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은 고체, 액체, 기체 중 뭘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5 тыс.

  • @littlesemo5734
    @littlesemo5734 5 лет назад +3180

    나도 중학생때 여쭤보니까 교무실로 따라오라고 하시고 노트북으로 같이 찾아보고 설명해주셨었는데. 참 기억에 남는 선생님이셨음

    • @김환희-o3d
      @김환희-o3d 5 лет назад +552

      좋으신 선생님이시네요

    • @성이름-q2y7c
      @성이름-q2y7c 5 лет назад +365

      와 진짜 참선생이시다

    • @human-being1
      @human-being1 4 года назад +64

      나도 그런 쌤 있었으면 좋겠다

    • @고재완-m5i
      @고재완-m5i 3 года назад +214

      중학교때 그런거 물어보는 학생도 기억에 남았을것 같아요 ㅋ

    • @마조
      @마조 3 года назад +24

      @바빠도 밥은챙겨드세요 하앙

  • @kuk1635
    @kuk1635 5 лет назад +3698

    댓글 보니까 우리 과학쌤이 좋은 쌤이였구나...에너지라고 바로 말해주시던데..

    • @lofe-rx5gd
      @lofe-rx5gd 5 лет назад +420

      고등학교 이과생한테 물어도 답할수 있는거임 이건

    • @김한-s9i
      @김한-s9i 5 лет назад +341

      벡터내적 선생님이 답 못 하신 선생님들은 문과출신이셨던걸로

    • @RAINBOW-ph9zm
      @RAINBOW-ph9zm 5 лет назад +83

      @@김한-s9i ?! 상상도못한정체

    • @lef282
      @lef282 5 лет назад +17

      @@lofe-rx5gd 중딩도 씹가능

    • @이어팟-m3z
      @이어팟-m3z 5 лет назад +18

      까먹으면 못할 수도 있긴 한데 선생님이 모르는건 좀 그러넹

  • @kesti_
    @kesti_ 5 лет назад +1285

    이 채널 구독하길 정말 잘했다... 진짜 설명도 너무 깔끔하고 주제도 다 흥미롭고 이해하기 쉽게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고 캐릭터도 다 귀엽고...

  • @김범-e1e
    @김범-e1e 5 лет назад +1944

    결론 : 불은 빛과 열이다.
    우리 눈에 형체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불은 그저 그렇게 보이는 빨간 빛

    • @김준서-p3w
      @김준서-p3w 5 лет назад +55

      김범 결론은 그냥 불은 에너지이다지

    • @김범-e1e
      @김범-e1e 5 лет назад +104

      @@김준서-p3w 빛과 열의 에너지. 같은 말.

    • @cmcm-u8s
      @cmcm-u8s 5 лет назад +14

      결론: 불은 악마 물은 천사

    • @user-ww9md4vx5u
      @user-ww9md4vx5u 5 лет назад +81

      @@cmcm-u8s 아니다 이 악마야

    • @saksubin
      @saksubin 5 лет назад +13

      @@user-ww9md4vx5u 맞다 이 천사야

  • @솔라-v9k
    @솔라-v9k 5 лет назад +4359

    중학교 1학년때 과학선생님한테 물어봤었는데 음음 하면서 얼버무리고 도망가셨던게 생각나네요.

    • @rddred
      @rddred 5 лет назад +83

      ㅋㅋ

    • @화약-h8t
      @화약-h8t 5 лет назад +53

      @@JAJIBOJIGIYOPJI 물질은 아니에요

    • @km6324
      @km6324 5 лет назад +13

      @@rddred ㅋㅋ

    • @dongjun7921
      @dongjun7921 5 лет назад +545

      ???: 불은 우리 가슴에서 뜨겁게 타오르고 있어

    • @ovo..
      @ovo.. 5 лет назад +8

      ㅋㅋㅋㅋㅋㅋㅋ

  • @한글어휘-어휘력키우
    @한글어휘-어휘력키우 5 лет назад +98

    불은 물질의 상태가 아니라 에너지다!
    불의 색깔에 대해서도 잘 배웠습니다~

  • @Yoong_and_Dust
    @Yoong_and_Dust 5 лет назад +140

    네이버에서 글로 볼땐 어려운 부분들은 이해하기 힘든것도 있었는데 이렇게 그림과 목소리로 설명해주니 이해도 잘되고 재미있네요ㅎㅎㅎ 언제나 감사합니다!!

  • @topbest21c
    @topbest21c 3 года назад +50

    1:15 오류 제보
    플라즈마 설명할때 애니메이션에서 원자핵도 분리가 되듯이 표현되어 있는데, 잘못되었습니다.
    플라즈마는 원자핵과 전자간의 전자기력 포텐셜을 넘어설때 나타나는 상이고,
    원자핵도 분리가 될려면 강력을 이겨내야 해서 더 높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 @davidaznkid
      @davidaznkid 3 года назад

      @@bluemoon-pu7dc 런하셨나 ㅋㅋㅋㅋㅋ

    • @아시나기
      @아시나기 3 года назад

      아 맞습니다 얘기하신 것처럼 원자핵과 전자간 전자기력 포텐셜을 넘어가서 일어나는 현상이 맞는데, 원자 속의 양성자와 중성자의 상호작용 또한 전자기력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런 예시가 틀리지 않은거구요 더 나아가 극고온에서는 양성자와 중성자가 분리되어 중성상태를 이루기도 합니다만 이는 전자기력 상호작용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따로 쿼크 글루온 플라즈마라고 부릅니다

  • @youtttttt
    @youtttttt 5 лет назад +861

    진짜 이런 영상이나 피피티는 어떻게 만드시는거죠...존경스럽고 부럽습니다

    • @esom3472
      @esom3472 5 лет назад +135

      이분이 어찌 만드는 지는 모르겠는데 제가 만들어봤을 때의 경험을 얘기해보자면 노가다 입니다. 애프터이펙트를 이용한 노가다...

    • @youtttttt
      @youtttttt 5 лет назад +22

      @@esom3472 감사합니다!!진짜 공부도 중요하지만 이런 자료만드는 실력도 중요한듯합니다 ㅎㅎ

    • @17hany41
      @17hany41 5 лет назад +6

      이걸...피피티라고하나요?

    • @nowyoul1
      @nowyoul1 5 лет назад +5

      사물궁이는 영상을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 @saggakim
      @saggakim 3 года назад

      영상만드는 팀이 따로 있을걸요 프리미어와 애프터이펙트 등등 영상편집용 프로그램도 있습니당

  • @Sangja_
    @Sangja_ 5 лет назад +284

    3:00 사물궁이 영상중 가장 간지나는 장면

    • @gwk8470
      @gwk8470 3 года назад +1

      유일한 하나의 댓

    • @kkubab2100
      @kkubab2100 3 года назад +4

      @@gwk8470 유일한=하나의 입니다 ㅎㅎ

  • @멜뤼진
    @멜뤼진 5 лет назад +151

    불은 물질이 아니라 물질의 산화반응에서 만들어진 빛과 열이지 고로 고체액체기체 중 무엇도 아니다

    • @지나가는행인입니-l3g
      @지나가는행인입니-l3g 5 лет назад +4

      요약 굿!

    • @엘린-b5o
      @엘린-b5o 5 лет назад +6

      마치 빛이나 음파 같이 어떠한 물질아니라 에너지의 형태인것 처럼 말이죠.

    • @hairtail0811
      @hairtail0811 5 лет назад

      산화가 아니라 연소...

    • @ako_o
      @ako_o 5 лет назад +17

      @@hairtail0811 연소가 산화반응 중의 하나임

    • @hairtail0811
      @hairtail0811 5 лет назад +3

      @@ako_o
      그러네요 제가 무지했습니다

  • @fullsun857
    @fullsun857 3 года назад +11

    오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궁금증이네요. 플라즈마 상태라는 것도 처음 알았어요. 제목만 보고 어떤 상태일까 궁금했는데 어느 상태도 아닌 그냥 에너지였군요! 그리고 파란색 불이 그냥 온도가 높아서 파란색인줄 알았는데 완전 연소가 되어 파란색이고 온도가 높다는 것도 처음 알게 되었어요. 항상 유익한 지식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김우재-y8r
    @김우재-y8r 3 года назад +27

    너무 늦긴 했지만 금속의 불꽃 반응은 '연소'가 아니라 전자 전이로 인해 일어나는 '원소의 특징'입니다.

  • @지지-n2d
    @지지-n2d 5 лет назад +12

    뼛속까지 문과라서 이런 호기심 자체를 해본적이 없는데 덕분에 상식이 늘었네요 항상 유용한정보 넘 잘보고있습니다 ㅠㅠ

  • @dicision123
    @dicision123 3 года назад +46

    살면서 궁금하다고 느낀 적이 없었는데 썸네일을 보고 지나칠 수가 없었다..

  • @martinasru5577
    @martinasru5577 3 года назад +13

    안 궁금했었는데, 나도 모르게 끝까지 보게 되는 영상

  • @윤형준-d5k
    @윤형준-d5k 5 лет назад +147

    진짜 궁금한데 이모티콘 출시계획 없으신가요?? 너무 좋을거같은데

  • @river_spring_ora
    @river_spring_ora 5 лет назад +194

    중학1때 쌤이랑 애들 물어보니까 다 기체인데 뭘 묻냐면서 뭐라함;;
    근디 이런 영상있어서 그나마 다행이네여

    • @lef282
      @lef282 5 лет назад +7

      @@yechankun 불은 부피가 없는데요

    • @GooGoo55
      @GooGoo55 5 лет назад

      불은 빛에너지,열에너지가 발산되는 현상을 말하는거지 물질이 아님

    • @기러기-b8b
      @기러기-b8b 5 лет назад

      @@yechankun 빛 질량있어서 부피없음 안될텐데

    • @JSM-u7h
      @JSM-u7h 5 лет назад +7

      본인 전공이 아니여서 그럴수도있음 고등학교 물리 생명 화학 지학이렇게 나뉘는데도 예를들어 지학에서도 천문학 지리학? 같이 한 과목 내에서도 여러분야전공을 따로 배움 그래서 웬만하면 자신의 전공 이외는 사실 깊이가 얕음

    • @Lostark-kalatus
      @Lostark-kalatus 4 года назад

      @@기러기-b8b 빛의 부피가... 있어? 그거 포톤의 크기 말하는거야?

  • @박제우-p7x
    @박제우-p7x 3 года назад +6

    불이 기체일 것 같으면서도 생각해보니 불을 보고 기체라고 하지는 않았던 것 같아 궁금했었는데, 눈에 보이지만 그저 에너지일뿐 물질에 상태에 속하지 않다니 신기하네요. 오늘도 사소하지만 흥미로운 동영상 잘 봤습니다.

    • @운한서
      @운한서 Год назад

      위의 영상을 볼 시간이 없으면 이 댓글만 보면 되네요. ㅎㅎㅎㅎ

  • @EXPRESS41
    @EXPRESS41 5 лет назад +18

    저희 과학쌤이 에너지라고 즉답을 하셔서 같은답인가 하고 왔더니 맞네요

  • @취미로게임을하는한국
    @취미로게임을하는한국 3 года назад +12

    궁금해서 들어왔는데 예전에 봤던기억이..... 궁금증이 해결되고 다시 궁금해지는 무한동력

  • @CAT18
    @CAT18 5 лет назад

    사물궁이 흥해라

  • @user-fd6gp9pm4w
    @user-fd6gp9pm4w 5 лет назад +83

    와! 제가 요청한 질문이네요! 저만 궁금한줄알았는데 의외로 다른분들도 궁금하셨다니..ㅎㅎ 소식이너무없어 너무 허무한이야기를 제보했나 살짝 창피했었는데..ㅎㅎ 감사합니다 덕분에 항상배워갑니다♡

  • @파트라슈6
    @파트라슈6 Год назад

    0:30 기체가 모양과 부피가 없다고 하는데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물질의 정의가 질량을 가지고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간을 차지한다는 게 부피를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물질의 3가지 상태가 고체, 액체, 기체이기 때문에 기체도 부피를 갖는 게 맞지 않나요? 초등 과학에서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기체가 부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실험을 합니다. 태클은 아니고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shy09_29
    @shy09_29 5 лет назад +48

    2:42 몽땅 망해라ㅋㅋㅋㅋㅋㅋㅋ

  • @G_seektree
    @G_seektree 5 лет назад

    불은 물질의 상태가 아니라는 명쾌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개구리-r9y
    @개구리-r9y 5 лет назад +19

    레드 블루 할때 왜이리 귀엽냐 ㅋㅋㅋ

  • @immel3327
    @immel3327 Год назад +1

    질문의 틀을 박아버려서 고치 액체 기체 중에 무엇인지만 고민하게 만들다니 .. 너무행
    낚여버렸으니 좋아요 박고 갑니다

  • @김희진-d5f
    @김희진-d5f 5 лет назад +13

    2:00 내 폰 배터리부족 소리라서 했갈렸잖아ㅋㅋ

  • @쌀떡찹-o1n
    @쌀떡찹-o1n 5 лет назад

    영상을 보면 1:39에 온도가 낮아 일상적인 불을 플라즈마로 보기 어렵다고 한 부분이 있는데, 물질의 상태변화 척도에는 온도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가령 기체에 높은 압력을 가하면 액체가 되는데,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온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액화시키지 않아도 액화가 가능함을 시사합니다. 영상에서 설명된 기체가 플라즈마가 되는 방식은 구성된 전자, 이온, 분자들 모두가 높은 온도를 방출하는 고온플라즈마 상태변화입니다. 플라즈마에는 전기방전에 의해 만들어지는 저온플라즈마도 있으며 복잡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는 물질이라면 분자 내에 반응성이 뛰어난 라디칼이 전기적으로 중성상태가 되는 저온플라즈마도 존재합니다. 양초에 불을 붙여 실험한 다음의 영상에서는 높은 온도가 아닐 것임에도 불구하고 불꽃 속에 플라즈마가 포함되어 있음을 밝혀냅니다. www.plasma-universe.com/fire-flame/ 따라서 불이 어떤 물질상태에 해당되는 지에 대한 답은 명확하지 않으나, 플라즈마 상태의 물질이 아니라고 단언하기는 힘듦니다.얘를 들어, 겔(gel)물질의 경우 고체의 특성과 액체의 특성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 정확히 어디에 해당한다고 말하기 힘들지만 어디에도 정확하게 속하지 않으니 물질 상태가 아니라고 할 수는 없는 것 처럼요.

  • @tubeyou1490
    @tubeyou1490 5 лет назад +4

    영상 중에 플라즈마 부분이 오해의 소지가 있는데, 중성 원자에서 플라즈마로 바뀔때 전자만 분리되는게 아니라 핵도 쪼개지는 걸로 나옵니다. 핵이 바뀌는건 핵반응인거고, 플라즈마 상태가 될때 발생하는 이온화와는 별개의 현상입니다. 전자만 떨어져나가면서 원자핵 전체가 + 가 찍힌 원으로 바뀌는게 보다 정확합니다.

    • @아시나기
      @아시나기 3 года назад

      뭔가 조금 다른데, 어딜 지적해야할지는 모르겠다 핵반응은 반응의 일종이고 플라즈마는 물질의 상태입니다 플라즈마는 정의상 전자, 중성입자, 이온 등으로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중성이 된 상태를 일컬어 부르는 것이므로, 저렇게 양성자와 중성자가 분리되는 상태도 플라즈마 상태가 맞습니다 더 나아가 극고온에서는 양성자와 중상자도 분리된 상태가 있기도 합니다 연구는 덜 됐지만 말이죠

  • @bdl8494
    @bdl8494 3 года назад

    가스 기사 공부할 때 보다 더 쏙쏙 들어온다..

  • @최승철-g3z
    @최승철-g3z 5 лет назад +5

    어렸을적에 이런 똑같은 질문을 과학게시판에 올렸었는데 열에너지라고 했던것같다.

  • @mct12
    @mct12 5 лет назад

    진짜 궁금한 거 다 알려주네요 짱짱

  • @efiester98
    @efiester98 5 лет назад +6

    항상 유익하고 깊지만 가볍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아아

  • @hamagaming_7045
    @hamagaming_7045 5 лет назад +1

    선댓후 감상합니다. 아마 제4의 물질상태 (이하 플라즈마)라고 생각합니다
    ..만 틀렸네요 역시 사물궁이의 중요성이란..

  • @졸라고독하구마
    @졸라고독하구마 5 лет назад +5

    와..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잘 설명해주시네요.
    학교 수업시간에 틀어주시는 선생님도 계실듯

  • @유투브자제운동
    @유투브자제운동 5 лет назад

    1:21 이온화 된 상태의 입자중 전기적으로 중성인 물질의 상태를 플라즈마라 한다 되어있는데 옛날에 이온화된거 중성이 아니라고 배운거 같은데 어떻게 된건가여? 문괍니다

  • @soulmuk
    @soulmuk 5 лет назад +33

    3:02 가정교사히트맨... 리본...!!!

  • @ROSECAMEL_45
    @ROSECAMEL_45 5 лет назад +2

    와 저 이거 10년도 넘게 궁금해왔던건데.... 진짜로 사소해서 물어보지못했지만 정말정말 궁금했던건데.....!!!!!! 여기서 이렇게 풀리네요. 정말 쉽고 명쾌한 설명 감사합니다

  • @세잎클로버-r3c
    @세잎클로버-r3c 5 лет назад +9

    뭐랄까 중.고등학교 과학,물리 선생님들이 애용할 거 같은 채널이다!!

  • @killerwizard.
    @killerwizard. 5 лет назад

    에너지~ 너는 나의 에너지~
    역시 사물궁이님은 우리의 에너지 ㅎ

  • @petercrimson396
    @petercrimson396 5 лет назад +6

    3:02 ??? : 불꽃색 쓰라고!

  • @ddengold
    @ddengold 5 лет назад

    계속 어떻게 이렇게 궁금했던 주제를 잘 찾는지 신기했는데 진짜 일상생활이 호기심으로 가득차있어야 나올수있는 내용인듯 콘텐츠를 만드려고 생각한다기보단 '오 이거 영상으로 만들어야겠다' 이런느낌

  • @tarve4824
    @tarve4824 3 года назад +8

    1:28 플라즈마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한다면 저온에서도 얼마든지 만들 수 있습니다.

  • @robert1497
    @robert1497 Год назад

    영상되게 잘 만드신다…👏🏻👏🏻

  • @MrMarianad1
    @MrMarianad1 5 лет назад +3

    왜 물질이 아니래;;
    빛이 났으면 광자를 내놓은 것도 물질이고 열이 났으면 온도를 담고있는 것도 물질일진데;;
    주제에 대해 너무 쉽게 결론을 내신듯...
    그리고 플라즈마 유도 시 온도가 높은 거는 외부에서 오롯이 플라즈마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고, 연소반응은 활성화 에너지 만큼만 가하면 물질이 에너지를 내놓으며 에너지 퍼텐셜이 더 낮은 상태로 변하는 건데 플라즈마 유도 온도와 연소온도가 뭔상관인지...

    • @Borazon
      @Borazon 5 лет назад

      동의합니다 ㅋㅋ

    • @MrMarianad1
      @MrMarianad1 5 лет назад +1

      @@kunhaklee1950 빛은 산화 중인 물질에서 전자가 낮은 에너지 준위의 궤도로 내려가며 내놓는 겁니다.
      그리고 열은 물질의 진동이지 물질없이 존재하는 무형의 뭔가가 아니라는 겁니다. 특히 동양사람들이 쉬 착각하는 부분이죠.
      즉, 제가 지적한 것은 빛을 내고 열을 포함하는 객체는 물질인데 너무 쉽게 "불은 물질이 아니라 에너지다"라는 일언으로 불이 기체라거나 플라즈마라고 주장한 사람들을 단번에 부정해 버렸다는 점입니다.

    • @MrMarianad1
      @MrMarianad1 5 лет назад +1

      @@kunhaklee1950 논제를 흐리진 마시고, 불을 피우면 빛이나며 이글이글 피어오르는 그것이 무엇이냐는게 본 영상의 쟁점이고 저는 "불은 물질이 아니다"라는 명제에 의문을 제기한 것입니다. 저에게 불이 무엇인지는 물어보실 필요는 없습니다. 불이 그저 에너지이고 물질이 아니다라고 주장을 관철하고 싶으신 거라면 쉽게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 링크의 영상을 참조해보세요.
      ruclips.net/video/Pbom8-DS5IU/видео.html

  • @choiminseong8214
    @choiminseong8214 5 лет назад +1

    불은 일종의 플라즈마 입니다. 물리학이나 입자화학에서 불을 에너지라말하면 혼동이 너무 많고요. 정확히는 물체가 타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발산하는데 이게 기체상태로는 이 에너지량을 견디기 힘들어서 원자네에서 전자들이 전자괘도를 왔다갔다 움직입니다. 이 상태를 고체,액체,기체 다음 플라즈마라고 하며 이와같은 원리의 플라즈마는 번개등이 있습니다. 불은 에너지는 아니예요...;

  • @실눈으로야리기
    @실눈으로야리기 5 лет назад +7

    당연히 기체지 ㅋ 라고 생각했는데 에너지?읭? 플라즈마는 또 뭐야... 절레절레

  • @moonyj6431
    @moonyj6431 5 лет назад +2

    사물궁이 캐릭터랑 보조그림 그려주는 분이 따로 계신가요? 너무 귀엽구 이해가 잘되어요>

  • @byeongheon
    @byeongheon 5 лет назад +4

    2~3년 전에 영화관가서 본 고질라가 뿜어내난 불의 색깔은 초록색이었음
    우리은하 나선쪽에 있는 별들은 대부분이 파란색임(주황색인 태양보단 몇배는 더 뜨거움)
    파란 별이 더 뜨거운것도 영상에서 설명했던 원리인가

    • @rohmc3118
      @rohmc3118 5 лет назад

      고질라는 가상속의 방사열선이라서 초록색임

    • @김원근학생약학대학약
      @김원근학생약학대학약 5 лет назад

      온도가 높은 물질이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내뿜는 현상을 흑체복사로 설명할 수 있는데, 온도가 높은 물질일수록 더 강한 에너지(짧은 파장)의 빛을 방출합니다! 빨주노초파남보 순으로 파장이 짧아요ㅎㅎ

    • @밀크로메다
      @밀크로메다 5 лет назад

      ㅇㅇ.지름이 수성 궤도 긴반지름에 맞먹는 청색 초거성인 리겔도 표면온도가 3배정도 더 뜨거움.만오천도정도.

  • @fotmdcks1
    @fotmdcks1 5 лет назад +1

    이분 영상은 호기심 해결과 나의 잡지식을 강화시켜줘서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지호-f2j
    @김지호-f2j 5 лет назад +5

    배웠는데 머리에 정리가 잘 안됬었는데 고맙습니다

  • @Yuk1mitsu
    @Yuk1mitsu 5 лет назад +1

    불은 그냥 현상이라고 알고 있었는데...사실 재확인도 되고 유익하네요 ㅎㅎ

  • @6owo77
    @6owo77 5 лет назад +3

    별로 안 궁금했고 생각도 안해봤던건데 썸네일 보고 바로 궁금해져서 들어왔음

  • @김명준-l5p
    @김명준-l5p 5 лет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 편집 너무 귀엽네요

  • @lottewillbechamp
    @lottewillbechamp 5 лет назад +56

    나: 아 이제 자야겠다
    유튜브: 불은 기체게 고체게 액체게?

    • @Michinn0ma
      @Michinn0ma 4 года назад

      불은 겔입니다.

    • @KSF_Foundation
      @KSF_Foundation 4 года назад

      불은라면입니다. 맛없어졌어요

    • @napuddong
      @napuddong 3 года назад

      @@KSF_Foundation ;

    • @quapa0731
      @quapa0731 3 года назад

      @@KSF_Foundation 웃은 내가 한심하다.

    • @takgyver68
      @takgyver68 3 года назад

      不은 아니다~

  • @유레카-b2l
    @유레카-b2l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48
    가스에 따로 산소를 배합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는 초의 심지 부분은 파란색입니다.
    노랗고 파란 이유를 가리는 것은 탄소 알갱이들 덕분입니다. 불완전 연소하면 탄소 알갱이들이 나와 색을 바꾸는 거고 그렇지 않으면 파란색이 되기 때문이죠.
    모닥불이 붉고 노란 이유는
    그냥 타면서 재가 날려서 그렇습니다.

  • @성이름-k2r6e
    @성이름-k2r6e 5 лет назад +8

    2:19 붉의 색깔은 붉은색ㅋㅋㅋ

    • @Junsik.
      @Junsik. 5 лет назад

      오타ㅋㅋ

  • @현-c9g4f
    @현-c9g4f 5 лет назад

    화학쌤이 질문해서 대답 못했던 거네요.
    지식이 늘었다..

  • @uuuubbb
    @uuuubbb 5 лет назад +18

    요약
    (빛 + 열) 에너지

  • @chimmmmmmmmm
    @chimmmmmmmmm 5 лет назад +2

    불이 액체 기체 고체 중 뭘까라는 의문도 가진 적 없는데..
    이렇게 또 배워갑니다

  • @apro8900
    @apro8900 5 лет назад +4

    결론: 2:12

  • @뿜빰뺨뿜
    @뿜빰뺨뿜 5 лет назад

    너무 재미있어요 구독 하고 갑니다!

  • @ekdms7263165
    @ekdms7263165 5 лет назад +6

    파이리더쿠. 썸네일 파이리때문ㅇㅔ 들어왓습니다 호호 뭘 좀 아시는 분이시군여?

  • @갓노운
    @갓노운 3 года назад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 @섭s-i4u
    @섭s-i4u 5 лет назад +3

    @1:57 맞물리지도 않는데 잘돌아가네

  • @아아아-o5w
    @아아아-o5w 3 года назад

    한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백도열-q6d
    @백도열-q6d 3 года назад +4

    2:20 붉x 불

    • @남상원2
      @남상원2 3 года назад

      붉맞어

    • @arumiii86
      @arumiii86 3 года назад

      @@남상원2 붉의 색깔은 이라되잇어여

  • @Y0H4N11M
    @Y0H4N11M 5 лет назад

    과학쌤이 에너지라 상태가 없다고 했어윰 (울 과학쌤 최고)

  • @순살삼각김밥
    @순살삼각김밥 3 года назад +9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소 설은
    물 - 액체
    흙 - 고체
    공기 - 기체
    불 - 에너지
    를 말하고 싶었던게 아니였을까..

  • @1532이시연
    @1532이시연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과학시간에 과제로 댓글을 달 증학생입니다.
    이 영상을 보면서 불은 고체, 액체, 기체가 아닌 중성자와 이온 등의 입자로 이온화 한다는 점에서 가장 흥미로웠습니다.
    그리고 쉽게 설명해준다는 점에서 다음학년에 배울내용을 맛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wendywilson4515
    @wendywilson4515 5 лет назад +8

    2:20 붉의 색깔

  • @알남과
    @알남과 5 лет назад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KMJ-
    @-KMJ- 5 лет назад +10

    불(light) 과 불(flame)또는 불꽃을 혼용해서 말씀하시네요. 빛을 내는 전구 필라멘트를 보면서 필라멘트는 에너지야 하는 것과 같지요. 필라멘트는 텅스텐, 고체입니다.
    flame을 볼 수 있게 가시화 시켜준것이 light이고, 타오르는 불의 형상을 보여주면서 에너지라 설명하는건 틀리지요.
    flame 상태를 따지자면 형태가 있고 바람에 날리며 관성과 중력에 영향을 받으므로 물질이고, 빛을 내는 연소 물질에 따라 활성화된 기체 와 연무 상태의 액체나 고체의 혼합물로 보는게 맞지 않습니까?

    • @털융털융
      @털융털융 5 лет назад

      C츄르르 물질이 아니죠
      물질이란것은 반드시 일정한 질량이 있어야 하는법인데 불은 질량이 0에 수렴하잖아요
      아마 광자의 개념이 아닐까 합니다.
      물질도 기체 액체 고체의 여러가지 상태가 존재 하듯이 불을 포함한 빛(에너지) 또한 물질처럼 여러가지 상태가 존재하겠죠
      물질은 스스로 움직일 수 없지만
      에너지는 스스로 움직일 수 있죠
      아마 그 차이가 아닐까요?

    • @-KMJ-
      @-KMJ- 5 лет назад

      @@털융털융 질량이 0이 아니면 물질이지요. 0과 0에 근사하는 것은 같지 않지요. 불꽃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연속적으로 연소물질 유입되고 타서 나라가는데 단순 질량으로 표현 될 수 있습니까? 시간당 연소되는 물질의 평균이라면 모를까. 그리고 빛의 상태는 무슨 계념인가요? 설명 좀.

    • @쿨쿨-z8v
      @쿨쿨-z8v 5 лет назад

      불은 활성화에너지 이상의, 반응 중인 물질이라고 볼 수 있죠

    • @정법진-s9x
      @정법진-s9x 4 года назад

      @@-KMJ- 물질이 아닌데 바람에 휘날린다는 게 의문이긴 하네요

  • @alvarodecampos6818
    @alvarodecampos6818 5 лет назад

    정말 궁금했던 건데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 @걍해뭘해
    @걍해뭘해 5 лет назад +3

    2:19 붉?

  • @1111_mm2
    @1111_mm2 5 лет назад

    오 이거 초6때 궁금했던 거다 과학쌤께 여쭤봤더니 지식인에 검색해보시더니 상태가 아니라 반응을 통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해주셨는데..

  • @Djdjfnff
    @Djdjfnff 5 лет назад +3

    3:00 인피니티 스톤?

  • @부드러운눈송이
    @부드러운눈송이 5 лет назад

    드디어 궁금증이 풀렸다
    감사합니다^^

  • @다이잘
    @다이잘 5 лет назад +4

    분명ㅇ 어젠가 그제 구독자가 2만명이었는데.... 왜째서.... 세배인교..?

    • @bbooo7791
      @bbooo7791 5 лет назад +1

      진짜요..? 지금 16만명인데..헐

    • @다이잘
      @다이잘 5 лет назад

      @@bbooo7791 구독자 늘어나는 속도가 거의 띠예급.....

  • @ARK_JOA
    @ARK_JOA 4 года назад

    우와 사물궁이님 이거 과학시간에 영상으로 나왔어요!

  • @jmj658
    @jmj658 5 лет назад +12

    효xx 같은 개인주관 잔뜩 들어가서 잘못된 지식 전파하는곳보다 200배는 나은채널이라 구독함

    • @mikaelj46762
      @mikaelj46762 5 лет назад +2

      하 그채널 극혐... 팩트 1도없음 진심

    • @jsi2933
      @jsi2933 5 лет назад +2

      ??? : 효기심형 여기에요 여기!

    • @이진은-q8k
      @이진은-q8k 5 лет назад +3

      근데 효기심 영상 보면 자기가 참조한 논문 다 보여줌 그걸 보면 효기심도 어느정도 근거를 가지고 말하는 유튜버임 그리고 효기심의 주 테마는 시회. 역사. 정치. 외교 아님? 그 테마는 자기 주관이 어느정도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주제임

    • @lef282
      @lef282 5 лет назад

      뭔 개소리여...

  • @김준영-h9z
    @김준영-h9z 5 лет назад

    너무재미있어요~~

  • @lalala-lala
    @lalala-lala 5 лет назад +3

    2:08

  • @supremepatriarch
    @supremepatriarch 3 года назад

    와 이거 초등학생때 궁금해서 지식인에 질문했다가 답변 못받았는데... 아직도 궁금해하는 중이라 보자마자 바로 클릭했음.. 대학원생이 되어서야 답을 알게됐네요

  • @YAZA33
    @YAZA33 5 лет назад +3

    과학시간에 푸딩은 액체인지 고체인지 물어봐는데 뭐라고 대답해주셨는지 까먹음...
    아이 거슬려

    • @ElysiaK
      @ElysiaK 5 лет назад

      영어로 gel 이라고 할 수 있죠 액체와 고체의 중간 상태라고 할 수 있어요 모양이 있고 유동성이 있으니까요

    • @강성민-e4w
      @강성민-e4w 5 лет назад

      젤은 액체에 가깝고 푸딩은 고체에 가깝다고 생각하는디요

    • @고리골
      @고리골 5 лет назад

      물질의 상태를 3가지로만 설명 못하는경우가 많죠

    • @jwc9698
      @jwc9698 5 лет назад

      겔이죠. 유동성있는 콜로이드 상태

  • @ajehunter69
    @ajehunter69 5 лет назад +2

    2:23에는 온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순서대로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보라색까지 색이 번합니다

  • @이근-h3c
    @이근-h3c 4 года назад +3

    "ENERGY"

  • @koabounga
    @koabounga 3 года назад +1

    대학교에서 교수님한태물어본결과 불은 물질이아닌 물질의상태변화중나타는 에너지의 급격한 발산 상태라고 하셧던기억이 ㅋㅋ

  • @sunwoo97
    @sunwoo97 5 лет назад +6

    아 이거 중간에 나오는 깨알 음성 너무 귀여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inini3312
    @minini3312 3 года назад

    오랜만에 사물궁이 영상이 떠서 놀랐고 근데 그게 예전영상이여서 놀랐고 저 주제를 궁금해한적이 없다는게 놀랐다

  • @saback400
    @saback400 5 лет назад +3

    이 영상 보니 플로지스톤 얘기가 생각나네요ㅋㅋㅋ

  • @gujhff2025
    @gujhff2025 5 лет назад

    너무 유익 ㅠㅠ

  • @friedrichbahk5675
    @friedrichbahk5675 5 лет назад +3

    빌어먹을 흑체복사. 개같은 흑체복사. 열에 비례해서 빛의 색이 붉 녹 파 하얗게 된다... 이게 이해하기 왜 어렵지....?

    • @lef282
      @lef282 5 лет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조용우-m7r
      @조용우-m7r 5 лет назад

      오 녹색도 있다는건 첨 알았음 신기하네

    • @쿨쿨-z8v
      @쿨쿨-z8v 5 лет назад

      짧은 파장의 빛이 에너지가 높고 빨주노초파남보 순으로 에너지가 강해지죠

  • @다수결은한천재의의견

    진짜 너무 재미있는 상상이다 ㅎㅎ

  • @성북동구구
    @성북동구구 5 лет назад +5

    유리 상자 안에 불이 나있는경우에
    상자밖으로 빛과 열은 나오지만
    '불'자체는 상자를 투과해서 나올수가없는데 이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Borazon
      @Borazon 5 лет назад

      본질을 잘 짚으시는분이군요. ㅎㅎ 따봉 박고갑니다

    • @성북동구구
      @성북동구구 5 лет назад

      @@Borazon 감사합니다
      따지는건아니구 리얼루궁금해서..ㅎㅎ

    • @tubeyou1490
      @tubeyou1490 5 лет назад +1

      기체가 화학결합을 통해 빛을 내는 상태가 불인거라 불이 곧 에너지인건 아닙니다. 에너지를 빛과 열의 형태로 방출하는 기체의 한 모습이죠.

  • @john.gkendon2569
    @john.gkendon2569 3 года назад +1

    그냥 빛과 열로 알고있었는데 상태는 생각해본적도 없었네.. ㅋㅋ 역시 안궁금한것도 궁금하게 해주는 사물궁이

  • @o_o9130
    @o_o9130 5 лет назад +5

    1:59내폰배터리소린줄알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