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I 사이언스 스토리] 신기한 극저온의 세계 Part 2. 액체 산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기체 산소를 액체로 만들면?! 눈으로 볼 수 없는 산소를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 물질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극저온의 세계

Комментарии • 32

  • @후후후-n2p
    @후후후-n2p Год назад

    쥰내신기함.
    잘보고갑니당.

  • @세연-x7i2c
    @세연-x7i2c 4 года назад +2

    과학의 세계는 복잡하고도 신기한 것!

  • @김정훈-z8e
    @김정훈-z8e 5 лет назад +2

    산소 색깔 이쁘다

  • @본명-n9u
    @본명-n9u 7 лет назад +1

    예뻐여♥

  • @돈가스
    @돈가스 3 года назад

    먹어도 되나요?

  • @왈루랄루-n8t
    @왈루랄루-n8t 4 года назад +1

    신기하다

  • @베타붕괴
    @베타붕괴 6 лет назад +2

    저거 먹으면 몸에좋은가? 순수 100프로 산소니까.?
    또 질소를 액체로 만들려면 영하 196인가 그런데 그럼그때 액체산소도 같이 액체로되면 그공간에는 뭐가생겨요?.아님 같이 액체로 안되나?

    • @피티부티
      @피티부티 5 лет назад

      온도가 극도로 낮고 차가움까진 버틸 수 있다 해도 너무 산소만 들이마시면 활성산소 때문에 위험할 수 있어요.

    • @user-ku5em5bt2h
      @user-ku5em5bt2h 5 лет назад

      입안이 얼지 않을까요 ㅋㅋ

  • @user-bq9wk7qv7g
    @user-bq9wk7qv7g 3 года назад

    액체산소로 만든 수영장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다면 과연 액체 안 에서 숨을 쉴 수 있을까요..?

    • @im1theray
      @im1theray 3 года назад

      엑체인데 어케 숨을 쉴수있죠?.. 에초에 들어가지도 못합니다

  • @이재명-1234
    @이재명-1234 6 лет назад +5

    고체로는 못만드나요?

    • @Konbu-ki7vg
      @Konbu-ki7vg 5 лет назад

      그럼 에어젤인가 공기가 98%정도 들어가는 고체는 무엇이요?

    • @mcpba3857
      @mcpba3857 5 лет назад

      안녕하세요 말 그대로 산소가 아닌 공기가 들어간거구요 표면에 구멍이 많아서 공기가 많이 차있는겁니다

    • @Konbu-ki7vg
      @Konbu-ki7vg 5 лет назад

      @@mcpba3857 ㅇㅎ 감사합니다 덕분에 궁금증이 해결되었어요

    • @이읍춘
      @이읍춘 4 года назад

      1기압에서 녹는점이 -218C니까 -218C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고체로 존재할겁니다.

  • @sirudduck0115
    @sirudduck0115 3 года назад

    신기하네

  • @jne159
    @jne159 4 года назад +1

    액체질소를 통에 넣기만 했는데 어떻게 액화된 산소가 나오나요? 혹시 아시는 분 계시면 빨른답변부탁드려용ㅜ!!

    • @MyKBSI
      @MyKBSI  4 года назад

      공기중의 산소가 액체질소가 담긴 통(동으로 만든 고깔)에 닿아서 온도가 내려가 액체상태로 변하는 겁니다.

    • @김동락-e3q
      @김동락-e3q 4 года назад

      그림에서도 설명이 있습니다만, 산소가 액체로 되는 온도가 질소보다 조금 더 높아서 온도를 낮추어 가면 산소가 질소보다 먼저 액체로 되지요.
      차가운 액체질소에 담긴 튜브를 지나면서 산소가 액체로 되는 이유입니다.

  • @황수빈-s5c
    @황수빈-s5c 4 года назад +2

    액체산소는 -인데 왜 얼어붙거나 하지 않고 오히려 액체가 되는건가요?
    그리고 모든 기체는 액체가 되는 온도점이 있나요?
    (어느 애니메이션에서 불을 붙여서 엄청난 폭발을 보고 신기해서 왔는데 이 점이 갑자기 궁금해져서 자세히 알려주셧음 감사하기 따로 없습니다!)

    • @김형호-i1t
      @김형호-i1t 4 года назад +1

      황수빈 산소가 영하의 온도에서 얼지 않는 이유는 온도가 산소의 어는점까지 도달하지 않아서입니다. 액체 상태의 물질은 각자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어는점의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냉각되어 고체의 상태로 변하게 되는데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액체들은 대부분 섭씨 0도의 온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냉각이 됩니다.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많은 물질들이 섭씨 0도 이하에서 고체상태가 되기 때문에 산소도 그렇게 생각하신 것 같고 산소의 어는점은 -218.79도입니다. 즉, 산소는 약 영하 219도의 온도에서 냉각되어 얼어붙게 됩니다

    • @김형호-i1t
      @김형호-i1t 4 года назад +1

      또한 기체가 액체가 되는 온도점은 끓는점을 생각하시면 이해하시기에 더욱 쉬울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액체 상태의 물의 끓는 점, 물이 기체 상태가 되는 온도는 섭씨 100도인데 이 말은 반대로 생각해보면 물은 어는 점인 섭씨 0도에서 100도 사이에선 액체로 존재한다는 말이 됩니다. 즉 모든 기체는 끓는점(쉽게 말해 끓여서 기체가 되는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액체상태로 존재합니다(온도가 더욱 낮아져 어는점보다 낮아지게 되면 고체 상태가 됩니다) 정리하면 어는점보다 낮으면 고체/ 어는점보다 높고 끓는점보다 낮으면 액체/끓는점보다 높으면 기체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황수빈-s5c
      @황수빈-s5c 4 года назад

      @@김형호-i1t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뭐든 고체가 되거나 액체, 기체 그러한 모습이 궁금하고 그 모습을 빨리 보고 싶네요

    • @크론
      @크론 3 года назад

      오히려 액체가 된다는 말씀으로 보아 잘못 이해하고 계신듯 한데, 원래 기체였던 산소가 끓는점 밑으로 내려가 액체가 된 것입니다. 수증기가 100도 밑으로 내려가면 물이 되고 0도 밑으로 내려가면 얼음이 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 @doreallyneedtodohap8734
    @doreallyneedtodohap8734 7 лет назад +4

    처음 액체산소 봤다...

  • @주렁준
    @주렁준 6 лет назад +1

    기압이 올라가면 끓는점이 낮아진다고 들었는데 2기압일때는 산소의 끓는점은 몇도인가요?

    • @2pai1
      @2pai1 4 года назад +4

      기압이 내려가야 끓는점이 낮아지는거 아닌가요?

    • @크론
      @크론 3 года назад

      @@2pai1 아닙니다.

    • @다이사-l3u
      @다이사-l3u 2 года назад +1

      @@크론기압이 내려가야 끓는점이 낮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