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해결/자원관리는 스킬이 존재하는 영역X 1. 이중에 어떤 문제가 그나마 풀만 하고 어떤 문제는 걸러야 하는지 아는 능력 쌓기. ex) 문제해결 문제인데 조건이 6개면 안풀고 버린다. 2. 문제의 상황이나 원리 통째로 암기. 문제의 유형이나 풀이법, 상황, 원리 그대로 외운 후 비슷한 문제 나오면 그대로 적용.
전 누구는 참 누구는 거짓을 말하고 있다 이런거 일단 제낍니다. 거짓말하는 애가 1명이면 한바퀴 끝내고 돌아와서 서로 모순되는 애 있나 찾아보고, 거짓말하고있는 애가 2명 이상일 땐 웬만하면 안풉니다. 사람 대여섯명 점수환산해서 점수 젤높은사람 두명 찾는거도 그렇고, 총무마냥 돈계산하는 거도 일단 제낍니다 내가 이걸 몰라서 못푸나 이거 풀 바에 다른 시력검사급 자료해석 2개 풀지 하는 마음,,
내가 평소에 넘겨야할 문제로 정한 문제가 실전에 6문제로 연달아 나오면 그럴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저의 2년전 중앙공기업 시험장에서의 경험이었습니다. 최소경로+연료비계산문제였는데 지도 3개나왔고 각 2문제씩 총 6문제가 나왔는데 처음에는 쉬운거 부터 풀어야지 하고 했는데 나중에 돌아왔을때에는 시간도 얼마 안남아서 답답했던 기억이 나네요 그럴때에는 그냥 하나라도 제대로 풀자는 전략으로 접근하고 나머지는 찍어야할까요?.
문제해결/자원관리는 스킬이 존재하는 영역X
1.
이중에 어떤 문제가 그나마 풀만 하고
어떤 문제는 걸러야 하는지 아는 능력 쌓기.
ex) 문제해결 문제인데 조건이 6개면 안풀고 버린다.
2. 문제의 상황이나 원리 통째로 암기.
문제의 유형이나 풀이법, 상황, 원리 그대로 외운 후 비슷한 문제 나오면 그대로 적용.
볼때마다 너무 핵심만 콕콕 집어 주셔서 너무 좋네요
저두 테마별로 최적화된 풀이를 찾고 이를 기출처럼 연습하는게 젤 베스트라 생각합니도
전 누구는 참 누구는 거짓을 말하고 있다 이런거 일단 제낍니다. 거짓말하는 애가 1명이면 한바퀴 끝내고 돌아와서 서로 모순되는 애 있나 찾아보고, 거짓말하고있는 애가 2명 이상일 땐 웬만하면 안풉니다. 사람 대여섯명 점수환산해서 점수 젤높은사람 두명 찾는거도 그렇고, 총무마냥 돈계산하는 거도 일단 제낍니다
내가 이걸 몰라서 못푸나 이거 풀 바에 다른 시력검사급 자료해석 2개 풀지 하는 마음,,
그냥 많이
풀어보고 머릿속에
어느것이 오래걸렸는지 데이터 많이 쌓아서
실전에서는 머리좀 써야된다 싶은건
걍 패스하고 마지막에 건드는게
가장 좋은거 같아요
ortho
읽다가 거르는 기준 만드는법
-> 이딴 멘트가 있으면 어려워지는구나 노가다로 알아냄.
Ex) 조건이 n개 넘어가면 안푼다.
-> 상대적으로 쉬운것부터 들어간다.
문제해결은 그렇다치고.. 자원관리 너무 극혐이야 ~~
목소리좋은데 이제 변성 안하고 목소리만 나가나요?ㅎㅎ
하 설레서 다섯번째 봐욬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진짜 너무 공감되고...감사합니다
중학생님 목소리 너무좋네여🙂
진지하게 듣다가 마지막 애기보고 빵터졌네 ㅋㅋㅋㅋㅋ
내가 평소에 넘겨야할 문제로 정한 문제가 실전에 6문제로 연달아 나오면 그럴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저의 2년전 중앙공기업 시험장에서의 경험이었습니다. 최소경로+연료비계산문제였는데 지도 3개나왔고 각 2문제씩 총 6문제가 나왔는데 처음에는 쉬운거 부터 풀어야지 하고 했는데 나중에 돌아왔을때에는 시간도 얼마 안남아서 답답했던 기억이 나네요
그럴때에는 그냥 하나라도 제대로 풀자는 전략으로 접근하고 나머지는 찍어야할까요?.
실력에 자신감만 있으면 6문제 건너뛰어도 7문제 아무렇지 않게 풀 수 있습니다. 저는 밥먹듯이 하던겁니다.
목소리 진짜 상남자시네요
기다렸습니다 문제해결 자원관리
목소리 조아조아
이메일 컨설팅 이제 안하시나요 ? 상담같은거 ㅠ
합니다 7월 10일까지
오우 또 좋은영상 떳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