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비행기를 띄우는 힘의 정체 f. 유체역학 (에스엔에이치 민태기 소장)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382

  • @hanchulmi
    @hanchulmi Год назад +32

    아직 영상 시청전 입니다. 좋아요 눌러놓고 샤워하고 편안하게 집중해서 볼깨요~ 민태기 소장님 과학분야 설명이나 지식 다 최고이신거 같습니다. 영상 기다렸어요!!!!

  • @nijuma2794
    @nijuma2794 Год назад +11

    너~~~무 재밌어서 ㅡ♬
    관심사에 푹 빠져서 저녁상도 밀쳐놓고 보았네요!
    언더스탠딩 때문에 넋 상실 시간 상실이 심각하다!?

  • @jaypark8056
    @jaypark8056 Год назад +20

    최근에 본 책들중에 판타레이가 제일 재미있고 유익했어요~언더스탠딩도 그러하고 책도 엄청 쉽게쉽게 알려주시니 지식이 쌓이네요~

  • @자유인-f2g
    @자유인-f2g Год назад +38

    민태기소장님 영상 다 찾아보고 있습니다. 그중 언더스텐딩에서 듣는게 제일 재밌더라구요. 물론 안될과학도 ㅋㅋㅋ
    앞으로 더욱더 많은 과학 이야기 해주세요.

  • @Yoon-yq6fc
    @Yoon-yq6fc Год назад +31

    조선이만난 아인슈타인 정말 감동적으로 읽었습니다.
    그런 책을 써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jungyoonyi9291
    @jungyoonyi9291 Год назад +26

    민태기소장님 판타레이도 넘 재미있어서 조선이 만난 아인슈타인도 구매했어요 소장님 일도 바쁘시겠지만 과학을 알리는일도 계속 해주세요 넘 좋아요

    • @JCJ-e1c
      @JCJ-e1c Год назад +2

      많이 아는것과 잘 설명하는건 별개. 공감 능력과 연관

  • @정현옥-n8i
    @정현옥-n8i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민태기소징님 최고이십니다

  • @욤미욤미-p9v
    @욤미욤미-p9v Год назад +22

    정말 유익했습니다.
    소장님과 이런분 소개해주신 언더스탠딩께 감사드립니다.

  • @맛있는된장찌개
    @맛있는된장찌개 Год назад +7

    이야~~ 이걸 여기서 듣게 될줄이야~~!! 유투브는 혁명이다.

  • @ilashman
    @ilashman Год назад +48

    역시 시험 범위가 아닌 강의는 언제나 즐겁고 재미있네요. ㅎㅎ

  • @a-jin1309
    @a-jin1309 Год назад +11

    해외 거주자인데 박사님 책 주문했습니다. 애청하는 팝케에서 박사님 화들을 다운 받아서 종종 듣고 다녔었어요~😊

  • @앙기순띠
    @앙기순띠 Год назад +26

    자동차 하시는 분들이 좋아하는 공기역학 개론 수준이네요
    새록새록기억나고 좋습니다.

    • @배관식-z5n
      @배관식-z5n 8 месяцев назад

      ㅗㅜㅠㅡㅡㅠㅠㅠㅜㅜㅜㅡㅠㅜㅠㅜㅜㅡㅜㅠㅠㅡㅠㅡ그ㅠㅡㅡㅜㅡㅜㅜㅜㅜㅡㅜㅜㅜㅜ고ㅗㅛㅛㅛㅡㅠㅡㅜㅠㅡㅡㅡㅜㅠㅡㅠㅠㅡㅜㅜㅡㅡㅜㅡㅠㅜㅜㅜ고ㅜㅡㅜㅜㅡㅡㅡㅜㅜㅠㅠㅠㅠㅠㅡ그ㅡㅠㅠㅜㅠㅜㅡㅡㅡㅜㅡㅜㅜㅜㅡㅡㅜㅡㅜㅠㅜㅠㅠㅜㅜㅡㅡㅡㅡㅠㅜㅜㅜㅡㅡㅜㅡㅡㅡㅜㅜㅠㅜㅜㅡㅡㅜㅠㅜㅡㅜㅜㅠㅜㅡㅜㅜㅡㅜㅡㅡㅡㅜㅠㅡㅡㅜㅠㅜㅡㅜㅡㅜㅜㅜㅠㅡㅜㅡㅜㅜㅡㅡㅡㅡㅠㅡㅡㅡㅡㅡㅡㅜㅜㅡㅜㅡㅡㅜㅠㅡㅠㅜ구ㅜㅠㅜㅡㅡㅜㅡㅡㅡㅜㅠㅡㅜㅡㅜㅜㅡㅡㅜㅠㅠㅡㅜㅠㅠㅡㅡㅡㅜㅜㅡㅜㅜㅡㅜㅡㅡㅡㅡㅡㅡㅡㅡㅡㅜㅡㅜㅡㅡㅜㅜㅡㅡㅠㅜㅡㅡㅡㅜㅜㅜㅠㅜㅜㅡㅡㅜㅡㅡㅡㅜㅜㅡㅡㅡㅜㅠㅡㅜㅠㅠㅡㅡㅡㅡㅜㅡㅡㅡㅜㅠㅡㅡ그ㅡㅡㅜㅡㅡㅡㅡㅜㅡㅡㅜㅠㅠㅠㅡㅡㅡㅜㅡㅜㅡㅜㅡㅠㅜㅡㅡㅡㅡㅡ그ㅡㅜㅡㅡㅡㅡㅡㅡㅜㅜㅡㅡㅡㅡㅡㅠㅜㅡ규ㅜㅜㅡㅜㅜㅜㅡㅡㅡㅜㅡㅡㅡㅜㅜㅡㅜㅠㅜㅡㅡㅠㅠㅡㅜㅡㅡㅡㅠㅡㅡㅜㅜㅠㅡㅡㅡㅡ교ㅗㅗㅗㅠㅡㅜㅡㅠㅡㅡㅜㅡㅠㅜㅡㅜㅡㅡㅜㅠㅡㅡㅡㅜㅜㅡㅜㅜㅡㅜㅠㅜㅡㅡㅠㅜㅡㅡㅠㅜㅠㅡㅜㅡㅜㅡㅡㅜㅡㅡㅠㅡㅡ큐ㅡㅜㅜㅠㅜㅡㅜㅜㅜㅡㅡㅠㅡㅜㅡㅡㅠㅜㅠㅡㅡㅡㅠㅡㅡㅡㅜㅡㅡㅡㅜㅜㅡㅡㅠㅡㅡㅜㅜㅠㅡㅡㅡㅠㅡㅜㅜㅡㅡㅜㅡㅠㅜㅠㅜㅡㅡㅜㅡㅠ그ㅜㅡㅡㅡㅡㅠㅡㅜㅜㅜㅡㅡㅡㅡㅠㅡㅠㅜㅡㅡㅜㅡㅡㅡㅡㅡㅜㅠㅡㅡㅜㅡㅜㅡㅡㅠㅡㅡㅡㅠㅡㅠㅡㅡ고ㅜㅡㅜㅡㅡㅡㅜㅠㅜㅡㅜㅠㅠㅜㅜㅜㅜㅜㅡㅜㅠㅠㅜㅠㅡㅡㅡㅡㅠㅜㅡㅜㅡㅜㅠㅡㅜㅜㅠㅜㅡㅡㅠㅠㅜㅡㅡ고ㅡㅠㅠㅡㅠㅠㅜㅠㅜㅜㅜㅡㅜㅠㅠㅡㅠㅜㅡㅡㅡㅡㅡㅠㅠㅡㅜㅜㅠㅠㅡㅜㅡㅜㅡ교고ㅜㅠㅡㅡㅡㅡㅠㅡㅜㅠㅜㅜㅡㅜㅡㅜㅡㅠㅜㅡㅜㅡㅠㅡㅡㅠㅜ규ㅡㅡㅜㅡㅜㅜㅜㅜㅠㅜㅡㅜㅠㅡㅡㅠㅡㅡㅜㅡㅜㅠㅜㅜㅡㅡㅠㅡㅜㅜㅡ그ㅠㅜㅠㅡㅜㅠㅜㅜㅜㅡ교ㅛㅗㅡㅡㅜㅡㅡㅠㅡㅡㅜㅜㅠㅡㅜㅠㅡㅜㅜㅜㅠㅠㅜㅡㅜㅜㅜㅡㅡㅡ고ㅜㅜㅜㅜㅡㅠㅡㅜㅡㅠㅠ고ㅗㅡㅠㅜㅜㅠㅜㅡㅡㅜㅡㅜㅠㅜㅜㅠㅜㅜㅡㅡㅡㅜㅡ고ㅛㅡㅜㅠㅜㅜㅡㅜㅜㅠㅡㅡㅜㅡㅜㅜㅜㅡㅜㅜㅜㅜㅜㅠㅡㅡㅠㅜㅠㅜㅜㅜㅠㅜㅠㅡㅠㅜㅡㅜㅠㅜㅜㅜㅜㅜㅠㅡㅜㅡㅡㅡㅜㅡㅡㅜㅡㅜㅡㅡㅜㅠㅠㅡㅡㅜㅠㅜㅜㅠㅡㅜㅠㅜㅠㅡㅜㅠㅡㅠㅡㅜㅜㅡㅡㅡㅜㅜㅜㅜㅡㅜㅜㅡㅜㅡㅜㅜㅜㅡㅜㅡㅡㅠㅜㅡㅜㅡㅠㅠㅜㅡ고ㅗㅗㅗㅠㅡㅜㅡㅠㅠㅜㅡㅠㅠㅠㅠㅠㅡ교ㅛㅛㅜㅜㅠㅡㅡㅡㅠㅜㅜㅠㅜㅡㅡㅡㅡㅜㅜㅜㅜㅡㅜㅡㅜㅜㅜㅠㅡㅜㅡㅠㅜㅠㅜㅜㅡㅠㅠㅡㅜㅡㅜㅜㅠㅜㅡㅜㅠㅜㅠㅜㅡㅡㅠㅜㅜㅡㅡㅡㅡㅜㅠㅡㅜㅜㅠㅜㅡㅜㅜ교ㅡㅡㅜㅠㅡㅡㅜㅠㅠㅡㅜㅜㅜㅡㅡㅡㅠㅠㅡㅜㅡㅡㅡㅡ고ㅛㅛㅛㅛㅗㅜㅠㅡㅜㅡㅜㅡㅡㅜㅡㅜㅡㅠㅡㅠㅜㅜㅜㅡㅡㅠㅡㅡㅡㅡㅜㅜㅜㅜㅡㅜㅠㅠㅠㅜㅜㅜㅜㅜㅠㅜㅜㅡㅜㅜㅜㅜㅜㅜㅜㅡ그ㅡㅜㅜㅡㅜㅜㅜㅜㅜㅜㅜㅜㅠㅠㅜㅡㅜㅡㅜㅜㅜㅜㅡㅡㅠㅡㅡㅡㅜㅜㅜㅜㅜㅡㅡㅡㅡㅜㅜㅠㅠ고ㅗㅗㅗㅠㅜㅡㅠㅜㅡㅡㅡㅡㅠㅜㅜㅠㅠㅜ구ㅠㅜㅡㅡㅡㅡㅡㅡㅜㅜㅡㅡ고ㅠㅠㅜㅠㅠㅡㅜㅠㅜㅠㅡㅜㅜㅡㅜㅜㅡㅠㅡㅜㅜㅜㅡㅠㅠㅡㅡㅡㅜㅡㅡㅜㅠㅡㅜㅡㅠㅠㅠㅜ그ㅡㅡㅡㅠㅜㅠㅡㅠㅜㅡㅜㅡㅡㅠㅡㅜㅜㅜㅡㅠㅡㅡㅡㅜㅜㅡㅜㅡㅡㅡㅜㅜㅠㅜㅡㅜㅡㅠㅡㅠㅠㅡㅡ그ㅜㅡㅠㅡㅜㅜㅡㅜㅡㅡㅡㅡㅡㅡㅠㅜㅠㅜㅠㅠㅡㅠㅠㅠㅜㅡㅡㅜㅡㅜㅠㅜ구고ㅗㅜㅜㅡㅜㅜㅠㅡㅡㅜㅠㅡㅠㅡㅡㅜㅜㅡㅠㅠㅡㅜㅡㅜㅡㅡㅡㅡㅜㅡ그ㅡㅠㅜㅜㅠㅡㅜㅡㅠㅡㅜㅜㅡㅜㅜㅡㅠㅡㅡㅡㅡㅜㅡ교ㅜㅜㅠㅜㅡㅠㅠㅡㅡㅡㅜㅠㅡㅠㅡㅡㅜㅡㅡ구ㅡㅡㅡㅠㅡㅠㅜㅜㅜㅠㅠㅡㅜㅜㅡㅡㅡㅡ교ㅡㅜㅜㅜㅡㅜㅜㅡㅡㅜㅡㄷ

  • @변대옥
    @변대옥 Год назад +4

    와~? 잘못 알고 있었네요.
    시험 안보는 과학~~ 흥미롭고 ...
    두분의 질문과
    이해 돕는 과정 넘넘 귀여우시고
    엄청 재미나게 봤습니다~~!!
    언더스탠딩~~👍👍👍👍👍

  • @mcchurros1345
    @mcchurros1345 Год назад +17

    민태기 소장님은 치트키지 ㅋㅋ 너무 재밌어요!!

  • @geniejang4618
    @geniejang4618 Год назад +12

    언더스탱딩을 듣는 40대 후반의 엄마입니다. 성인뿐 아니라 초등 고학년과 중등 아이와도 같이 들었을 때 아이들의 흥미를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좋습니다.

  • @kman3822
    @kman382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3

    베르누이의 정리가 아닌 쿠타 주코프스키의 이론 즉 회전에의한 양력으로 비행기가 뜬다는것을 처음 알게 되어서 매우 기쁩니다. 감사합니다.

    • @AllKV
      @AllK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등학교만 나와도 아는 사실입니다
      일반인들이 베르누이 이론으로 비행기가 뜬다고 생각한다는 민소장의 생각이 잘못된 생각입니다
      밥은 밀가루로 짓는게 아니고 쌀로 짓는거다 라고 주장 하는것처럼 들립니다

    • @김연진-l8i
      @김연진-l8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AllKV댱신은 유식해서 아는거고요 무식한 저는 몰랐어요

    • @mathamour
      @mathamou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비행기 원리 베르누이 어쩌고 하는 영상과 블로그글이 많으니까 그게 잘못된 거라 알려주는 건데. 고교 수학만 공부해도 로또 확률 알 수 있지만 학자들이 또다시 확률 알려주는 이유는 온라인에 잘못된 지식이 퍼져서

    • @쿠쿠루삐리뽕따
      @쿠쿠루삐리뽕따 4 месяца назад

      ​@@AllKV공군 사관학교에서도 예전에 베르누이 원리로 뜬다고 가르쳤었습니다.

  • @마운트배스
    @마운트배스 Год назад +2

    정말 재밌네요..ㅎㅎ 감사합니다.

  • @youngyicify
    @youngyicify Год назад +1

    민박사님! 너무 감사합니다.ㅋㅋ 재밌어요!

  • @ahimot10
    @ahimot10 Год назад +29

    엄청나게 다양한 질문을 막 쏟아내는데 전부 유연하게 대답해주시는모습이 너무 멋지네요❤

  • @gomting
    @gomting Год назад +11

    둘다샀습니다 😀

  • @최병도-m5u
    @최병도-m5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너무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정말 지금까지 베르누이 방정식으로도 의문이 생기던 양력에 대한 내용을 이제야 얼핏 이해했습니다~!

  • @hoonslee5848
    @hoonslee5848 Год назад +5

    너무 유익하고 재밌는 강의였습니다. 전공자가 아닌데도 핵심내용만으로 이해가 비교적 잘 되네요. 마지막 정리한 철학도 좋았습니다

  • @마초마초-k8j
    @마초마초-k8j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언더스텐딩 대단하십니다

  • @태선박-s2k
    @태선박-s2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언더스탠딩.

  • @karryhwang9159
    @karryhwang9159 Год назад +2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Bladeseal
    @Bladeseal Год назад +2

    최근에 언더스탠딩을 알게되고 이 강의 영상을 봤는데 양력의 이론에 대해 정확히 알게되었네요 정말 어렵긴 하지만 너무 유익했습니다.

  • @lohaswinner
    @lohaswinner Год назад +7

    정밀하게 계산이 필요한건지 대략적인 설명이 어려운 느낌이네요.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소주-y3q
    @소주-y3q Год назад +22

    아이들에게 비행기의 양력을 베르누이로 또 날개의 공기작용도 작용 반작용을 첨부하여 설명했는데
    이제 제대로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김영도-t6l
    @김영도-t6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기가 막힙니다. 예전에 배운 공기역학이 모조리 생각나는 수업이었습니다

  • @Ccchry
    @Ccchry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보면서 감탄.. 유체역학시간이 다시 생각나네요

  • @금강-i7o
    @금강-i7o Год назад +2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Год назад +2

    대단히 감사합니다

  • @ssj-lx6nq
    @ssj-lx6nq Год назад +1

    와우, 흥미가 진진합니다

  • @11HJ23H1K
    @11HJ23H1K Год назад +4

    책 구매 완료 😊

  • @maldini1838
    @maldini183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좋은 정보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테라스드리머
    @테라스드리머 Год назад +4

    ㅎㅎ 유체역학 시간에 비행기 뜨는거 베르누이 방정식으로 배웠던거 같은데욬ㅋㅋ 잘못된거였군욬ㅋㅋ 너무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강물도 충격

  • @chales4
    @chales4 Год назад +5

    와 이론은 언제나 어렵네요.
    이번 연휴에 오랫만에 비행기 탔는데,
    비행기 날개의 궁금점이 해소되네요.

  • @owlmom3571
    @owlmom3571 Год назад +14

    두 권 다 구입하고 영상도 반복해서 보고 있어요..과학과 역사, 철학, 사회과학의 연결이 정말 흥미로워요..

  • @kaizz80
    @kaizz80 Год назад +4

    쉽게 정리하면,
    주코프스키 이론에 의거해서 원통형 날개가 바나킥원리로 뜨는것과 같이 평평한 날개가 윗방향으로 회전하는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한 날개의 모양을 위쪽이 둥근모양으로 만들어 냄으로써 (감마의 힘을 위쪽으로 뜨는쪽으로 작용하게 만드는 역할) 비행기가 뜬다는 얘기이네요..
    그리고 레이싱카같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붙게 만들기 위해서 꼬리날개는 비행기날개모양과는 반대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감마의 양을 비행기의 반대방향으로 작용) 구현한다는거고요.. 우리가 알고있던 '양력'이 이런식으로 작용한다는 거네요.
    와.. 너무나 좋은 내용이었고 재밌었습니다. 감사합니다ㅋㅋ

  • @심심타파-z9i
    @심심타파-z9i Год назад +1

    재밌게 잘들었어요~~

  • @날개-g9o
    @날개-g9o Год назад +2

    첨엔...갸우뚱갸우뚱..그래도 재밌습니다.....
    언더스태딩.....짱입니다요....
    정말 감사합니다 😊😊😊

  • @텀블러-y2g
    @텀블러-y2g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흥미진진한 정보 감사합니다.

  • @beheppy7955
    @beheppy7955 Год назад +3

    과학이 이렇게 재미있다니...^^
    감사합니다.

  • @JHS-gu4lw
    @JHS-gu4lw Год назад +1

    민태기 박사님은 못 참지

  • @ojmkww
    @ojmkww Год назад +1

    저도 재방 입니다~~
    역시 민태기 소장님 입니다 도대체 어디까지 일까 입니다 민 소장님의 영역은~~

  • @caadhan
    @caadhan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yangmichael1521
    @yangmichael152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복소평면... 유튜브보면서 머리뜨거워지는거 간만에 느껴보고 좋네요😅

  • @Richard-rz2qs
    @Richard-rz2qs Год назад +1

    명불허전, 민태기소장님!

  • @leelee-zz8zi
    @leelee-zz8zi Год назад +1

    언더스탠딩 쵝오

  • @kotai2003
    @kotai2003 Год назад +2

    유체역학계의 새로운 스타. 민태기 소장님.

  • @metatree5596
    @metatree5596 Год назад +14

    민태진박사의 설명을 듣고 있으면 과학을 철학적으로 생각되네요, 안될과학은 어수선해서 집중하기 어려운데 언더스탠딩에서는 집중이 잘되네요

    • @saturncool3753
      @saturncool3753 Год назад

      오! 저도 공감입니다!!

    • @fine-day7719
      @fine-day771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 반대..
      안될과학에선 술술이신데.
      여기선 중복된 말씀 많이 하시고.
      버벅이시고..

    • @먼동네-o4p
      @먼동네-o4p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장단점이 있네요 여기 진행은 인터럽트가 많고 안될과학은 너무 일방적으로 빨리 지나가고

  • @juliuscaesar4492
    @juliuscaesar4492 Год назад +2

    국수그릇 설거지만 해봐도 안쪽이 빠르고 바깥쪽이 손이 많이 간다... 과학적으로 들었습니다.

  • @허니쭈니-z9h
    @허니쭈니-z9h Год назад +1

    기초과학을 가장한 인문학..그래서 무릎을 탁 지고 갑니다

  • @fly_w_tony
    @fly_w_tony Год назад +5

    비행기 좋아하는 사람인데 그간 궁금했던게 많이 해결되었습니다. 앎의 즐거움을 느끼며 이 영상 반복해서 듣고 있습니다. 너무 좋네요! (이프로가 댓글에 반성문 쓰라고 할 까봐 단백질러 사먹고 있어요...ㅎㅎ)

  • @mcs9103
    @mcs910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휴 세번 보고 이해했습니다 ㅎㅎㅎ

  • @jeanh84400
    @jeanh84400 8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이프로님과 안대표님이 재미있게 속이 시원하게 질문해 주시니까 이 어려운 내용이 너무 재미 있습니다. ^^

  • @kdyu178
    @kdyu178 Год назад +1

    판타 레이 잼있게 잘 읽었습니다.

  • @ahimot10
    @ahimot10 Год назад +11

    설명 너무잼있어요! 정말 어려운걸 일반인들도 이해할수있게 설명해주셔서 흥미롭네요

  • @bang7078ify
    @bang7078ify Год назад +1

    민태기 소장님과 동갑인데, 이런 핵인싸 천재 괴물이, 보편적인 국민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단것도 정말 큰 쇼크였음. 민태기 흥하라~~~!

  • @hakdeok
    @hakdeok Год назад +10

    이 채널은 평범한 일반인들이 궁금해하는걸 질문해주셔서 가려운곳 긁어주는 느낌이라 좋습니다^^

  • @johnjal2525
    @johnjal2525 Год назад +2

    베르누이 법칙 흥미롭네요

  • @dhapj910
    @dhapj910 Год назад +10

    복수 평면에 대해서 살짝만 개념을 자세히 알려주셨으면 더 좋았을것 같습니다.복소수의 개념이 중요한 아이디어 같은데, 물론 지금도 최고의 강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가족홍-s1n
      @가족홍-s1n Год назад +1

      복소 평면 은 실수부가 가로축 허수부(i)가 세로 축 인 좌표계에서 어떤 값을 표현하는것입니다.
      중요한 아이디어라기 보다 복소수 값이 실수부 값에 결국 영향을 주는데 (우리는 실수부만 인지됨) 복소수 값을 포함한 어떤 작용들을 인지하게 하기 위해 복소 평면으로 설명합니다.
      200년전 일반인들은 음수를 이해하지 못했죠 보이지 않는 수량에대한 수치화 이니까요. 이것에 절대값을 취하면 그 양의 정도가 이해할수 있는 숫자화 되듯이 마찬가지로 복소수 또한 절대값을 취하면 이햐할 수있는 실생활의 수가 됩니다. 음수끼리 더하고 빼고 최종적으로 간단히 부호만 빼면 절댓값이되어 이해하듯 복소수도 계산할때 필요하고 최종적으로는 절댓값을 취해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수가 됩니다.
      참고로 음수는 복소 평면에서 180도 돌아간 것이고 음수의 절댜값은 원점을 기준으로 180도 돌아간것을 0도로 바꾸는 일과 동일하며 복소 평면의 모든 좌표 역시 돌아간 각을 0도로 만들면 절댓값이 됩니다.

  • @AirChaser97
    @AirChaser9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Cfd 전공자로서 신선한 강의였습니다

  • @이재일-z9s
    @이재일-z9s Год назад +4

    언더스탠딩, 민태기소장님
    좋은 얘기를 많이 해줘서
    매우 고맙습니다.

  • @Yu-cf5gr
    @Yu-cf5gr Год назад +1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이해해서 아이들한테 설명해주려고요
    흑흑

  • @노라보기
    @노라보기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어렵네요. 결론은 날개를 기울여 바람저항으로 뜨게하고 엔진으로 항력을 상쇄시켜 앞으로간다. 가
    제일 쉬운 이해인것 같네요 !

  • @후이훈
    @후이훈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얼마전 유명 과학 유튜브 프로그램에서 요즘 유명하신 물리학자님이 비행기가 나는 원리는 지금도 모른다고 하셨는데, 이 방송 좀 보여 드려야할듯.

  • @오마니밭매용
    @오마니밭매용 Год назад +1

    내가알던 지식이 잘못된것이었다니.
    구독합니다.

  • @jinij.391
    @jinij.391 Год назад +4

    학생때는 시험볼 생각을 하니, 이해 안되면 힘들고 짜증나지만,
    시험볼 일없는 어른들은 어려운 과학지식 수업을 듣고도 맘이 편할수 밖에 없죠. ㅎㅎ

  • @강대현-u3f
    @강대현-u3f Год назад +1

    이해는 못했지만 깊히 공부를 한것같아 마음이 평온합니다

  • @강댕댕-k8v
    @강댕댕-k8v Год назад +3

    ㅋㅋㅋㅋ😂이프로님 너무 웃겨요 ㅋㅋㅋ셤 안보는 과학 시간

  • @카이로스헤세드
    @카이로스헤세드 Год назад +1

    넘 감사합니다 대학원 안나오고 이해 못했어도 넘 재밌었습니다

  • @두걸음-v2f
    @두걸음-v2f Год назад +5

    명불허전...

  • @cleandust530
    @cleandust530 Год назад +2

    1:13:00 평소에 정말 궁금했던 점입니다. 쿠타주프스키 이론을 듣고나서, 왜 비전공 유튜브 들이 이상한 소리를 늘어놓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지 머리에 있는걸로는 이해가 안되니까 그런거군요. 그냥 그런가보다... 해야지.

  • @ryujd0533
    @ryujd0533 8 месяцев назад +4

    학생시절, 베르누이 정리로 양력을 설명하는 선생님께 그럼 배면비행은 어떻게 가능하냐고 질문했다가 선생님께서 그건 나도 모르겠다고 하셨던 기억이 나네. ^^

    • @번빈농축
      @번빈농축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모르는것을 모른다고 답하는 선생님이 진짜 선생님입니다.

    • @번빈농축
      @번빈농축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는 실수만 있고 허수를 상상속의 수라 하는데 실지로 있는 수 입니다. 그래서 실수에서 원이 복소수에서 평면이 됩니다.
      역도 성립

  • @yibyoungwoo
    @yibyoungwoo Год назад +2

    공기저항을 받는 날개의 받음각이 양력의 핵심 아닌가요?

  • @태선박-s2k
    @태선박-s2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7

    대단한 나라야 이런 내용을 20만 가까이 듣다니. 인구만 안 줄면 미래가 찬란하다.

    • @davidan2006
      @davidan200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Zealand DddzZzsrsZZzwqzzźźsszaa5raSz

  • @mukjjang2
    @mukjjang2 Год назад +2

    유체역학 대학때 배웠는데 기억이 새록새록

  • @maxlee7181
    @maxlee7181 Год назад +3

    엄청나다

  • @juliuscaesar4492
    @juliuscaesar4492 Год назад +1

    노벨상을 떠나서(결과는 그렇죠) 연구 결과를 수많은 교수들이 풀고 풀어서 저분도 배운걸 다시 풀은걸 이 한시간에 배우려고 한 제가 욕심쟁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 나오시는 교수님(또는 전문가 또는...) 엄청 쉬운 말로 잘 해주시는데 알아듣기 참 어렵네요 그나마 여기가 쉬워서 듣는겁니다. 언더스탠딩 화이팅.

  • @byungchanlee2131
    @byungchanlee2131 Год назад +4

    양력을 Kutta-Joukowski theorem 보다는 운동량 보존 (momentum conservation) 으로 설명하는 편이 좀 더 이해하기 쉽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 @minkh346
    @minkh346 Год назад +2

    공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된것 아닌가요? 진행방향에 맞서서 돌아야 압력이 낮아지는 효과가 발생할 듯...

  • @김동길-q7c
    @김동길-q7c Год назад +1

    쿠타 주코프스키 상수란게 있나요?

  • @gimmiya_5158
    @gimmiya_5158 Год назад +1

    초파리2편 올려주세요!!

  • @이선호-u1v
    @이선호-u1v Год назад +2

    학창시절에 일반선택인가? 그 다른과 전공과목 듣는 그런게 있었는데 유체역학 들었다가 😅 혼났습니다
    (시청후)정말 이과 화이팅입니다😊

  • @ChrisSukyongJang
    @ChrisSukyongJang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엄청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지만, 상당히 흥미로운 부분도 많았습니다! feat. 돈 더 낼 거 아니면 맛 없더라도 그냥 먹어라....

  • @letme409
    @letme409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02:00~
    카약타다 물에 빠졌을 때 가만히 있으면 카약도 사람도 강가로 나가게 되는게 이유가 있구나.
    안전조끼 입기에 누워^^있으면 안전합니다.
    ㅡ강물 표면이 큰 원을 그으며 하류로 흘러가는 구나라고 막연히 생각했었는데ㅡ

  • @김주희-c6j
    @김주희-c6j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 방송을 완주한 나어게 칭찬해 토닥토닥

  • @yoyolover2000
    @yoyolover2000 Год назад +2

    Intro 부터 빵터짐

  • @ggjjggrs-j7t
    @ggjjggrs-j7t Год назад +4

    정말재밌네요.
    선생님께서 직접 유동유동 해주시니 디시인사이드 유동인 저로썬 뜨끔뜨끔 하면서 시청중 ㅇㅇ

  • @이보배용
    @이보배용 Год назад +2

    얼굴 동글동글 하고
    안경 안쓰신분이
    순발력좋고 매끄럽네요.

  • @로지텍-m4q
    @로지텍-m4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49:37 이프로가 "자동차 타이어도 돌면서 살짝 뜨겠습니다?" 라는 부분은 이해가 안되요.
    자동차가 전진할때 타이어에 작용하는 공기(유체)흐름을 보면 윗쪽인 고압이고 바닥면은 저압이 형성되어 마그누스 효과로 고압에서 저압으로 위에서 아랫쪽으로 힘이 작용하니 뜬느게 아니라 가라앉아야 하지 않나요?
    자동차가 뜨는 것은 자동차 타이어의 마그누스 효과보다는 그라운드 이펙트에 의한 힘이 훨씬 커서 뜨는것 아닐까요?
    즉 타이어의 마그누스 효과로 타이어는 아랫방향 힘을 받고, 그라운드 효과로 차량은 위로 힘을 받는데
    그라운드 이펙트가 훨씬 크므로 차는 빠른속도로 달릴수록 공중으로 뜬다 이렇게 이해했는데 제가 잘못이해한건가요?

  • @김김대준-z9j
    @김김대준-z9j Год назад +1

    열심히 봤는데 시원하게 들어오지가 않네요 ㅋㅋㅋㅋ

  • @이유-f7h
    @이유-f7h Год назад +1

    어른의 공부는 그렇습니다. 그런가하고 넘어가는 구석이 있어섭니다. ㅋㅋ

  • @anbayo1
    @anbayo1 Год назад +2

    와 진짜 재밌네 ㅋㅋㅋㅋㅋㅋ 한번도 다른거 안쳐다보고 끝가지 봄

  • @eduardkchvatov
    @eduardkchvatov Год назад +8

    항공전문학원에서 가르치는 교재에도 날개위아래 속력이달라 압력차로 뜬다고 배웠는데 ㄷㄷ

  • @hebe-jrbe-udbe-2jdns
    @hebe-jrbe-udbe-2jdns Год назад +8

    어우 이프로 잘생겼어

    • @mujinjang99
      @mujinjang99 Год назад +2

      이프로님 이런 댓글 쓰시면 안됩니다^^

    • @돈하마-l2s
      @돈하마-l2s Год назад +3

      ​@@mujinjang99이프로 형님이 쓰셨다고합니다..ㅎㅎ

    • @mujinjang99
      @mujinjang99 Год назад

      @@돈하마-l2s 그런거같습니다 ㅋㅋㅋㅋㅋ

  • @TheEleventhirteen
    @TheEleventhirtee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박사님께서 일반인에게 설명하기 어려워하시는 것이 바로 아직도 베르누이 방정식으로 오해라도 하고자 하는 이유인 것은 아닐까요

  • @소연-t4v8e
    @소연-t4v8e Год назад +1

    진짜 재미있네...

  • @intheblue3916
    @intheblue3916 Год назад +2

    미쳤다 너무 재밌어요 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