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유량(Water Debit)과 추출 유량 이해하기, Flow-Rate PART I. Water Debit과 추출 유량(Extraction Flow-rate)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9

  • @conan8471
    @conan847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조금의 이해가 만들어 집니다.
    나는 수동 머신(e-61헤드 58mm)을 사용 하고 있는데….22g 바스켓에 커피가루(분쇄도2.5)를 19g 넣고 내가 누를 수 있는 최대의 힘으로 누르고 추출해도 35그램 추출한데 13초정도의 유량이….그리고 추출 압력은 9바가 나올때는 커피가 좀 신선 할때지만 커피의 신선도가 떨어질때쯤이면 추출 압력이 4정도가 걸립니다. 헤드청소를 하면 압력이 좀 올라가고 청소 바스켓을 사용해 청소를 하면 최대 10바에 가깝게 올라 가면서 바이패스 쪽으로 물이 흐르는게 보입니다.
    그래서 유량 조절기를 달아서 해봐도 내가 원하는 시간의 35g 24초는 되지 않습니다. 유량을 작게 하면 압력이 만들어지지 않고 유량을 많이 하면 압력은 만들어지는데 추출 시간이 너무 짧아지고 어떻게 해야 할 까요..? 가르침을 간절히…바랍니다.
    통촉해 주세요😂😂😂

  • @Myogeumdo_Yu
    @Myogeumdo_Yu Год назад +1

    해당 영상을 몇 번이나 반복해서 보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좋은 강의입니다.
    개인적으로 조금 혼란스러웠습니다. 보통 에스프레소 추출에 적합한 압력을 8~10bar로 제안(물론, 요즘에는 6bar 추출도 있지만요)되는데, 여기서 말하는 통상 9bar가 펌프의 압력을 말하는지 아니면 커피퍽에 걸리는 압력을 말하는지 혼동했습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고가의 머신들의 압력계가 보통 펌프의 압력을 표기해주기에 당연히 펌프의 9bar 압력이 중요하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영상을 통해 사람들이 말하는 9bar는 펌프가 아닌 커피퍽에 걸리는 압력을 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해당 사실을 모르고 있었을 때는 엘로치오사의 마누스와 자르 모델이 굳이 왜 포터필터가 받는 압력을 나타내게 만들었을까 궁금했었는데, 다 이유가 있었네요.
    저는 가정에서 홈카페를 하고 있는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저가 머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년에 어떤 머신으로 기변을 할까 고민하며,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위해 선생님의 영상을 처음부터 보고 있습니다:) 아마 내년에 무슨 일이 일어나지 않는 한 산레모 유를 선택하지 않을까 하지만, 예상치 못한 일이 일어난다면 자르R을 선택해야겠습니다. 해당 영상의 내용을 몰랐을 때는 자르R이 나타내는 압력계 때문에 목록에서 제외했었는데, 선생님 덕분에 플랜B를 세울 수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 @dbsdbs3152
    @dbsdbs3152 2 года назад +2

    유량에 대한 공부를 해보고 싶었는데 어디서 부터 공부를 해야할지 막막했습니다 서리님께서 이렇게 잘 설명해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다 :)

    • @Sprogeeks
      @Sprogeeks  2 года назад

      ^^ 도움이 되셨다니 뿌듯하네요. 감사합니다.

  • @Sprogeeks
    @Sprogeeks  2 года назад +3

    좋아요는 더 많은 정보를 준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좋아요, 구독, 댓글 많이 부탁드립니다~ 아! 추천도!
    해당 내용은 화.긱.라 Episode #1에서 다룬 내용의 편집본입니다.
    풀영상은 patreon.com/sprogeeks 채널에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rayhayhayray8878
    @rayhayhayray8878 Год назад +1

    혹시 지금 보실지 모르겠지만 너무 궁금해서 질문드려요. 나머지 부분은 거의 이해가되었는데 그럼 압력 8bar 9bar 는 물을 밀어내는 힘 이라는건게 이건 저 펌프가 만드는 물의 속력으로 만드는건가요? 아니면 물을 밀어내는 힘인건가요??
    초당2g이면 충분히 9bar를 만들수있다고하셧는데 그럼 4~7 bar의경우
    초당유량이 2g밑으로 유량이 떨어지는거라고 이해를 하였습니다. (9bar기준 유량이 2g이라고 가정시)
    그러면 슬레이어의경우 유량의제어는 빈공간의 물을 체울때만 유의미한 효과가잇고 물이 가득채워지고 압력이 걸릴때부터는 유량제어라는게 큰 의미가 없는건가요?
    시네소의 램핑다운의 원리은 모터펌프의 유속? 물을 밀어내는힘을 떨구는거라고 생각하는데
    그럼 이경우도 초당유량이 2g밑으로 떨어진다고 보면될까요?

    • @Sprogeeks
      @Sprogeek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정된 펌프 압력 하에서 유량의 조절은 프리인퓨전 단계에서 가장 크게 관여합니다. 그리고 추출 과정에서 유량을 줄여도 커피퍽에서 측정되는 압력은 줄어듭니다. 유량을 줄이는 방식 자체가 추가적인 저항이기 때문입니다. 그걸 이용하는 것이 Strada MP 입니다. 그리고 시네소의 경우는 바이패스 방식으로 최대 압력을 줄이는데 이 역시 유량도 감소합니다. ^^

    • @rayhayhayray8878
      @rayhayhayray8878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Sprogeeks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 너무 어렵네요 ㅜㅜ아직 압력은 무엇으로 만드는가?라는게 이해가 되지않네요. 압력은 유량으로 만드는거고 임의로 가정시
      그럼 7bar일때는 유량이 1.5, 9bar일때는 유량이 2g (머신유량이아닌 실제 퍽에가해지는유량) 이정도로 이해하면될까요??

    • @Sprogeeks
      @Sprogeek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rayhayhayray8878 압력은 힘입니다. 밀어내는 힘이고 따라서 저항이 존재할땨 압력이 발생해요. 안스타 채널 영상 가운데 제가 출연한 영상을 찾아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 @Sprogeeks
      @Sprogeeks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rayhayhayray8878 7바 9바가 의미하는게 머신 압력인지 추출 압력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

  • @qmfford
    @qmfford 2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체적유량의 뜻을 정확히 몰라서 8:42의 표를 잘 이해 못하겠는데 0-2초까지 체적유량이 점점 증가하는게 머신의 유량은 일정하지만, 헤드스페이스의 공간이 점점 줄어들어서라고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 @Sprogeeks
      @Sprogeeks  2 года назад

      체적유량은 부피로 측정된 유량입니다. 0-2초까지 유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펌프 구동 이후 선형적으로 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 @qmfford
      @qmfford 2 года назад +1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을 보는 중간에 댓글을 남겼다가 13:00의 표를 보니까 이해가 되더라구요 추출에서의 유량 그래프를 보니까 헤드스페이스 공간이 왜 중요한지 좀 더 구체적으로 알게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권혁수-m2z
    @권혁수-m2z 2 года назад +1

    서리님 커뮤니티 댓글이 안달려서 여기 달아요ㅠㅠ
    카페쇼 가신댔는데 커뮤니티 댓글 열어주세요 ㅋㅋㅋ
    스로우다운 나가서 크렘원 너무 궁금합니다ㅠㅠ

    • @Sprogeeks
      @Sprogeeks  2 года назад +1

      네 크렘원도 한번 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

    • @권혁수-m2z
      @권혁수-m2z 2 года назад

      @@Sprogeeks lfpp 기능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감이 안잡히네요 ㅠㅠ 감사합니다!

    • @Sprogeeks
      @Sprogeeks  2 года назад

      커뮤니티 댓글 수정했습니다. ^^ 리포트 감사합니다~

    • @Sprogeeks
      @Sprogeeks  2 года назад +1

      전압 인가에 따른 출력 조정을 사용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실제 유량은 재어봐야 알 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워터 데빗 한번 측정해보고 오겠습니다.

    • @권혁수-m2z
      @권혁수-m2z 2 года назад +1

      @@Sprogeeks 전압과 유량조절 두가지 방식이 있다고 하는데 대회때는 보통 유량 조절쪽으로 하시나보더라구요.
      인퓨전이라는게 참 어렵습니다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