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 발등에 불 떨어진 구글이 내린 최악의 선택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구글은 새로운 인공지능 Gemini를 발표했다. 그런데 제미나이의 성능이 훨씬 좋아보이도록 제미나이 시연 영상이 편집됐다는 외신들의 주장이 있었다. 정말 구글은 AI 시연 영상을 주작한 것이 맞을까? 만약 맞다면 구글은 도대체 왜 제미나이 시연 영상을 조작한 걸까?
참고자료
www.donga.com/...
www.nocutnews....
m.khan.co.kr/e...
imnews.imbc.co...
mobile.newsis....
korea.googlebl...
www.businesspo...
세계적인 천재들이 일하는 글로벌 IT기업인데...얼마나 GPT한테 쫄렸으면..그만큼 지금 챗GPT 성능이 말이 안된다는거겠지
@@BILLWilliam-의coh1채널
쳇gpt에 쫄아서 국제적 사기를 친게 문제지.
구글 대단한거 누가 모르냐?
@@BILLWilliam-의coh1채널문장 구사력에 감탄을 하고 갑니다
@@BILLWilliam-의coh1채널아직 승리자는 없긴하지만 선도기업인건 맞죠...게임체인저로서 openai가 업계에 긴장감을 주었고 빅테크기업들이 llm을 앞다퉈 내기시작하고 구글은 급해서 마치 영상에서 multimodal로 작동하는 거처럼 편집하는 것처럼요 천하의 구글이 주작하는 날을 보는건 쉽지않죠
@@JWSong-bb3hc어쩜 저와 똑같은 생각을...
@@BILLWilliam-의coh1채널 너무 유식하십니다
AI 얘기가 나와서 생각해보니 구글 알고리즘이 채널의 정체성이 바뀌면 더 이상 선택해주지 않는다는 의견이 지배적인데, 이 형은 계속 밀어주고 있는데 이상하다... 마지막 말로 AI를 속이고 있는 것은 아닐지?
@@1bong9 힝ㅜㅜㅜㅜ 부정적인 말은 읽는이가 슬프게 만들어요ㅜㅜㅜ
ㅇㅇ 닌속여먹는사기꾼이니까.ㅎㅎ
혁신적인 기술력을 발견하는것이 돈으로 무작정 해결 할 수 있는것이 아니란게 참으로 신비롭습니다.
openai도 마이크로소프트에 있어서 돈으로는 밀릴 게 없긴 하죠. 현재 gpt와 제미나이도 기술력보다는 시장 선점효과가 더 커요. 둘 다 성능은 크게 차이 안 남
오픈ai도 창업자중에 일론 머스크 껴있고 마이크로소프트가 대주주인 기업이라 일반적인 스타트업 기업은 아닙니다.
현재 bard에 영어로 질문하면 제미나이 프로버전을 쓸수 있는데 그래도 생각보다 굉장히 괜찮습니다. Gpt4를 사용하는 bing chat보다 낫다고 느끼네요. 일단 구글 검색속도가 매우 빠르고 답변도 더 구체적으로 해주는 것 같아요. 항상 두개에 동시 질문하는데 채택률이 더 높아졌습니다.
빙챗은 목적이 다르니까요
빙챗은 애초에 의도가 구체적인 답변보다 간략하고 실시간성있는 대답이 목적입니다
챗 지피티 와 바드와 비교하면 일단 환각면에서 큰 차이가 생깁니다..
일단 제미나이 프로는 gpt4보다는 떨어지는건 사실이라 울트라가 어떤 성능을 가지고 나올지를 지켜봐야겠네요
오늘도 스포없는 유익한 영화 리뷰 감사합니다
갤럭시s24 스포당함 ㅡㅡ
제미나이를 어서, "에미나이" 로 대체해야겠군.
님 좀 치네
에미나이를 린나이로 대체해야겠군
젬미니도 좋을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 이생각하고 댓글달려했는데ㅋㅋㅋ늦었네유😂
구글이 오픈ai에게 위기감을 느끼고 성급하게 주작까지 했다는거 자체가 현재 두 회사의 기술 우위를 보여주는것 같네요.
뭐 나중에야 어찌될지 모르지만요.
하지만 계속 서두르다 회사의 신뢰성이 무너지기 시작하면 내부에서 부터 ai관련 사업이 침몰 할 수 있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을수도.. 뭐 알아서 잘하겠죠.
선점효과가 대단할텐데 이미 open AI가 점유율 다먹고나서 만든다한들 사람들이 구글ai를 써줄지 의문
혁신적으로 좋지않는한 점유율이 바뀌는 건 어렵다고봐요 그리고 선점효과로 만들 생태계(앱스토어 같은)에
익숙해지면 더 점유율먹기힘들죠 애플이만든 앱스토어 생태계 적응했는데 갑자기 구글폰쓰면 불편하듯이
선점 효과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생성형 ai 혹은 언어 ai들은 막대한 빅데이터들이 필요한데 아마 시작이 늦어지면 데이터의 양도 질도 적어지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그리고 Open AI의 창립을 한 일론머스크가 새로운 AI를 발표했다고 하고 이미 GPT 를 따라잡았다고 하니까 아마 GPT VS GOOGLE 구도는 벌어지기 쉽지 않을 듯 싶습니다
어차피 검색엔진은 구글 쓰기 때문에 옆에 질문창 선택지만 줘도 구글꺼 쓸거 같긴함
안드로이드에 넣어서 삼성 중국이랑 협업할 수도 있고 구글 검색엔진에 넣을 수도 있고 방법은 많지
gpt가 앞서나가는건 맞지만 아직 모르긴해요
성능이 말도안되게 더 좋으면 당연히 입소문나고 써주죠
확실히 시장을 선점 당하는 것은 큰 일이지만
구글은 자신들의 과거를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과연 본인들이 황무지를 개척해 성장한 기업인지 아니면 야후같이 이미 잘 자리잡은 기업들을 혁신으로 누르고 일어선 기업인지
아직은 G의 능력을 뺀 에미나이인가.
댓글이 재미나~~이
이 댓글을 보는 순간, 아직 유머는 AI가 인간을 이길수 없다.
@@ullysiss1ㅅㅂㅋㅋ
ㅋㅋㅋㅋㅋㅋㅋ😂😂
제미나이를 젬미니로 대체해야겠군.
내가 보기엔 꽤나 전략적임
주작을 통해서라도 구글이 제미나이로 구현하려는 AI의 비전을 명시하기에도 좋았고 성능이 과장되었지만 일부적 기능하고 있음을 알리긴했으며
GPT에게만 주목된 이목을 어느정도 끌어오면서 구글도 해당 시장에 있어서 끊임없이 투자하고 있음을 명시했다고는 봄
물론 이를 단기적으로 봤을 때는 구글이 영상을 조작하면서까지 과대포장했다라는 것 때문에 이미지에는 타격이 있겠지만 구글의 자본이라면 해당 영상만큼 기능하는 건 무리더라도 그 비전을 본 것만으로도 구글 기업에 의한 AI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보기엔 충분했다고 보임
오픈ai에 돈을 투자하는게 구글에 비해서 자금력이 오히려 앞서는 마이크로소프트라는게 구글에겐 위협이죠. 그냥 다른 기업이라면 자금력으로 갭을 쫓아가서 앞설수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상대기업의 백그라운드라면 구글에겐 유리한게 없는 싸움을 해야하는거죠.
실시간으로 작동되는 것처럼 편집한 부분은 문제가 되지만 그렇다고 성능 자체가 놀랍다는 건 변함이 없어요. 나는 구글 딥마인드가 플래밍고를 가지고 나왔을 때부터 다양한 입력 (멀티모달)을 인지하고 전환이 가능한 AI출시를 기다려왔죠. 그 이유는 대부분은 글을 입력하면 그림을 만드는 생성 AI에 치중할 때 딥마인드는 그림을 보고 그 그림에 무엇이 있고 어떤 상황인지를 인식하는 플래밍고만드는 걸 보고 참 대단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그 이유는 AI의 본질이 결국 입력을 어떻게 컨트롤 하는가에 있다는 걸 딥마인드는 이미 알고 있다는 방증이었으니까요.
지금 AI는 정말 초창기 상황이에요. 바퀴로 따지면 돌을 동그랗게 다듬어서 굴러가게 하는 수준인거죠. 그래서 당장 누가 더 잘 굴러가는 돌바퀴를 민드는가는 별 의미가 없어요. 인간의 지능을 모방한 게 AI죠. 좀 더 정확히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한 게 지금의 AI입니다. 문제는 인간의 뇌는 복잡계에 해당하고 인간은 아직 수학적으로 복잡계를 이해하는 수학을 제대로 깨우치지 못한 상황이죠. 그건 나뉘어지지 않고 연결되는 운동같은 걸 기존의 수학으로는 표현할 수 없어서 뉴튼과 라이프니츠가 거의 동시에 미적분이라는 수학의 언어를 발견한 것과 비슷해요. 즉 지금 인간은 아직 복잡계를 표현하는 수학의 언어를 온전히 발견하지 못했죠. 즉 다양한 패턴의 상호 작용이 중첩되서 나타나는 게 복잡계인데 우주와 인간이 포함되는 생명이 모두 여기에 속합니다. 지금 물리학이 엄청난 벽이 부닥친 이유가 바로 복잡계에 대한 수학적 접근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양자 역학도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이고요.
복잡계를 이해하려는카오스 이론에 초기 상태 민감도(Initial condition sensitivity)라는 게 있는데 흔히 나비효과로 알려져 있죠. 즉 초기 상태가 아주 미세하게라도 달라지면 결과가 완전히 달리지는 걸 의미하죠. 그래서 초기 값을 얼마나 정교하고 완벽하게 아는 가가 중요한 겁니다. 딥마인드가 다양한 입력 형태를 온전하게 인식하는 여러가지 AI를 만드는 것도 이것과 무관치 않아 보이죠. 다만 복잡계는 패턴의 상호작용이 중첩되면서 나타나는 특성 상 과정을 온전히 컨트롤 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점이 있고 선형 인과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점이 있어요. 즉 원인에 의해 결과가 만들어지는 구조가 아니라 결과가 역으로 원인에 영향을 주는 다방향 다차원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양자역학을 보면 이걸 쉽게 이해할 수 있죠. 그건 마치 진화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예측하는 것이나 날씨가 장기적으로 어떻게 변화할 지 예측하는 게 불가능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즉 패턴들의 다양한 상호 작용, 간섭등이 지속적으로 중첩되면서 부상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뭔가 제어할 수 있는 실체가 있는 게 아니라는 말입니다.
최근 OpenAI내에서 발생한 사건을 토대로 추측해 보면 바로 이 문제가 아마도 핵심일 겁니다. 스스로 학습하는 AI, 인간이 제공하는 데이터가 아닌 스스로 데이터를 만드는 AI는 판도라의 상자같은 겁니다. 왜냐하면 복잡계의 특성 상 Emergence가 나타날텐데 그게 인간은 전혀 제어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아마 실제로 그런 진화가 이루어져도 인간은 그걸 파악조차 못할 가능성이 크죠. 인간은 너무 교만하고 무지한데 스스로 그걸 인정하지 못하죠. 지금 OPenAI가 아마 그 함정에 걸려있는 것으로 보이죠. 구글은 이 함정에 뻐지지 않으려다 보니 우왕좌왕하는 모습으로 보이는 거고요.
복잡계를 이해하는 수학을 제대로 깨치지 못한게 아니라 이미 그러한것을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만드는건 불가능하다고 증명되어 있음 수준이 낮네 글만 존나 길고...
혓바닥이 많이 기시네요
견해보다 예언을, 판단보다 강의를 적는 글에 더 가깝고요.
관련지식을 모르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기엔 장황하고
관련지식을 아는 사람에게 생각거리를 주기엔 독백이 많군요
그리고 솔직히 감상을 말하자면 시작하는 곳에서는 몇가지 용어도 열심히 쓰십니다만 뒤로가면 갈수록 그냥 약파는 음모론자의 글 그자체입니다
특이점 유행이 여러 사람들을 반숙 스놉으로 버려놨어요.
@@marksmithcollins폴앨런 마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도 그렇게 생각함ㅋㅋ
@@marksmithcollins 나는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했지만 수학을 안다고 말할 수 없어요. 낫 놓고 ㄱ자도 모르는 까막눈 수준은 아니더라도 너무 부끄러운 수준이죠. 그런데 AI 논문들 읽다 보면 믄득 이 사람들은 수학을 배우기는 한건가하는 생각이 들죠. AI 논문 읽으면 제일 많이 눈에 띄는 게 'heuristically applied'라는 말인데 체험적으로 알게 되었다라는 의미로 쉽게 말해서 이렇게 해보니 되더라라는 말입니다. 지금 Ai 알고리즘에 주로 쓰이는 게 선형 미분 방정식이죠. 더 이상 설명이 필요한가요?
그나마 구글과 NVidia에서 나오는 논문들은 훨 나은 편입니다. 예를 들어 Nvidia에서 그림 생성 AI를 만들면서 Hamilton Mechanics를 일부 인용해서 Expert Denoiser라고 명명했더군요. 하지만 왜 Hamilton Mechanics를 활용하면 더 나은 결과가 나오는지는 잘 모르는거 같더군요. Hamilton Mechanics의 일부는 카오스 이론과 연결되어 있죠. 다시 말해 복잡계에 약간 더 접근했다고도 할 수 있어요.
OpenAI는 공개하는 논문 자체가 없다보니 꼭 집어서 말하긴 어렵지만 하는 짓거리를 보면 대충 유추는 가능하죠.
OpenAI 등장과 동시에 구글 발에 불 떨어졌으니
개발자들 얼마나 닥달했을지 눈에 보이네 ㅋㅋㅋ
구글은 오픈AI가 뜰수록 존폐위기라서 .. 바드던 제미나이던 뭔가 대항마를 마련하지 않으면 폭망할수가 있어서 그렇죠. 소비자 입장에서는 여러 AI가 경쟁하는게 좋습니다.
독과점이 좋은건 아니죠 근데 다들 구글 빨아주나 몰라요 이해가 안되네
실시간 처리는 인공지능 연구원들한테도 어려운 일입니다. 아직까지 불가능하다는거죠
👍
독점이 무너지는게 다행이네요
AI 한편 잘봤네요~ 영화리뷰 감사합니다~~!!
이제 과학을 넘어서 시사까지 노리는 리뷰엉이 채널
구글이 또 무리수를 두네
조작을 실수라고 할수 있나.
12.15(금)새벽 gpt4.5발표
이게 말로만 듣던 구라에 사실을 살짝 섞는 방법인가?
바드야 실수지만 이번꺼는 사기지 무슨 실수??
바드 껴넣고 실수로 물타기인가???
아 자꾸 에미나이라 하는거 같아서 북조선 Ai 같음둥
주인장님, 영화 리뷰는 마무리 멘트 하나로 날로 드시려고 하시네요~~ ^_____^
바드가 성능이 떨어지는건 맞는데 시료가 독보적이라 우위인 부분도 있어요
시노자키 AI도 리뷰 해줘잉~
보고싶었던 영화를 리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5:4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오
어느순간 무언가 검색할때 네이버로 하는거보다 유튜브로 검색하는게 더 편해지긴했지..
그래도 네이버 질문하는 거 좋았는데...
유튜브는 다영상이자나 .. 그래도 텍스트를
원할땐 어쩔수없지
AI비관론자들이 걱정하는 것처럼 개발자들의 지나친 경쟁으로 AI를 제어하지 못하는 수준까지 만들어놓고 감추지않을까 싶음.
AI가 걱정되는게 아니라 진짜 걱정하는건 인간의 탐욕과 고집임.
무식해야 가질수 있는 병입니다.
AI 알고리즘쪽을 공부해보세요
기계들의 반란 같은 어처구니없는 망상병이 사라질겁니다.
구글 CEO가 인도인이라서 그래. 외국에서 살아보면 내가 뭘 말하는지 알껄!
영화 제미니맨 감사합니다
결론: 여러번 경험해 봤지만 인도 애들이 맡으면 늘 2% 정도 부족하다는 느낌이었는데, 이번에도 예외가 없군 ㅎㅎㅎ
그래서 영화 제목이 뭔가요?
그래서 우리는 MS주식을 빨리 사야합니다.
저 영상이 제미나이가 만든 영상이었으면 주가가 300%올랐을거같ㄷ
10:04 이부분은 한국시장에 맞는게 세계시장에선 안맞음… 특히 it에서는 그런듯 덕분에 한국은 갈라파고스화 되고 있고
근데 구글도 처음에 이 영상 만들 때는 그냥 극적 효과를 보여주려고 현대차 홍보영상처럼 만든 것일텐데 agi 에서는 실시간 반응이 하도 중요하다보니 대참사가 ㅋㅋㅋㅋㅋ
그런경우 보통 연출된 영상이라는 표시를 해주는데 구글은 일부러 안한거라..
구글은 AI예약 서비스인 듀플렉스 데모를 2018년에 보여주고 2021년에야 일반인에게 공개한 전력이 있죠.
2019년에는 듀플렉스 통화의 25%가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고,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시작된 통화의 19%가 사람에 의해 완료되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021년이 되서야 99%를 커버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혹시몰라 과학쇼크를 진정시키기위해
구글측에서 내려치기 일수도...
영국식 발음이 제미니이고 미국식은 제미나이가 맞군요.
AI연구는 다른 기술과 달리 윤리적,도덕적 관점에 테클이 많고, 그래서 팔 걷고 전력 질주하지 못하고 다들 규제니, 제재니, 하면서 버벅이는거 같네요.
정보검색사 자격증이 무의미해지는..
근데 그건 사실상 컴맹 문과충 틀딱들이나 따는 쓸모없는 자격증인지라
코로나로 인류범죄자들 벌을 받아야 한다
마지막에 잘못 들었는줄 알고 다시 돌려봤음. 이거 영화리뷰 였구나....
이게 영화 AI리뷰라고?
에~이 아이자나~
예미나이
인터스텔라 와 아이언맨 콜라보 리뷰 해주세요!!!
10:12
어...?응......????
한글시험치게 해보면 좋을것 같다요😊
리뷰엉이님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보고 다리가 네개가 되었습니다.
주작은 실수가 아닌 고의죠.
초조하면 실수를 낳고 실수가 되풀이 되면 초초한 나머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을 수 있습니다.
ai 같은 신기술을 다룰 때는 신중함이 요구 되는데 걱정이네요.
우리가 두려워 해야 하는 건 ai가 아닌 그걸 다루는 인간입니다.
세상은 타이밍이다 만점자를 원하지 않는다. 그말은 즉 성공은 완벽한 사기이다.
애미나이 생각한 사람이 나뿐이 아니었군
내 생각에는 AI 출시를 통한 초성능 버블을 노린거지 않나 싶다.. 챗GPT 때도 그랬고 주주들 초성능 심리 기대에 힘입어 주가가 급상승하니까 그걸 노린 시연이지 않았나.. 조심스럽게 예상..
다른건 모르겠고 챗지피티가 코드 하나는 기가 막히게 짜준다고요 아ㅋㅋㅋ
구글 힘좀 빠져야돼 너무 커졌어
구글급 회사가 왜 무리하냐는 말도 있던데 구글급이니까 그러는거임.. 공룡이랑 개 닭 소는 체급유지 비용이 다르지
구글이 똥줄 탈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원래 검색의 지존좌인 MS의 익스플로어 지금의 엣지 브라우즈의 부상이 두려운겁니다.
꼬라지 보니 나 죽을때야 인간보다 뛰어난 ai 나올듯
자율주행도 구린 마당에
어뜨케 ai 이름이 제미나이
설마했는데 허...
이런걸보면 정말 미국이라는 나라는 정말 엄청난 나라인것 같습니다.
전서계 천재들이 미국에 모였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어쩌든간에 초격자수준으로 미국의 기술이 다른 모든 나라를 압도하는것들이 많은 것이
러시아나 중국이나 뭐 이런나라들이 아무리 따라올라고 해봐야 앞으로 계속 불가능할것 같고요
진짜 농담같은소리로 외계인 고문하고 얻은 기술 아니냐 하는 얘기가 나올수밖에 없는것 같아요..
한국도 다른나라보다 앞서는 기술을 몇개 가지고는 있지만 미국같은 엄청난 기술개발이 이뤄지는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
(초전도이슈때 정말 그런 기대가 들긴 했었죠... 한국이 설마 와칸다처럼 될수 있는건가 하고.. 설렜던.. )
조금 의문이 남 부분이 있습니다.
구글이 조급해진 이유가 chat gpt가 검색 시장을 조금씩 갉아먹기 때문인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인데요.
gemini ultra가 gpt4보다 성능이 좋다는게 팩트였다고 하더라도 이게 검색 시장을 뺏기고 있는 것이랑 어떻게 관련이 있을까요?
바드에서는 gpt4에 뒤쳐진 pro 버전이 제공될 예정이니까 이런 공개로는 여전히 gpt4의 점유율을 뺏어올 수 없을 것 같아서요.
그렇다면 뭔가 의미없는 발표회였던거같기도 한데 심지어 조작 영상이었다니...
구글 이런10새들 조작을 해?
어라. 전 바드가 더 좋던데요. 쳇GPT는 거짓 응답이 너무 많아요. 어찌보면 그게 더 사람스러운 것 같기도 하고.
구글은 바드 만들지 않았나요?
영상 편집이라길래, 찍은 거 중에서 잘 된 거 몇 개 골라온 정도 생각했는데 ㅋㅋㅋㅋ
개인적으로 검색이나 뭐 다른 일들을 할 때 세가지를 써봤는데 chat gpt = bard > bing인듯? 초창기 bard는 뭔가 허구한날 이상한 거 알려주고 좀 짜증났는데 지금은 비슷비슷한듯..? 굳이 뭐가 더 낫냐 하면 아직은 근소하게 chat gpt이긴 한듯
챗GPT 공부하고 싶은데 뭘해야됨?
마소 빙도 그렇고 구글 바드도 그렇고 헛소리 찍찍 잘하던데
아직 둘다 많이 멀었음
너굴이가 다룰꺼 형이 뺏어온거같은데
Don't be evil = 돈(money )Be evil
북한이 AI 를 만들면 애미나이?? ㅋㅋㅋㅋㅋㅋㅋㅋ
헐
이렇게 된거 bard 한국에도 제미나이 적용이나 해주면 좋겟다
공개된 영상만 보면 제미나이인데
나중에 알고보니까
에미나이였네..
첫 시연 때 잼미니 성능 좋네 했더니...영상이었네요...
잼미니를 완성하기위해 구글 구독료를 인상했읍니다..
구글의 자본력으로도 뚫지 못하는건가
마지막에 영 화 강조ㅋㅋㅋ
chatgpt 한테 연구실 안전 문제 풀어보니 40점도 못 받던데 무슨 ㅋㅋㅋㅋ
gpt4 유료결제 해서 잘쓰고있긴하지만 애는 파일이나 이미지 인식을 아에 못하다보니 비슷한 성능만되도 활용도 높긴할거라보긴해요 저게 과대라고해도..
시연 영상 링크는 어딧나용
제미나이가 재미나이 되어버렸네
제미나이가 애미나이가 됐네요
엥 이분 영화리뷰는 언제해요?
오우...
구글은 스트리밍 게임 서비스 실패 하고 인공지능은 성공할것인지 몰겠네
우리나라에서는 애미나이라고 부르겠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애미나이, 오늘의 로동당 소식을 알려주라우
잡스가 아이폰 첫 시연할때 칼각잡고 되는 것만 시연했다던 썰이 생각나네요.
결국엔 지금 제미니 주작 영상처럼 진화할거라고 봄 “갓글이니까”
이젠 캡차가 없어지겠네.
영화 AI 리뷰는 또 뭔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분 은근 개그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hatGPT 3, 4 따라 오려면 아직 멀었군 ㅋㅋㅋ
개인적으론 gpt보다 바드가 좀더 낫더군요. 질문에대한 답변의 상세함은 gtp와 비슷하지거나 좀더낫다고도 볼수있고 답변을 3가지로 받아볼수있다는점, 그리고 한글 이해도, 가장중요한 최신정보까지 반영된걸 답변해준다는게 가장큰장점이었던건 같습니다.
무서운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