을때를 생각해보세요

  • @Kyle-ts3ee
    @Kyle-ts3ee 2 года назад +2

    테슬라 유저지만 전기차의 90% 스트레스는 충전이죠, 전 집에서 편하게 충전 하지만 가끔 부산, 강원도 바다 가면 가령 가는 목적지 고속도로 IC 에서 가까운 슈퍼차저가던지, 휴게소 충전소는 무조건 가야 되죠, 이런 단점도 있지만 톨비, 충전비 하면 경차 반값에 연비로 다러올수 있는 장점도 있죠

    • @tepliche
      @tepliche 2 года назад

      흠 보니까 전기차는 아직 시기상조네요 일시적 유행일수도 있고 내연기관차보다 조용하고 정부보조금 나오는거 빼고는 더 나은점이 없어보이네요..

    • @Kyle-ts3ee
      @Kyle-ts3ee 2 года назад +2

      @@tepliche 영상 내용에서도 언급했지만 안타보면 그런생각 들지만 타보면 기능으로는 절대 내연은 전기차 못 쫓아감, 제네시스,벤츠,BMW,람보르기니 그냥 속도에서 다 밀어버림, 전기차 한번 맛들이면 내연차 답답해서 못타요. 글구 부산 왔다 갔다 전기차 4만원 충전이면 왕복

    • @안홍-c5x
      @안홍-c5x 2 года назад

      @@Kyle-ts3ee 속도에서 모든 내연기관을 바른다고요..? 경제적 문제가 없다면 어떨까요? 단순 기능능력만으로 볼때 아직 내연기관이 한수위인것 같은데요. 미래가 아니라 현재에는 아직 그렇지 안나요?

    • @Kyle-ts3ee
      @Kyle-ts3ee 2 года назад +1

      @@안홍-c5x 그러겠죠, 제가 람보르기니 이런건 오버적인 표현이지만 EV6 나 테슬라3 이런 5천~7천짜리가 그랜저 벤츠 아우디 진짜 속도는 발라 버림, 람보르기니 페라리 포르쉐 이런차와는 거의 동급입니다 속도는 타보면 내연기관차 못따라가요 몇억급 슈퍼카 같은 특징적인 차 아니면

    • @안홍-c5x
      @안홍-c5x 2 года назад +1

      @@Kyle-ts3ee 아니 내연기관 답답하시다 하셔서요. 전기차 5~7천짜리가 고성능 내연기관이랑 속도동급이다라.. 제가볼땐 순간적으론 그럴수있어도 하체보면 상대가 안될것 같은데요. 간단하게 브레이크 시스템 하나만 봐도. 달리는차가 아니지 안나요? 신형은 좀 다른가봅니다. 가격제외하고도 전기차가 동급이라면 앞으로는 전기차 사도록 해야겠네요.

  • @득근득근-m6q
    @득근득근-m6q 2 года назад +4

    아직은 시기상조
    기술력 아무리 좋아도 충전소 부족...
    베터리 교체값 너무 비쌈

  • @ulmuhide
    @ulmuhide 2 года назад +1

    이건 bmw가 내연기관차량 팔아먹을려고 하는 소리가 맞을듯
    이미 개발 성과가 있는 무선 충전 기술이나 자율주행기술의 보급화로
    충전의 문제는 해소 될거예요.
    앞으로 감성차원에서 내연차량을 선호하는 사람은 있되 대세를 거스르지는 못할거예요.

  • @김상균-l8c
    @김상균-l8c 2 года назад +4

    지금의 상황에서는 하이브리드 단계를 건너뛰고 전기차로 바로 옮겨가는게 생각보다 많은 문제를 낳을수 있다는거죠 보완할 수 있는 기간을 없애버리는것이라 생각되네요
    하이브리드를 활성화 하여 전동 계통에 대한 데이터를 쌓고 전기차로 넘어가는 순서가 신뢰성을 갖는 기술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 @investor_han
    @investor_han 2 года назад +2

    연비같은거 별 신경도 안쓰는 회사에서 저런소리하는게 웃기네 ㅋ

  • @own_life__
    @own_life__ 2 года назад +3

    전기차로 가야함 충전, 에너지 문제등 모든건 해결 할것임 늘그래왔듯이

  • @yoonseok7979
    @yoonseok7979 2 года назад +2

    당장 전기차를 고민하는 이유도, 주거지에 집밥이 없기 때문이네요.
    2-3년 내 전기차를 구매하고 싶고, 향후 국가적으로 인프라를 늘려서 대응을 해주겠거니 하는 나이브한 생각의 바탕이 있기도 합니다.
    전기차가 현재 내연기관차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지는, 아직은 미지수네요.

  • @an3629
    @an3629 2 года назад +9

    제 개인적인 생각은 전기차 발전도 중요하지만 하이브리드를 더 개발하는게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drchoi3131
    @drchoi3131 2 года назад

    단순히 생각하면 쉽습니다!
    우리 아파트 주차장 900가구당 1.5대
    = 1350대
    인프라 구축되서 모든 차가 전기차라고
    치고 만약 매일 충전 한다고 가정하면
    전력 사용이 몇십배는 늘어 날 것이고
    또 도시에서 > 전국으로 봤을때 8~90% 이상이 전기차로 전환 됬다고 가정 한다면?
    그에 따른 추가적인 전기 생산을 위해
    수많은 원자력 발전소, 화력발전소 추가 건설은
    불가피 하다고 봄!
    과연 전기차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친환경
    일까요??
    전기차가 늘어나면 그에 따르는 추가적인
    문제도 많이 예상 할수 있죠!
    - 사고나 노후로 폐차 시 발생되는 중금속 오염?
    폐 베터리 처리(니켈, 리튬, 희토류 등)
    베터리 수명에 따른 주기적인 교체와 폐기
    - 아직은 재 자리 걸음 인 베터리 수명에 따른
    1회 충전 후 주행거리 재약!
    - 여름 에어컨, 통풍/겨울 히터 등등
    추가 전력 사용에 따른 전비 감소!
    과연 전기차가 내연기관 보다 낫다?

  • @드르니-l6x
    @드르니-l6x 2 года назад +7

    예전에도 어떤분이 그런말씀하시더군요. 전기만들때도 화석연료쓰고, 내연기관 돌리는데도 화석연료 쓰는데 뭐가 차이가 나냐? 차이안난다. 그러셨지만 제 생각은 매우 다릅니다. 효율면에서 압도적 차이가 난다고 봅니다. 내연기관으로 전기차와 거의 비슷한 효율을 낼수만 있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시장은 그때까지 기달려주지도 않을꺼구요. 이걸 뒤집지 않는 이상 이미 게임은 기울어졌다고 봅니다. 기울어졌으니 기울어진대로 더 기울어 질것입니다. 이건 사회적불균형 뭐 이런게 아닙니다. 기술의 차이입니다. 기술에 차이에 대한 항변은 변명에 불과하다 생각합니다. 물론 지적의 포인트는 매우 적절합니다. 하지만 그것때문에 전기차로 못간다? 그게 아니라 그러한 문제들을 보환하는방식으로 가지 않을까 합니다.

  • @youngd3228
    @youngd3228 2 года назад +2

    내연기관도 휘발유 보유국에 의존하고있는거 아닌가요?

  • @유서방체크팩트
    @유서방체크팩트 2 года назад +3

    휴대폰도 배터리 진화 했듯이 차 배터리도 언젠간 해결 되겠지요 받아들여야 된다고 봅니다 환경문제가 가장 크니...

  • @산이아부지-u4b
    @산이아부지-u4b 2 года назад +2

    저도 약간은 걸리는게 지금 살고있는집은 노후 아파트라 충전은 커녕 주차할대도 없고.. 주위에 충전인프라가 전혀없어서..어찌해야될지 모르갰더라구요..

  • @강마을-q2w
    @강마을-q2w 2 года назад +5

    한국에서 전기차 충전시간 1분정도의 기술 확보 ㅡ 상용화엔 당연히 인프라 구축비용이 듦 비용이 많이 들어서
    그걸 포기 한다면 지금 일본의 팩스 도장 선호현상과 같다고 봄

  • @kwoenseohyoen
    @kwoenseohyoen 2 года назад +2

    신재생 에너지가 생겨야 하는데 전기차도 환경에 자유롭진 못하지
    현재 최선의 친환경은 대중교통임

  • @parkyon777
    @parkyon777 2 года назад +5

    BMW가 독보적인 전기차 기술을 가졌을때도 그런말을 헸을까요? 그런 직접 이해관계자가 말하는 의견은 우선 걸러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내연기관차가 전기차만큼 탄소배출량이 줄어드는 정도로 발전을 할때 전기차 효율은 변함이 없을까요? 그리고 내연기관은 아무리 친환경이라도 탄소을 태울수 밖에 없어요. 하지만 전기차는 당장은 화력발전의 전기이겠지만 향후에 친환경적인 전기생산의 가능성이 충분히 남아있습니다. 그 경우 탄소발생량은 더 줄어들꺼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