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아이 치료는 이렇게 하시는 게 좋아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7

  • @내새끼엄마
    @내새끼엄마 2 года назад +1

    주옥같은 영상입니다. 항상 흔들리는 엄마의 마음을 다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수진-w9f4p
    @이수진-w9f4p 4 года назад +30

    감각통합 접근을 하고 있는 현직 작업치료사입니다. ‘아이들의 생활이 살아야’ ‘도전 과제를 전제로 한 몸을 쓰는 활동’ 그리고 가장 중요한 ‘일상생활’ 자립을 위한 준비들.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모든 부모님들께서 이 영상보시고 방향성을 잃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김은자-y9c
    @김은자-y9c 2 года назад +2

    영상을 너무잘봤습니다 일상생활을 중요시하고 치료에만 너무 몰두하여 가족들에 생활에 지장을 주면안된다는 말씀 공감이갑니다 저는 손자녀석을 돌보고 있습니다 이제 44개월에 접어들었네요 아직 언어가 문장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무엇보다 어린이집에서 혼자 놀다 와서 마음이 아품니다 집에서는잘 노는데 밖에만 나가면 고개를 숙이고 킥보드도 집에서는 잘타고 노는데 밖에서는 저보고 밀고가라고 하며 기분 내키면 잠깐 스스로 타네요 언어치료 놀이치료 에이비에이 치료를 받긴하지만 너무느려 답답합니다 선생님들에 경험얘기를 들으니 공감이가고 이해가 갑니다 치료에만 너무 몰두하지말고 마음에 여유를 가지고 아이와 즐겁게 지내면 어떨까 합니다 너무 좋은말씀과 경험담 강하합니다

  • @관리자-e3j
    @관리자-e3j Год назад +1

    아이를 스마트폰 중독자로 만들어 놓고,
    허구한 날 치료만 받으러 가는 엄마가 있어요.
    아니,,,, 왜,,, 아이에게
    우루사와 술을 같이 먹이는 행동을 하는지,,,, 이해가 안가고,,, 안타깝습니다,,
    최고의 치료사는 부모가 되어야 합니다,,,
    아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을 뺏으세요, 자기만의 세상에 빠지지 않게,,
    저는 집에 tv를 없에고,,, 인터넷 와이파이를 없에 버렸습니다,,,
    아이와 하루 종일 상호작용하고,,,
    아이와 운동을 했고
    등산도 자주 갔습니다,,,
    아이와 같이 한거 중에 가장 많이 한거는 산수 였어요,
    결과가 10 이상 덧셈을 가르치는데
    석달이 걸렸습니다,
    포기하고 싶었지만,,, 계속 가르치고 또 가르쳤습니다,,,
    석달이 되어서야 아이가 이해하더라고요,,,,
    제 아이는 수학을 암기식으로 하기 때문에 몇달이 지나면 잘 잊어먹지만,,
    저는 천번 만번 반복 시킵니다,,,,
    제발,,, 아이에게 스마트폰과 tv로 어린 시절의 황금같은 시절을 낭비시키지 맙시다,,

  • @1000da
    @1000da 4 года назад +26

    -치료를 멈추면 그동안 배운것이 물거품되진 않는다.
    -비장애아이에게 양보, 희생을 요구하지말아라
    -장거리치료이니까 질적으로 누적 보다, 가까운 복지관에서 꾸준히 해주는것이 더 중요하다.
    -부모의 입장에서 아이를 완치시키려는 태도는 아이를 위한게아니라 더 괴롭게하는지 돌아봐야 한다.
    -10살이 포기하는 마음으로 인지적인내용을 빼고 운동만 시키지말고, 연장선으로 인지적인것도 해주면 좋다
    -치료를 많이 받는 부작용, 비싼치료스케줄에 맞춰서 자조기술이 쌓이지않는다.
    -우리아이의 생활은 무너지고 치료에 맞춘 삶을 살게 된다.
    -경험상 생활이 무너지면서 치료를 하는게 오히려 도움이 되지않는다
    -기본적인 신체인식 모방이 안되서 모방이 제대로 안되는데 좋은치료만 쫒는다
    -집에서 할수있는것 활동이나 생활을 아이가 할수있게 해주면된다
    -일상생활기술이 더중요하다, 평생치료하다 20살되서 자조기술을 배우고 있는다
    -장애인자녀에 대한 나의 편견을 깨는것,(사실 이부분이 한국살면서 제일어렵다)

  • @강옥환-g4f
    @강옥환-g4f 4 года назад +7

    참 이치료 저치료 시길과 금전도
    그런 시기가 있었네요
    부모님들 마음은 같을것입니다

  • @risaim7609
    @risaim7609 2 года назад +1

    여기 채널 너무 도움 많이 됩니다. 아이들 셔틀버스 기사가 되어 돌아다니는 삶에 의문이 많이 들었거든요. 감사합니다.

  • @TV-pi6wm
    @TV-pi6wm 3 года назад +7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조언 감사해요 ~!! 엄마가 할 수 있는 것을 아이도 할 수 있게 한다! 잘~~ 맞는 치료에 집중! 요즘 막연하게 이걸 느끼고 있었는데 명료하게 말씀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작은빛-z1q
    @작은빛-z1q 4 года назад +4

    좋은치료방향 정말 도움이 됩니다~

  • @나무-k8z
    @나무-k8z 3 года назад +2

    구구절절 다 맞는얘기세요 요즘 고민도 많고 결정할수있는것도 막막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sarangshon2554
    @sarangshon2554 3 года назад +2

    정말 이 채널 너무 좋네요.. 오랜 경험을 통해 나온 말씀들을 이렇게 들을 수 있다는 것이.. 정말 감사합니다.

  • @dua6798
    @dua6798 2 года назад +1

    경험을 통해 알려주신 말씀들이 너무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사람-d9o
    @이사람-d9o 3 года назад +4

    최근에 알게되었는데.. 너무 감사하네요^^

  • @멋진엄마-k7w
    @멋진엄마-k7w 3 года назад +2

    와 듣다가 소름이 돋았습니다
    내가 나만 마음이 급해 놓칠뻔한 것들을 여기서 깨닫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더 노력하는 엄마가 될게요ㅜ

  • @aromatozoe
    @aromatozoe 4 года назад +5

    잘 보고 있어요. 이번 편은 특히 유익하게 보았습니다^^

  • @부부작작
    @부부작작 3 года назад +5

    아이고 맘이 찡해요. 고맙습니다.
    보고 또 보면서 정신차려야겠어요.

  • @기다리다가
    @기다리다가 3 года назад +2

    너무 잘듣고있습니다. 제가 격었던,격고있는 고민이나 누구랑 이야기해도 답이 없던 이야기의 해답 인것 같습니다. 아이를 자립하는데 할수있는것 부터 가르쳐야겠습니다.

  • @이은자-x3f
    @이은자-x3f 4 года назад +38

    영상속 지현이 엄마입니다
    혹시 영상 보시고 오해하실까봐 글 올립니다
    넌 멀쩡하잖아 요 얘기는 잘못된 표현이예요
    그땐 제가 장애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던때라 저런 표현을 했었죠
    장애를 가지고 있는 제 딸아이가 비정상이고 치료를 열심히 하면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던 때예요
    그래서 저도 가족도 참 힘겨웠던 시절이었던것 같아요

    • @norang-lee
      @norang-lee 4 года назад +2

      좋은말씀 감사해요^^

  • @jazzdisk
    @jazzdisk 4 года назад +14

    감사합니다. 자폐6세 아빠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인생선배로서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myeumpiano
    @myeumpiano 3 года назад +3

    정말 중요한 얘기를 해주신 것 같아요 이 영상을 여러번 보는 것 같은데 저도 7세 앞두고 보니 말씀하신 그런 생각들이 스물스물 올라오네요.. 전 지리산까지는 못가고 가까운 경기도쪽으로 갈까봐요ㅋㅋㅋ 그래서 선생님 어느 센터에 계시는건가요 ㅎㅎ

  • @onestar0819
    @onestar0819 4 года назад +3

    아......도움되는 말씀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ㅠㅠ

  • @초록망고-u7y
    @초록망고-u7y 3 года назад +3

    조승아 선생님 어디에 계신지 궁금합니다

  • @Qwertyuiop-g1w
    @Qwertyuiop-g1w 4 года назад +3

    도움되는 말씀 너무감사합니다.

  • @Chloe-gt3qk
    @Chloe-gt3qk 3 года назад +4

    가장 효과 좋은 aba빼고 다 하신듯요. 안타깝네요.

  • @hanjungkim6404
    @hanjungkim6404 3 года назад +2

    우리애 만 두살. 옷입기, 옷벗기, 양치하기, 단추 잠그기, 단추 풀기, 양말 신기, 빨래통에 빨래 넣고 빨래통 돌리기, 물 따라 마시기, 목욕하기, 세수하기, 수퍼가서 물건 고르고 카드 내고 계산하기, 청소하기 가르치고 있어요.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일단 애한테 지시하면서 애 손 붙잡고 몇번 해주다가 니가해라 이러고 하면 칭찬해줘요. 양말이랑 단추가 어려워요… 샤워도 어렵고 다 어려워요. 이게 맞나 싶은데,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ㅠㅠ 대충 비슷하게는 다 하는데, 깔끔하게 잘 하게하는건 어렵네요…

    • @변관석-h9j
      @변관석-h9j 3 года назад +2

      현직에 있는 특수교사입니다. 라는 책을 쓰기도 했습니다. 졸저이긴 하지만요. 가정에서 자립생활 교육에 힘쓰시는 모습을 보니 참 대단하시다는 생각이 듭니다. 응원합니다. 다만 글만 보면, 해당 연령대 아이들의 인지능력이나 운동능력에 비해서(어떤건 비장애 아이들에게도), 다소 어려운 내용이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도 너무 잘 하고 계시지만, 제 짧은 소견을 추가해서 말씀드리면,
      1. 국립특수교육원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가 있습니다. 부모님들도 무료로 시행할 수 있는데요.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적응행동을 평가해볼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에 보면, 다양한 자립생활 기술들의 목록들이 제시되어 있는데요. 부모님께서 한 번 간단하게 검사를 해보시고, 아이에 현재 수준에 맞는 목표를 설정하셔서 차근차근 진행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2. 이러한 자립생활 기술들을 가르칠 때 가장 중요한 게 세 가지 있다면, 저는 과제분석, 충분히 기다려주기(시간지연), 일상생활에서의 꾸준한 반복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목표가 정해지고 나면, 그 목표를 실제로 부모님이 해보면서 잘게 나누어 줍니다. 그걸 과제분석이라고 합니다. 과제분석을 통해서 한 번에 가르칠 수 있을 정도로 잘게 나누어 가면서 차근차근 지도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하위 목표별로 가르칠 때 가장 중요한건 기다려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처음에는 몇 차례 행동을 시범보여주면서 가르쳐줄 수 있습니다. 그 이후에는 아이의 수행을 기다려주면서, 필요한 수준의 도움을 제공해나가는 방법을 활용합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제가 운영하는 블로그 가 있는데 한 번 들어와보시면, 나름대로 몇 가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촉진, 촉구, 최소촉진체계 등으로 제 블로그에서 검색해보시면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자료를 찾아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blog.naver.com/bjs718/222185635121
      blog.naver.com/bjs718/222387595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