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M] 반경 1.5km 벗어나자‥목록에서 사라지는 '맛집' (2022.03.16/뉴스데스크/MBC)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окт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1,2 тыс.

  • @전인숙-m8k
    @전인숙-m8k 2 года назад +1773

    좋은 취재입니다.일반인들이 할 수 없는 이런 꼼수들이 너무 심합니다.

    • @신사임니당-w2y
      @신사임니당-w2y 2 года назад +1

      근데 소비자들은 별 피해 없는거 아닌가요

    • @화양연화-g6t
      @화양연화-g6t Год назад +1

      ㅂㅁ1기사들 단건배달료 3천원 10년 동안 한번도 오른적 없습니다 1.9KM 3천5백원
      힘없는 배달기사들 업주들 등꼴 빼먹는 이런 기업은 꼭좀 벌받길 바랍니다
      픽업하고 조리대기 고객문앞 배달까지 20~40분 걸리는데 기사한테 배달료 3천원 줍니다 3천원
      초기비용 보험료 기름 오일 소모품 등등 다빼면 목숨걸고 길바닥서 일하면서 시간당 만원도 벌기 힘든게 현실 (서울 일부 특정지역 빼고요)

    • @RLAWT
      @RLAWT Год назад +41

      @@신사임니당-w2y 바로 앞에 좋아하는 음식점있는데 배달구역 그ㅈㄹ 때문에 못 시키잖아요

    • @무시하자
      @무시하자 Год назад +2

      @@RLAWT 바로 앞에 좋아하는 음식점 있으면 검색을 처하시면 되세요ㅋㅋㅋㅋ 가게 이름으로 검색 되는데 뭔 좋아하는 음식점인데 이름도 처 모름?

    • @Flowing_8175
      @Flowing_8175 Год назад +52

      @@무시하자 그건 단골들 얘기고요.. 고작 1.5킬로 떨어져있는데 검색조차 안된다면 가게의 존재자체도 모르니 단골은커녕 주문조차 없을텐데 점주들 손해도 생각해야죠.

  • @구름전주
    @구름전주 2 года назад +327

    단거리 위주로 하게 좋습니다 음식도 따뜻하고 배달 시간도 빠르고 라이더도 돈 더벌고
    근데 문제는 계약은 4키로로 해서 돈 받아먹고 검색은 1.5키로만 되게 해놨으니 문제인거

  • @gkfnlee7736
    @gkfnlee7736 2 года назад +923

    처음엔 편리하다가 독과점이 되버리는 독재구조, 오토바이는 넘쳐나고 식당은 죽고 배달앱만 돈 불리고..
    이런 고리를 없애려면 좀 불편함을 감수하고 직접 포장해오는 수고가 자리잡혀야 할거같다는

    • @옴마니반메훔-l6y
      @옴마니반메훔-l6y 2 года назад +38

      독과점 영화관에서 당하고
      빵집 빵가격 세계1위로 당하고 배달에서 당하는중
      이래서 독과점 막는거지

    • @허수와실수그사이
      @허수와실수그사이 Год назад +5

      @@옴마니반메훔-l6y 애초에 국민들이 독과점 만들어주고 독과점이 문제 ㅇㅈㄹ

    • @장진영-w2g
      @장진영-w2g Год назад

      @@허수와실수그사이 설사 대중들의 선택에 의한 독과점이라고 규제 대상입니다 ㅋㅋ

    • @카미카재
      @카미카재 Год назад

      돼버리는

    • @송성현-u9z
      @송성현-u9z Год назад

      한우가비싼이유와 동일함ㅋㅋ
      중간(플렛폼)에서 다가져감ㅋㅋ

  • @이모티콘-c4n
    @이모티콘-c4n 2 года назад +1323

    덮밥집하는 사람입니다. 배민....... 정말 더러운게 배민은 전혀 피해를 안보려 한다는 겁니다. 배민1에서 배민1 기사님이 음식을 떨어뜨려 음식이 파손되었는데 그걸 그냥 손님한테 전달해서 별점 1점을 받았습니다. 아니 배민에서 고용한 기사가 고의적으로 실수한걸 왜 가게에서 피해를 보나요......????
    음식이 문제가 있다면 가게에 별점을 부여하는게 맞지만 배민에서 고용한 기사가 잘못한 건 배민에서 별점을 받아야 하는거 아닙니까???? 돈은 돈대로 받고 피해는 가게한테 미루고..... 어쩔수 없이 배민 쓰기는 하지만 정말 더럽고 치사하다는 마음은 변하지 않네요......

    • @이모티콘-c4n
      @이모티콘-c4n 2 года назад +37

      @@데니스-b9i 이해가 잘 안되서 그러는데 다시 말씀해 주실수 있나요??

    • @이모티콘-c4n
      @이모티콘-c4n 2 года назад +33

      @@데니스-b9i 정확히 4일전요

    • @이모티콘-c4n
      @이모티콘-c4n 2 года назад +61

      @@데니스-b9i 그런데 기사가 그냥 배달했고 저는 그 사실을 리뷰 보고 안거예요

    • @freedancer0
      @freedancer0 2 года назад +10

      별점은 리뷰 쓴 놈 잘못.

    • @이모티콘-c4n
      @이모티콘-c4n 2 года назад +48

      @@freedancer0 그분 리뷰 타고 들어가보니 1~3점만 주면서 백종원 대표님처럼 무슨 평가만 하더라 구요. 굳이 부정은 하지 않겠습니다.

  • @공9-w8r
    @공9-w8r 2 года назад +399

    뉴스에 댓글 잘 안다는 편인데 간만에 너무 정성껏 조사하고 사람들이 놓치고있던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려주는 좋은 뉴스라고 생각해서 댓글 남기고 갑니다. 양질의 기사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뉴스 잘 부탁드려요!

  • @keithkim8777
    @keithkim8777 2 года назад +194

    진짜 배민 생양아치네요. 아니 단건 배달해준다고 비싼 수수료까지 개편해서 받아가면서 계약서에 배달권역은 3.5키로인데 검색 로직을 저런식으로 내부조작해서 1.5키로 근거리만 주문이 발생하게 하는거네요. 그래야 라이더들한테 줘야되는 배달비용을 절감할수있으니까 저렇게 하나 봅니다. 업주들은 근거리 주문만 들어오니 매장이 주거지랑 먼 거리에 업주는 완전 주문안들어올거구요.. 나름 플랫폼공룡이라고 큰 기업인 우아한 형제들 사장님들과 상생한다고 맨날 그러면서 저딴 생각을 하는것도 웃긴데 실행하는 돌아이들인 첨봤네요.

  • @eunbinjeong1743
    @eunbinjeong1743 2 года назад +195

    너무 좋은 내용의 취재입니다

  • @sun-2311
    @sun-2311 2 года назад +693

    취재 방식도 좋고 내용도 국민에게 정확하게 인지시킨거같아 칭찬합니다

    • @말이씨대로돼
      @말이씨대로돼 Год назад +4

      ​@@하이-j1t4q 시청자가 곧 수요인데? 칭찬 필요하지

    • @토토로-n6w
      @토토로-n6w Год назад

      @@말이씨대로돼 시청해주는거야 그렇지 ㅋㅋ 지들이 칭찬해서 뭐하게 ㅋㅋ 맞자나

  • @Better__Me
    @Better__Me Год назад +57

    저는 배달음식 끊었습니다. 배달비써서 베민1 초반과 달리 4-50분 걸리고 플라스틱, 과식, 치우는 것 모두 현타.. 집에서 밥해먹으면 배달 음식 오기 전에 설거지까지 다 끝닙니다. 건강히 먹고 돈 아끼고 쓰레기 안나와서 좋음.

  • @boradori777
    @boradori777 Год назад +76

    이런 문제로 인해서 쿠팡 , 배민이 싫다고 자체 배달원을 고용해도
    소비자가 앱으로만 주문을 하니 다시 돌아가고 싶어도 돌아갈수가 없는것이 제일 큰 문제지만
    그렇다고 식당이 다시 자체 배달원을 고용하지는 않을꺼란 사실
    결국 해결불가 , 플랫폼의 횡포는 점점 심해질꺼고

  • @user-Kimjunyoung
    @user-Kimjunyoung 2 года назад +195

    그냥 초반에는 커나가면서 점주들을 위하고 배달기사들을 위하고 이용자들을 위하지만 자리잡고 업계순위 정착되고 고인물되면 이제는 돈벌 궁리에만 신경쓰죠. 그때부터 그냥 뭘하든 돈버는것에 더 치중하는거죠. 한국 기업들은 특히 더 한거 같아요. 배달 앱부터 시작해서 온라인 쇼핑몰이나 오픈마켓 등등 네이버 같은곳, 카카오 등등 똑같이 행동하죠.

    • @조인기-k3f
      @조인기-k3f 2 года назад

      콜👍

    • @rundmc7469
      @rundmc7469 2 года назад +2

      독일꺼에요 그럴려고 시장독점전까지 수조원 뿌려가면서 적자운영한거죠 ㅋㅋㅋ

    • @user-Kimjunyoung
      @user-Kimjunyoung 2 года назад

      @@rundmc7469 하긴 독일로 넘어갔다고 듣긴했는데 돈 많이벌어가겠네요 ㅋㅋ

  • @空白-m7j6r
    @空白-m7j6r 2 года назад +2

    4:32 배민 일 해보면 아는데 저기 절반 나눠져 있는 구가 왼쪽으로 중부센터(지도상 보이는 종로,중부,용산), 오른쪽은 북부센터(성동,성북,동대문)라 센터간 연계가 힘들어 주문이 짤려버리는 현상이 나타나는거임. 배달하는 입장으론 다른 구 넘어 시외 도시까지 못가게 하는게 좋긴한데 업주입장으론 좀 힘들긴 함, 저런 가게들은 배달대행 위주나 쿠팡이츠로 넘어가는게 좋음 아니면 센터 위치 다 알고 이사가는거 밖에 답 없음. (참고로 쿠팡은 저렇게 센터를 안 쪼갬, 일하다 보면 다른 도시까지 보내버려서 라이더들이 꺼려함

  • @우루부루-s9o
    @우루부루-s9o Год назад +300

    새로운 플랫폼이 필요하다.
    배민, 요기요 같은 외국 업체에 팔리고 서로 경쟁이 되지않으니 독과점이 되어
    소비자와 업체 모두 피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 같다.
    그리고 배달대행, 배달대행앱 수수료 문제도 해결이 됐으면 좋겠다.

    • @KK-jb5yr
      @KK-jb5yr Год назад +13

      있는데 사람들이 안쓰는거죠
      배민에 밀려서 홍보도 안되고 사장님들은 그걸 쓰는 사람이 얼마 없으니 입점 안하려하고 입점이 적으니 사람들은 더 안들어오는 악순환
      업계 선점이 이렇게 중요합니다

    • @dasimamatjelly
      @dasimamatjelly Год назад +22

      @@KK-jb5yr 배민 갑질이 싫어서 점주들에게 수수료 없는 지역 배달 플랫폼 이용하려고 다운받았는데 배민과 금액그대로...근데 그 금액이 가게 방문해서 먹는 금액보다 비쌈 ㅋㅋㅋ 그리고 리뷰이벤트도 없고... 수수료 없이 그 앱을 이용해서 판매하는거고 어차피 최소주문 금액있고 배달비는 똑같이 받는거면 원래 방문해서 먹는거랑 금액이라도 같이 팔던가... 좋은게 좋은거라고 서로 상생하려고 다운받았는데 소비자한테는 좋을거 하나없어서 바로 삭제함 ㅋㅋㅋㅋ

    • @lofigamestudio
      @lofigamestudio Год назад +5

      경기도에서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만들었는데 지금은 유명무실해진 상태입니다. 쿠폰도 없고 가맹도 적고 가장 중요한 건 수수료를 적게 떼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가게 생각해서 거기서 시키려고 해도, 음식점들조차 오히려 기존 배달앱과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더 리뷰이벤트를 지급하는등 역차별을 하고있다는 겁니다. 약간이라도 할인혜택을 주는 가게가 있긴 있지만 손에 꼽히고 워낙 주문이 없다보니 그마저도 주문을 막아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 @레스터잔류9
      @레스터잔류9 Год назад

      @@KK-jb5yr 그니까 후발주자면 혁신을 해야하는데 혁신을 안하잖아 뭐 쿠팡이츠라던지 그런것들 아무리 나와도 다 지들이 쳐먹는데 소비자가 굳이 바꿀 이유가 없잖아

  • @H_Ryl
    @H_Ryl 2 года назад +86

    제가 자주 먹는 맛집도 어느순간 딱 목록에 뜨지 않아서 찜표시 리스트에서 항상 주문하는중입니다
    정말 취재해주신 반경 밖이네요
    뭐 이딴ㅜㅜㅜ

  • @vmmv_gz
    @vmmv_gz 2 года назад +16

    배민 한번 주문 하고 맛있는 집은 전화로 주문 한지 2년쯤 된거 같은데 사장님들이 고맙다고 양이나 서비스 줄때도 있음 특히 참치집 사장님이 특수 부위를 늘 더 줌 다들 전화 주문 해보세요

  • @urialia2388
    @urialia2388 Год назад +153

    독점이 이렇게 무섭군요 빨리 좋은 대안이 등장해서 사장님들이 좀 편해지셨으면 좋겠습니다.

  • @쩝쩝-m6m
    @쩝쩝-m6m 2 года назад +311

    좋은 취재다. 구 경계선 있는거 첨 알았다. 김밥 만두같은 분식 경우 단가가 적으니 피크타임에 닫아놓는 플랫폼 횡포 나왔었는데. 반경 4킬로까지는 원래 지키지못할 약속이 아닌가 싶다.

    • @johannlee7005
      @johannlee7005 2 года назад +2

      그거 닫는 건 점주가 닫는거에요.

    • @쩝쩝-m6m
      @쩝쩝-m6m 2 года назад +10

      @@johannlee7005 집중취재m 저녁 피크타임에 배달주문 뚝. 보면 주문제한을 자체적으로 플랫폼이

    • @user-2jaemyung
      @user-2jaemyung 2 года назад +1

      닫는건 점주가

    • @alska713
      @alska713 Год назад +7

      @@johannlee7005 이분이 말씀 하시는 건 피크 때 '주문 폭주로인한 주문 불가'라던가 그런 걸 이야기 하시는 듯합니다
      요새는 안 그러는 것 같던데... 한 때 피크 때 멀리 있는 곳은 주문 막아 놨었엇음 간헐적으로 주문폭주 되면

    • @alska713
      @alska713 Год назад

      와 저거 좀 이상하네요 근데 주문할때 구 권역 주문할 때도 기사 출근도 그거 다 허물은 걸로 아는데

  • @노승태-k5n
    @노승태-k5n 2 года назад +403

    이 나라는 어떻게 된게 서민들을 위한 법은 국회문턱을 넘기가 왜 이리 힘든건지?
    지들 입맛에 맞는 법은 잘도 통과시키면서 이런 법은 왜 통과를 안 시키는지 도무지 알수가 없네.
    신기한 일이야.....

    • @redarishem
      @redarishem 2 года назад +29

      국힘이 반대했었잖아요 ㅠㅠ

    • @dreamer5958
      @dreamer5958 2 года назад +6

      정치인들은 자본에 붙는 것이 자신들에게 이득이라는 것을 너무도 잘 알기 때문이죠.

    • @wolf_6614
      @wolf_6614 2 года назад +14

      이래서 대통령 선거는
      남들, 가족들이 하란다고 생각없이 투표하는게
      아니라 자기 생각을 믿고 소신껏 해야하는겁니다.
      공약이행률이 떨어진다한들 사람을 보고 공약을 보고 뽑아야하죠 여야 둘이 그놈이그놈인데 뽑아봤자 똑같은 놈들인거구요. 나라탓할께 아니라 본인이 대통령을 잘못 뽑은 탓을 해야맞는겁니다.

    • @userous748
      @userous748 2 года назад +3

      그거 니가 윤석열같은놈 뽑아서

    • @노승태-k5n
      @노승태-k5n 2 года назад +16

      @@wolf_6614 내가 누굴 선택했는지 그건 내 자유고 그게 누구였는지는 님이 아실 필요는 없습니다만 누굴 뽑았던 서민들을 위한건 우선 순위가 되어야 하는데 이 나라 정치인들은 지금의 여든 야든 당선만 되면 서민들을 위한 일은 항상 뒷전인게 문제지요.

  • @나비비비야
    @나비비비야 Год назад +12

    기자님!!! 자영업자의 고민과 소비자들의 권리까지 생각하는 취재 너무 좋습니다. 이런거 아무도 몰랐을껀데 이런건 진짜 많이 알아보고 노력했을껀데 훌륭한 기자되세요

  • @황홀-s2j
    @황홀-s2j Год назад

    배달구역 따라 나뉘는 거 당연하죠. 그게 부담되면 상가로에 30만원씩 주면서 홍보하고 찌다시 만들어서 돌리면서 전화주문 받아보세여 한번, 쎄빠지게 돌렸는데 건물 관리실에서 전화오고 민원 들어와서 또 때러가보면 아 .. 하고 느끼실거예요. 또 주문하고 째는 인간들 얼마나 많은지 아십니까? 배민 전부터 배달장사하신 분들 인터뷰 해보세요. 이렇게 좁은 시선으로 (의도가 있겠지만) 뉴스를 만드니 돌아가는 건 1도 모르는 분들은 와 그냥 배달앱만 나쁘네 ~ 하죠

  • @kyk8987
    @kyk8987 2 года назад +8

    어쩐지 가까운데 배달 안되냐고 전화하니
    관할지역 아니라 안된다고 하시던 업주말씀이 있었는데
    그런거구나.... 밤에 야식먹으려고했었는데하 ㅠㅠ

  • @__Youth
    @__Youth Год назад

    주문 거리가 멀어지면 주문고객이 지불하는 배달 수수료가 늘어나는 가격에 비해 배달기사들에게 줘야하는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더 늘어나는걸로 알고 있음. 피크시간 기준. 근데 기사들은 수수료 4천원 짜리가 8천원으로 두배로 올라도 배차를 잘 안받는 경우가 많음. 왜? 대부분 식당은 번화가에 밀집된 구조임. 지역마다 장사 잘되는곳에 주문이 또 뜨는데 멀리 베달가는 만큼 다시 그곳으로 돌아가야할 확률이 높음. 재수없으면 빈차로 가야함. 그러니 그냥 주변에서 단타만 빠르게 치는게 좋으니 장타를 기피하게 되고 장타 콜이 쌓이면 배민은 골칫거리가 되고 배달 수수료를 더 올려서라도 빨리 처리해야함. 안 그러면 클레임 등으로 취소가 되거나 이미 조리된채 라이더가 오기를 기다리다 뿔거나 식어가는 음식이 생김. 재조리 하게 되면 그역시 다 배민이 배상해야함. 그러니 장타 주문 비율을 낮출려고 꼼수 부리는 거겠지. 소상인들은 배달 수수료를 개인점주가 조율하지만 프렌차이즈 같은경우는 거리가 100미터도 안떨어져있어도 최소 배달료가 4천원씩 설정된곳도 있음. 그만큼 지금 배달 시장이 소비자에게 다 뒤집어 씌유는 경향이 많다. 음식값도 배달료도 따로 받음에도 불구하고 매장에서 먹을꺄 메뉴당 500~1000원 가량 싼경우가 엄청 많음.

  • @오초해
    @오초해 Год назад +19

    포장해와서 먹는 사람인데 되도록 포장주문 많이 했으면 하네요. 압주들도 배민배달음식은 제대로 주고 포장주문 전화주문은 양 적게 주고 오래된거 주고 그러지 말았으면 좋겠네요

  • @천신의철퇴
    @천신의철퇴 2 года назад +1

    앱의 문제점과 악용 사레를 통한 법적인 제동 장치가 필요함!
    상업성만을 목적으로 하는 앱은 모든 이용자와 업주에게 치명적 피해를 줄수 있다는 증거.
    외국계 업체들에 대해서도 한국법에 테두리안에 들도록 제도 장치도 마련해야 된다.
    가뜩이나 어려운 코로나 시기에 가격상승+ 배달비용 까지 부담해야 하므로 소비자, 업소 모두에게 해가 된다.
    편리함의 이면속에 숨은 "절대적 지위"의 악용성은 사라져야 함.
    이러한 악용은 한국 요식업계를 병들게 한다.

  • @neighborhoodzoo
    @neighborhoodzoo 2 года назад +3

    좋은 취재 칭찬합니다!!!

  • @kdo77710
    @kdo77710 Год назад +1

    전 배민 끊은지 몇달 됩니다. 대구에선 대구로 어플 사용해서 콜택시나 배달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거든요! 카카오 택시도 끊었어요. 한 업체의 독과점 구조라는게 정말 무섭죠. 자기네 영업방식이 이런건데 왜 이러면 할말이 없어요. 고객이 떠나는수밖에 없겠죠. 전 대안이 있어 떠났지만 모든 지자체에 같은서비스를 시행하거 있는게 아니어사 안타깝네요. 하다못해 젤 인구가 많은 서울시에서라도 꼭 대구로같은 지역 어플 시행해주엇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 @deflepsteve
    @deflepsteve Год назад +17

    정말 좋은 취재입니다. 성원합니다. 이런게 언론의 역할이고 기자분들의 사명감이라고 칭찬합니다.

  • @TUSCARON
    @TUSCARON Год назад

    다들 사정이 있어 배달 시켜 드시겠지만 포장 방문하면 기본적으로 2,000원 정도 쌉니다
    (매장 가격과 플랫폼 가격이 같은 곳은 거의 없음)
    애초 플랫폼에 나오는 가격은 99% 원래 가격보다 2,000원 정도 비싸요
    그래서 포장 주문도 가게에 직접 전화 하시거나 가셔서 해야지
    플랫폿으로 포장 주문 하는 순간
    내가 직접 가게에서 사오는 것 보다 수수료가 붙습니다
    저희 동네 유명한 순대국집 조차도 플랫폼 이용하려다 그냥 직접 가지러 왔다고 하니까
    당연히 그게 나으시다고, 어차피 직접 가져가실건데 수수료 내면서 드실 필요 있겠냐고 하시더라고요
    순대국 치고 좀 비싼 감은 있지만 직접 사요면 11,000원인데 플랫폼 통해 시키면 13,000입니다
    그냥 포장 해달라고 즈그 앱으로 주문 시켰다고 2,000원을 더 떼가요 ㅎ
    "난 저럴줄 알고 플랫폼에서 포장 주문해요!!!"

  • @송병수-x3m
    @송병수-x3m 2 года назад +43

    이런기자분들이 늘었으면...

  • @coolbk9466
    @coolbk9466 2 года назад +1

    바로옆동네인데도 쿠폰이 뜨고안뜨고 ㅋㅋㅋ 하지만 견제할 업체가 없다.
    요기요는 할인쿠폰 겁나 남발하다가 이젠 수수료떄문에 많은 업체들이 빠져나갔고...

  • @뜬금능력자-t4x
    @뜬금능력자-t4x 2 года назад +32

    가까운곳 맛집 찾아서 시켜드세요
    거리가 멀면 배달비 비싸고 배달 시간도 오래걸려요~ 그리고 거리 1.5km 이상되면 배달 기사도 배달 가는걸선호하지 않습니다 ㅋㅋ
    단 배달만 되는곳은 일단 거르세요
    그런곳 가보면 위생시설 엉망인곳이 대부분이에요
    포장 배달 가능하고 가까운곳 잘 찾아서 주문하는게 퍼팩트입니다 ㅋㅋㅋㅋ

    • @쭈삐쭈삐-u2r
      @쭈삐쭈삐-u2r 2 года назад +2

      역시 배신의 민족!!

    • @hajunghun79
      @hajunghun79 2 года назад

      쿠팡이츠 쓰세요..

    • @Kugiming11
      @Kugiming11 2 года назад +5

      여기서 논점은 식당은 강제적으로 판매지역이 줄었다는것, 그리고 소비자도 음식점 선택의 폭이 줄었다는겁니다. 배민의 일방적 알고리즘으로요. 능력자님 말씀대로 가까운 맛집찾아서 시키는것도 맞지만 그것또한 소비자 선택이에요. 먼 곳이어도 원하는 음식을 시킬 수 없도록 강제하는게 문제입니다. 이유도 배달경쟁 및 거리를 줄여 마진올리려는게 뻔히 보이잖아요. 그게 절못된거죠 배민혼자 이익보고 피해는 가게에 떠넘기는거니까요

    • @뜬금능력자-t4x
      @뜬금능력자-t4x 2 года назад

      @@Kugiming11 맞는 말씀 입니다~

  • @Passion_88
    @Passion_88 2 года назад +2

    보나마나 검색어 광고, 홍보시스템에
    광고 수수료 설정에 차이가 있겠네요.
    잘되는 집은 부담없이 광고비 펑펑 쓸수 있으니ㅎ
    네이버도 마찬가지고
    배민뿐만이 아님

  • @shin7183
    @shin7183 2 года назад +24

    배민으로 검색만하고 음식은 직접전화해서 하는데 배민은 최소하 하려고 노력합니다 서로상생을 해야하는데 돈독이 제대로 들어 초기 창업정신을 잃은것같네요

  • @secret5673
    @secret5673 2 года назад +2

    거리가 먼데 한 가게로 주문이 몰리면
    배달시간도 너무길고 배달료도 비쌈
    거기다 바쁘면 음식 품질 저하 문제도 발생할 확률도 올라감 배민은 고객들에게 저렴하고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 하기위해 노력한거임
    그런데 경계지역에 가게가 있어 범위가 줄어드는건 크게 문제가 있는듯 개선필요함

    • @spb6425
      @spb6425 2 года назад

      주문이 몰린다는 건 맛집이고 배달시간, 배달료, 퀄리티의 위험성은 소비자가 판단하여 주문할 것이며 가게에서 해결해야할 문제이지 배민이 통제할 일이 아닙니다. 가게에서 100인분 만들 재료와 설비 그리고 인력을 준비했는데 50인분만 팔아라는게 맞는 건가요?

    • @a_magpie
      @a_magpie 2 года назад

      경계지역에 가게가 있으면 점주에게 사전고지하고 수수료를 경감시키는 등의 대안을 쓰면 되지않나

  • @프레스턴가비
    @프레스턴가비 2 года назад +51

    반경 2km도 안된다니 저게 무슨 개소리인지.. 일반적인 배달거리만 생각해도 이건 장난이 너무 심각한거 아닌가요? 권약 삥땅 친걸로 따지면 75%를 사기 친건데..

  • @lovorcat
    @lovorcat Год назад

    배민1 시스템에 대한 취재네요.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단건배송이란 이유로 배송비가 기존 배달 대행료보다 너무 비싸서... 그나마 4km 까지 적용된다고하니 그려러니 했었는데....실제 노출을 1.5km로 설정해놨었군요... 애초에 점주에게 배송료를 많이 부담시키는게 배민1이던데....

  • @y2ktoo232
    @y2ktoo232 2 года назад +8

    현제 세종시에서는 드론으로 피자배달을 일부지역에서 시험배달 중인데, 법적인 문제가 깔려있겠지만 최소한 시골기준으로는 드론 상업화를 적극적으로 검토하면 좋을듯

    • @오뚜기형-e4h
      @오뚜기형-e4h 2 года назад

      중간에서 내 드론으로 갈아채면 재밋을듯

  • @황일석-q7u
    @황일석-q7u Год назад

    거리를 1.5km로 제한하면 어차피 가까운 다른집으로 주문해서 국가적으로는 기름값 아끼고 손님도 나눠먹으니까 지역경제에 더 좋은거 아닌기? 근데 경계 가까우면 불리한 점은 고쳐야할듯

  • @commercial1-l7d
    @commercial1-l7d 2 года назад +33

    기상이 안좋을때 그런건 백번 이해함 기사수급이 안되니까 ! 근데 왜 만두를 검색했는데 엉뚱한 가게들이 뜨게 만드냐규

    • @아큐라1
      @아큐라1 2 года назад

      그가게들도 만두를 팔아서 일꺼임 치킨집에서 떡볶이까지같이 팔연 치킨도나오고 떡볶이도 나옴

    • @그린티-k4u
      @그린티-k4u 2 года назад

      걍 만두 메뉴 가진 집들이 다 떠서 그래요

  • @fury1961
    @fury1961 Год назад

    같은 배달권에 있어도 검색이 안돼는 곳이 허다하다. 가게에 가보면 여전히 장사는 하고 있다.
    예를들어, 수유동에서 수유동 지점이 검색이 안돼고 쌍문동 지점이 검색이 된다.
    고객은 수유동지점에서 주로 주문을 하여 먹었는데 오늘은 검색이 안돼서 배달료를 더 지불하고 쌍문지점에서 주문하여 먹는다고 했다.
    그렇다면 수유동 지점이 영업을 하지 않았나?
    아니다 영업은 정상으로 하고 있었고 주문이 많아서 어플을 잠근 상태도 아니였다.
    이런 상황은 배달 라이더들이 제일 잘 안다.
    그래서 어디에나 많이 있는 커피등 음료나, 마라탕과 같은 흔한 일반적인 음식들도 멀리서 주문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무슨 속샘인지 정확히는 알수 없지만 꼼수가 있는 것은 확실하다.

  • @urimlee0811
    @urimlee0811 2 года назад +7

    그러니까 동그라미를 지역설정을 많이해서 교집합이 생기면 더 쉽게 노출됨. 점주들이 돈을 많이 써라는 내용
    돈 없어서 동그라미 지역 하나밖에 없으면 1. 5km거리 안의 사람들만 봄

  • @우연히아니야우리만남

    배달의 민족은 깃발꼽기로 장사를 하게 만든 구조였죠. 깃발 한개당 88000원/월
    업소가 적은 동네는 몇개 안해도 소비자가 조금만 올려보면 나올수도 있는데 업소가 많은 동네의 경우 경쟁이 붙어서 깃발 10개 정도는 한다더군요.

  • @터틀맨-h7u
    @터틀맨-h7u Год назад +7

    저 정도면 의도적인 사기다!!
    관련법이 미비하다는 것을 너무 잘 알고 있는 상황에서 최대한 고객들을 등쳐먹고 있는 상황.
    진짜 상종못할 양아치들.

  • @jhh7933
    @jhh7933 Год назад

    배달앱 매출 3조원이라는 큰 돈이 어디서 나오겠냐 다 저런식으로 자영업자들 뜯어내서 얻는 수익이지
    그런데 자영업자들이 바보도 아니고 그렇게 뜯기면 누구에게서 손해를 보전하려고 하겠냐
    다 소비자 즉 고객들에게 뜯어내 손해를 보전하려고 하지 그러니 음식가격은 계속 오를수 밖에 없고 급기야 요즘에는 똑같은 메뉴인데도 매장가격과 배달 가격이 다 다르다
    심지어 배달비는 다 따로 내는데도 이런 일이 벌어지는 것이 결국 다 배달앱 떄문이라는 거 배달앱이 생김으로해서 대한민국 배달 음식 가격은 거의 두배 이상 올랐다고 보면 된다

  • @mermaid4233
    @mermaid4233 2 года назад +40

    배민라이더스에서 배민원으로 바뀌면서 이렇게 됐구만. 1.5km 넘으면 보통 배달대행업체는 할증 받는데, 배민 입장에서 아무리 배달팁+음식값15.6%라 해도 거리할증도 더 받을 수 없고, 그냥 1.5km이내 배달만 소화해도 포화상태니 이렇게 운영하는 듯

    • @블베-z5i
      @블베-z5i 2 года назад +1

      이상하네 딸배들은 6km 이상 타는데

  • @--han--
    @--han-- 2 года назад +2

    어차피 다 예상할 수 있는 상황들이고 앞으로는 더 심각한 일들이 더 벌어질 것이다.
    2가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주문고객들이 편리성을 위해 몇몇 프로그램에 종속되는 한 그 편리성을 돈으로 메꿔야 되고,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 장사해야 되고 타점포를 이기고 돈벌려면 오히려 그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모든 것을 돈으로 다 메꿔야 한다.
    이 2가지 문제는 결국 주문 소비자들에게 편리한 대신 더 많은 돈을 내라고 할것이며 종내에는 배달전문이 아닌 일반 점포들의 판매가격 상승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편리함에 대한 댓가를 지불하는게 서비스업이긴 하지만 그 편리함에 계속 종속되는 어느 순간에는 지나친 금액을 지불하게 되고, 또 내가 선택할 수 있는 한계가 점점 더 작아지게 되는걸 모르거나 혹은 길들여져 살게 될것이다.

  • @g.l.y7591
    @g.l.y7591 2 года назад +17

    여담입니다. 아무리 배달전문점이라지만, 명색이 맛집이라는 데의 바닥 상태가 저런 건가요. 박스를 깔았다는 건 날마다 청소 않을 수 있다는 거 아닌가요. 만약 그렇다면 벌레 번식합니다.
    저도 가게 일 해봤지만, 홀 장사 하는 데는 거의 박스 안깔죠.

    • @변태-l6n
      @변태-l6n 2 года назад +1

      배달가계 한번 뒤엎어봐야함 위생상태 말도 안되는곳 많음

    • @asmr-hj1jz
      @asmr-hj1jz 2 года назад

      배달음식점 저정도면 호텔급인건아셔야되요 말도안되는데가많아서

  • @jinsim1004
    @jinsim1004 Год назад

    갑질쩌네.. 기업이나 조직이 쓸데없이 커지면 그 조직을 유지하기위한 고정비가 많이 들어서 상생할수있는 구조를 만들기힘들고 이익을 많이 취해야만 하는 구조로 갈 수 밖에 없는지도...

  • @에스페로-u8c
    @에스페로-u8c 2 года назад +26

    진짜 훈훈하네요.

  • @한남동황태자
    @한남동황태자 2 года назад

    우.형이 상장되면 투자할려고 생각했지만 막상 자영업을 해본 순간 여긴 10년이상 갈 것 같지 않다라고 생각이 들었음..언젠가 수많은 회사처럼 한순간 쇠락되다가 누군가한테 잡아먹힐것 같다...

  • @user-csj1976
    @user-csj1976 2 года назад +7

    배민만 쓰다가 쿠팡이츠 썼더니 메뉴 와 가계가 조금 줄었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배달빠르고 가격경쟁있고 괜찮던데 ~ 거기도 자영업자 횡포인가? 먼곳까지 다 검색 뜨던데

    • @idm2m
      @idm2m 2 года назад +8

      쿠팡은 뭐 다른쪽으로 갑질최강이죠..

    • @justdoitself
      @justdoitself 2 года назад +3

      쿠팡도 다를 것 없습니다\

    • @중부피돌이
      @중부피돌이 2 года назад

      기사들이 더 거르는데가 쿠팡이에요
      배민은 제한이라도 하지 쿠팡은 제한도 안해서 진짜 콜 뜨는거보면 10km이상 달려야되는걸로 오지게 나옵니다
      단가는 또 드럽게 낮아오

    • @aaaaaa-hr8ve
      @aaaaaa-hr8ve 2 года назад +1

      피크때 쿠팡 기사배차안되서 음식쌓야던데.거기도 문제많음.배민보다 더했지 덜은아님

    • @미니돈까스-c7r
      @미니돈까스-c7r 2 года назад

      가계가 아니고 가게

  • @ukee69
    @ukee69 Год назад

    내가 먹고 싶은 음식을 편하게 먹으려고 배달을 시키는데 이젠 배달하는 사람들이 갑이 되어 구역을 나누고 자기 구역 음식밖에 못 먹게 하는구나 ㅋㅋㅋ ... 이 배달앱만의 문제일가? 업종들 서비스앱들 대부분 그럴걸... 부동산앱도 마찬가지 내가 원하는 집 찾으려고 부동산앱 찾는데 이젠 부동산앱에서 강제로 추천해주는 집을 구하게되는 ㅋㅋㅋ 이게 검색의 함정이지 조작할수 있다는

  • @user-多成
    @user-多成 2 года назад +20

    배달앱 허가 취소하고
    그런거없었던 시절로 돌아가면 된다

  • @진형송-n1k
    @진형송-n1k 2 года назад

    아파트 지역 배달은 좀 꺼려지긴하더라.. 아파트는 일단 진입부터 입주자 방문자 구역 따로 나눠놓는곳도 있고 들어가서도 엘리베이터 기다리는 시간 나와서 금방에 식당이 없다라는점등 여러 불리한 사항이 많음 배달기사들도 특정 아파트 오피스텔을 안잡는 이유가 다 여기에 있음
    들어갈때 방문자 이름 연락처 업체명 적어야하지 엘리베이터 한번 올라가면 한참 기다려야하지
    솔직히 똑같은 배달비 받으면서 이런곳 가는거하고 가까운 다세대 주택가는거하고 천지차이죠.

  • @므이-x7u
    @므이-x7u Год назад +3

    우와 취재 정말 열심히 하셨네요.
    너무 좋은 뉴스입니다. 칭찬합니다.

  • @곰팅곰팅-n2s
    @곰팅곰팅-n2s 2 года назад +1

    1.5km가 배달원 기본단가 거리인데 거기서부터 할증붙고 관할지역 벗어남 다른권역 넘어갔다 돌아오는 배차가 없어서 안가는현상으로 배달기피라서 할증이 최소 두배이상 되야가니 ......
    예전엔 배달원도 다보이고 권역도 컸는데 요즘은 엄청줄임 그리고 배달기사만 돈버는거처럼 플랫폼이 조작함 실상은 플랫폼만 부자됨

    • @중부피돌이
      @중부피돌이 2 года назад

      플랫폼도 단건배달은 10적자임
      승자가 없는 게임임

  • @TonyChang2277
    @TonyChang2277 2 года назад +3

    제대로 음식먹는거는 가급적 식당가서 막나왔을때 먹는게 젤 낫다. 배달음식은 손님으로서 맛난 음식을 반찬 리필도 받으며, 먹는 그 권리를 포기하는듯한 느낌을 가진다.

  • @mskim355
    @mskim355 2 года назад +1

    네이버 검색처럼 돈을 내든가 광고를 하라는거죠.
    배민도 말이 좋아 배달앱이지
    음식점 광고판 아닙니까..
    돈 더내면 많이 노출 시켜주겠죠...
    네이버검색하면 파워링크라고 돈내고 홍보한 업체가 먼저 검색되듯이..

  • @skfgdjwydh
    @skfgdjwydh 2 года назад +187

    제가 이래서 배민을 이용을 안하는데 가게 전화해도 방법이 없어서 가게 입장에서 다시 배민으로 주문하라고 합니다 기사가 안잡혀서;;; 가게기사있는 곳을 우선 시키게 되네요

    • @user-kb1dq3dh6v
      @user-kb1dq3dh6v 2 года назад +15

      배민원 말고
      배민 일반 배달로 주문하면 됩니다
      그게 가게 도와주는거에여

    • @stom1004
      @stom1004 2 года назад +2

      평생 배민쓰다, 이제 쿠팡씀 배달비도 다름

    • @J브루
      @J브루 2 года назад +30

      @@stom1004 쿠팡이 더악질에 고객센터도 최악임

    • @김실-w9i
      @김실-w9i 2 года назад

      가게기사있는데가 있나 피자집말고

    • @진형송-n1k
      @진형송-n1k 2 года назад +1

      @@stom1004 쿠팡이나 배민이나 어찌됐던간에 본인이 거주하는곳이 어디느냐에 따라서 배달기사들이 꺼려하는거에요.
      택시기사만 해도 내가 들어가서 다음 콜을 잡아서 나올수있는곳이냐 아니느냐에 따라서 갈리는데 배달은 어떻겠음?
      그 아파트단지내에 상가가 많으면 모를까 상가도 없고 그냥 오로지 아파트만 있는곳에 배달가서 나올때는 빈차로 나와서 또 한참가서 음식 잡고 이러면 누가 가고싶을까요?

  • @차지환-b3j
    @차지환-b3j Год назад

    알고리즘 때문에 계약과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중이라는건데......
    지역별로 나누고 거리별로 나누고 배달구역별로 나누고.... 뭐하자는건지.. 알고리즘 노출조건을 하나로 해도 제대로 노출이 안될껀데 3개씩 거처가며 띄우고있네..

  • @JGkim-nc5tb
    @JGkim-nc5tb 2 года назад +216

    뉴스에서 매번 이렇게 보도하면 뭐합니까? 달라지는게 하나도 없는데 얼마나 뒤 봐주는 인간들이 빵빵하면 저렇게 대놓고 악질적인 기업운영을 하는데도 전혀 개선이 않될까요.
    자영업 하시는 분들 정말 분통이 터질거 같습니다.

    • @adjkill1
      @adjkill1 2 года назад +7

      난 2년 전에 갑질 뉴스보고 배달앱 지우고 상가록이나 인터넷으로 전화번호 알아서 주문함

    • @스톡시
      @스톡시 2 года назад +11

      보도로 인해서 바뀔수도 있는것이니까요 물론 업체가 들어 먹어야 되는 문제지만...

    • @김갈이
      @김갈이 2 года назад

      @@스톡시 안바뀔 가능성 99퍼죠 뭐 ㅋ
      대통령 바뀐다고 나라 안바뀌듯이

    • @난이-f2m
      @난이-f2m 2 года назад

      친일파랑 그 지지자들을 다 묶고 개패듯이 패면 이런 일도 사라짐.

    • @skydra1861
      @skydra1861 2 года назад

      않 ㅋㅋㅋㅋㅋ

  • @hkeopi53
    @hkeopi53 2 года назад +2

    나도 그러더라고요 배달의민족에서 주문을 많이하는데요 어제만해도 분명 제가 주문한 저번에 먹은 김치찜 가계가 검색하니깐 사라저서 당황 그래서 다른데에서 시켜먹었는데 맛도 없고 짜증나더라고요

  • @YURI-bh2cc
    @YURI-bh2cc Год назад +6

    좋은기사입니다~! 간만에 좋은취재봤네요 이런기자님들이 많아지길

  • @meyang5778
    @meyang5778 Год назад

    예전에 맥딜리버리가 구역별로 나눠 두는 바람에(지금도 그럴러나?..) 그래서 직접 고객센터의 문의 했었는데 절대 안된다는 소리만 답변 받았던 게 생각나네요. 집 앞 횡단보도 건너면 행정동이 달라서 가장 가까운 패스트푸드가 걸어서 15분거리 맥도날드인데도 버거킹과 롯데리아만 배달이 가능했던.. 퇴근하면서 한달에 한~두번 포장해오던 매장인데 쉬는 날에 귀찮아서 그냥 배달하고 싶을 땐 정작 포기해야 했던 맥도날드 입니다.

  • @huigun
    @huigun 2 года назад +12

    경계지역에 있는 점포의 경우 자기가 속한 구역 지나면 반경1.5Km이내라도 할증 1500~2000 원 증가합니다. 배민은 카테고리도 더 세분화 하고 앞으로 직선거리 1.5km가 아닌 이동거리 1.5km 될겁니다. 1.5km 지나면 할증에 추가거리까지 . . 영세소상공인들이 부담해야 배달료가 갈수록 더 심해지네요 배달료 1만원 ( 거리할증+추가요금+눈 . 비에 또 할증.) 현실화 될듯요.

    • @고기반찬-h5u
      @고기반찬-h5u 2 года назад

      잘모르면 검색을 해보고 댓글을 달든지 아니면 그냥 가만있지 왜 나대는거임? 구체적으로 적어놓으니까 진짠줄 알겠네

    • @LGtwins775
      @LGtwins775 2 года назад +2

      모르면 가만히 있떤가....할증 붙은 요금은 배민이 내는거지 업주가 내는게 아닙니다. 평소에 싼 가격으로 배달하면서 요금 모아둔걸로 눈 비 거리할증 시 세이브 하는거임. 그리고 장거리 배달은 소비자가 할증 붙습니다.
      모르면 제발 글 ㄴㄴ

    • @고기반찬-h5u
      @고기반찬-h5u 2 года назад

      그리고 직선거리에서 실거리로 바뀌는건 플랫폼에서 기사한테 주는 배달료 정책이 바뀌는거임 제발 좀 모르면 가르쳐달라고 그래 아는척 써제끼지말고

    • @쥬리로켓펀치
      @쥬리로켓펀치 2 года назад +1

      그럼 먼거리에서 시켜먹지말고 가까운데서 시켜 먹으세여
      먼거리에서 시키니까 손님이 내는 배달료가 많아지는겁니다
      막말로 배딜료 3천원받고 강남에서 의정부까지 누가 배달합니까

    • @호범이-s5l
      @호범이-s5l 2 года назад

      음식은 8천원시키고 배달료는 1만원내는 호구들 졸라많음 ㅋㅋㅋㅋㅋㅋ 좃대 거리 ~~~^^
      다음날 리뷰보면 닭다리 8천원시키고 ㅋㅋㅋㅋㅋㅋㅋㅋ 배달비비싸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_nyong_
    @_nyong_ Год назад

    어느샌가 차로 10~15분정도 걸리는 거리
    매장은 배민에 안뜨던데.. 검색창에 메뉴로 검색하면 그제서야 목록에 안보이던것들이
    보이고 그럼 뭔가 바뀌긴했나봄 예전엔 다보였는데..

  • @나천재야알아
    @나천재야알아 2 года назад +4

    배달오토바이 운전도 운전아닌 수준으로 배달하는데 배달시켜드시다가 지나가던 제가 죽겠습니다. 배달이용서비스?)불법배달업용은 시키면 안 될 불법임..

  • @퀸유나
    @퀸유나 Год назад

    배민원 가뜩이나 수수료 더떼먹고 배달료도 비싼데 배달을 주로 매출로 가져가는 자영업자들은 진짜 빡칠듯...배민을 뛰어넘을 플랫폼이 나와야할텐데...개인적으로 땡겨요 나름 만족스럽게 쓰는중 배달료도 대부분 1~2천원이고 특정 브랜드 할인쿠폰도 자주뿌리고 룰렛으로 매일마다 1~3천원 할인쿠폰줌 땡겨요 강추

  • @sanghwan_kim
    @sanghwan_kim 2 года назад +71

    배민은 3년전만 해도 광고비 경매였음. 그거 못하자. 깃발 갯수늘리기. 그리고 다른제도 수수료 올리고 사회적 철퇴맞고 조정. 그리고 무관심사이에 다시 은근히 상위조정.
    feat. 배달대행비도 가파르게 상승
    이업계는 사장님을 위한다는 슬로건이 있지만
    사장님들은 각종업체에 빨대꼽힌 숙주가 되었습니다.

    • @김실-w9i
      @김실-w9i 2 года назад +1

      맛으로 승부하는게 아니라 광고로 승부하는거부터가 맘에안듬 가게 사장도 배달전문점이라고 개 쓰레기같은 건물에서 음식만들고

  • @fbi1009
    @fbi1009 2 года назад +2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도시에서 4키로는 너무 멀고 1.5키로는 좀 짧다 2키로가 적당하다 구역 설정도 행정주소로 설정하지 말고 코스와 거리로 바꾸면 된다

  • @조아라-i9m
    @조아라-i9m Год назад +6

    와. 정말 잘 정리해주셔서 내용이 쉽게 전달 되네요 👏🏻👏🏻👏🏻 좋은 뉴스 앞으로도 부탁드려요

  • @고양이-g2r
    @고양이-g2r Год назад

    1. 거리를 1.5km 를 벗어나게 되면 상위 노출에서 내려온다
    ㄴ 해당내용 본인들이 말했듯이 "모든" 업주에 해당하는내용(어느 업체들만 특정적으로 노출안되게 설정해놓은건 아니다 라는내용)
    ㄴ노출은 반경 4km 까지 되지만 거리가 증가할때마다 고객분들이 부담하는 배달팁도 증가 하기도 하고 리스트 순서인 기본순 정렬에 특성상 거리순+주문량+재주문률 등등 여러가지 종합해서 순서대로 노출되는것 /
    2.배달 지역 설정
    ㄴ배민 같은경우 가입을 진행할때 배달 지역을 설정하는데 해당 구역으로 배달갈수없는건 업주 본인이 설정하거나 본인이 구한 배달 대행업체에서 갈수 없는 배달지역이라고 해서 따로 설정한것 /해당내용은 사장이 설정하는거지 배민에서 정한 배달 지역이 아닌점
    ㄴ배민1 단건배달 서비스일 경우 가입할때 해당내용 필수 안내됨 / 못들었다는건 업주 본인 피셜이고 가입할때 필수적으로 안내 하게 되어있고 사이트 에서도 조금만 찾아보면 바로 알수있음 /
    배민1 라이더 센터가 갈수있는곳과 업주님 반경 4km 와 겹쳐야지만 노출되고 배달이 가능하다고
    해당내용은 아프니까 사장이라는 네이버 카페에서 조금만 찾아도 확인가능하니 반박전 확인후에 반박해주셈

  • @winemanager
    @winemanager 2 года назад +22

    근데 궁금한게 요기요나 배민에 거리 500반경 인데도 배달료가 3500-4500원 나오는 이유가 뭔가요? 또 1.5반경 넘는 어떤가게인데 배달료가 1000-1500원 밖에 안나오고 왜 이렇게 들쑥날쑥 한건가요? 궁금합니다

    • @jinchang9292
      @jinchang9292 2 года назад +7

      배달비=소비자 부담+식당 부담입니다. 3500인 경우는 식당에서 배달비를 전혀 안 내는거죠

    • @냥냥이-z6u
      @냥냥이-z6u 2 года назад

      식당에서 배달료를 배민업체에 적게부담해석ㅇ래요

    • @winemanager
      @winemanager 2 года назад

      아하.. 그런거군요
      정보 감사합니다

    • @오븐에구운오예스
      @오븐에구운오예스 2 года назад +1

      @@winemanager 그리고 배달대행업체도 인상을하니 ㅜㅜ 5천원넘으면 시키기 꺼려집니다

    • @진형송-n1k
      @진형송-n1k 2 года назад

      지역에따라 차이있고 배달기사들이 기피하는곳은 배달료가 차등적용되기도해요.

  • @김나래-q8n
    @김나래-q8n Год назад +1

    20년차 배달 기사로서 .. 과거 배민에 무쟈게 항의 했던 문제가 이제라도 터졌으니 다행입니다. 거리가 늘어나면 배달기사 수수료 부담이 커지니까 꼼수로 배달거리 노출을 줄여서 수익을 보전하겠다는건데..이건 다 죽자는거죠.. 생각해보세요. 가게 사장님들이 불티나게 주문이 들어와야 우리 배달기사들도 먹고 사는데.. 플랫폼 본사만 배부르고 점주와 배달기사만 손까락 빨고 있는 구조입니다. 독과점이죠. 추가로 소비자 부담은 덤~ (이런건 정치권에서 신경 안쓰나..ㅡㅡ)

  • @Parkiy
    @Parkiy Год назад +56

    이런 좋은 기사를쓰는 기자가 많아지기를 바랍니다

  • @gong_ryong26
    @gong_ryong26 Год назад

    어쩐지.. 배민에선 검색 안 되는 게 요기요에선 검색되고 그 반대도 허다해요.. 배민만 문제있는건 아닌 것 같네요ㅋㅋㅋㅋ쿠ㅜㅜㅜ
    아무리 시골 지역이여도 그렇지 옆 가게는 검색되는데 왜 특정 가게만 뜨지 않거나 검색해야지만이 나오거나 아예 안 되는지 이번에 궁금증 풀고 가요!

  • @책읽는무민
    @책읽는무민 2 года назад +9

    경계에 너무 붙어있으면 옆 구에 점을 하나 더(가게가 하나 더 있는 것처럼) 찍는 식으로 구현하면 쉽게 될 것 같기도요.. 많은 사람이 쓰는 플랫폼이니만큼 억울한 사람이 생길 일 없게 책임을 다 했으면 좋겠어요

    • @Kimpd-s6y
      @Kimpd-s6y Год назад

      그점하나찍는데도 달에 돈얼마씩해서가져갑니다..

  • @김기표-f3l
    @김기표-f3l 2 года назад

    별점순이나 리뷰 많은 순으로 보지 누가 기본으로 보냐
    별점 높은 순으로 볼 수 있게 선택사항 줬잖아 그거로 볼 때도 안보이면 문제지만
    이건 일부러 취제를 편파적으로 했는데

  • @user-yf9uh4r25
    @user-yf9uh4r25 2 года назад +58

    자영업자분들 진짜 속터지겠네요.
    아무리 맛있고 정성스럽게 만든다한들 플랫품의 이익에 휘둘려 무기력해질것 같습니다. 공정위는 뭐하는가 싶네요

  • @부천킹달러
    @부천킹달러 2 года назад

    어쩔수 없음. 대부분의 배달업체들은 다른구까지 배달을 할 수 있는 인력이 없음. 범위를 설정할 가장 간단한 방법이 행정구역이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저런 사태가 발생함. 결국 구의 가급적 중심으로 옮길 수밖에

    • @warizin7202
      @warizin7202 Год назад +1

      뭔개소린가
      인력이 없다니 남아도는게 딸배들인데
      행정구역이 바뀌면 배달수수료가
      올라가니
      막아논거자나

  • @SanisMountain
    @SanisMountain 2 года назад +20

    배민 말도 안되는 정책과 갑질은 시간이 지나도 개선하지 않네요. 울며 겨자먹기로 배민 이용하는 업주들은 억장 터집니다.

  • @고급휘발유-f5i
    @고급휘발유-f5i Год назад

    근데 자체적으로 배달부 월급주면서 고용하면 배민보다 돈이 더 많이 드나보죠?
    피자헛빼면 자체배달하는곳은 거의 못본거 같은데
    혹시 보험료,오토바이,기름값 이런거도 다 가게에서 부담해야 하는건가

  • @aspcomansi
    @aspcomansi Год назад +24

    배달어플 강력하게 규제하는 법이 생겨야 한다고 봅니다

  • @Elephant_01
    @Elephant_01 2 года назад +1

    소상공인 조합 같은 곳에서 전국적으로 배민 보이콧 같은 건 못하나? 매번 정부탓만 하지말고 제대로 합심하면 금새 해결될 것 같은데..
    등록한 업체가 줄면 사용자들도 자연스레 줄거아냐. 배민에 반감있는 나같은 고객들도 의외로 많을걸?

  • @hse9808
    @hse9808 2 года назад +42

    배민업체 저게 사람이 할짓임? 아주 종이 만져대니 살판났네요 배민앱 안쓴다 멀더라도 직접가서 먹겠다

  • @sh-xf7ku
    @sh-xf7ku Год назад

    휴무중인가게가 음색빼고 일단 배민 오픈한 상태로 몇주째 맛집랭킹에 속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랭킹 점수도 문제가 있습니다

  • @조퇴-x1s
    @조퇴-x1s 2 года назад +4

    좋은 취재 네요 고생하셨습니다 👍

  • @highcollars1
    @highcollars1 Год назад

    걍 맛집 및 리뷰수는 다 음지에서 만드는 것 같음. 같은 가게가 메뉴 나눠서 다른 상호로 올리는 경우가 부지기수던데

  • @해와달과그리운기억
    @해와달과그리운기억 2 года назад +3

    조금 상관 없을지 모르지만 옛날 생각나내요 배달 어플 생기기 전 가게에서 직접 배달 하던 때에 바로 큰 길 건너 음식점에 주문했는데 자기들 구역이 아니라고 훨씬 먼 다른 지점으로 전화 하라던....

  • @jhljhl
    @jhljhl 2 года назад

    기사 내용이 좀..
    맛이 어느정도 평준화되었다면, 시간,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거리가 가까운게 더 낫고,
    기사에서 제시된 6km 내에 1위 맛집만 독점적으로 집중되는 것보다는, 동네마다 작은 가게들도 주문받을 가능성이 높아지니까 더 많은 소상공인이 살 수 있고, 더 바람직합니다.
    혹시 주변에 품질이 떨어지는 곳만 있으면 어떡하냐 할 수 있는데, 반경 1.5km 라면 도보권 500m의 3배, 면적은 9배이므로, 수도권 등 웬만한 도시 지역에서는 좋은 맛집들이 충분히 커버될 것이고 납득할 수 있는 거리라 생각됩니다. 소도시나 지역 상황에 따라 거리 수준을 조정할 순 있겠네요.
    문제가 되는 것은 배달권으로 나뉘는 곳들인데... 이러면 경계권에 있는 가게들이 불이익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건 확실히 조정이 필요해 보이네요.

  • @sokchung1
    @sokchung1 2 года назад +16

    이렇게 심도있게 쓴 기사는 정말 오랜만이네요 기자님 최고!!!

  • @Kugiming11
    @Kugiming11 2 года назад +1

    여기서 논점은 식당은 강제적으로 판매지역이 줄었다는것, 그리고 소비자도 음식점 선택의 폭이 줄었다는겁니다. 배민의 일방적 알고리즘으로요. 능력자님 말씀대로 가까운 맛집찾아서 시키는것도 맞지만 그것또한 소비자 선택이에요. 먼 곳이어도 원하는 음식을 시킬 수 없도록 강제하는게 문제입니다. 이유도 배달경쟁 및 거리를 줄여 마진올리려는게 뻔히 보이잖아요. 그게 절못된거죠 배민혼자 이익보고 피해는 가게에 떠넘기는거니까요

  • @회오리-t3z
    @회오리-t3z 2 года назад +30

    이 뉴스가 사실이라면 배달의 민족은
    "배달의 반역자" 네.....

    • @ohmalub
      @ohmalub 2 года назад

      게르만 나치 민족이잖아요? 맛집학살중

    • @sondonghui
      @sondonghui 2 года назад +2

      = 배신의 민족 아닐까요?

  • @nech72
    @nech72 Год назад

    고객을 상대로 하는 모든 알고리즘은 투명하게 공개되야 한다. 알고리즘 핑계대고 사람들을 선동하고 이용하는데 거침이 없다. 광고도 그렇고 영상들도 그렇고...--; 공정하고 투명한 알고리즘은 기본이 되어야 한다.

  • @curtbrake
    @curtbrake 2 года назад +47

    독과점의 폐해를 막는것도 국가의 역할이죠.
    공용앱 만들어서 눌러야죠.

    • @가친코와카바
      @가친코와카바 2 года назад +2

      그걸 국가가 공공앱만들어서 해결하자고 하는건가요??
      제발 그러지맙시다. 지금까지 세금낭비하는거 많이 봤잖아요.

    • @user-oy8lb6xf7o
      @user-oy8lb6xf7o 2 года назад

      경기배달앱 만들어 시행했지만 배민따라가기 역부족인듯요

  • @lovely_s2
    @lovely_s2 Год назад

    와ㅋㅋㅋ 이게 나오네 현대판 봉이 김선달 = 배달 어플
    장사는 가게가 하는데 수수료는 배달 어플이 챙김
    배민 요기요 써보면 랭킹 맛집이 우리가 아는 맛집 랭킹이 아니더라…. 심지어 포장은 잘 나오지도 않음

  • @노총각욱이
    @노총각욱이 2 года назад +5

    이런걸 허가 내주는 법이 없으니 저렇게하는거지 법 법 이만드는것들은 힐들지 않아봐서 못하는거지
    정치하는것들이 없어졌으면 좋겠다

  • @포항갈치
    @포항갈치 Год назад

    저건 시장흐름상 어쩔 수 없지
    요기요 - 장타에 고객배달료가 급증
    쿠팡이츠 - 창렬 수수료에 가게가 못버팀
    배민이 저러는건 해당지역 라이더수로는 그 일대 피크시간 배달량을 못버티니 저러는거
    사장이 해줘마인드로 배민만 잡고 징징댈 게 아니라
    자체적으로 홍보해서 가게를 키워야지

  • @하태문
    @하태문 2 года назад +41

    인간이 정직하다는 전제하에 시장논리는 현존하는 가장 합리적 시스템이지만 욕심은 타인의 이익을 편취해서 배를 과하게 채우게 만들죠.

    • @구름전주
      @구름전주 2 года назад +1

      독과점이 되면 합리적이지 않게되죠
      미국은 과거 독과점을 막기위해 석유 회사 담배 회사를 강제로 분할하기도 했습시다

  • @gongdea
    @gongdea Год назад

    고객도 마찬가지에요 A동 경계사는데 코앞에 시켜도 B동으로 인식됨 배달비 500~1000원 추가. B동에 주문하면 원래대로 A동 나옴 배달료 추가. 진짜 짜증남 둘다 집에서 코앞인데 그래서 포장으로 먹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