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어원이 어디에서 유래가 되었던 우리나라에 그 물건을 지칭할 단어가 없었기에 유래가 된것인데 그렇다고 저 단어들을 그 유래된 국가 사람들도 못알아들음. 결국 유래가 되었다쳐도 저건 우리나라 고유 단어로 보는게 맞다고 봄...특히나 일본에서 유래한 단어라고 해서 그걸 새로 단어를 만드는것도 웃긴일이라고 봄....
@hrprer 靴の語源は、「ケルタル (蹴足)」の転や、足を納めるさまを表す擬態語「クツ」など諸説あるが、朝鮮から日本に多くの文物が持ち込まれたことから、朝鮮語の「kuit (グドゥ)」説が有力である。世界で最も古い履物は古代エジプトのサンダルで、西洋靴のルーツとなっている。 일본의 유래 사전에서 설명하듯 고선어 구두에서 유래했다설이 유력하다 라고 써있는걸 읽고서 이야기 한건데 님은 어떤 근거로 말이 되냐 어쩌냐를 말하나요?
구두는 어원이 한국어입니다 신고 다니는것을 통칭해서 구두라했으며 돈을 안쓰는 사람을 구두쇠라고 하지요 신발이 닳지 않게 얇은 놋쇠를 신발 바닥에 덧대 걸음걸이가 우숩게 되었는데도 돈아낀다는 일념아래 체면 없이 다닌걸 조롱한 "구두쇠" 또한 구두 약속이란말이 서류는 작성하지 않았지만 발품팔아 실무적으로는 합의를 봤다는 뜻에서 나온거라합니다 진짜냐구요? 네 진짜 거짓말입니다
가방이나 빵은 일본어 발음도 우리와 비슷, 일본에서 가타카나로 쓰면 고유명사라 여기면 맞다 그래서 김치를 자기네 것이라해도 일본에서 김치(.キムチ.)라고 쓰고 말하니 자기네 것이 아닌란 얘기다 갈비(ガルビ)도 마찬가지 담그다를 의미하는 파오(泡)와 야채반찬을 의미하는 차이(菜)가 결합한 음식이 있는데 김치를 자기네 것이라 하든 말든 민감할 필요없다 우리가 커피를 커피라 하는 거와 같다 에디오피아, 멕시코, 브라질,칠레, 태국 등 커피 생산이 많은 국가가 서로 커피라는 음식이 자기네 깃이라 하지 않는다 햄버그나 돈가스 가스렌지 등 외래어도 굳이 한국어로 바꿀 필요 없다 콜라나 사이다는 음료 이름인데 비슷한 음료는 모두 콜라 ,사이다라고 말한다 그러니까 오뎅을 반드시 어묵꼬치라 않해도 된다
일본어 靴(くつ)는 신발을 뜻합니다. 반면 한국어 구두는 알다시피 신발의 한 종류, 서양식 신발이죠. 일본은 한국의 삼국지대가 한창일 무렵까지 신발의 개념이 없었습니다. 중국에서 각국의 사신들을 기록한 그림집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발을 뜻하는 보통 명사 くつ는 한국에서 건너갔고, 이후 한국에서는 사어가 됩니다. 훗날 일제강점기 무렵, 일본이 서양식 신발을 신고와서는 그것이 쿠츠라고 합니다. 아 저게 쿠츠구나 하다가 발음이 변형된게 아닐까 하고 상상해볼 수 있죠. 고구마가 바로 이러한 예인데요.원래 고구마는 일본어 지역방언이었습니다. 임진왜란때 고구마가 전래되고 이후 일본에서는 사어가 되었습니다. 일본어였던 고구마(孝子芋)는 현재 일본인들은 못 알아듣습니다.
빵은 포르투갈 임진왜란이후 일부서구문물이 일본을경유 한반도로 넘어온케이중하나죠 그외 단어보면 놀랍니다 은행.대통령.할인 .기차.비행기 기타등등 일본에서 문자로표현하다보니 한문으로표기 그한문발음우리식음으로 들여온경우많죠 은행 킨코 대통령 따이토리 할인 와리비키 비행기 히코우키 기차 기챠등등
이런콘텐츠 앞으로 계속해서 쭉 밀어주세요.
한글을 쉽고 재미있게접근하는 계기가 됩니다.
ㅎㅎ전혀 예상치 못한 뜻밖의 결과네요.
재미있습니다.^^
그쵸!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그짓말 멜론빵 줄임말이 멜빵인데 멜론은 영어고 빵은 스페인언데
ㅋㅋㅋㅋ😂@@ykk-b7v
딤섬와플님,진짜 메론빵처럼 먹히고 싶음?
구두는 논란이 좀 있는 게 한국에서는 일본의 쿠츠에서 유래했다고 하고 일본은 한국의 구두에서 유래했다고 함. 문제는 이 두나라 말고는 저 비슷한 단어가 쓰인적도 없어서 간접적인 추측도 안된다는 거임.
일본:야 니네가 먼저 시작했잖아
한국:뭔소리 니가 먼저 하던거 따라한건데?
많이 배웁니다. 멜빵은 어릴때 엄마가 쓰던말. 맞혔네요
지금도 쓰는데
도대체 요즘 애들은 언어공부가 어떻게 된거냐
빵은 pao말고 pão로 쓰셔야 맞습니다.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되었죠.
일본어 쿠츠. 도. 네덜란드어에서 왔다고 들었어요. 구두와 가방. 모두 네덜란드어=>일본어=>한국어.
빵은. 포르투갈어=>일본어=>한국어
눈웃음이 너무 예쁘네요.
한국어에서 구두, 일본어에서 구두를 뜻하는 구쯔 둘다 서로나라가 어원이라고 하던디요 ㅋㅋㅋ
찍어서 맞힘,
빵은 팡 이런식으로 해외에서 들어봄
구두, 가방은 뭔가 한자 같은 느낌이 있었고 완제품 느낌의 한단어임
멜빵 콩글리쉬 처럼 우리가 만든 느낌이 있었음
찍은 것 치고는 너무 논리적이신데요👍🏻ㅎㅎ
선생님~너무 예쁘신거 아닌가요 공부에 집중이 안됩니다
병진아 ㅈㄹ을 해라
선생님. 진짜 누가봐도 국어 선생님 같아요ㅎㅎㅎ
너무 단아하면서 예뻐요❤❤
어머 이런 과찬 너무 좋네요!ㅎㅎ 감사합니다♡♡
넘 유익하고 이쁘셔요
염불보다 젯밥에 눈둑있구만 공부혀 슨상님보덜말고
어디선가 들어도 까먹고 있던걸 끄집어 내시네 ㅋㅋ
네개중 세개가 외래어인 것은 확실히 알고 있는데
멜빵이 고유어라니 정말 놀랄 노짜로 새롭게 알게 되었네요
요새 계속 보다보니 나의 국어실력이 느는 거 같은데 계속 맞춰 문법은 규칙 이기에 원리만 알면 유추해서 열을 알 수 있는기야 훌륭한 국어슨상님 밑에 총명한 제자일세 ㅋㅋ
멘다는 의미아니겠어 근데 빵은 뭐여? 한글 참 예쁘기도 하고 훌륭한 글자인 거 같아 ㅋㅋ
멜빵은 메는 거니까 하고 맞췄네요
멜빵 당연히 일본에서 온 줄 알았는데... 충격 크게 먹고 가네 ㅋㅋㅋㅋㅋㅋㅋㅋ
설명도 아름답 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니 가장 우리말같지 않은 멜빵이 정답이라고 생각됐습니다.
쇼츠 처음 보자마자 구독합니다~
Pao,파오가 아니고 Pão로 쓰고 빵으로 발음합니다. 처음에 포어 배울 때 깜짝 놀랐어요. 발음이 똑같아서.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포르투갈어가 몇몇 있죠. 덴뿌라, 카스테라도 그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빵은 더 거슬러 올라가면 라틴어 panis에서 기원합니다.
그에 영향을 받은 로망스어족에 속하는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등에서 비슷한 발음으로 나타납니다.
솔직히 어원이 어디에서 유래가 되었던 우리나라에 그 물건을 지칭할 단어가 없었기에 유래가 된것인데 그렇다고 저 단어들을 그 유래된 국가 사람들도 못알아들음. 결국 유래가 되었다쳐도 저건 우리나라 고유 단어로 보는게 맞다고 봄...특히나 일본에서 유래한 단어라고 해서 그걸 새로 단어를 만드는것도 웃긴일이라고 봄....
뭔소리노? 우리나라 말이 있는데 일제시대때 일본이 한글을 없애려고 일본말을 강제로 쓰게해서 쓰이게된말은 바꾸는게 맞지 안그래? 그렇게 생각안해? 뭐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일본사람이지 너는?
@@박성우-KO 그럼 저 말들을 순우리말로 뭐라 해야 하죠?? 우리나라에 없는 말이라 형편에 맞게 쓴건데 뭔 애국타령을. 일베어나 쓰는 인간이 애국 타령하니 웃기네요.
그런 단어를 외래어라고 하고 외래어도 한국말에 속해요.
구두의 어원이 외국이 아니라고 한다면 가장 유력한게 무두질에서 유래한게 아닐까싶다
멜빵만 아닌줄 알았는데 멜빵만 순우리말이라니😂
일본에서는 반대로 한국어 구두에서 나온말이 靴(くつ=쿠츠)라는설이 있더라구요
말이 되냐 개화 시기 자체가 백년단위 차이나는데
@hrprer 靴の語源は、「ケルタル (蹴足)」の転や、足を納めるさまを表す擬態語「クツ」など諸説あるが、朝鮮から日本に多くの文物が持ち込まれたことから、朝鮮語の「kuit (グドゥ)」説が有力である。世界で最も古い履物は古代エジプトのサンダルで、西洋靴のルーツとなっている。
일본의 유래 사전에서 설명하듯
고선어 구두에서 유래했다설이 유력하다
라고 써있는걸 읽고서 이야기 한건데
님은 어떤 근거로 말이 되냐 어쩌냐를 말하나요?
‘쿠츠’ 우리말 “갗” (갗신) 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 설이 있습니다. 갗-가츠-쿠츠
일본 어원 사전에 그렇게 돼있음
@@sangyoonkim1547 옛날에 사극에서 갗바치 갗바치 하던 게 신발 만드는 사람 얘기였던 건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재밌어서 구독요.😊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장 아닌거 같은거! 맞췄다ㅋㅋ 근데 사실 빵 구두은 알았고 가방은 몰랐넹
빵 구두 가방이 고유어가 아닌줄은 알았지만 멜빵이 고유어인건 정말 놀랬네요.
와.. 전혀 생각 못한 답이네..배우고 갑니다 ❤❤❤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한국사람 이지만 맞춤법 띄어쓰기 매일 매일 공부 해야 할 만큼 여워요요 ~
멜빵 맞추기 했는데 가방이 제일 충격적이네
한자어인줄 알았는데
멜빵은 중세 아라비아 상인이 사용하던 가죽끈 마빡에서 유래된 말일수도있을수도있다고볼수있지않지않을지도
구두도 일본어인데..일본어 쓰지 말라면서 국어학자들은 대체 명사를 만들어 내질 않네
3개는 확실하고 멜빵이 우리말인줄 처음 알았다.
이게 좀 애매한게 일본에서는 쿠츠의 어원으로 한국어 구두라고 하고 있음
불분명한 답
소거법으로 맞혔어요
웃긴건 일본어 사전에 쿠츠는 한국어 구두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되어 있음 ㅋㅎ
전혀 모르겠지만 멜빵만 유일하게 빵빵하게 멘다는 느낌이 있어서 순우리말 같았다
구두는 어원이 한국어입니다
신고 다니는것을 통칭해서
구두라했으며
돈을 안쓰는 사람을 구두쇠라고 하지요
신발이 닳지 않게 얇은 놋쇠를 신발 바닥에
덧대 걸음걸이가 우숩게 되었는데도
돈아낀다는 일념아래 체면 없이 다닌걸
조롱한 "구두쇠"
또한 구두 약속이란말이
서류는 작성하지 않았지만 발품팔아 실무적으로는 합의를 봤다는 뜻에서
나온거라합니다
진짜냐구요?
네 진짜 거짓말입니다
교육이 장난인줄 아십니까?
님 댓글을 보고 믿을 수 있는 순수한 아이들이 영상을 시청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제발 허위 사실 유포 하지 마세요
역시. 우리나라 작명은 진짜 우리스러워 ! ㅎ. 멜빵. 진짜 알아먹기 쉽고, 너무도 감성적이고 직관적 이야
ㅋ 개구장이. ㅎㅎㅎ
와 우리말 어렵네요 ㅠ 제일 아닌게 맞는거라니 다시한번 배웁니다!
파오(Pao)가 아니라 빵(Pão)
Pão(포르투갈) → パン(일본) → 빵(일제시대)
Kabas(네덜란드) → かばん(鞄)(일본) → 가방(일제시대)
나도 감(찍기)로 맞췄다😅
일본어 구츠는 한국어 구두에서 유래했다고 하든디요?
구두는 한 일 양국 모두
상대국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 이상한 단어.
가방 빵은 알고있었고 멜빵은 몰랐는데 구두는 양측에서 서로 나라에서 왔다고 했어서 설마 구두가 맞나 싶었는데 틀렸네
일본어랑 우리말이랑 발음이 비슷한 빵, 구두, 가방 빼면 멜빵 😊
오호 이 문제도
맞췄어요ㅎㅎ❤
맞혓다 빵은 아닌거 알고잇엇고 구두랑 가방은 딱봐도 페이크 추리 지렷죠? 음하하
와우 네 지리셨습니다👍👍👍✨️
빵은 포루투칼 보다 프랑스어가 가깝지 않을까요? 포루투칼은 빠오로 읽지만 프랑스어로는 뻥로 읽고 18세기 프랑스 선교사들이 조선에 들어와 빵을 만들어 먹었다눈 기록이 있는걸 보면~
요즘은 멜빵이란 단어를 전혀쓸일이 없으니 젊은친구들은 생소하겠네요
70년이전 세데들은 멜빵이란 단어를 평소생활속에서
자주쓰는 용어라 다알지만
요즘은워낙 외래어가 많이들어와
순한국말이 사라져가는 추세
슬프네요
잘써요 멜빵바지
일본어 배웠는데 멜빵 빼고 나머지는 발음이 다 비슷해서 멜빵으로 찍어서 맞았습니다~~
가방이나 빵은 일본어 발음도 우리와 비슷, 일본에서 가타카나로 쓰면 고유명사라 여기면 맞다 그래서 김치를 자기네 것이라해도 일본에서 김치(.キムチ.)라고 쓰고 말하니 자기네 것이 아닌란 얘기다
갈비(ガルビ)도 마찬가지
담그다를 의미하는 파오(泡)와 야채반찬을 의미하는 차이(菜)가 결합한 음식이 있는데 김치를 자기네 것이라 하든 말든 민감할 필요없다
우리가 커피를 커피라 하는 거와 같다 에디오피아, 멕시코, 브라질,칠레, 태국 등 커피 생산이 많은 국가가 서로 커피라는 음식이 자기네 깃이라 하지 않는다 햄버그나 돈가스 가스렌지 등 외래어도 굳이 한국어로 바꿀 필요 없다 콜라나 사이다는 음료 이름인데 비슷한 음료는 모두 콜라 ,사이다라고 말한다
그러니까 오뎅을 반드시 어묵꼬치라 않해도 된다
잘 찍었다 ㅋㅋ
멜빵이 원래 우리나라에 있었던 복식이 아닌데 어떻게 순우리말 일까요
일본에선 구츠가 한국어에서 기원한 외래어라고 가르친다죠.
보조개 미소 보느라 잘 못들었습니다
문제가 뭐였죠?
멜빵은 메다의 어간 메-와 관형사형 어미 ㄹ이 합쳐진 멜과, pao에서 유래된 빵이 합쳐진 말인가요?
가방은 네덜란드에서 일본으로 들어간 외래어가 일제강점기 때 우리나라로 들어 온 말이니까..이것도 일본어의 잔재지
멜빵 오랜만에 들어보네요. 요즘도 쓰나.
포르투갈어 pão는 파오가 아니라 빵이라고 읽습니다
빵은 pão라고 쓰고 /ˈpɐ̃w̃/ 라고 발음합니다 굳이 한글로 쓰자면 [퍼응]이 가깝습니다
딴 건 모르겠고 멜빵이 순우리말인 것만 알고 있었음ㅋㅋㅋㅋ
멜빵이라고요?😂
감사합니다.
맞췄다!!
가방이 순우리말일줄알았는데 멜빵이
순우리말이었다니 반전 ㅋㅋ
그쵸~ 상상도 못한 정체!😁
대통령이 갈 "깜빵"은요?
@@바쁘다바뻐-y7r 말같은 소릴혀라 감방 --> 경음화에 의해서 깜빵 그럼 감은 뭐냐 가두다 방은 그냥 방 고로 가둬놓는 방 어때? 이해하셨습니까? ㅋㅋㅋ
난 프랑스어로 생각했는데 화란어라니 그게 좀 놀랍네 ㅋㅋ
@@바쁘다바뻐-y7r지랄하다.
일본어 靴(くつ)는 신발을 뜻합니다.
반면 한국어 구두는 알다시피 신발의 한 종류, 서양식 신발이죠.
일본은 한국의 삼국지대가 한창일 무렵까지 신발의 개념이 없었습니다. 중국에서 각국의 사신들을 기록한 그림집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발을 뜻하는 보통 명사 くつ는 한국에서 건너갔고, 이후 한국에서는 사어가 됩니다. 훗날 일제강점기 무렵, 일본이 서양식 신발을 신고와서는 그것이 쿠츠라고 합니다. 아 저게 쿠츠구나 하다가 발음이 변형된게 아닐까 하고 상상해볼 수 있죠.
고구마가 바로 이러한 예인데요.원래 고구마는 일본어 지역방언이었습니다. 임진왜란때 고구마가 전래되고 이후 일본에서는 사어가 되었습니다. 일본어였던 고구마(孝子芋)는 현재 일본인들은 못 알아듣습니다.
2차 충격 받으러 왔습니다 ㅋㅋㅋ
멜은 알겠는데 빵은 어디서온건지 유추가 안되네요
유익한 지식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쌍비읍을 ㅃ로 쓰시는게 바른표기인데 많은분들이 붙여쓰시더라구요. 익숙하가도하구요. 그래도 국어강의에서는 바른표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단어 멜빵 너무 귀엽네
수능 언어 영역 문제에 출제되면 그냥 킬러 문항 되겠네. ㅋ
가방도 일본에서 왔는데 순일본어가 아녔군. 우동은 일본에서 옴.
맞혔다!
멜빵은 아닐거야.. 이랬는데 ㅎㅎ
찍어서 맞춤 ㅎㅎ😂
맞혔다.😊
멜삥은 메다를 연상하면 쉽게 고를 수 있습니다.
멜빵이 고유어인 지는 몰랐지만?
나머지 단어가 전부 고유어가 아닌 건 알아서
당연히 정답은 멜빵..;;
글씨체 예쁘다.
저거다일본에서왔어요~~근데 일본도 다른나라에서옴ㅋ
노노 일본어 靴는 한국어 구두에서 유래된 말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한국어 '구두'라는 말이 먼저 있었다면 그 물건이 있어야 하는데 한국에서 구두가 언제부터 있었는지? 조선시대? 개화기? 아님 저 멀리 고려시대? 머리는 생각하라고 달려있는 거다.
설이 있다고 했지
구두가 우리말이라고 한적은 없는데요?
왜 발작을...?
'빵'은 스페인어 'pan'이 일본을 거쳐서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에 들어 왔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요?
빵은 포르투갈 임진왜란이후 일부서구문물이 일본을경유 한반도로 넘어온케이중하나죠 그외 단어보면 놀랍니다 은행.대통령.할인 .기차.비행기 기타등등 일본에서 문자로표현하다보니 한문으로표기 그한문발음우리식음으로 들여온경우많죠 은행 킨코 대통령 따이토리 할인 와리비키 비행기 히코우키 기차 기챠등등
중학교 교과서에 나왔어요,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낱말이라고
저 맞쳤어요!!🎉
맞'혔'어요
바로 맞췄음
제일 외래어 같은 게 우리말이라니!
충격
선생님 질문입니다...순우리말 멜빵은 빼고 나버지 빵.구두.가방은 이제까지 쓰던말인데...우리말이 아니라고해서 버릴수는없잔아요..쓰는데는 상관없는것이지요..?(요즘 새롭게알고 알려주신 문장하나하나에 뜻과풀이에 새로움을더하네요..고맙습니다..) ^^
일본음 도이치에서 독일이란 발음이 되었다는 것이 가장 맘에 안듭니다.
도이칠란드라고 표기해야 할 것 같아요
제일 아닌거 같은거 찍었더니 맞네 ㅋㅋㅋ
대체 한국어도 같이 알려 주세용❤
맞췄다~~ 1개국어만 판 보람이 있군ㅠ
이었지만 맞혔다네...갈길이 멀군..
멜빵 뜻도 알려줘야죠. 메다의 멜인가요?
멜빵바지 라고 쓸 때 맬 인지 멜 인지 , 캐나다 인지 케나다 인지,,, ㅠ 항상 헛갈려요😂
대박 처음 알았어
맞혔네요😂
요즘 칠판에 놀라워함 패드를 크게 만들었네 분필이 터치펜??
네~~ 전자칠판이에요! 저도 학창시절에 창문에서 지우개 털면서 분필가루 다 마시고 그랬는데~ 정말 격세지감이죠!ㅎㅎ
어디꺼에요?
몰랐지만 멜빵이 답 같아 보이던데 나만 그럼?
신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