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찾은 '일하는 기쁨'.. 양질의 일자리는 부족 20240122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앵커)
    내년쯤에는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접어들 거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울산 역시 빠르게
    늙어가고 있습니다.
    증가하는 고령 인구에 따라
    노인 일자리 확충과 사회활동
    지원이 시급해지고 있습니다.
    신혜지 기잡니다.
    (리포트)
    6개월 차 초보 바리스타지만,
    능숙한 솜씨로 커피를
    내리는 이점희 씨.
    정년퇴직 이후 따게 된
    바리스타 자격증은 그동안의
    삶을 완전히 바꿔놨습니다.
    음식 만들랴 손님 맞이하랴,
    잠시 숨 돌리기도 벅차지만
    일을 새로 시작한 즐거움에
    하루가 어떻게 가는지
    모를 정돕니다.
    (인터뷰) 이점희(64세)/카페 바리스타 '제가 제 손으로 다른 손님을 접대하고, 굉장히 이 생활 자체가 즐겁고 행복합니다.'
    2년째 매일 오후,
    송정악 씨는 키오스크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또래 어르신들을
    돕고 있습니다.
    여전히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만한
    활력이 없다고 말하는 어르신.
    (인터뷰) 송정악(73세)/태화강역 안내도우미 '조금 몸이 불편한 분께 안내를 하면 너무 고맙다고 인사도 하고, 집에 노는 것보다 훨씬 좋은 것 같습니다.'
    이처럼 일자리를 구하려는
    고령층 인구는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지난해 울산의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 대비
    15.9%를 차지해,
    만 65세 이상 인구가 해마다
    많게는 2만 명가량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울산은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고령화 속도가 빨라
    만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인
    '초고령사회' 진입도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
    하지만 높아지는 수요에 비해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하고,
    전문성을 살리는 건
    하늘의 별 따기 수준입니다.
    (인터뷰) 유지웅/울산남구시니어클럽 실장 '예전에 노인 일자리라고 하면 공익형 일자리를 많이 선호하셨는데, 요즘에는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퇴직을 하시고 60세~65세 사이 젊은 노인 일자리를 (선호하는) 분들이 오시기 때문에..'
    오는 2030년,
    울산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의
    고령자는 4명 중 1명,
    울산이 빠르게 늙어가는 만큼
    양질의 노인 일자리 확보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입니다.
    ubc뉴스 신혜집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3

  • @샤인릴리
    @샤인릴리 Год назад +1

    이거 정말 심각한 문제인게
    코로나 시기 '사업장쪼개기'라는 꼼수가 유행하고 있어요
    취직할시 꼭 확인하시고
    상시근로자가 5인 이상인 사업체인데 사업자를 나눠 운영하고 있다면 고용노동부에 제보하세요
    양질의 일자리는 나라의 근간입니다

  • @bizquality
    @bizquality Год назад +1

    멀쩡한 회사더러 노인 채용하라고 하지 말고, 노인끼리 퇴직금 일부라도 들고 모여서 회사를 차려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