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수학자 BEST 20|평균 IQ가 200쯤 ??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99

  • @MathPresso
    @MathPresso  Год назад +9

    ✍🏽 철벽수학 노트수업
    www.cbmath.com
    ▶ 유튜브 매스프레소
    www.youtube.com/@MathPresso

  • @leechanghyun
    @leechanghyun Год назад +35

    진짜 대단하신 분들만 있네요 ㅋㅋㅋㅋㅋ 수학을 전공하지 않으면 대부분 알 일이 없으신 분들이긴 하지만 그 업적을 생각하면 감히 평가하건데 고대의 수학자분들과도 견줄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

  • @NeoWizard
    @NeoWizard 13 дней назад

    정말 유익한 영상이네요...감사합니다

  • @hoonO50824
    @hoonO50824 Год назад +7

    영상 시작부터 세계관 최강자가.... ㅋㅋㅋ

  • @student-z3x
    @student-z3x Год назад +9

    콜모고로프... 제 교수님께 들은 이야기로는 콜모고로프가 쓴 학부생 교재가 미국에선 대학원에서 쓰였다고 합니다

  • @야간비행-m6s
    @야간비행-m6s Год назад +7

    천재들이 끝없는 지적 호기심을 마음것 채우다 못해 파묻혀버리는 숫자놀이동산 '수학'.

  • @자유한-d2k
    @자유한-d2k Год назад +4

    수학에 인문학적 소양이 중요하다는 말이 인상 깊네요..

  • @SHKim-uv4wo
    @SHKim-uv4wo Год назад +4

    세상을 보다 밝게하는 방법은 수포자들을 줄이는 것입니다.

  • @김재우-z8x
    @김재우-z8x Год назад +17

    수학에 대해 관심이 특별히 많지 않으면 현대 수학자들의 이름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이런 좋은 영상으로 사회적으로 큰 기여를 한 수학자들의 이름을 계속 알려주는 것 좋은 것 같아요.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happylololo
    @happylololo Год назад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fierydino9402
    @fierydino9402 Год назад +6

    정말 재밌게 봤어요! 영상 오래오래 만들어 주세요ㅎㅎ

  • @bawimann
    @bawimann Год назад +14

    순수수학 전공자로서 베유 그로텐디크 세르 밀너 아티야 이 사람들이 진짜 넘사 레전드들이라고 봄
    업적들 보면 싹 다 정신나간 수준임

    • @dschai0220
      @dschai0220 Год назад

      고대 산수문제를 몇년동안 보고 있는데 아직도 다 못풀었습니다..

  • @seungmin2858
    @seungmin2858 Год назад +2

    펜로즈도 결국 노벨 물리학상 받은 사실을 같이 알려주셨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대학다닐 때 펜로즈 다이어그램으로 블랙홀을 접해서 그런지 더 정이 갑니다.

  • @duckjang7775
    @duckjang7775 Год назад +1

    1:04 1:04

  • @프린키피아-x3x
    @프린키피아-x3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쯤에서 매스프레소 를 좋아할때가 된 것 같습니다.

    • @MathPresso
      @MathPress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ㅎㅎ 감사합니다 !!

  • @Jjanis
    @Jjanis Год назад +2

    GOAT 갓노이만 센세

  • @lwgadfdfs
    @lwgadfdfs Год назад +10

    노이만이 28%를 안다고 말하는것이
    진짜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수학의 모든 부분중 자신이 아는것이 정확하게 28%고 나머지는 자신이 밝혀낼것이라는게

    • @김재환-r5k
      @김재환-r5k Год назад +3

      지금까지 나온 수학의 28%라는 뜻입니다

  • @전윤호-d1w
    @전윤호-d1w Год назад +2

    오일러,가우스같은 수학자들이 더 대단하다고하는 이유는, 그시대에 아무것도 없이 말그대로 무에서 유를 창조했다고봐도 무방하지때문/.....

  • @user-GOATDO
    @user-GOATDO Год назад +3

    폰노이만은 수능수학을 10분컷할정도의 지능을 가지고있습니다.

    • @lex6709
      @lex6709 Год назад

      진지하게 50초 안넘을거같아요

    • @하승호-b6v
      @하승호-b6v Год назад

      ​@@lex6709 문제 읽는시간도 50초는 더걸리겠는데

    • @앤토-m8u
      @앤토-m8u Год назад

      시험지 받고 omr 마킹 다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5분도 안 걸릴 듯 ㅋㅋ

    • @너구리-z5w
      @너구리-z5w Год назад

      노이만행님이 알고있는 수학 28프로중에 0.01프로에도 들지 않을듯ㅋㅋㄱㅋㅋㅋㅋㅋㅋㅋ이분은 신계임

  • @이서진-p7m
    @이서진-p7m Год назад +1

    24에 교수.. 대단하시다

  • @lkh0120
    @lkh0120 Год назад +9

    그로센딕은 나에겐 페렐만을 능가하는 초초초천재

    • @paperpaper82
      @paperpaper82 Год назад +4

      완전 동의합니다. 사실 비교가 힘들 정도이죠

    • @dukasgeorge7584
      @dukasgeorge7584 Год назад +11

      20세기 수학자 중엔 그로센딕이 원탑이고,
      21세기엔 타오와 숄체가 투탑인듯.

    • @paperpaper82
      @paperpaper82 Год назад

      @@dukasgeorge7584 ㅇㅈ

    • @jason020907
      @jason020907 Год назад

      님들 다 수학전공이신가요??

  • @PARK11_3
    @PARK11_3 Год назад +1

    현대 수학자 하자마자 위튼이 떠올랐네요

  • @27park89
    @27park89 Год назад +8

    이 20명중 업적의 위대함과 한번에 엄청난 량을 해내는 능력으로 볼 때 원탑은 알렉산더 그로센딕~~

    • @paperpaper82
      @paperpaper82 Год назад +2

      오 저도 완전 동의

    • @hoonO50824
      @hoonO50824 Год назад +8

      하지만 57은 소수였죠?

  • @김지수-m7b2n
    @김지수-m7b2n Год назад +5

    개인적으로 폰 노이만을 굉장히 좋아하는데 폰노이만의 일대기를 보면 천재들 중에서도 천재라 불리는 사람임 수학만 잘한게 아니라 다른 영역까지 완벽한 사람 뉴턴 다음으로 똑똑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듬

    • @앤토-m8u
      @앤토-m8u Год назад +1

      노이만은 백년에 한 번이 아닌 천년에 한 번 나올만한 천재라는 말이 있을 정도니 뉴턴보다 더 똑똑했을수도..?

  • @user-vf8be3qx1e
    @user-vf8be3qx1e Год назад +2

    노이만 타오하고 몇명제외하고 나머지는 다 첨보는 양반분들이네

  • @shareknicod
    @shareknicod Год назад +1

    다 아는 사람이구만

  • @yjin2774
    @yjin277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수학자들이 대체로 수명이 기네요

  • @lex6709
    @lex6709 Год назад

    수학적 업적 말고 순수지능으로 노이만 이길사람 있음? 9살때 정수론 가르치고 대학수업중 난제를 소개받자 5분만에 머리속으로 풀어내는 능력..

  • @다시일어서자-q4j
    @다시일어서자-q4j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학문이 세분화되다 보니 예전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나올 수가 없겠죠

  • @soongum
    @soongum Год назад +15

    캬~
    이름만 들어도 흥분되는 분들의
    소개를 잘 보았습니다.
    괴델과 내쉬는 천재였음에도
    조현병으로 평생 아픈 삶을 살았는데...
    정신질환은?
    천재들도 피해갈 수 없다는 것이 아이러니 함.
    인간의 뇌에선 어떤 메커니즘이 작동하는지?
    수학자들이 밝혀 줘야함!!

  • @terrygagosian3422
    @terrygagosian3422 Год назад

    빅뱅이론 보면 위튼 언급이 됐던 것 같아요.

  • @ellively7887
    @ellively7887 Год назад +4

    그놈의 아이큐(발작버튼) . 아이큐도 기출문제로 준비 ... 의미없는 국가자격증 따위 수준.
    근데 죙일 문제 해결에만 집중하는 수학자들은 높을 수 밖에

  • @KimKim-vp3dq
    @KimKim-vp3dq Год назад

    타오가 쓴 해석학 책이나 사야겠다

  • @minahwh3213
    @minahwh3213 Год назад

    현대 수학의 전당
    뉴저지 프린스턴대
    고등연구소 출신들 천지네
    필즈상 튜링상 최다 수상대학
    아인슈타인대학
    호랑이대학
    여기에
    허준이교수도 있다

  • @grandstrategy8987
    @grandstrategy8987 Год назад

    강호의 세계는 넓어요.

  • @user-kq8iu4bl2b
    @user-kq8iu4bl2b Год назад

    Chern number의 chern이 저사람 이름 딴거였구나. 역시 수학과 물리는 한 몸이네

  • @승수노-z3e
    @승수노-z3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프랙탈"축소 또는 확대하면 같다".

  • @GOVERNORofBRITISHschoolCOLONY
    @GOVERNORofBRITISHschoolCOLONY Год назад +6

    근데 유명한 수학자들은 왜 거의 다 유럽 아니면 미국 출신임?

    • @user-fo4jp9pj4d
      @user-fo4jp9pj4d Год назад +8

      농사짓기바쁜데 수학할수가 있나…

    • @SeolYang
      @SeolYang Год назад +6

      왜 아프리카에는 프로게이머가 없을까요?ㅋㅋㅋㅋ

    • @ДасомЛий
      @ДасомЛий Год назад +2

      아시아인 필즈상 수상자중 이란2명 있는데 한분은 여성인데 유방암으로 사망해서 업적대비 저 평가 받고 있고 한분은 이란 대학교수라 ㅋㅋ 미국에서 인정을 안함

    • @GOVERNORofBRITISHschoolCOLONY
      @GOVERNORofBRITISHschoolCOLONY Год назад

      @@SeolYang ㄹㅇ로?

    • @ДасомЛий
      @ДасомЛий Год назад +1

      @@BeBe-py1rs 마리암은 최초 여성수학자 수상자라는 명예도 무시할수 없음

  •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 Год назад +1

    클로드 새넌

  • @D-day_7
    @D-day_7 Год назад

    호모사피엔스 지능 상위 0.0000001 %들 이네.. 진짜

  • @합리적사고-t7g
    @합리적사고-t7g Год назад +3

    타오 중국계가 아니라! 대만계임!!

  • @joshuakim1317
    @joshuakim1317 Год назад

    참고로 마지막에 나온 타오의 아내는 한국계 미국인임.

  • @Total_Syntheses
    @Total_Syntheses Год назад

    음.. 수학자들의 성과를 저렇게 top20으로 나눌 수가 있나요?
    혹시 수학 박사학위자이신지.. 관련 연구들은 학사출신으로는 꿈도 못 꾸는 것들이 태반인데.
    설령 박사학위자들이라고 하더라도 분야가 다르면 이해하기 어려운 분야도 많습니다. 단적으로 디오판토스 방정식 같은 정수론 분야에서도 유관 전공이 아닌 수학과 교수들 태반이 접근도 못 할 거라고 하기도 하고요.
    어떤 기준으로 Top 20을 정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youcantata
    @youcantata Год назад

    대충 20 명중 13 명은 업적을 알고 있으니 2/3 타작은 한 듯.

  • @이승후-p1x
    @이승후-p1x Год назад +1

    고흐는 저걸 어캐 그린거냐

  • @악의구렁텅이-t2p
    @악의구렁텅이-t2p Год назад

    돌아버리겠네증말

  • @user-iv8fo8le9s
    @user-iv8fo8le9s Год назад +1

    숄체 ㅇㄷ?

  • @Zeddy27182
    @Zeddy27182 Год назад +4

    조합 대수기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필즈상 받으신 허준이님도 여기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 @dbueilrb
    @dbueilrb Год назад +1

    타오 파이파이

  • @user-vr6th3ov6h
    @user-vr6th3ov6h Год назад +1

    즐겁게 봤습니다. 배티^^

  • @아르마딜로-w8z
    @아르마딜로-w8z Год назад +1

    우리나라 수능수학 만점 받으면?!😅

    • @Abcfefkk
      @Abcfefkk Год назад +2

      수학자들이 그 ㅈ밥시험을 만점 못받을까요

    • @levo3221
      @levo3221 Год назад +1

      수능 시험을 대학교수가 내는데 저분들은 그 교수들의 교수급인데 어딜 어린애들 장난같은 문제를 들이대냐 ㅋㅋ@1qwase2qewadsd21qewdasds-nd4qx

    • @levo3221
      @levo3221 Год назад

      @1qwase2qewadsd21qewdasds-nd4qx 니애미라고 ㅋㅋ

  • @p스티브잡숴
    @p스티브잡숴 Год назад +1

    한국인은 아무도 없다는.... 서울대 출신은 없는가요

    • @hohohohohoho1900
      @hohohohohoho1900 Год назад +1

      간단히 서울대가... 전세계 대학순위만 보셔도 제일 높은 순위가 29위인데... 너무 많은걸 바라는 욕심이...

    • @hohohohohoho1900
      @hohohohohoho1900 Год назад +1

      아 그리고 서울대도 머리 좋은 사람들의 자퇴율이 폭발적으로 늘어난다고 뉴스에 나오네요. 공학이나 수학 등 돈 안되는것 보다 의사나 법학으로 다 떠난다고 뉴스에 나오더군요

  • @boogupo
    @boogupo Год назад +3

    나중에는 20세기 출생 수학자 베스트에 허준이도 들어갈듯!

  • @chanboojeong9942
    @chanboojeong9942 Год назад

    그리고리 페렐만…

  • @moosoyou
    @moosoyou Год назад

    강석진 생각나네 ㅋㅋㅋㅋ

  • @QED2718
    @QED2718 Год назад +1

    지식+20

  • @이종한-m4t
    @이종한-m4t Год назад

    한국은 홍성대가 있다

  • @neuron4435
    @neuron4435 Год назад +1

    송유근이는 어디갔노

  • @michaelkahn8744
    @michaelkahn8744 Год назад

    사람의 일생 중 제일 잘 해낸 일만 추려서 평가하면 누구나 다 천재다.
    반대로 그 사람 일생 중 못한 것만 추려서 평가하면 누구나 IQ 50 이다.
    따라서 사람을 평가하려면 그 사람의 한 일을 골고루 종합해서 평가해야 한다. 아이큐는 그야말로 인간의 능력의 극히 일부일 뿐이다.
    나는 서울대에서 공부를 제일 잘한 축에 드는 사람이 두시간이나 헤매다가 결국 포기했던 MIT 컴퓨터 사이언스 문제를 일곱살 반 된 아이에게 시켰더니 3분만에 답을 내는 것을 보았다. 그 때까지 컴퓨터에 대해서는 그저 이름이나 들어본 수준의 그 초등학교 2학년 아이가 낸 답은 MIT 시험문제의 정답과는 달랐지만 분명히 옳은 답인 것은 물론 더 짧고 더 단순하고 더 확실하고 더 일반적인 답이었다. 그 때 장난으로 그 아이에게 그 문제를 시켰다가 그 아이의 입에서 나온 기상천외의 답을 들은 어느 엔지니어가 한동안 충격을 받은 표정으로 입을 못 다무는 것이었다.
    그 아이는 한국인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아무의 주시도 받지 못하고 살고 있고 본인은 그것을 선호하는데 이 아이는 자신이 천재라고는 절대로 생각하지 않고 그런 말을 듣는 것 자체를 싫어한다. 이 아이는 중고등학교 시절 자폐증이나 지적 장애가 있는 학생과 의사소통을 하는 특수한 재능을 보이기도 했다.
    서부유럽을 대표하는 네개나라, 즉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태리 이렇게 네 나라의 유태인에 대한 지독한 편견은 정말 알아준다.
    근현대 프랑스를 대표하는 과학자는 포앙카레이고 그 사람의 아이큐를 200이 넘는다는 말을 어디서 읽었는데 그 때 아인슈타인의 아이큐를 170 정도로 아주 낮게 평가해 놓았었다. 서부유럽의 유태인에 대한 편견때문은 아니라고 하겠지만 나는 절대로 그렇다고 믿는다. 정말 웃긴다는 생각이 든다. 포앙카레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비슷한 결론에 도달할 뻔 했지만 끝끝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끌어내지 못했다. 그것도 포앙카레는 과학자로서 아인슈타인보다 훨씬 긴 연구 경력과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었고 권위에 있어서도 스위스의 무명의 특허국 말단서기 아인슈타인과는 달리 포앙카레의 한마디 한마디는 누구에게나 영향력을 주었으리만큼 유리한 고지에 있었음에도 였다. 이것만 가지고도 아인슈타인은 역사상 다른 모든 천재들을 압도하고도 남는다. 아인슈타인과 비슷한 수준에서 토론을 할 만한 사람이 있다면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들은 빼고 르네상스 이후의 사람들 중에서만 찾는다면) 그저 뉴턴과 라이프니츠 정도일 것이다. 아인슈타인은 지금까지도 끊임없이 도전을 받지만 만약에 그가 유태인이 아니라 영국인이었다면 호킹처럼 과대평가를 받고 있었을 것이다

  • @Amnok
    @Amnok Год назад +3

    28퍼센트의 근거가 궁금하네

  • @이관모-p8s
    @이관모-p8s Год назад

    아.... 나와 달리 다들 머리가 너무 좋은 듯하다.... 잘 모르겠지만 되게 좋은 것 같다. 지능도 타고나는 게 있겠지?

  • @nanimon9202
    @nanimon9202 Год назад +1

    서양인들의 지적수준이 더 높나? 더우기 온리 남자

  • @sodamjung9808
    @sodamjung9808 Год назад

    윌리엄 서스턴 없어서 비추 누름

  • @kiyeopyoon3187
    @kiyeopyoon3187 Год назад

    한국의 홍성대는 들지 못하나요?
    수학의 정석 저자 홍성대도 들 듯해요...

  • @한바탕-l2n
    @한바탕-l2n Год назад +1

    현우진이 없어서 무효임

  • @Mincheolgayya..
    @Mincheolgayya.. Год назад

    그래서 저새끼들 칼캠 풀면 80점 나옴? ㅋㅋㅋ

  • @sdnoq
    @sdnoq Год назад

    새삼 저 목록의 수학자와 어깨를 나란히하는 현우진이 존경스럽네…

    • @양찍-f1y
      @양찍-f1y Год назад

      그건 좀… 저런 사람이랑 어깨 나란히 하지 마셈

    • @괭강
      @괭강 Год назад +1

      화나게 하지마

    • @Mr_TMI
      @Mr_TMI Год назад

      어그로 ㅅㅌㅊ

  • @dwn-737
    @dwn-737 Год назад +2

    ㅈ나 존경하는 분들 입니다

  • @Zoa-pd7dk
    @Zoa-pd7dk Год назад

    솔직히 구라지. 수학을 얼마나 알고 있는지를 수치화해서 말한다는 게.
    나도 누가 나한테 말도 안 되는 숫자계산 시킬 때가 있었는데 얼추 그럴듯하게 즉시 대답함. 왜냐면 문제 낸 놈도 답을 모른다는 걸 알거든. ㅋㅋ

    • @김영수-y8m
      @김영수-y8m Год назад +4

      너가 감히 그렇게
      쉽게 평가할 분이 아닐 듯
      싶은데

    • @괭강
      @괭강 Год назад +1

      같은 말이라도 누가 하느냐에 따라 그 무게감이 다르지. 그것도 인류 역사상 최고 두뇌 폰 노이만과 먼지 티끌에 불과한 니가 같은 말을 하더라도 느낄 수 있다.

    • @Zoa-pd7dk
      @Zoa-pd7dk Год назад

      @@괭강 동감이야. 내가 지적한 부분이기도 하지. 너같은 미물이 이해하긴 어려웠을 것이다. 사과한다. 유명인의 똥까지 빨아먹을 필요는 없다는 것인데 너 같은 똥파리들은 못 참고 할짝거리겠지.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