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입시에서 중앙대, 건국대가 뜨는 이유? (바쁘신 분들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83

  • @bluewind8378
    @bluewind8378 27 дней назад +24

    중앙대는 7호선 생기기 전(지하철 없던 시절)에도 입결은 높았음.

  • @제로백-t7s
    @제로백-t7s 2 месяца назад +55

    상당히 현실적으로 평가한 것 같아서 잘 들었습니다. 과거처럼 도식화된 서열이 아니라서 좋았습니다.

  • @buminbro
    @buminbro 2 месяца назад +116

    건대가 학교 인프라가 너무 좋음 개크고 평지인게 너무 장점인듯

    • @run_minseo
      @run_minseo Месяц назад +2

      ㄹㅇ

    • @user-tamsasun
      @user-tamsasun Месяц назад

      큰게 장점이자 단점임 ㅠㅠ

    • @심혜경-c7m
      @심혜경-c7m Месяц назад +1

      자본주믜사회가 부동산으로 학교순위가 결징되다니 아이러니 하네요

    • @jabcdjaa5595
      @jabcdjaa5595 16 дней назад

      건대 놀기 좋지

  • @joohee3506
    @joohee3506 14 дней назад +10

    중대는 원래 높았고, 건대는 예전 삼국대라고 기피했던 대학 이미지에서 달라진 것 같긴 하네요. 외대가 많이 떨어진것은 아쉽네요.

  • @youngsamkim2892
    @youngsamkim2892 2 месяца назад +65

    건대 정도만 가도 정말 좋은 학교지..나머지는 학생들의 몫

  • @missionlibrary3318
    @missionlibrary3318 17 дней назад +5

    분석 잘하셨네요. 요즘 교통 입지 무시 못하죠

  • @HJ-vs1kq
    @HJ-vs1kq 3 месяца назад +55

    학교 부지가 작으면 공대를 키울수가없음. 연구시설 대학원시설없이 강의만해야됨, 방사광가속기같은시설있으면 연구인력과 우수학생이 포항까지도 감

    • @토니토니영어
      @토니토니영어  3 месяца назад +15

      맞는 말씀입니다. 포스텍이 카이스트와 함께 세계적인 대학이 될 수 있었던 이유입니다

    • @user-qx-p5v
      @user-qx-p5v 2 месяца назад +4

      @@HJ-vs1kq 서강대 말씀 하시는 건가요? 저도 님말씀에 동의합니다. 앞으로는 서울 연 고 성 카 포 한 이대학들이 미래의 주축이 될 것같습니다

    • @Zys-d8x
      @Zys-d8x 2 месяца назад +5

      ​​@@user-qx-p5v성을 너무 올렸네.. 성대생이여?..80~90년대 비하면 수원성대공대 캠은 장족의 발전힌ㅁ

    • @소통-m5b
      @소통-m5b 2 месяца назад +1

      ​@@user-qx-p5v서카포연고... 나머진 별 차이 없어요. ㅎㅎㅎ

    • @소통-m5b
      @소통-m5b 2 месяца назад +8

      ​@@Zys-d8x삼성 인수 전 성대 이공계는 건동 수준..

  • @헐흠
    @헐흠 2 месяца назад +7

    부동산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 @장써니티
    @장써니티 Месяц назад +13

    나 대학갈때만해도 sky 갈거 아니면 부산대 가는 분위기였는데.. 많이 바뀌였네요

  • @카보다로카
    @카보다로카 2 месяца назад +158

    요즘 건대 중대 입결 높아진건 사실이에요~
    모르는 사람들이 옛날 얘기 하죠~

  • @ddiujgkkh
    @ddiujgkkh 2 месяца назад +46

    확실히 요즘 중대가 높아진게 팩트긴해

  • @S스티브-q7j
    @S스티브-q7j 2 месяца назад +34

    중대가면 분위기가 너무 좋음.

  • @user-el7vo4gb3t
    @user-el7vo4gb3t 3 месяца назад +131

    건국대 는 교통 편리외에 강남아이들이 놀기도 좋고, 재단도 부유하고, 이원화캠 도 잘될겁니다!

    • @김병규-e8x
      @김병규-e8x 3 месяца назад +13

      강남사는데 건국대 글로컬 다니고 있습니다

    • @joker_1st.
      @joker_1st. 3 месяца назад

      ​@@장마-k2fㅋㅋㅋ~

    • @뫼물
      @뫼물 2 месяца назад +17

      건대와 건대글로커대는 서로 다른대학입니다.

    • @user-el7vo4gb3t
      @user-el7vo4gb3t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뫼물 성대,경희대,중대,외대,처럼 이원화캠으로 될수밖에 없고,될겁니다 서울,글로컬 캠퍼스 과 가 다릅니다

    • @언더테이커-u6h
      @언더테이커-u6h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이원화 분교가 먼 의미 에리카보다 낮은대들이 ㅋㅋ

  • @IlIIllIlI
    @IlIIllIlI 24 дня назад +5

    입결을 통한 학교 수준 비교는 100%컷이 아닌 70%컷으로 해야 합니다.

  • @UKD-v5u
    @UKD-v5u 6 дней назад +5

    최근에 제2수도권순환고속도로 파주IC가 건대파주캠56만평앞에 신설됨(법원 IC)

    • @UKD-v5u
      @UKD-v5u 6 дней назад +1

      건대파주캠56만평은 현재 KU골프장으로 활용중
      ㅡ서울대관악캠도 전에는 관악골프장이었슴

  • @미국찬양
    @미국찬양 2 месяца назад +42

    건국도 대입 논술 시험지 보면 건대의 수준이 보였음. 다른학교에 비해 문제 수준이 높았음.
    15~20년전부터 ~

  • @planc8412
    @planc8412 Месяц назад +18

    중대가 리뉴얼이 다소 늦어 십여 년에 걸쳐 산뜻한 건물들이 차츰 들어서면서 언덕배기 캠퍼스의 오명을 벗고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자아내 여타 상위 학교들보다 부지는 좁지만 아늑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고(물론 이대 건대 등 캠퍼스 아름다운 곳들 물론 있음) , 전국 고교학생들을 대상으로 꾸준히 캠퍼스 투어 프로그램을 해오는 게 큰 듯요. 이대는 사시 없어지고 로스쿨 생기면서 문과의 위상이 급락했죠. 합격자 많을 땐 한양대 언저리까지 갔었죠.

  • @choice7524
    @choice7524 3 месяца назад +58

    입시를 최근에 치루어 본 결과 의대가 있고 학교 규모가 있는 학교를 좋아합니다. 그리고 취업률때문에 물리, 수학과가 속한 자연대보다는 공대를 선호하다보니, 서강대 자연대보다는 중앙대 공대를 선택하는 경우가 더러(선호도에 따라)있어요. 이번에 인공지능대학원 정부지원 선정에서 서강대가 떨어지고 중앙대가 된 경우도 보면 시대흐름을 공격적으로 했다고 볼수 있어요. 이대는 입시전에는 많이 떨어졌다고 하나, 결국 이대, 시립대 붙으면 부모님 입김때문에 이대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요.

    • @토니토니영어
      @토니토니영어  3 месяца назад +7

      정확히 구체적으로 알고 계시네요. 상위권으로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성향이 조금 더 보수적이고 현실적인 것 같아요.

    • @sangkwonhyun9254
      @sangkwonhyun9254 Месяц назад +2

      집사람이 이대출신 60대인데 외동딸이 입시때 이대를 안가려고 하는걸 보고 놀랐었죠. 결국 이대진학했고 지금 미국에서 박사과정중인데 주변의 인식은 아직 좋습니다. ㅎ ㅎ

  • @Cbh4596w8e
    @Cbh4596w8e 2 месяца назад +91

    중대가 더 뜰것 같다

  • @성윤사랑-b5z
    @성윤사랑-b5z 2 месяца назад +22

    최근 트렌드를 보니 이해가 되기도 하네요, 교통이 중요해 진 것도요

  • @user-uu4ko7gh1c
    @user-uu4ko7gh1c 3 месяца назад +14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영어뿐만 아니라 입시와 취업까지 박학다식하시군요 제자들이 든든하게 의지할 수 있는 좋은 선생님이시네요~

    • @토니토니영어
      @토니토니영어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재미있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지할 수 있는 강사가 되려고 노력은 해왔는데 지나고 보니 잘 모르겠습니다

  • @Cherry-h7b
    @Cherry-h7b 2 месяца назад +13

    가천대가 왜 이리 뜨나 했더니...경원대 이미지보다 훨씬 이미지 좋음.

  • @qbqb
    @qbqb 2 дня назад +1

    경희대는 용인인데도 사실상 삼성전자 본진인 수원 영통구 역세권에 교통이 훌륭하죠.. 청량리에 gtx들 뚫리면 시립대 경희대도 더 좋아질 수도?

  • @언더테이커-u6h
    @언더테이커-u6h 2 месяца назад +110

    건대는 학생들이 선호

    • @Zys-d8x
      @Zys-d8x 2 месяца назад +9

      그성적대가 가는거임

    • @user-tamsasun
      @user-tamsasun Месяц назад +3

      ​@@Zys-d8x어떤성적?
      넌 대학은 다니냐?

    • @Zys-d8x
      @Zys-d8x Месяц назад +2

      ​​@@user-tamsasun마 우리 얘가 다닌다... 말 좋게 해야지.. 알겠니 그래야 건대라도 가지 ㅎㅎ

    • @심혜경-c7m
      @심혜경-c7m Месяц назад +8

      건대는 공부보다 놀아보겟다는 생각으로 어중간한 학생들미 가는데죠

    • @이성민-z2h
      @이성민-z2h Месяц назад +1

      @@심혜경-c7m 매우 모자란 발언.. 어쨋건 놀고싶은거 참으면서 공부 해야할때는 열심히 해야 들어가는 대학인데
      그러한 경험 가지고 있는애들이 대학 들어간다고 공부 해야할때 갑자기 미친것 마냥 안한다는게 무슨?

  • @빨강머리제니
    @빨강머리제니 2 месяца назад +22

    중앙대 본캠뿐 아니라 예술대가 있는 다빈치 캠퍼스에도 강남 아이들 비중이 높다고 하더라구요. 강남에서 학교셔틀이 1시간 남짓이면 무료로 운행해 주고 앞으로 본캠 위치와 주변도 더 괜찮아질듯합니다.

    • @이름이뭐예요-z9e
      @이름이뭐예요-z9e 13 дней назад

      안성캠 연영과 음대 이런과 가는거지 일반학과는 그냥 간판보고 가는거예요 ㅋㅋ 고려대 세종, 홍익대 세종 이런 느낌임

  • @elec5185
    @elec5185 2 месяца назад +6

    대학 입학하는것도 중요한데 결국 아웃풋이 중요함

  • @이주황-l1f
    @이주황-l1f 2 месяца назад +50

    중대 건대 좋아지긴함

  • @영준-c7y
    @영준-c7y 3 месяца назад +59

    친구 중앙대 다니는데 재밌어 보임

  • @정수경-d3c
    @정수경-d3c 2 месяца назад +3

    격세지감이지요. 정말.

  • @박수연-i2h
    @박수연-i2h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너무나 잘 들었습니다 인문학 강의같은 입시설명 쏙 빠져들었습니다

  • @마이돌-s7m
    @마이돌-s7m 3 месяца назад +34

    중앙대는 후문으로보면 7호선 상도역에서 도보400미터거리에 있긴합니다..실제 9호선 흑석역하고 비교해서 대학진입거리로 보면 두역이 큰 차이는 아닐겁니다. 단과대에 따라 7호선이냐 9호선이냐 차이일뿐. 지금은 삭제했지만 상도(중대앞)역이라고 역표시했었음..걸어가려면 언덕이어서 그렇지.. 부지도 중요하지만 건물연면적도 중요하다봄..부지에 비해 건물연면적이 별로인 대학도 꽤 있음..건대가 일감호나 부속고빼고 건대내 순수 건물만 보면 중앙 경희를 넘지 못하는 이유

    • @Cherry-h7b
      @Cherry-h7b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건대 대 순수 건물로는 중앙 경희를 못넘는다고? 성적은 못넘는 거 인정. 근데 건물은 신식.

    • @DavidYun-vx4de
      @DavidYun-vx4de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건물크기는 의미가... 공대를 육성해야 위상이 오릅니다. 건대재단도 이런 측면을 고려해야 합니다.

  • @김훈표-t4q
    @김훈표-t4q 7 дней назад +1

    60 이 다됐고 80년 중반 학번인데
    학벌로 메리트를 느낄 수 있는거는
    서울대 연고대 정도고
    그밑 대학 출신은 거의 비슷한 선에서
    경쟁이고 자기하기 나름~~
    80년대는 대충 순위가
    서울- 연고-서이-성-한중경-시외-건동숙단-국홍숭
    지금과 대동 소이함.

  • @이윤석-l2i
    @이윤석-l2i Месяц назад +9

    부동산 분석 딱 맞네요 ㅋ 전 96학번인데
    예전 건대는 농대라고 낮게봤는데 건대입구 먹자골목 CGV 활성화되면서 떴지요 지금도 건대는 왠지 우유만 생각남
    이대, 서강대 추락은 안타깝습니다
    서강대가 연고대 다음이였는데
    국민대도 이효리있고 자동차학과 쌍용차 대단했는데 추락
    시립대는 산업대인줄알았고 광운 세종 같은 그룹으로 봤져
    홍대 동대 건대였는데
    반대가 되었네
    홍대 컴공과 건축과 상당히 높았고 운동장이 작아서 건대에 밀려난듯 ㅜㅜ
    동대는 국문과 법학과 경찰행정 연극영화과 대단한데 동대는 남산에 있어서 건대처럼 건물 짓고 발전하는데 한계가 있어 아쉬움

  • @ttake1976
    @ttake1976 Месяц назад +15

    대학교 순위가 연구실적이 아닌 부동산으로 구분되는 골때리는 설명을 보고 있네

  • @미라클디자이너
    @미라클디자이너 3 месяца назад +13

    와 선생님 영어만 잘 가르키시는게 아니라 학교 정보도 빠삭 하시네요 ㅎㄷㄷ

  • @정통-y6r
    @정통-y6r 2 месяца назад +17

    수능이 생긴 이후 가장 뜬 학교는 성대 수원이랑 경희대 수원, 서울산업대임..

    • @Zys-d8x
      @Zys-d8x 18 дней назад +2

      현 과기대

  • @user-ti3cc8jk5w
    @user-ti3cc8jk5w 19 часов назад

    난 중대나왔지만...우리학교 컴플렉스는 다니면서도 졸업해서도 내내 연고대 못간거(?)ㅋㅋㅋ그냥 어디고뭐고 필요없고 어차피 공부해서 대학갈거면 서..울대...는 넘사...지만 어쨌든 연고대갈 수있음 가세요! 평생 후회해요ㅠㅠㅋㅋㅋ

  • @latte0109
    @latte0109 2 месяца назад +6

    큰아이 성대공대 통학중인데
    둘째 중대공대 다니는데
    학교 가는 시간은 둘이 비슷해요.
    성대 사당에서 20분 걸려서 생각보다 다니가 좋음.

  • @1tera695
    @1tera695 3 месяца назад +56

    서성한중 에서 의대가 없는 학교는
    서강대...

    • @user-qx-p5v
      @user-qx-p5v 2 месяца назад +13

      @@1tera695 성한서중..... 앞으로는 성한중서로 가는 추세가 아닐까 예상해봅니다

    • @gjkim3161
      @gjkim3161 26 дней назад

      성대는 의대 약대, 한양대도 의대 약대 중대도 의대 약대 서강대는 의치한약수 모두 없음…

    • @곰두리
      @곰두리 25 дней назад +5

      ​@@user-qx-p5v성한중서 이러네ㅋㅋㅋㅋ
      여전히 문과는 서성한
      이과는 한성서임ㅋㅋㅋㅋ
      중대는 껴주지도 못하지

    • @user-qx-p5v
      @user-qx-p5v 25 дней назад +4

      @@곰두리 그건 니생각이고 종로학원, 대성학원, 메가스터디 전부 2024년 2025년입결 성대우위로 분석했음. 근거를 대야지 ㅋㅋㅋ
      의약계열 제외 메인학과 기준

    • @곰두리
      @곰두리 25 дней назад

      @@user-qx-p5v 성대생임? 서강대에 왜이렇게 열등감을 느끼지ㅋㅋ

  • @제흘리
    @제흘리 2 месяца назад +84

    건대 떡상한거 팩트인데 부정하는 건 외대생들밖에 없음 😂 건대가 떡상한 건 맞는데 어문이 약세인 만큼 외대가 자연스레 내려간것도 사회적흐름인데 받아들이질 못함. 언제까지 아웃풋타령할런지 현 아웃풋은 건대가 훨씬 좋은데. 근데 웃긴건 시립대는 확실히 건대보다 높아서 현재 흐름은 시건외가 맞음 외대가 너무떨어짐

    • @김신일-j7i
      @김신일-j7i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ㄹㅇ 어문계열 이제 노 쓸모시대라서 외대가 떨어지는게 당연함 자동번역 되는 시대인데 무슨 어문계열이야

    • @qowkdnx4963
      @qowkdnx4963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어떤 아웃풋이 밀린다는건지 이해가 안되네 외무고시 5급 cpa 전문직 다 밀리는 건대가 입결도 제대로 못따놓고 외동홍 ㅇㅈㄹ하고 있는게 존나 웃김 일단 나부터 건대경영 버리고 외대 중국어 왔는데 넷상이랑 실제 입시는 많이 다름 나 상담받았을때 애들도 마지노선이 중경외시지 건동홍까지 가지도 않음ㅋㅋ

    • @s블루레빗
      @s블루레빗 Месяц назад +5

      맞아요 중경외시예요
      외무고시 합격율도 외대는 서울대와 맞먹음.. 수능 정시 배치표도 봄 문과기준 외대가 건대보다 많이 높음요

    • @39zjuhnj17
      @39zjuhnj17 28 дней назад +1

      ​@@s블루레빗외무고시 1년에 몇명 합격하는데요? ㅋㅋ

    • @장고흐-s9g
      @장고흐-s9g 27 дней назад

      동국대학교가 더 높죠.

  • @소통-m5b
    @소통-m5b 2 месяца назад +25

    성대 수원이 뜬 것은 99% 삼성 때문. 수원 촌에 가기 싫어 성대 대신 삼국대 선택하기도 했는데.

    • @dasfk4c689
      @dasfk4c689 19 дней назад +2

      성대나 경희대는 수원에 있어서 정말 한참 아래였다가 지금은 위상이 완전히 달라졌죠.

  • @bookerbooker
    @bookerbooker 2 месяца назад +34

    건대는 입지, 재단재력이 깡패임.
    서울 출신들 학교다니기 ㅈㄹ편함.
    지금도 좋지만 5년후 10년후는 더 좋아질듯~

  • @체리와포도-k2h
    @체리와포도-k2h 3 месяца назад +16

    모집인원을 무시할 수 없죠. 서강대나 시립대는 모집인원이 작은걸로 알아요...

  • @Zys-d8x
    @Zys-d8x 2 месяца назад +13

    2호선 라인에 많고... 중대도 인서울 강남에 멀지않음

    • @박빠라라
      @박빠라라 2 месяца назад

      강남에 가까운게 뭐가좋은거에요?

  • @김병규-e8x
    @김병규-e8x 3 месяца назад +7

    선샌님 대학에 대해서 잘 아시네요 ㅋㅋ 잘보고 갑니다^^

  • @iracham8029
    @iracham8029 3 месяца назад +7

    생각해볼 주제맞지요
    다음방송 기대됩니다

  • @lmw-p3v
    @lmw-p3v 6 дней назад

    난 80년대초 학번 학번임
    40년 전에도 중대는 높았음
    경, 시와 비슷하거나 살짝 높았음
    건대는 삼국대 얘기를 하는데 동대와 나란히 높았음.
    그냥 놀리느냐 삼국대 얘기하는것임
    그때는 대학이 많지 않았음
    스카이 떨어지면 후기로 성, 한양, 외대 들어갔음

  • @김훈표-t4q
    @김훈표-t4q 7 дней назад

    40년 전이나 지금이나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는건 아들이 이번에 댁학을
    들어가는데 학교 순위가 비슷한거에
    약간은 놀랐음.
    세월이 40년이 흘렀는데 순위에 변화가
    거의 없음. 내가 나온 댁학도 지금과
    비슷하다는거야~
    인서울 거의 모든 대학이 ~~

  • @dugwons40
    @dugwons40 7 дней назад +1

    중앙대 출신입니다. 내가 다니던 시절, 그 중앙대 시절 보다, 현 중앙대가 아래로 내려간 편입니다. 안타깝네요. 세상이 마니 변했나~? 미국에서,

  • @silvingjang1088
    @silvingjang1088 2 месяца назад +36

    건대 위치가 황금지역이고 수험생 선호도도 좋아 입결이 많이 올라온건 사실. 경희대가 서울과 용인으로 이원화되어 있어 장기적으로 건대에 추월당할 가능성 높음. 건대 재단이 부자라 사심없이 학교 발전에 집중하면 더 치고 올라갈 여력이 있지만 밥통지키기에 골몰하는 느낌. 이대는 많이 내려 왔지만 남녀공학에 대한 피로도가 쌓여가고 있어 희소성과 역사성을 바탕으로 다시 반등할 소지가 큼.

    • @MrScully1213
      @MrScully1213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경희대가 건대한테 추월당할일은 없슴 ㅋㅋㅋㅋ 의치한약 다있고 이원화캠도 성공이고

    • @bard4770
      @bard4770 2 месяца назад +15

      @@MrScully1213 문과 이과 캠퍼스 바꾸지 않는한 언젠가는 역전당할거 같은데요??? 의치한약 논외로 하고 공대가 갈수록 중요해지는 시대인데 비슷한과 둘다 붙으면 서울에 있는 건대갈 듯.

    • @McCoyLee1982
      @McCoyLee1982 2 месяца назад

      경희대 지역적 핸드캡에도 불구, 공대조차도 건대보다 높은건 팩트아닌가? , 물론 겹치는 구간도 있지만 같은 과 비교해보면 몇십년동안 발전하고 있다는 학교, 입시전문가들 빨아주는 건대라면 벌써 앞서야지 ㅋㅋ

    • @Zys-d8x
      @Zys-d8x 2 месяца назад +3

      ​@@McCoyLee1982경희수원공대 서울건대공대 한40%는 겹침

  • @jj-yp4yi
    @jj-yp4yi 3 месяца назад +14

    문과 위주로 규모가 작은 학교.(이공계학과가 적은~)
    의대가 없는 학교(의대교수들이 패널로 코로나뉴스를 전하면서 입시에 관심없는 연령대에도 가천대 홍보가 엄청 됨 ㅎ)
    여대
    교통이 아쉬운 학교

  • @yadcc
    @yadcc 2 месяца назад +38

    중경시건 외동홍 인기요?

    • @s블루레빗
      @s블루레빗 Месяц назад +2

      대입 정시점수 배치표보면 외대가 건대보다 높아요
      문과기준

    • @곰두리
      @곰두리 25 дней назад +10

      문과는 중경외시 건동홍
      이과는 중시건경 동홍숭

    • @IlIIllIlI
      @IlIIllIlI 24 дня назад +6

      ⁠​⁠​⁠@@곰두리
      문과 중시경(설)이건외동경(국)홍
      이과 중시경(설)이경(국)건동홍
      입니다.
      학교로 줄세우면 그렇다는 것이고 동일과로 비교하면 외대가 건대 바로 앞에 오는 것은 맞습니다.

    • @마포주민
      @마포주민 18 дней назад

      이번 25학번 기준으로 문과까지 건대한테 따였던데 ㄷㄷㄷ;;;

  • @ehdnjss
    @ehdnjss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요샌 서강 중앙 같은과면 닥서강이지만 과 차이나면 고민 많이함

    • @gjkim3161
      @gjkim3161 26 дней назад +3

      그건 서강 중앙 뿐만 아니라 어느 학교나 한급간 차이에서는 과냐 간판이냐 많이 고민해요

  • @mocha999-y1r
    @mocha999-y1r 2 месяца назад +34

    이게 왜 알고리즘으로 떳는지 모르겠는데ㅎㅎ 진짜 개인적으로 공감하는게 강남애들이 중대 선호하는거. 중대99학번인데 개인적으로 대학 선택한 기준이 지도 펴놓고 가까운 대학으로 가자였음. 학과는 가고싶은 학과가 있어서 그걸 고정값으로 대학을 결정하는 상태에서 어차피 연고대는 못가고 서성한중경외시에서 젤 가까운 데가 중대였음. 25년전에는 서강대만 우위였고 성균관 한양대 이런데도 중대랑 비슷한 정도라서 고민없었음. 오히려 성균관은 중대보다 살짝 떨어졌는데 지금 성균관이 떡상한거보면 놀라움. 참. 추가로 하고싶은말이 있는데 어차피 서연고미만, 서성한중경외시는 사회나오고 취업시장에선 다 동급입니다. 그러니 간판따지지말고 가고싶은 대학가세요ㅎㅎ 그리고 요즘엔 그 서연고조차 그런곳 철학과보단 중대 이공계가는게 더 낫구요.

    • @Cherry-h7b
      @Cherry-h7b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거 맞아요. 전 99학번. 중대가 제가 입학할 땐 살짝 낮아지고 경희대가 떡상했었어요. 중대가 다시 떡상해서 기뻐요. 전 건대생. 그냥 중대 광고홍보학과 가고 싶었던~ 청룡이 좋은 사람~
      그런데 중대 근처 동네가 쫌 저희때는 을씨년스러웠는데 많이 좋아졌나요? ^^

    • @jackchris8265
      @jackchris8265 2 месяца назад +16

      중앙대가 한양대 와 비슷했다니 어이가 없네요.
      한양대 공대는 고려대와 비슷한 수준이 었습니다.한양대>성균관>중앙대 였어요.지금도 그렇고

    • @yadcc
      @yadcc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아 저도 건대 99학번 ㅎㅎ 참 그땐 수능 몇문제 차이로 ㅋㅋ 다섯문제만 더 맞췄어도 중대 한양대 가는건데 ㅎㅎ 대신 대학원을 한양대로 갔어요~~ ㅎㅎ

    • @iilliilllliiii72378
      @iilliilllliiii72378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jackchris8265 지나가는 중대 졸업생입니다. 한양대 공대는 당시에도 넘사가 맞죠. 성대는 공대가 수원에 있었고 삼성지원 전이라서 문과는 좋았던 반면 공대는 대우가 열심히 밀어주던 아주대에도 밀렸었고요.
      다만 문과기준 그 시절 서강대 제외하고 성대, 한양대, 중대는 큰 차이는 없어서 입결이 걸쳐있었어요. 과마다 컷이 다르니 한양대 인문대 붙은 성적으로 중앙대 신방은 떨어지고 이런 식이니까요.
      저희과에도 성대 자유전공학부인가? 그거 붙었는데 원하는 과 못 갈까봐 저희과 온 애도 있었고 다들 그런갑다~ 하는 분위기.
      헌데 당시 서강대 문과쪽 붙고 중대 온 애는 없었을꺼예요. ( 법대 같이 특수한 꿈이 있는 경우 제외하고)
      암튼 한양대 공대는 그때도 지금도 넘사입니당. 개인적으로 공대순위는 설카포-연고-한양대라고 생각해요. 성균관공대가 요즘 엄청 떴지만 선배들도 그렇고 전통 무시못하죠!

    • @seankim327
      @seankim327 2 месяца назад +1

      @@iilliilllliiii72378이분이 정말 정확히 알고 계시네.. 성대 수원캠은 그 당시 인하대한테도 밀리던 시절이죠. 대기업 연구소 임원들도 성대출신은 한명도 못봤어요. 2000년 초반부터 성대 뜬거는 무조건 삼성빨입니다. 역시 삼성공화국…^^

  • @흑곰-u4s
    @흑곰-u4s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시대에 따라서 대학의 선호도는 약간씩 달라지나 하지만 그렇게 크게 변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졸업생들이 그 순위를 다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야

  • @달콤솜사탕-x3b
    @달콤솜사탕-x3b 2 месяца назад +15

    한양대 중앙대 숭실대
    아들 고등가서 보내고싶었슴
    광명사니 거리가 멀면 안됨
    결국 숭실대 소프트웨어학부,,,,
    교과로 입학해서 1학기 1등하고
    전액장학금 받아서😮 끝까지
    열심히 다니라고함

    • @Zys-d8x
      @Zys-d8x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과는 학교가 중요하지 않고 개인 역량을 봅니다

    • @loganlim4520
      @loganlim4520 2 месяца назад

      숭실대 소프트웨어 면 앞으로 아드님 먹고살 걱정 없을겁니다 ㅎㅎ

    • @어리버리-i9x
      @어리버리-i9x 2 месяца назад

      숭실대 it면 취업걱정은 없죠

    • @dasfk4c689
      @dasfk4c689 19 дней назад

      중앙대랑 숭실대는 바로 옆인데,, 거리를 논할 차이는 아니구요. 지금 간 데서 잘 하면 되죠.

  • @wernerschlager2813
    @wernerschlager2813 Месяц назад +1

    중앙대 의대 진학했는데 반수 안하는게 낫겠죠? 과학만 빼고 국영수는 만점인데.. 나머지는 한국사도 하나 틀리고 쓸데없이 영어도 만점임.. 과학도 원래는 잘하는데 수능은 멘탈 털려서 아쉬운 점수가 나왔어요.. 좀 아쉬워서요.. 학종으로 갔는데 수능점수도 중대 정도인거 같아요..
    반수할때 과탐만 보강하면 정시로 서울대 의대 해볼만 할꺼 같긴 한데..

    • @wernerschlager2813
      @wernerschlager2813 Месяц назад

      딸 얘기인데 고대가질꺼라 생각했는데 좀 아쉬워요.. 고대 가려고 반수는 의미없고 서울대 도전을 할지 인생을 즐길지..

    • @Zys-d8x
      @Zys-d8x 18 дней назад

      ​@@wernerschlager2813즐겨요

    • @yayee7253
      @yayee7253 7 дней назад

      ​@@wernerschlager2813따님께서 결정하실 사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중앙대 의대면 자녀분이 정말 훌륭하신 분 같은데 충분히 서울대도 가능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 @wojj1173
    @wojj1173 Месяц назад +12

    저희 애들 대학원서를 넣어보니 확실히 예전과 달라졌더군요
    한성 서 중 시경건 동홍 이런 순서더군요
    중대와 건대는 같은라인과는 확실히 한단계 위입니다
    이대는 시경건 라인이고 숙대는 국숭라이더군요

    • @IlIIllIlI
      @IlIIllIlI 24 дня назад +2

      라인을 그렇게 잡는건 안맞죠. 중대 버리고 시립대 가기는 해도 누가 시립대 버리고 건대를 가나요.
      차라리 중>>>시>>경>>건 정도로 표현하는게 맞음

    • @user-yv7lo1pt9l
      @user-yv7lo1pt9l 15 дней назад +5

      @@IlIIllIlI경희대 버리고는 가는사람은 많아요. 시립은 안버림

    • @IlIIllIlI
      @IlIIllIlI 12 дней назад +1

      @@user-yv7lo1pt9l 그쵸 그래서 시립대와 건대 사이에 경희대를 둔겁니다

  • @바닐라라떼-l1o
    @바닐라라떼-l1o Месяц назад +4

    대학설명인지 부동산설명인지😅

  • @Han_nam
    @Han_nam 15 дней назад +1

    슨상님 서강대 전자랑 중앙대 전자는 미랴에도 차이 나겠죠? 두개다 뭍을 거 같긴 한데 어디로 가는게 나을까요.. 미래 인식 반영해거요

    • @토니토니영어
      @토니토니영어  15 дней назад +1

      서강대 전자를 가야겠죠

    • @Han_nam
      @Han_nam 14 дней назад

      @ 그쵸 아니 훌리들이 너무 많아서 제가 잘못 판단 하고 있는건가 했습니다

  • @이름이뭐예요-z9e
    @이름이뭐예요-z9e 13 дней назад +1

    중앙대 90년대 까지는 지금보다 위상이 더 높았음
    제단이 망하면서 나락 갔다가, 두산이 인수하면서 바로 뜰줄 알았는데 역시나 두산이 상태가 안좋아서 빌빌 거리다 최근 급격히 상승중
    건대는 뭐 거의 수직상승한 케이스 ㅋㅋ
    홍대가 안타까운 상황, 과거 5공 명성 대비 아쉬움
    여대는 계속 추락할거예요 덕성여대 이후로 기업들도 일단 여대는 거르자는 분위기가 꽤 있으니
    국민대는 동북선 개통하면 나아질건데, 숭실대 위치를 넘기는 힘들고, 반대로 광운대는 GTX랑 주변 개발이 많아서 미래성이 밝죠 아마 10년뒤에는 숭실 세종 광운 이런식으로 순서 갈수도?

    • @nuno1423
      @nuno1423 9 дней назад

      중앙대는 지금보다 위상이 높았던적은 없음.

    • @이름이뭐예요-z9e
      @이름이뭐예요-z9e 9 дней назад

      @nuno1423 뭔소리지? 90년대까지 서성한 아래 아래로 지금보다 독보적이었음

  • @토니토니영어
    @토니토니영어  3 месяца назад +8

    외대 '국제 캠퍼스'가 아니라 '글로벌 캠퍼스'입니다.
    서울여대는 부지가 상당히 큽니다. 다른 여대와 혼동했어요.

  • @jylee8957
    @jylee8957 2 месяца назад +28

    중앙중학교 중앙고등학교를 나왔다보니, 이름을 맞추기 위해 어쩔수 없이 중앙대학교를 선택했었습니다. 다른 학교는 생각할수도 없었죠.
    초등학교는 중앙초등학교가 아쉽긴하네요. 제가 중촌초등학교 나왔거든요. 촌이 앙으로 바뀌었으면 참 좋았을텐데... 한끝차이가 아쉽습니다.

    • @ya_ong5959
      @ya_ong5959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서울고 나왔으면 좋았을 듯하네요..
      경기고 안간것이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요..

    • @msgo4009
      @msgo4009 2 месяца назад +5

      ㅋㅋㅋㅋㅋㅋㅋ

    • @csp7541
      @csp7541 2 месяца назад

      중앙고 몇회세요?

    • @voldenuitju6891
      @voldenuitju6891 Месяц назад

      중앙고 나왔으면, 고려대 가는 게 맞는듯!?
      중앙고, 고려대 본관건물 거의 흡사!! 재단이 같죠? 고려중앙학원!!!

    • @csp7541
      @csp7541 Месяц назад

      @@voldenuitju6891 인촌(김성수)재단입니다. 친일파죠. 정문 들어가서 본관 앞에 그 동상 좀 철거했으면하네요

  • @두콩두콩2
    @두콩두콩2 Месяц назад +1

    조카가 수시 썼는데...
    상명대 공대랑 가천대 반도체대학은 가천대가 나을까요?
    (저는 연대 경제 졸업생입니다. 96학번. 졸업한지 너무 오래되서 현실감 없어서..)
    조카네 집은 마포구 공덕동이지만...
    가천대가 계속 좋아지는것 같은데~ 위례신도시도 계속 좋아지고~
    인하,아주,에리카,광운전자 추천하시는 다른 영상 보고 너무 정확해서...
    가천대 반도체가 상명대 공대보다
    더 낫겠죠? (대중교통은 15~20분밖에 차이 안납니다. 상명대가 가깝긴하지만 7016버스 배차간격 엄청 김. 가천대는 5호선타고 왕십리에서 분당선 1번환승 가천대역 내리면 지하철역 바로 앞 반도체대학 건물있음)
    고등학생들은 전부 상명대 추천하길래 이게 뭐지? 길게 안보나 주변 인프라변화가 안보이나 싶어서 댓글 남겨봅니다.
    제가 아둔한 늙은이인지 ...

    • @토니토니영어
      @토니토니영어  Месяц назад

      안녕하세요. 길게 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학교 둘 중에 하나 선택하는 부분은 아무래도 분란의 소지가 있어서 답변드리기 어려워요.
      제 의견도 단지 주관적일 뿐이라서요. 그래도 혹시라도 제 의견이 필요하시면 제 카페에 글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두콩두콩2
      @두콩두콩2 Месяц назад +1

      카페 가입해서 글 남겼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

    • @Zys-d8x
      @Zys-d8x 18 дней назад +1

      가천

  • @zenith007
    @zenith007 2 месяца назад +18

    외대는 진작 밀리지않았나요?ㅋㅋ

  • @상큼레몬-d8n
    @상큼레몬-d8n 2 месяца назад +5

    01학번 인서울 나왔지만 뭘배웠는지 기억이안난다
    인문계여서그런가,. 자연계는 좀 낫겠죠?
    ㅎㅎ 거액주고 졸업장 산 느낌..

  • @사랑으로-v7p
    @사랑으로-v7p Месяц назад +5

    서울과학기술대가 숭실대 보다 높은데 포함하셔야 비교가 좋을듯 싶어요

  • @기우경-e7u
    @기우경-e7u 3 месяца назад +103

    중앙대 강남 학생들 비중높음

    • @마신1999
      @마신1999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서연고,서성한을 제외하고
      중대에 강남애들이 많아요.
      음... 요즘 그런게 있는지 모르겠지만 90년대까지 중대내에서 강남애들 모임이 있었는데 요즘도 있으련지.
      강남애 신입이 오면 바로 모임에 가입시켰는데.

    • @Rosa-gf9hr
      @Rosa-gf9hr 2 месяца назад

      @@마신1999꼴깝질 강남모임이라니 ㅉㅉ

  • @eyon44
    @eyon44 2 месяца назад +16

    건대 훌륭하죠. 돈이 많으니까 등록금도 굉장히 쌉니다.

    • @안구라-z1h
      @안구라-z1h 2 месяца назад +5

      비싼데..

    • @hotice-y5n
      @hotice-y5n 2 месяца назад +2

      @@eyon44 싸진 않던데....

    • @0954호키
      @0954호키 2 месяца назад +1

      ㅈㄹ비쌈 비슷해요

    • @ssssss-s2m
      @ssssss-s2m 2 месяца назад +3

      개비싸요 기숙사까지합치면 한학기700깨짐..

    • @ssssss-s2m
      @ssssss-s2m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등록금 젤 비싼학굔데 자녀분 무슨 예대다니시나봄 ㅋㅋㅋ

  • @SunhwaLee-r9v
    @SunhwaLee-r9v 2 месяца назад +9

    중앙대학교 안성 식품공학과 서울과기대 식품공학과 지원했습니다. 만약 두 학교 모두 합격을 한다면 어디를 선택해야 할까요?

    • @토니토니영어
      @토니토니영어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차이가 꽤 나요. 과기대가 높습니다.

    • @pioneers3224
      @pioneers3224 2 месяца назад +9

      네임밸류는 당연히 중앙대 식공이지....취업률, 동문파워, 교수 연구력 등 비교가 안됨...

    • @hotice-y5n
      @hotice-y5n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안성에서 본교로 전과 하지 않는다면 당연 과기대입니다

    • @seoulvibeseoulista3544
      @seoulvibeseoulista3544 2 месяца назад +1

      @@pioneers3224중대안성은 무늬만 이원화지 동문취급안합니다

    • @소통-m5b
      @소통-m5b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당연히 과기대. ㅎㅎ

  • @또로록땍때굴
    @또로록땍때굴 3 месяца назад +48

    성대는 삼성인수
    중대는 두산인수 때문에 떳고
    건대는 위치빨이 워낙 좋아.
    다른 이유는 없어.
    92년인가 중대는 재단비리 때문에 거의 완전히 맛 갔었고 전학과가 미달사태 벌어졌지. 부실재단으로 망했다는데 학생들이 지원할리가.
    격세지감이다. 다 망했던 중대가

    • @점박이도련님
      @점박이도련님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중대 전학과 미달사태 벌어진 적 없는데요. 평행 우주인가요? ^^;

    • @user-qx-p5v
      @user-qx-p5v 2 месяца назад +9

      @@또로록땍때굴 옛날얘기는 할 필요 없어요 거기다 정확하지도 않은 말을..... 현실은 서강대와 순위 바꿈을 시도하는 중..... 성한중서

    • @이윤석-l2i
      @이윤석-l2i Месяц назад +2

      휘문고가 명문, 중동고는 싸움잘하는 학교였는데 지금은 중동고가 더 잘나간다면서요?

    • @dasfk4c689
      @dasfk4c689 19 дней назад

      92년도에 대학 평가에서 C등급 받고 했었죠. 무슨 희수인가 이사장 녀석 때문에 데모도 많았고,,,

  • @tomato4875
    @tomato4875 17 дней назад +1

    중대 입사관 수시학생 잘뽑는듯

  • @user-sq4mwfioe
    @user-sq4mwfioe 6 дней назад +1

    다군 독점 혜택은 끝났다.

  • @sericorri8327
    @sericorri8327 2 месяца назад +30

    사회 나오면 중앙대 나욌다고 알아주고 국민대 나왔다고 머라고 그러지는 않음....자기 능력이 중요함....

    • @토니토니영어
      @토니토니영어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예 맞습니다. 결국 본인 실력입니다

    • @샤크-h4i
      @샤크-h4i 2 месяца назад +6

      우리나라 학벌사회 틀 깨기 힘듦,, 괜히 동문회가 있겠음?? 중앙대 하면 오~~ 하지만 국민대?? 하면 고개 좀 갸우뚱 하지~

    • @장독대-b1y
      @장독대-b1y 17 дней назад

      ​@@샤크-h4i 연구직 교수 안할거면 똑같다

    • @seoulvibeseoulista3544
      @seoulvibeseoulista3544 8 дней назад

      @@샤크-h4i서울대, 미국대학 공학 박사 엘리트들만 다니는 집단에서 인턴으로 일해봤는데 서울대 미만 좆도 신경안씀 심지어 한양대도 신경안씀ㅋㅋ

  • @bad_idearight
    @bad_idearight 3 месяца назад +52

    최근 입결 반영하면 서성한중이 맞습니다

    • @dlrpskfksi
      @dlrpskfksi 3 месяца назад +15

      이는 빼.,

    • @bad_idearight
      @bad_idearight 3 месяца назад +22

      @@dlrpskfksi 이화여대 말한게 아니라 조사 ‘이’입니다….이대는 경희대와 건대 사이 어딘가에 있는듯

    • @dlrpskfksi
      @dlrpskfksi 3 месяца назад +1

      @@bad_idearight 사실 등급을 나눈다는게 교만하다는 생각, 이게 잘못되었다는 생각이듭니다 살아보니 이 순대로 살지도 행복하지도 않은거 같네요

    • @Hsbvtywb
      @Hsbvtywb 3 месяца назад +1

      ​@@dlrpskfksi행복타령ㅋㅋ
      건강이최고지란말은 안나오나 ㅋ

    • @jyseo2266
      @jyseo2266 2 месяца назад

      @@bad_idearight 이화여대가 건대랑 경희대 사이라니 뭔말이냐?
      작년에 입시를 치뤘는데. 경희대는 이다보다 훨씬입결 낮고 건대보다는 경희대가높다
      경희대는 그냥 합격이고 이대는 모두 추가합격 뜨던데..
      경희대를 안정으로 넣었구만..
      성적안되는것들이 여대어쩌니 하더라

  • @스틸로-y7c
    @스틸로-y7c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33:34 가 ㄹㅇ 지금 현재 입시를 관통하는말이라고 생각함.
    실제로 홍대가 건국,동국보다 공대 전통성,공대 아웃풋은 비교도 안되게 좋은데 건동홍 주문+캠퍼스 때문에 ”학생들한테만” 선호도가 떨어짐;; 홍대 이공계 대기업 임원 수는 중앙대와 시립대 사이 수준임

    • @wpdlszla
      @wpdlszla Месяц назад

      맞음. 홍대가 저평가라고 봄 다만 캠퍼스 작은건 지하캠퍼스 지어도 커버가 안되니 참...

  • @golfher1987
    @golfher1987 3 дня назад +2

    중앙대
    중 경외시 랑 같이 어울리는게
    참.참 안타까움 입니다..^^

  • @chaconomy
    @chaconomy 7 дней назад +1

    과기대 성대 아주대 급성장중

  • @투더리-k1b
    @투더리-k1b 9 дней назад +1

    논술하러 학교 가보는데.. 성대, 서강대, 중대, 건대 가보고 …. 건대가 제일 좋다~. 건대 갈래 하더란….

  • @sumanjeong6323
    @sumanjeong6323 3 месяца назад +23

    아이고~~의미없다. 대학의 서열은 학원에서 정하는구나. 사회에서 활약하는 동문의 파워도 중요한데 아무것도 모르는 고딩들이 선호한다는게 고작 교통, 강남가까운곳 등등. 제발 가만히 놔둬라 학교마다 특색이 있어야지 전부 인기있다고 공대만 늘리는게 대학이냐? 세상이 얼마나 다양한데... 취업을 하려면 기술을 배워라그냥. 대학은 다양한 학문을 다음 세대로 이어주는 기능도 해야한다. 문과 중심대학 다 사멸 시키고 엔지니어만 남는 세상이 좋은 세상인가? 기업에서도 지위가 높을수록 좁고 깊게 아는 사람보다 넓게 세상과 사람을 이해하는 사람이 이끌어 가더라. 인문학 경시하지마라...

    • @토니토니영어
      @토니토니영어  3 месяца назад +32

      엔지니어가 세상을 좁고 깊게만 바라보고 인문학자는 세상을 넓게 바라보고 사람을 더 잘 이해한다는 건 대표적인 편견이죠. 공학을 싸구려 기술과 동일시하는 건 무지고요. '동문의 파워'는 좋게 말하면 유대 관계지만 나쁘게 말하면 좁고 깊은 일종의 '카르텔'도 될 수 있습니다. 인문학계 만큼 '좁고 깊게' 밥그릇 싸움 하는 곳이 우리나라에 또 있겠습니까.

    • @신호강-n7p
      @신호강-n7p 3 месяца назад +3

      @@sumanjeong6323 서울대 나와도 백수들이 있다 학교 타령 하지마라 예전엔 학교로 쳐주지도 않하던 학교 인서울이란 괴상한 소리에 대학측에 낀대학들도 있다

  • @yohnh2865
    @yohnh2865 3 месяца назад +12

    최고 발전은 성균관대.문이과 공히 커감. 공대는 눈부시게 발전 ….한양도 문이과 발전 …..몇일전 발표한 25세계대학 순위에서 국내 사립대중 연대 성대 공동 1위…

  • @존테일러-p8c
    @존테일러-p8c 2 месяца назад +5

    두산이 최근들어 원자력부활로 회생했지.지난정부에서는 매우 힘들어 중대 넘긴다는 괴소문까지 떠돌아 학교 투자 매우 위축돼 코로나 중대는 아니였다.

  • @start-j2g
    @start-j2g 2 месяца назад +16

    90년대 초중반 대비 맛탱이 간 학교(하락 상승폭순) 1. 이대, 2, 서강대, 3.외대, 4. 시립 / 뜬 학교. 1. 성대 자연캠, 2. 경희 자연캠, 3. 고대 공대 4. 중대, 건대, 서울과기대, 가천대
    서강대 : 상위권학생들 경우 어짜피 붙어도 안갈꺼라고 서강대는 바로 패스하고(공대경우 본인 성적에 따라 중대 또는 성대 공학계열을 안전빵으로 놓거나 포스텍을 끼워넣는 전략으로 서연고성한중 또는 서포연고성한 / 여학생 경우 상향으로 지방약대를 썼음, ) 즉, 서강대는 지방의 내신좋으나 수능 안되는 얘들만 씀, 이대는 여학생들이 기피함. 들어보니 여러 사건이 뇌리에 있어 그냥 이미지도 안좋음

    • @nuno1423
      @nuno1423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너같은 인간들이 서열은 만드는거야. 니 일이나 잘해라.서강대 이대 갈 실력은 되고?

    • @모모-g7k
      @모모-g7k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은근 공감가는 말임

    • @user-qx-p5v
      @user-qx-p5v 2 месяца назад +4

      @@start-j2g 입시쪽에 종사하시나요? 정확히 파악하고 계시는 군요.

    • @jackchris8265
      @jackchris8265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공대는 한성중

    • @jkin6142
      @jkin6142 Месяц назад

      @@nuno1423 사실을 말해도 화를 내네

  • @노수종-h9n
    @노수종-h9n 2 месяца назад +4

    90년대 전기 후기 있던 중앙대가 역대 가장 높았었음..후기는 성균관,중앙대,한양대가 삼대장이었기땜시 서울대 연고대 떨어진 애들이 우르르 몰려왔던 시절

  • @jasonlee-w5s
    @jasonlee-w5s 28 дней назад +6

    뭔소리야, 아이엠에프 전까지만 해도 서강대 같은거 있는지도 몰랐어, 뭔소리야 진짜

    • @관악을향해더위로가자
      @관악을향해더위로가자 10 дней назад

      저희 아빠가 고법 출신이신데 이전에는 서강대가 성한보다 높았다고 하시던데 뭔 개소리를 처 씨부리시는지 ㅋㅋ

  • @texop370
    @texop370 13 дней назад +1

    서강대가 참 안타깝게 됐네. 서강고등학교 라는 말이 있을정도로 수업 종도 치고, 공부도 빡세게 시키고, 좋은 학점 받기도 어려울 정도로 학생들 실력 좋기로 유명했었는데. 내가 고등학생때만해도 반에서 10~11등 정도가 성대(자연캠)로 갔고, 7~8등 정도가 서강대, 4~5등이 한양대로 갔었는데 앞날이란건 정말 모르는구나. 지금와서 돌아보면 고등학교때 왜 이렇게 기쓰고 소위 명문대라 불리는곳에 들어가려고 노력했는지 이해가 안되지만, 그 당시엔 학교가 전부이고 향후 인생을 보장해줄거라고 생각했었지. 현재 입시 준비하는 학생들도 나중에 한 분야를 더 깊게 파는 석박사 코스에 진학하게 되면 알겠지만 대학교 순위가 그 사람의 능력을 모두 대변해주지 않는다는 경우를 많이 보게됨. 그리고 점차 어디 대학나왔는지보다 문제해결과 어떤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지 어떠한 products이 있는지로 사람을 평가하게됨. 이대의 경우 커지긴 힘든 구조입니다. 이대의 가장 큰 문제는 문과계열 교수들 (특히 영문과)의 파워가 막강하여 이공계를 견제하고 있고, 이공계가 밤새 전기를 너무 많이 쓴다고 뭐라고 하며 이공계에 대한 지원도 사실상 크지 않죠. 여대라는 특성상 대학원생도 남자는 뽑을 수 없고 학교차원 지원도 크지 않아 더 발전할 아젠다가 없는 상황이라 이런부분이 고쳐지지 않는다면 계속 하락할거라 봅니다.

    • @보노보노야-g2e
      @보노보노야-g2e 9 часов назад

      서강은 빡세게 시키는 문화가 오히려 취준 방해하고 학점 불리하여 학생들 발목 잡음. 한국에서 스카이말고는 인생에서 학벌 브랜드파워 누리기 어렵죠. 한문제 차이든 연고 갈 점수였는데 어쩌구저쩌구해서 아래학교를 갔든..

  • @모모-g7k
    @모모-g7k 23 дня назад

    댓글들이 더 재밌어요

  • @자유보이스
    @자유보이스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서강대 랭킹에 비해서 학생식단이 꾸림

    • @Zys-d8x
      @Zys-d8x 2 месяца назад

      밥이 중요하지..ㅋ

  • @골드러쉬-z4p
    @골드러쉬-z4p 2 месяца назад +9

    그 정도 규모 서울에 있으면 다 뜨지. 죽나? 우리 때 부산대, 경북대는 연고대보다 좋았다.

    • @ryannam553
      @ryannam553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또 이상한 소리하시네...부산대는 인기과는 몰라도 경북대는 아래여!

    • @Zys-d8x
      @Zys-d8x 2 месяца назад +2

      80년대도 부산대 경대가 연고대 좀 아래였다

    • @gjkim3161
      @gjkim3161 26 дней назад

      경북대가 연고대 위였던 적이 있었나요

    • @dasfk4c689
      @dasfk4c689 19 дней назад

      어디 꿈속에서 그랬나요? ㅋㅋ

    • @hyb9472
      @hyb9472 14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런적 없는데?

  • @두리안-r9g
    @두리안-r9g 3 месяца назад +14

    명문이 부동산 시세로 결정된다고 하는 게 말이 되나?

    • @토니토니영어
      @토니토니영어  3 месяца назад +6

      기성세대들의 잘못이죠. 현상은 그저 현상일 뿐입니다.

    • @michaeljeong-ho3336
      @michaeljeong-ho3336 2 месяца назад

      어떤 현상을 부분적으로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지는 마세요. 워낙 말이 안되는 것을 많이 겪다보면 세상을 넓은 시각으로 바라보게 됩니다.(적어도 그러려고 합니다.)
      예전에 어느분이 주식시세 인자(?) 넣을때 별에 별걸 다 넣더라는..
      해뜰때 주식이 오르더라, 별이 밝을때 어떻더라...
      음, 예를 들면 통계적 예측의 상당히 높은 수준의 결과들인데요, 연관성이 없더라도 인자가 많아지다 보면 이세상 자체에대한 인식이 되어저려 전혀 엉뚱해 보이는 그런것들도 양적화 되다보니 현실반영이라던가 예측에 사실성으로 접근되어 지더라는 것입니다.
      이 세상의 모든것들이 이세상이기에 가능한 논지입니다.

    • @hongsokoh4460
      @hongsokoh4460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이미 있는 현상을 부정해봐야

  • @buljiokchamddaelgam
    @buljiokchamddaelgam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성대 중대 건대 세종대 ... 🎉

  • @seankim327
    @seankim327 2 месяца назад +13

    중대야 원래 좋은 학교였고,.. 건대는 예전에 삼국대를 훨 뛰어넘는 듯..

  • @kim232-n9c
    @kim232-n9c 3 месяца назад +7

    서성한 순서는 그대로예요

  • @gxhcubgxtog
    @gxhcubgxtog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정말 느끼는 게 고등학교 3년 겪고, 수능까지 보면서 느끼는 게 획일화된 시스템으로 가르친다는 생각 밖에 안 듬.
    단지 사람을 가르치고 배우게 시킨다는 느낌보다는 사람들 우열 만들어 놓고 그 경쟁에서 밀려난 애들은 대학도 별볼일 없는 대학 가게 시키고, 연애든 취업이든 마치 인생에서 주홍글씨처럼 떠다니도록 만든다 생각이 듬.
    내가 들어보니 수행평가 점수에 대해서도 다들 만점을 주는 것도 아니고 차등적으로 점수를 줄 수 밖에 없다고 되어 있음
    이건 고등학교 2학년 즈음에 국어 쌤이 한 말인데, 다들 만점을 주고 싶었는데, 못 줘서 어떻게든 꼬리 잡아서 점수를 적게 줄 수 밖에 없었다고 이야기함.
    더군다나, 고등학교에서도 전과목 9등급제가 되어 있고, 1등급 (4%)의 수준을 초과하여 학생들이 높은 점수를 받는다 싶으면, 1등급은 없어짐.
    그러니 중간고사는 쉽게 내서 그런 일이 발생했다 싶으면 당연 기말고사는 닥치고 어렵게 낸다는 것.
    정말 부득이하게도 영어 문법도 제대로 가르쳐 주지도 않고, 어떻게 읽어야 하고 어떻게 배워야 할 지 가르치키는커녕
    단지 학교 수업 들어보면 기껏해야 영어 교과서는 냅다 가르쳐주지도 않고, 단지 모의고사를 들고 와서는 이건 어느 문법이라는지 어느 것인지 그런 것만
    설명해줄 뿐이지, 여태 어떻게 문장을 만들어야 할 지, 문법은 어떻게 되는 지 가르쳐주지도 않은 채로 영어 글쓰기 수행평가나 시키지, 영어 시험에서
    작문하는 걸 시키지, 아니 학교에서 가르쳐주지도 않는 걸 가지고 시험을 치르면 그게 말이 되냐는 거임.
    더군다나, 국어 글쓰기 수행평가에서도 어떻게 글의 구조는 되어 있고, 글을 잘 쓰는 방법, 쌤들이 도와주기는커녕 되레 어떻게 써야 하는 지 알려주지도 않고
    그냥 단지 무슨 주제를 가지고 논거를 통해 논설문을 작성하라고 하지 않나, 등등 가르쳐주지도 않은 걸 가지고 글을 쓰라고 하면 이건 말도 안 되는 거지
    맞춤법도 안 가르쳐주지, 문해력 높이는 방법이든 뭐든 다 알려주지도 않고 그냥 단지 언제 수행평가 있으니 주의하라 이런 식임.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어처구니 없는 실정인데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그에 상응하듯 만점을 받거나 좋은 점수를 받는 애들이 있음. 근데 그게 이유가 무엇이냐
    사교육 때문임. 어떻게 글을 써야 할지,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할 지 학원에서 가르쳐준다는 거야. 학원에서 보면 그냥 고학력자들, 아니면 석박사 사람들 혹은
    그 쪽으로 밥먹고 산 애들이 태반이라는 거지. 그렇다는 건 아무것도 모르는 애들, 그냥 학원 교육도 제대로 못 받거나 이상한 교육을 받는다 싶으면 그냥 인생이
    꼬인다는 거임. 그냥 지잡대 다니든가 사람들한테 매정하게 무시 받는다든가 그렇다는 거임.
    그리고 더 문제인 것은, 아무 것도 모르면서 그냥 노력만 하는 애들한테 엄청나게 불리한 상황이라는 거임. 왜냐, 어떻게 글을 써야 하는 지, 어떻게 영어로 작문을
    해야 하는 지 등등 어느 누구도 가르쳐주지도 않고, 그냥 자신이 혼자 이 불합리한 상황을 견뎌야 하는 건데, 고등학생이 뭘 알기라도 하겠음? 자신이 알고 있는 게
    정말 제한적이고, 그 제한적인 상황 속에서 뭘 깊게 생각하거나 뭘 배우거나 그럴 가능성은 별로 없다는 거임. 물론, 이 사람들은 노력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점수는
    남들에 비해서 정말 안 좋게 나오는데, 이런 애들을 주변 사람들이 뭐라 그러냐, 멍청하다고 보는 거임.
    비유적으로 말하자면, 그냥 아무것도 모르는 그냥 단지 학교 수업에 따라다니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갖고 와서 수능 수학이든 대학 입시 수학 문제를 들고 와서
    풀라고 하는 거임. 당연, 뭣도 모르니 한 문제도 못 풀고, 쌤들이 그거에 대해서 이런 말을 하는 거지. "너희들 멍청하다고. 이거 한 문제도 못 푼다고". 이거에 대해서 반의를 지니고 이건 말도 안 된다 생각하면 그나마 괜찮을 지 모르겠지만, 이 애들이 뭘 알기라도 하겠음? 그냥 그런 쇠뇌만 받고서 자신의 가능성에 대해서 폄하하고 안 좋게 보는 애들이 있다는 거야. 이건 부당하다는 거지.
    다음 예시로 수능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음. 요즘 수능에 대해서도 엄청나게 중요하고 1점 점수로 인해서 대학에 떨어지거나 아니면 붙거나 그럴 가능성이 높은 중요한 시험 중 하나임. 당연 아무것도 모르거나 집안 여력이 약해서 학원 교육을 못 받는 학생들에 대해서는 당연히 그 사람들에게도 정당한 기회를 줘야 한다는 게 당연하다 생각함. 그러나 학교에서는 그런 애들에 대한 지원이 거의 미비함. 왜냐, 쌤들은 그 애들 뿐만 아니라 다른 애들에 대해서도 수업을 해줘야 할 뿐더러, 회의 뿐 아니라 행정 처리, 각종 시험 문제 출제 등등 이런 일들도 많은데, 갑자기 학생이 와서 "저 수능 준비해야 하는데 도와주세요"라고 쌤의 상황도 신경쓰지 않고 자기 멋대로 하면 그 사람 좋게 보겠음? (이건 내 사례임. 그걸로 인해 쌤이 소리 지름)
    결국 그냥 학원이 없으면 그냥 안 된다 그 사례야. 결국 그 갭이라는 게 있고, 근데 그 학원도 제대로 다녀야지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그냥 어느 학원이든 가면 된다 그렇게 생각하면 당연 망함. 그런데 그 학원조차도 어디를 가야 하는 지 알려주지도 않고, 어느 쪽에 대해서도 좋다. 그렇게 판단할 수도 없다는 게 실정임. 그냥 주변에 아는 지인이라든가 좋은 대학을 간 착한 사람들이라도 있으면 좋겠으나, 그런 경우가 크게 있을까 난 정말 회의적으로 봄. 왜냐, 다들 자기 자식 대학 좋은 데로 가게 하려고 발버둥 칠 건데 누가 알려주겠음? 전혀 아니라는 거지. 그래서 설혹 재수를 한다 할 지라도 제대로 된 방법도 없고 어떻게 해야 할 지도 모르면 필히 망한다.
    그러다 보니 애들은 거의 대부분 다 불행함. 그냥 다 화가 다 머리까지 다 채워져 있는 것임. 그냥 예민하고 이런 분위기 속에서 누구와 타협하고 협동해야 하는 건데 경쟁으로 인해 누구보다 대학은 더 잘 가야 한다는 관념으로 인하여 다들 그냥 다 비협조적일 수 밖에 없음. 그리고 아무것도 모르지만, 그런 불합리한 분위기 속에서 이기려고 하는 것 자체는 불가능하다는 거임. 그런데 그 학생부에서는 애들하고 다 협조적이고 배려심 넘치고 그런 애들로서 살아야 하는데, 다들 잔뜩 화가난 사람들 속에서 어느 한 순진한 애가 그러기에는 상당히 불가능함. 결국 그러기 위해서는 애한테 이런 조언 밖에 할 수 밖에 없음. "그냥 너의 상태에 만족하면서 그냥 지잡대 다니고 어느 누구든간에 대우도 못 받는 그런 쪽으로 가라고.
    그러면 해결책은 무엇이냐) 이건 어느 누구가 공부법을 알려주든가 해야 함. 그러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다. 그나마 최근에는 유튜브에 공부법 알려져 있고 그러니까 다행이긴 한데, 근데 인간은 원래 생존 반응적으로 이기적으로 생활 할 수 밖에 없는 특성상, 그렇다 해도 될 리는 없다. 그냥 계속 따라다니면서 배워야 한다. 그거다.
    궁극적으로 금수저 애들일 수록 대학 잘 간다... 경쟁이 가열될수록. 집안 환경도 안 좋으면 효율적인 공부법도 알지도 못 하고 멘땅헤딩하면서 어떻게든 배우든가 그런 게 답임. 남들은 효율적인 공부법으로 공부하는데 반해 자신은 혼자 찾고 혼자 공부하고 그래야 함. 그런데, 경쟁 사회라 혼자 찾아서 공부법 찾고 그럴 만한 겨를도 없고, 그리고 고등학생이 알고 있는 지식 속에서 완벽한 방법을 찾기는 불가능할 정도임(알고 있는 지식 속에서만 생각을 하는 특성 때문에).

  • @핸섬보이-l5q
    @핸섬보이-l5q 3 месяца назад +25

    숭실대가 숙대보는 높고 홍익대와 비슷하지않나요

    • @jameshur7539
      @jameshur7539 3 месяца назад +12

      숙대보다 높아요

    • @신호강-n7p
      @신호강-n7p 3 месяца назад +3

      여대는 과거부터 계속 이화여대 다음 숙명여대 입니다

    • @빅파이-c5x
      @빅파이-c5x 3 месяца назад +6

      여대는 취급안해요

    • @frenchblack3473
      @frenchblack3473 3 месяца назад +7

      그래도 국숭세단임

    • @달콤솜사탕-x3b
      @달콤솜사탕-x3b 2 месяца назад +8

      숭실대는 it대학이 명성있죠
      쾌적한 7호선으로 다니고,,,지하철이
      이렇게 가까운학교가 있을까요?

  • @garypark6203
    @garypark6203 2 месяца назад +8

    성균관대는 서울 수원 둘다 본캠이야
    명륜동엔 문과
    수원에 의대약대공대

    • @brownlee9025
      @brownlee9025 2 месяца назад +3

      그 점수대에 성수공이라 안가는게 팩트. 강남3구뿐만 아니라 관악 근처 사는거 아니면 대부분 서울 사람들은 한양공으로 가지요.

    • @gjkim3161
      @gjkim3161 26 дней назад

      @@brownlee9025 성대 한양대는 취향 차이긴 한데 서울 사는 사람들은 한양대 많이 가죠 강남권에서는

  • @사랑으로-v7p
    @사랑으로-v7p Месяц назад +1

    서울과학기술대 숭실대 전산 광운대 컴공 고민입니다,

  • @wpdlszla
    @wpdlszla Месяц назад

    홍대는 앞으로 이렇게 현상 유지선일까요 아님 떨어질까요? 지하 대규모 캠퍼스 공사한다고 하는데 극복될지 궁금합니다.

  • @MrCaulover
    @MrCaulover 2 месяца назад +19

    서성한이 아니라 성한서 아닌지

  • @2002-lin
    @2002-lin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건대는 주변이 너무 놀자판이던데요?

    • @hotice-y5n
      @hotice-y5n 2 месяца назад +7

      @@2002-lin 그걸 인프라가 좋다고 하는거죠? 교통의 요지이고. 본인이 주변 학교는 못다니고? 안다니고? 놀러만 가서 그런 듯.

    • @DavidYun-vx4de
      @DavidYun-vx4de 2 месяца назад +6

      주변에서 공부하나요? 중앙도서관에서 공부하지!

    • @seoulvibeseoulista3544
      @seoulvibeseoulista3544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사실 학교 앞은 놀거없어요 그 근방 술집은 건대생이 갈 일이 없거든요ㅋㅋ 압구정 성수 왕십리 을지로 이런 곳으로 흩어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