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ce Ik'an, Third Son of King Taejo and Elder Brother of King Taejong [History of Korea]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Prince Ik'an, Bang-ui was the third son of King Taejo, Yi Seong-gye, the first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the younger brother of the 2nd king Jeongjong(Yi Bang-gwa) and the elder brother of the third king Taejong(Yi Bang-won). #HistoryPatch #JoseonDynasty #Queen

Комментарии • 143

  • @노건우-y5u
    @노건우-y5u 4 года назад +30

    평소 자신의 그릇과 성품을 알고 분수에 맞게 살며 세상 흘러가는 이치를 꿰뚫어 보는 눈이 있었던 사람이네요. 적당히 세상과 타협도 하면서 살았던 걸 봐서 현명했던 분일듯.. 조선 건국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것으로 봐서 능력이 없다고 볼수도 없는데 타고난 성품+훌륭한 처세로 자신뿐만 아니고 가족들까지 대대손손 잘살게 했으니 행복한 삶이네요. 다만 수명이 짧은게 아쉬울뿐

    • @nigimibbonm
      @nigimibbonm 4 года назад +1

      중국의 범려 같은 사람이네요

  • @Takhoyaki
    @Takhoyak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전주이씨 익안대군파 21대손 인사박습니다

  • @이진화-y3b
    @이진화-y3b 4 года назад +22

    제 조상이십니다 며칠 전부터 영상을 찾아다니고 있었는데 이렇게 정성스레 영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 @chanzya
      @chanzya 4 года назад +2

      대한민국 대단한게 조상들이 전부 왕족이고 아니면 권문세족임

    • @cohiba3672
      @cohiba3672 4 года назад +4

      종친이시네요 저도 익안대군파 입니다

    • @이효-s1d
      @이효-s1d 3 года назад +5

      저도 익안대군 백파도정공파에요 익안대군파 진짜 별루없는데 신기하네요

    • @이진화-y3b
      @이진화-y3b 3 года назад +2

      @@이순자-h9i 아빠가 구자 돌림이시고 오빠가 희자 돌림이예요 반갑네요 모두들^^

    • @하명호-q1b
      @하명호-q1b 2 года назад

      저도요 ㅋ

  • @설레임-j4n
    @설레임-j4n 4 года назад +33

    목소리 어조 발음이 너무 좋으시네요..내용이 귀에 쏙쏙 잘 들어옵니다..좋은 역사 채널 알아가네요..흥미롭게 잘 보고 갑니다.🙂

  • @silk7535
    @silk7535 4 года назад +4

    잘알지못하는 역사이야기를 군더더기없이 깔끔하게 이야기해주시니 집중해서 듣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 @보우야하루미치
    @보우야하루미치 4 года назад +29

    셋째 욕심도없고 착하고 조용하게 살았네
    이방원이 울었다면 좋은분이시네

  • @yoonseojun11
    @yoonseojun11 4 года назад +53

    그 이방원이 자신 외에 유일하게 믿었던 인물

  • @李龍男-d3l
    @李龍男-d3l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전 익안대군의 20대손입니다.
    하지만 이름에 喜자를 쓰지는 않습니다.
    아버님은 이름에 九자를 쓰시고 할아버님은 이름에 来자를 쓰십니다.

    • @다윗-n9h
      @다윗-n9h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저는19대손 남자는 구ㆍ. 아버지는 내 자 돌림 돌림쓰고 조카는희자

    • @shlee6918
      @shlee6918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랑 항렬이 같습니다! 반갑습니다!

    • @좌수삼-w5b3t
      @좌수삼-w5b3t 29 дней назад +1

      저는 효자 돌림입니다

  • @이효빈-k7n
    @이효빈-k7n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익안대군파 21대손 입니다 ㅎ

    • @dmsgy1204
      @dmsgy1204 Год назад

      전 23대손 인데

    • @이효-s1d
      @이효-s1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오 같은 21대손이네요

    • @이호성-n1r
      @이호성-n1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져두23

    • @광윤-s4x
      @광윤-s4x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2대손입니다

    • @이효빈-k7n
      @이효빈-k7n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다들 집안사람이네요 ㅋㅋ 종중 회의때 봅시다

  • @미국-k9v
    @미국-k9v 2 года назад +5

    홍경인님 사극연기는 처음 보는데 좋았어요

  • @김광종-t4s
    @김광종-t4s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야심이 없기로는 둘 째 이방과도 만만치 않음 만약 이방과가 권력욕이 많았던 인물이었다면 이방원은 이방의를 왕위에 올렸을 듯

  • @하명호-q1b
    @하명호-q1b 2 года назад +3

    저도 익안대군 후손입니다
    아버지는 돌림자 효자 이시고요~
    할아버지 희병 석구 ? 또~~
    있는데 ~~ ㅋㅋ

    • @manhooni1062
      @manhooni1062 2 года назад

      반갑습니다. ㅎㅎ 싸가진 없긴 하시네 ㅎㅎ

  • @jsm9252
    @jsm9252 3 года назад +10

    둘째형 정종 방과와 마찬가지로 왕위에 욕심이 없었던 인물

  • @정관하-p3l
    @정관하-p3l Год назад +1

    태조 이성계 (상왕) ~ 신덕왕후
    세자 이방석 ~ 이방번 ~ 이방과
    이방우 ~ 이방원 ~ 이방의 ~ 이방간

  • @shanestory3879
    @shanestory3879 4 года назад +5

    정말 감사하네요... 잘 알려지지 않은, 궁금했던 인물도 다뤄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 ㅋ
    잘 봤습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 @jsm9252
    @jsm9252 3 года назад +8

    세종대왕의 큰아버지이기도 한 익안대군

  • @Daejeon-crazy-guy
    @Daejeon-crazy-guy 4 года назад +8

    진짜 1,2,4,5,6,7은 드라마나 역사적으로유명한대
    3째는 이번에 처음 접함

    • @오빠달려-o9n
      @오빠달려-o9n 3 года назад +1

      6이 젤 안유명한데

    • @유나예-r6c
      @유나예-r6c 2 года назад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 여섯째 아들이자
      이방원의 유일한 친 남동생 이방연은 친형 이
      방원과 마찬가지로 과거에 합격해 성균관에
      입학하였고 위화도회군(1388년) 이전에 요절
      해서 기록이 별로 없고 형제들 중 가장 존재감
      없는 아들입니다

  • @user-ch6ss6jq8b
    @user-ch6ss6jq8b 4 года назад +45

    익안대군이라는 분은 조용히 살다 가셨지만 진짜 태종 이방원을 보면 권력앞에선 부모형제 없다는 말이 사실처럼 느껴짐

    • @shanestory3879
      @shanestory3879 4 года назад +7

      태종도 그렇지만 태종보다는 세조, 수양한테 더 어울리는 말이 아닌가 싶어요. 태종은 자신의 형제들은 죽이지 않았죠... 근데 수양은요... 안평 죽이고, 금성 죽이고... 형의 아들도 죽이고...

    • @gray8477
      @gray8477 4 года назад +6

      그당시 권력에서 밀리면 죽는목숨이였음 더구나 누가보더라도 왕재는 태종에게 있었는데 ㅋ 더구나 유교의 나라를 세운다면서 장자우선을 깨고 첩의 막내에게 세자를 넘기니...

    • @李矜持
      @李矜持 4 года назад +2

      고려 신라까지 올라가면 더해요 ㅋㅋㅋ 태종은 아비 왕권을 찬탈한게 아니자나요. 이복동생 킬은 왕조국가에서 매우 양호한편이죠. 주자의 나라라는 중국에서는 친형제 킬도 자주 나오는데

    • @정재웅-b8u
      @정재웅-b8u 4 года назад +2

      @@shanestory3879 이복형재는 죽였지만 동복형재는 안 죽였죠

    • @nigimibbonm
      @nigimibbonm 4 года назад +1

      니가 죽나 내가 죽나 세계다른 나라도 같아요.
      권력은 나누는게 아니죠.

  • @신인섭-t5j
    @신인섭-t5j 3 года назад +17

    지금 태종 이방원 에서 이성계 셋째아들로 나오는 홍경인 이 익안대군 인가요

  • @hj89www
    @hj89www 3 года назад +9

    홍경인 배우님이 맡으셨죠 ㅎㅎㅎ

  • @신민성-r8f
    @신민성-r8f 3 года назад +9

    어떻게 육룡에서 이방의는 한번도 나오지 못했징

    • @앙젤루스
      @앙젤루스 Год назад

      욕망이 없었던 존재였으니까. 갈등구조 만들기가 힘들었겠죠.

  • @pogenman78
    @pogenman78 3 года назад +9

    태종이방원 에서 홍경인이 연기하죠

  • @otlotl7894
    @otlotl7894 2 года назад +3

    저는 효령대군 후손입니다 18대손입니다

  • @꽃말-y6l
    @꽃말-y6l 4 года назад +51

    참고로 조선을 건국하기 전까지는 신덕왕후와 신의왕후 소생 자녀들 사이는 좋았어요. 조선 건국에 크게 도움이 되니까요. 고려가 아무리 1부 1처제였어도 고위층이야 당연히 부인이 비공식적으로 여럿 있었고 고려 말기로 가면서는 지배층들은 향처와 경처가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했습니다. 그러니 아버지가 다른 여인 들였다고 갈등을 일으킬 이유가 없었던 거죠.
    그러다 조선 개국 후 영상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후계 구도를 둘러싸고 신덕왕후 소생 자녀들 VS 신의왕후 소생 자녀들간 갈등이 폭발한 겁니다. 참고로 신의왕후는 무슨 운명의 장난인지 조선 개국 1년 전에 공교롭게도 죽어요.
    그런데 흔히 이성계가 신덕왕후를 매우 사랑해서 그 소생 자녀에게 왕의 자리를 물려주고 싶어했던 거라 생각하기 십상인데 이건 사실과 다릅니다. 그렇게 치면 유교 사회 조선에서 신덕왕후 소생 중 장남인 이방번을 선택해야죠. 이성계가 사실 원나라 출신이라 막내에게 재산을 물려주는 관습을 따르는 부족 출신이라서 아니냐는 설도 있는데 이것도 사실과는 다르고요.
    진정한 이유는 이방석만 유일하게 "미혼"이었기 때문입니다. 다른 아들들은 다 혼인했어요. 그것도 이성계 자신이 사회적인 지위가 높다 보니 이성계와 혼맥을 맺으려는 고려 유력 인사들이 많았고 조선 건국 과정에서 이들의 힘이 필요한 이성계도 적극 받아들여 다~ "고려"의 유력 가문과 혼인한 상태였습니다.
    1. 진안대군: 1393년, 그러니까 조선 개국 후 1년이 지나 죽었고 애초에 뜻을 함께 하지 않아 처자를 데리고 산에 들어가긴 했지만 부인이 고려 찬성사 지윤의 딸
    2. 정종: 정부인 정안왕후는 문화좌시중에까지 증직된 김천서의 딸
    3. 익안대군: 정부인이 지간성군사 증찬성사 최인두의 딸
    4. 회안대군: 정부인이 요절하여 장가를 여러 번 갔는데 판서, 정랑 등을 지낸 사람의 딸들과 혼인
    5. 태종: 원경왕후는 그 유명한 고려 대학자 민제의 딸
    6. 덕안대군: 어차피 개국 후 얼마 못 가 죽어 후계 구도에서 경쟁할 일 자체가 없기는 했지만 덕안대군도 고려 대학자 민제의 또 다른 딸과 혼인했었군요. 이 시대에는 자매가 한 남자에게도 시집 가는 시대였으니...
    7. 무안대군: 귀의군이라고 고려 왕족의 딸과 혼인. 참고로 이 귀의군이 누구냐면 고려 마지막 왕 공양왕의 친형입니다;;;
    제가 고려의 관직의 높고 낮음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하지만 다 고려에서 벼슬을 지냈거나 대학자거나 왕족인 사람이 장인이었습니다. 만약 이들이 왕이 된다면 왕의 장인이 고려 유력 인사였던 사람이 되는 거에요. 고려와의 안녕을 고하고 싶은 이성계 입장에서는 이게 탐탁치 않았던 거죠. 물론 이미 안 만난 지 오래고 죽고 없는 신의왕후보다는 평생 가장 사랑한 여인인 신덕왕후 소생 아들을 왕으로 삼고 싶은 마음도 없지는 않았을지도 모르지만요. 그러니 미혼 상태인 막내 이방석을 세자로 삼아 조선 개국에 공이 있는 "조선" 인사와 혼인시켜 진정한 새로운 시대를 열고 싶었던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결과는....
    진안대군이야 개국 후 얼마 못가 죽었으니 그렇다 쳐도, 또 본인이 뜻이 없으니 그렇다 쳐도, 그럼 살아있는 자녀 중 장남인 정종을 후계자로 삼았더라면 어땠을까...란 생각도 드네요. 그렇다면 오히려 신덕왕후 소생 자녀들은 형의 눈치를 보며 조용히 살다 천수를 누리고 죽었을 수도 있는데... 물론 이렇게 했어도 자기 자신 뛰어난 무장이자 조선 건국에 공이 있었던 정종이 왕자의 난을 겪지 않았으니 태종에게 알아서 기지 않고 왕으로 계속 군림하려고 해서 태종과의 갈등이 폭발했을 수도 있긴 하지만요.

    • @wingxxxg-01w8
      @wingxxxg-01w8 4 года назад +3

      오 이런 해석도 있군요. 👍

    • @shanestory3879
      @shanestory3879 4 года назад +1

      그렇군요. 처음 알았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방번은 심성이 왕감이 아니었다고도 하던데... 그리고 방석을 세자로 세운것을 태조더러 미쳤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신덕왕후... 에게 모든 잘못이 있다고 봅니다. 그렇게 아들이 왕위에 오르는 걸 보고싶었으면 죽지 말았어야죠... ㅋㅋㅋ 왜 죽어서 일을 이 지경으로 만들어,,,

    • @꽃말-y6l
      @꽃말-y6l 4 года назад +1

      @@shanestory3879 이방석을 세자로 삼으면서 이성계가 댄 이유가 님이 이야기하신 이유죠. 한데 제가 위에서 썼듯 사실은 이방번이 고려 유력 귀족, 심지어 공양왕의 친형의 사위였기 때문입니다;;; 이방번이 왕이 되면 왕의 장인이 고려 마지막 왕 공양왕의 친형이 된다는 거;;;

    • @원대한-n9x
      @원대한-n9x 4 года назад +1

      혹시 청화수 유튜브 보셨나요?

    • @꽃말-y6l
      @꽃말-y6l 4 года назад +2

      @@원대한-n9x 아니요~

  • @가리엑스
    @가리엑스 Год назад

    근데왜 육룡이에서 3재아들은 왜 아예 안나와요.

  • @ecolight-3634
    @ecolight-3634 4 года назад +10

    후손입니다.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현승-x2v
    @이현승-x2v 4 года назад +5

    익안대군 23대손 이신분?

    • @rr3693
      @rr3693 3 года назад +2

      왜용?

    • @이효-s1d
      @이효-s1d 3 года назад +2

      21대손입니다

    • @룰루랄라-i1t
      @룰루랄라-i1t 3 года назад +2

      19대손

    • @이이순신-t9q
      @이이순신-t9q 3 года назад +1

      익안대군파희자돌림의20대손인데 익안대군의큰아들 익평부원군 석근할아버지의묘역좀
      알려주세요 어릴때부모님과 안양비산동어디에게신곳에가봣었는데지금은어디인지좀 그때묘소가3.4기가있었던거같은데 잠양부수 준도계시고 아시는분약도좀부탁드림

    • @앙젤루스
      @앙젤루스 Год назад

      전 24대손입니다

  • @paulus0728-l8z
    @paulus0728-l8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방의!!-설명 감사합니다,
    이성계가 -이방의로- 세자로 삼았으면,
    좋았을걸 하는 생각이, 근데, 왜, 이성계는-왜, 세자자리를 굳이, 먼 막내에게 줬을까? 첫 단추가 잘못됨,
    첫째가 완강히 싫다했음, 순번대로,
    사람 많이 안죽이고, 인품좋고, 재능있는, 조화로운 성군이 되는 사람이면 안되나,
    생각해 보면, 그렇지 않을까 한다,
    -죽은 마누라 보단, 현재, 마누라의 입지도 능력도, 젊은 이쁨도, 모두 영향력이지,
    수도-개경에 사는, 개경 마님으로,
    그럼, 살벌한 형제의 난도 없었고, 아마도, 우리는, 더 일찍, 새로운-세종대왕!?을
    만나지 않았을까,
    세종 이후의, 왕들은 아쉽게도-피 보지 않고, 순탄한 삶을 살았을 텐데,
    마이 아쉽다,
    그리고, 정확히 알게 되어서 감사해요,
    이방의-핸섬남에, 젠틀남에, 안전 멋찐남 이었네요,,
    사극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 에서는 (방간-방원) 모습은 함께 볼수 있었는데,,
    TV는-이방의-인물에 대해서, 이름도 잘 안 나오고, 모습도 잘 보이지 않았는데,
    역사에는 살아있는-성군이될뻔한 이방의,
    드라마에는-넘 착해서, 정상인?!,
    이성계 가족중 젤 멀쩡한, 인품도 훌륭한, -한마디로, 평범함, 인팩트 없는 인물로,
    역사속에선 강자 옆에선, 아무리 있어도, 조용히 잊혀지는거 같아요,
    예나,지금이나-힘있고, 강한, 악한 사람들, 욕망으로 정치하는 사람들만 주목을 받네요,
    에그, 에그,

  • @하정관-i6u
    @하정관-i6u 3 года назад +4

    상왕 태조 이성계
    세자 이방석 ~ 이방번 ~ 이방과
    이방우 ~ 이방원 ~ 이방의
    이방간

  • @윤씨형님
    @윤씨형님 4 года назад +2


    보구
    가내유~~~^^

  • @Hatejm
    @Hatejm 4 года назад +2

    재밌네요

  • @MAX-ux2gc
    @MAX-ux2gc 3 года назад +6

    후손입니다.

    • @yaYa-ix2mh
      @yaYa-ix2mh 3 года назад +3

      후손입니다

    • @김혜영-f4y
      @김혜영-f4y 3 года назад +1

      훌륭한 인품 이세요

    • @하명호-q1b
      @하명호-q1b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후손입니다 아버지는 효 자 돌림이시고 본향은 공주이시지요

    • @MAX-ux2gc
      @MAX-ux2gc 2 года назад +1

      @@하명호-q1b 저희 아버지도 효자 돌림이십니다

    • @앙젤루스
      @앙젤루스 Год назад

      저는 24대손입니다.

  • @sinchong8
    @sinchong8 4 года назад +5

    제일 큰형 방우가 죽었을 땐 이방원이는 기뻤겠지. 완전한 적장자인 방우가 세자가 된다면 이방원은 어떠한 명분으로도 지가 왕이 될 수는 없었을테니... 세째형이야 뭐 얼마든지 너그럽게 대할 수 있었겠지만...

  • @김인하-v7k
    @김인하-v7k 4 года назад +3

    이거 브금 뭔지 알려주세요..!

  • @이장훈-q7y
    @이장훈-q7y 4 года назад +32

    조용히 사는게 좋죠

    • @꽃말-y6l
      @꽃말-y6l 4 года назад +14

      사실 익안대군 정도면 일단 왕족이니 먹고 사는 데는 지장이 없을 정도로 풍족했을 겁니다. 사람 욕심이라는 게 끝이 없기 마련이지만 오늘날의 MB 사태나 최순실 사태를 보면서 저도 그저 남들보다 좀 더 여유롭게 사는 수준에서 누리면서 사는 삶이 가장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 @sw6250
    @sw6250 3 года назад +3

    익안대군이자이방의이라는인물을 볼때 동생 이방원의둘째 아들이라 할수있는 효령대군하고 많이 닮았다고 알고있는데

  • @꽃말-y6l
    @꽃말-y6l 4 года назад +25

    태종 입장에서도 신덕왕후 소생 이복 동생들을 죽인 거야 사이가 좋지 않았고 친동생들은 아니니 그렇다 쳐도 막상 권력을 위해 친형제끼리 치고 받고 하면서 느낀 점이 많았을 겁니다.
    흔히 TV 드라마에서는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난 후 태종 이방원과 신덕왕후의 갈등을 극대화하느라 신의왕후는 이성계가 그다지 총애하지 않은 것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신의왕후를 고향에 두고 오래 찾지 않은 건 사실이지만 이는 신의왕후를 박대했다기보다 조선 개국 등 여러 일이 있었기 때문인 것이고 혼인 기간 중엔 6남 2녀나 낳을 정도로 사이가 좋았어요. 고려가 공식적으로는 1처 1부제라서도 있지만...
    1. 진안대군: 장남이지만 조선을 건국한 아버지와 뜻을 함께 하지 않은 데다 산에 들어갔다 아버지보다 먼저 1393년에 먼저 병사. (평생 이성계의 아픈 손가락이었을 듯. 심지어 자신보다 먼저 죽었으니...) 즉, 태종 입장에서도 이미 죽고 없는 애틋한 형.
    2. 정종: 영상에서도 이야기하고 역사에서도 알 듯 태종과 뜻을 함께 하며 장남인 진안대군이 죽고 없자 실질적으로 정종이 장남이라 태종 자신이 바로 즉위하지 않고 태조의 장남이라는 명분하에 즉위했다 얼마 안 가 태종을 양자로 들여 양위했죠. 상왕으로 물러난 후 자기 자신 권력에 큰 뜻을 품지 않고 사냥과 소일거리를 하며 태종과 좋은 사이 유지함.
    3. 익안대군: 영상에서 이야기하는 분이죠. 기록을 보면 고귀한 신분임에도 자신을 낮추고 이복 동생들과의 갈등이야 그렇다 쳐도 친형제간에도 일어난 싸움에 많이 마음 아파했던 것 같습니다. 이렇기에 친형제와도 피를 본 태종도 자신보다 먼저 앓아누운 형을 애틋해했고요.
    4. 회안대군: 제2차 왕자의 난의 주인공;;; 다만 친형제는 끝끝내 죽이지는 않고 귀양 보내는 선에서 마무리했죠. 형이 앓아눕자 그래도 유배에서 풀어주고 상경을 권해 상경했는데 한성으로 오던 중에 병사했다네요.
    5. 그 유명한 태종 이방원
    6. 덕안대군: 생몰년 불명이지만 태조 2년에 이미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음.
    그리고 경신공주와 경선공주가 태종의 친누이네요. 이 둘은 기록이 많지는 않지만 세종 시대까지 살아있었던 것은 확실합니다. 즉 태종보다는 오래 살음.
    절대 권력자가 되고 보니 (자신 쪽의 과실이 크긴 하지만;;;) 사이 좋았던 정부인과의 사이가 최악을 치닫고 친형제와도 싸우고 몇몇 형제는 본인보다 먼저 죽고... 아무리 절대 권력자라도 더군다나 자신에게 힘이 되어주던 형의 죽음은 많이 힘들었을 것 같네요.

    • @shanestory3879
      @shanestory3879 4 года назад +1

      정종과 태종 형제들끼리 사이가 좋았나요? 좋았다면 다행입니다... 옛날에 방영했었던 용의 눈물에서는 정종을 책만 보는 선비로 그리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면서요... 태조와 함께 전쟁터를 누비던 무장이었다면서요... 근데 왕에 올랐을 때 더 오래 재위하고 싶은 욕심이 없었을까요?.. 그것도 궁금하네요.... 태종한테 자리를 물려주는 가운데... 갈등이 있지 않았을까요? 그런 생각도 드네요... ㅋㅋㅋ

    • @꽃말-y6l
      @꽃말-y6l 4 года назад +2

      @@shanestory3879 네, 태종이랑 정종은 사이가 좋았어요. 어려서는 동복 형제간이니 사이 좋았고 조선 건국 과정에서는 말씀하시듯 둘 다 뛰어난 무장이니 형제간에 아버지를 도와 나라를 건국하는 데 일치단결하기도 했고요.
      정종이 상왕으로 물어나 앉은 뒤에도 사이 좋았죠. 유일하게 잔소리한 게 간택 후궁을 왕후의 예로 맞아들이려다 원경왕후가 식음을 전폐하고 눕자 나서서 태종에게 잔소리 한 거. 만우절 날 형제간에 이런 장난을 친 일화도 남아있습니다. blog.naver.com/shek99/221884941251
      그런데 문제는 권력 앞에는 부모자식도 나눌 수 없는데 형제는 하물며 말할 것도 없다는 거죠. 만약 제가 이야기하듯 이성계가 정종이 장남이라며 세자로 삼았더라면, 뭐 정종이야 동복 형이고 종법상으로도 장남이니 (이성계의 진짜 장남은 조선 개국 후 바로 죽음) 이복 동생을 세자로 삼으려고 하던 거에 비하면 명분도 반발도 적었겠지만, 태종 그 성격에 결국은 난을 일으켰을 거라는 겁니다;;; 전 100% 확신해요.
      말씀하시듯 정종도 뛰어난 무장이었어요. 정종이 순순히 상왕으로 무러나 앉은 건 제1차 왕자의 난을 겪으면서 이방원의 세력을 몸소 실감했기 때문입니다. 1차 왕자의 난이 없었다면 전 이 둘도 난을 버렸을 거라 확신합니다;;;

    • @유우-f7m
      @유우-f7m 4 года назад +1

      @@shanestory3879 정종은 상왕으로 물러난후 천수를 누렸다고 합니다 부인사이에 자식이 없었구요 재밌게 살다 가셨답니다 ㅋㅋㅋ

    • @꽃말-y6l
      @꽃말-y6l 4 года назад +2

      @@유우-f7m 정종에게는 천운이 2가지 있다고 봐요.
      1. 아버지가 이방석을 세자로 지목한 거: 이성계가 정종을 장남이라고 세자로 지목했다면, 위에 썼듯 종법대로 따라도, 또한 정종 자신도 뛰어난 무장이었던 만큼 태종이 이방석을 세자로 지목한 것만큼 반발하지는 못했겠지만 태종 성격에 아무리 친형이라도 결국 난을 일으켰을 겁니다;;; 이 둘이 돈독한 우애를 평생 유지할 수 있었던 건 아버지가 이복 동생을 세자로 지목했기 때문이에요.
      만약 태종이 조선 건국에 가장 공이 크다며 태종을 처음부터 세자로 지목했더라면 정종 자신도 뛰어난 무장이었던 데다 장남이니 정종이 나서서 난을 일으켰을 겁니다.
      정종 입장에서는 훗날을 돌이켜볼 때 아버지가 이복 동생을 세자로 지목한 게 천운이었어요. 그렇기에 태종이랑 좋은 사이 유지하며 말씀하신 것처럼 여자 끼고 놀며 행복하게 소일거리하다 갔죠.
      2. 정부인이 불임이었던 거: 정종이 다른 여인이랑 자식 낳은 거 보면 정종은 완전 정력가에 호색한입니다. 한데 정부인을 박대했느냐 하면 오히려 정반대로 평생 가장 사랑한 여인이 정안왕후에요. 매우 사이가 좋았어요. 정안왕후도 왕족인 정종이 자신이 아이를 낳지 못하는데도 자신을 위해주며 다른 여인을 들이자 그 자녀들까지 다 끌어안으며 정종과 평생 금슬 좋게 지냈고요.
      사실 정안왕후가 불임이라서 잘 되었다는 건 결과론적인 이야기고 젊은 시절에는 불임이라는 이유로 정안왕후를 소박 놓아도 아무도 뭐라고 하지 않는 시대였어요. 그런데도 평생 정안왕후를 끔찍하게 아낀 거죠.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그 덕분에 태종을 자신의 양자로 들여 왕위를 잡음 없이 물려줄 수 있었습니다.
      정종에게 적자가 있었더라면............................ 태종 성격에............................ 상상만 해도 무섭네요......................

  • @이율리-w3l
    @이율리-w3l 4 года назад +4

    족보에서 가장 윗분인 조상이네요
    세종대왕 후손은 아니지만 욕심없이 선비로 살다 가셨는데 그래서 우리집안에 한량선비가 많은가봐요 ㅎㅎ

    • @yaYa-ix2mh
      @yaYa-ix2mh 3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goddkf-9988
    @goddkf-9988 4 года назад +2

    구독

  • @강영진-n8j
    @강영진-n8j 4 года назад +1

    구독!

  • @이이-l1z3y
    @이이-l1z3y 4 года назад +5

    역사패치라면서 죄다 조선얘기뿐ㅋㅋ

    • @꽃말-y6l
      @꽃말-y6l 4 года назад +4

      사료 자체가 삼국 시대는 사실상 삼국사기 외에는 거의 없고 고려사도 제한적이고 하다 보니 조선 시대를 주로 다루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봅니다.
      우리나라 사극도 십중팔구 조선시대 이야기잖아요. 조선왕조실록이라는 훌륭한 아주 자세한 사료가 있거든요.

    • @Kor_Alvaro
      @Kor_Alvaro 4 года назад +5

      조선시대 자료가 제일 많으니까 그렇지, 뭐 불만있으면 너가 영상 만들던지ㅋㅋ

  • @SUN-bh6mf
    @SUN-bh6mf 4 года назад +1

    웃기는. 형제간의. 우애. .......

  • @kim-qk6el
    @kim-qk6el 4 года назад +13

    태어나지말아야할 국가가 조선이다

    • @bhchae7560
      @bhchae7560 3 года назад +4

      그럼 지금의 대한민국도 없고 한글도 없었겠죠.

    • @앙젤루스
      @앙젤루스 Год назад +1

      거기다 명나라와 전면전해서 폭삭망하고 중국땅이 되어서 지금 님ㅡㄴ 시진핑 찬양이나하는 중궈가 되어 있을겁니다....그리고 임진왜란도 없을것이고, 6.25전쟁도 없긴 하겠네요. 참 댓글도 한문으로치시거고~ㅋㅋㅋㅋ 쯧쯧쯧쯧

    • @좌수삼-w5b3t
      @좌수삼-w5b3t 29 дней назад

      태어나지 말아야할놈은 너다

  • @서준태-c6t
    @서준태-c6t 4 года назад +14

    같은 왕손으로써 고백하건데, 우리는 중국계 왕조 맞다. 그래서 고려백성90%를 상놈,천민신분으로 식민통치 한 것이다.우리 전주이씨 족보에 의하면 중국귀화민이 맞다.정말 이런 고백하기까지 너무부끄럽다.하지만 나이먹고 되돌아보니 진실은 밝혀야하겠고.....그러니 앞으로 조선왕족 찬양하는 이런 내용은 삼가했으면 좋겠다. 조용히 살자는 말이다.

    • @바르카넬
      @바르카넬 4 года назад +7

      미안하지만 순수 한국인은 없어요

    • @꽃말-y6l
      @꽃말-y6l 4 года назад +5

      미안하지만 순수 한국인은 없어요 222
      애초에 단군 할아버지부터가 중국에서 내려온 사람이죠. 그리고 과거 전쟁이 있었던 시대에는 전쟁을 겪으면서 다 섞였고요. 막말로 여자들은 죄다 강간당해서 임신했었죠. 우리나라 한반도도 과거에는 여러 나라로 찢어져 있었고 그 사람들은 단일 민족이라는 의식이 없었어요. 간혹 김유신이 당나라 힘을 빌려 삼국 통일 한 걸 대한민국의 역사를 한반도로 국한시켰다고 하는 사람들 있는데 이건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겁니다. 신라인들 입장에서는 당나라도 고구려도 백제도 다 외국이었습니다. 백제랑 나제 동맹을 왜 맺어요? 같은 나라면 동맹 맺을 필요도 없죠.
      이성계도 원나라 사람이에요. 원나라 사람이었다가 전쟁 중 공민왕이 투항하면 살려준다는 말에 고려에 투항한 사람입니다.

    • @서준태-c6t
      @서준태-c6t 4 года назад

      ​@@바르카넬 저도 어렸을때는 그렇게 배웠고 그렇게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전혀 아니더라구요..ㅠㅠ 우리가 뭔래 중국인후손이라 그렇게 생각되는거랍니다.그.고인돌이 인류의 선사시대가장 중요한 유적인데 한반도에 90%가 있다는거 아세요? 님이 중국인이 아니시길~

    • @서준태-c6t
      @서준태-c6t 4 года назад

      @@꽃말-y6l 저도 어렸을때는 그렇게 배웠고 그렇게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전혀 아니더라구요..ㅠㅠ 우리가 뭔래 중국인후손이라 그렇게 생각되는거랍니다.그.고인돌이 인류의 선사시대가장 중요한 유적인데 한반도에 90%가 있다는거 아세요? 우리가 중국인이라고 아닌사람들 까지 그렇게 단정하는건 지나친 이기적이고 잘못된 사고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 @바르카넬
      @바르카넬 4 года назад +2

      @@서준태-c6t 준영님은 이 땅에 순수 한국인이 있다고 생각하는군요 고려시대에도 쌍기가 한반도에 와서 정착하고 진린의 후손이 한반도에 정착하고 베트남 왕족 이용상이 고려에 귀화했는데 준영님은 이들도 사실 한민족이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