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yz7wf 보통 대기업 기준으론 0+1 ( 스트라이프 & 미러링 ) 이 기본이구요... 이건 백업이라기 보다는 운영 안정성과 관련된 거고. 실제로 데이타 백업은 별도의 LTO Tape 백업 장비나 VTL ( 디스크 백업 장치 ) 를 별도로 씁니다. 그 데이타를 다시 압축해서 오래 보관하는 작업을 아카이빙 이라고 하구요.... 회사마다 중요도에 따라 1~2단계를 추가하거나 DR ( 재해복구 ) 지역을 설정을 합니다.
@@RyoHyunsuk 답변 감사합니다! 어우 너무 기업용 내용이라 일반인은 쓸 일 없겠군요.. 혹시 나스 레이드 구성 추천해주실만한게 있을까요? 따로 백업용 하드는 구비하지 않을거고 4베이로 32테라 살 예정인데, 용량은 절반 못 쓰지안 가장 안전하게 16테라는 백업용 16테라는 저장용으로 구성하는게 나을까요..?
@@MK-yz7wf 그냥 raid 5 쓰세요.. 어차피 나스 자체가 10g 네트워크를 지원해서 속도를 빠르게 해야 한다면 모르겠지만 그게 아니면 raid 5 로 충분합니다.. 요즘 SSD 가속 되는 가능한 제품들도 많아서... 그거 쓰시면 거의 일반 가정용은 문제없다고 봐야져.. 10g 정도 되면 정말 빠르긴 합니다... 저도 10g 가면 바로 장비 사들일 예정이라..
1200W 파워가 2개 장착된건 2400W 전력을 쓰려고 하는게 아니라 전원 2중화를 위한 구성입니다. 각 파워마다 전원 분전반도 각각 다른 소스에 연결해서 전기가 하나 나가더라도 하나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 중인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죠. 파워 하나만 장착해서 구동해도 잘 돌아가긴 할겁니다.
호스팅업체에서 일하는 서버관리자입니다 SAS 규격은 요새 쓰는경우를 잘 못본것 같아요 그리고 저기 보이는 2U - 3U정도로 되는 서버는 잘 제공하진 않아요(돈 많은 고객들은 사오는 편) 랙같은 경우도 업계표준인 19인치랙을 사용합니다 물론 유리같은건 없습니다. 파워 핫스왑 / 디스크 핫스왑 지원안하는 모델들도 있습니다. 파워는 이중화라고 해서 전원 한쪽 끊겨도 장애 안나게 두개 다 꽂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리는 저도 몰라요 궁금하면 델 / hp에 물어봐야되요. 서버는 한대한대가 고급 데스크톱 가격들이라 보통은 빌려서 사용해요 흔히 임대, 라고 하는 것들이죠 그럼 서버 디스크가 적으면 용량 부족한거 아니냐구요? 그런경우엔 저렇게 비싼 서버로 교체하는것도 방법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데이터 저장용 서버를 따로 두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저렇게 비싼서버를 하나만 운용하는건 장애발생하면 타격이 엄청 크기때문에 1u서버를 로드벨런싱 해서 여러대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궁금한거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사진으로 볼때는 뭔지 몰랐는데 이게 서버 였군요!! 그럼 "접속자 수 증가로 인한 DB 부하현상이 발생하여 로딩 지연등의 현상이 지속적으로 조금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해당현상의 해결을 위한 서버 증설작업이 진행됩니다." 라는 공지는 저 Cpu 같은걸 물리적으로 늘린다는 건가요?
*4:10** 리던던트 파워로, 하나는 예비용에 가까워서 동시에 2400W로 작동되는게 아닙니다. 오해가 있을 수 있게 말했네요. (출력을 공유하긴 함)*
브금 있는게 좋다 VS 없는게 좋다
있는게 좋다
와와 썸네일보고 제눈을 의심햇어요
좋다!
있는게 좋을듯요
상황에 따라 쓰는게 좋다
앞으로도 일반인들은 못할만한 뻘짓 더 많이 부탁드립니다ㅋㅋㅋㅋ
보고 반응 좋으면 서버 쪽도 좀..!
@@BullsLab 대기업 가서 서버 구경하는 것도 좋을듯
@@BullsLab 서버는 역시 ESXi
@한경민 스레드리퍼는 핀 없음
@@BullsLab 이 영상의 저거 다 맞추는데 얼마 드셔써ㅛ? 몇천은 들었을거갔은뎅
이때는 핸섬했는데 ...
썸넬보고 누군가 했네 ㄹㅇ
진짜 딴사람 됐어 ㅋㅋㅋㅋ
IT인프라(서버,스토리지)분야에서 10년 넘게 일하고 있습니다. 뻘짓님 설명이 아주 깔끔하네요 ㅎㅎ 후속 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이런 사람도 인정해주시는 실력 ㄷㄷ
이런건 백업을 어떻게 하나요?
나스처럼 레이드구성인가요?
아님 그냥 전체 파티션에서 쪼개나요?
@@MK-yz7wf 보통 대기업 기준으론 0+1 ( 스트라이프 & 미러링 ) 이 기본이구요... 이건 백업이라기 보다는 운영 안정성과 관련된 거고.
실제로 데이타 백업은 별도의 LTO Tape 백업 장비나 VTL ( 디스크 백업 장치 ) 를 별도로 씁니다.
그 데이타를 다시 압축해서 오래 보관하는 작업을 아카이빙 이라고 하구요....
회사마다 중요도에 따라 1~2단계를 추가하거나 DR ( 재해복구 ) 지역을 설정을 합니다.
@@RyoHyunsuk 답변 감사합니다! 어우 너무 기업용 내용이라 일반인은 쓸 일 없겠군요..
혹시 나스 레이드 구성 추천해주실만한게 있을까요? 따로 백업용 하드는 구비하지 않을거고 4베이로 32테라 살 예정인데, 용량은 절반 못 쓰지안 가장 안전하게 16테라는 백업용 16테라는 저장용으로 구성하는게 나을까요..?
@@MK-yz7wf 그냥 raid 5 쓰세요.. 어차피 나스 자체가 10g 네트워크를 지원해서 속도를 빠르게 해야 한다면 모르겠지만 그게 아니면 raid 5 로 충분합니다..
요즘 SSD 가속 되는 가능한 제품들도 많아서... 그거 쓰시면 거의 일반 가정용은 문제없다고 봐야져..
10g 정도 되면 정말 빠르긴 합니다... 저도 10g 가면 바로 장비 사들일 예정이라..
4:02 요렇게 '서버'를 X ->' 파워'를
ㅋㅋㅋㅋㅋ 잘못말했어요ㅠ
찍다가 잘못말한거는 다시 말할수도 없고 참
곤란합니다ㅋㅋㅋㅋㅠ
@YB ㄷㄷ
킹반인은 하기 힘든걸 대신하는 뻘짓좌..
쩔짓을 넘어 약간 미친짓이라고 하야 하나...
뭐라 표현해야 할지 감이 안 잡힐 정도로 진짜 굉장한 물건을 가져오셨네요...
NAS를 넘어 진짜 상업용 서버를 가져오다니 참... 대박이네요
와 파워가 핫스왑 되는건 좀 충격적이네요 ㄷㄷ.예전에 카스 쩜육 시절 개인피시로 서버아닌 서버 만들어서 사람들하고 잼있게 했는데 ㅎㅎ .이런 컨텐츠 너무 좋습니다.굳굳
오늘도 뻘짓을 하셨군욬ㅋㅋㅋ
(저한테는) 요긴합니다....!!!
@@BullsLab 그렇군요...!!!
와 진짜 평소에 궁금했던 부분 속시원하게 뚫어주시는 영상 감사합니다
회사에서 보던걸 여기서 보니까 오묘해..
와.. 진짜 대단하네요..
혹시 이 영상 비영리 목적, 교육 목적으로 사용해도 될까요? 아직 생각만 하는중인데 교육용으로 이보다 쉽게 서버를 가르쳐주는 영상이 있을까 싶네요
워낙 대충대충 넘어가는 부분이 많아서 ㅠㅠ
교육용으론 좀 별로일거에요
2년차 개발자인데 서버 구축은 다른곳에 직접 본적이 없는데, 이렇게 보니까 신기하네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닉값 못하셨네요... 너무 유용한 내용입니다.
파워 2개는 리던던트로 구성되어... 1200W + 1200W 는 1200W 입니다.. 하나는 예비로 스텐바이 하고 있어요...
네 맞습니다. 영상보니 좀 오해 생길수있게 말했네요 (워낙 당연한거라)
그럼 핫 스압 되더라도
하나는 붙어 있는 상태에서 해야 하는거죠?
@@헤르메스-k8c 당연하죠 파워 2개중 파워 2개를 다 빼면 전력 공급이 안되는데...
익현형...... 내가 안전한곳에 형을 보호해줄게..... 후욱후욱
관련업 종사자로 종로에있는 국세청서버도 구경해봤지만 그런거보다 여기 뻘짓연구소 영상이 훨신 재밌어요~ ㅋㅋ
이야 어디서 저런 구식 서버를 구하셨데요. ㅋㅋ 옛날엔 저게 짱이였는데. raid 구성도 어떻게 할지 궁금하고 기대 됩니다! ㅋㅋ 아니 랙까지 사시고, 24포트 스위치. 정말 레트로 감성 쩌는 영상이에요! ㅋㅋ 잘 봤습니당!
이야 6049p 아직도 현역인데..ㅋㅋ 어케 구하셨나요ㅋㅋ
3:25 아직도 그렇게 나옵니다 서버실은 외기,내기순환으로 전체의 공기를 순환해서 온도를 낮춰요
ㅎㅎ 버리려던거 처리도 힘들고 아까워서 스튜디오로 가져왔습니다~
요즘은 왠만치 저전력 아니면 액티브 쿨링으로 나오더라고요.
슈퍼마이크로가 모델명이 제일 헷갈려요
3년전 이라 젊으시네..
와 이런것들도 하고 진짜 멋있다 ㅋㅋㅋㅋ 매번 영상 감사합니다!!
진짜 유용해요!!
1200W 파워가 2개 장착된건 2400W 전력을 쓰려고 하는게 아니라 전원 2중화를 위한 구성입니다. 각 파워마다 전원 분전반도 각각 다른 소스에 연결해서 전기가 하나 나가더라도 하나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 중인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죠. 파워 하나만 장착해서 구동해도 잘 돌아가긴 할겁니다.
맞아요 전원부 테스트할때 전원선 하나씩 빼가면서 파워 테스트했더뉴기억이 ㅋㅋ
겨울시즌 대비용 후끈후끈 방한용품 마련 축하합니다 :) 따듯하니 시끄럽지만 뭐 된거죠
이야... 진짜 닉값이네요 ㅋㅋㅋㅋㅋ
공감
최고의 칭찬
와! 스토리지서버 구축에 대한 설명 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SATA : 쌌다
SAS : 쌌으
썸네일 보고 이미 팬티 갈아입었습니다
sas 보니까 sas합동 생각나노
@@동탄공중화장실휴지를 ㅅㅂ 그 끔찍한
ㅋㅋㅋㅋㅋㅋㅋㅋ현웃터짐ㅋㅋㅋㅋㅋㅋ
오오 이런 접하기 힘든 물건 리뷰 너무 좋아요! 응원합니당
우와 잼있다. 맨날 가정용 PC만 보도가 난생 첨 보는 서버를 보니 정말 신기해요. 서버 구경좀 많이 시켜주세요~
유익한 영상인것 같습니다. 저도 서버의 팬소리가 마음에 와닿아서 언젠가 한번 랙서버나 타워서버 구동시키고 싶은데 많은 도움이 되는것 같아요.
저 슈퍼마이크로서버가 사용하지 않는 서버라면 현재는 델EMC 파워엣지 시리즈를 사용중이신건가요?
ㄹㅇ 이걸 사서 사무실에 박아놧넼ㅋㅋㅋㅋㅋㅋㅋㅋ
호스팅업체에서 일하는 서버관리자입니다
SAS 규격은 요새 쓰는경우를 잘 못본것 같아요
그리고 저기 보이는 2U - 3U정도로 되는 서버는 잘 제공하진 않아요(돈 많은 고객들은 사오는 편)
랙같은 경우도 업계표준인 19인치랙을 사용합니다
물론 유리같은건 없습니다.
파워 핫스왑 / 디스크 핫스왑 지원안하는 모델들도 있습니다. 파워는 이중화라고 해서 전원 한쪽 끊겨도 장애 안나게 두개 다 꽂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리는 저도 몰라요 궁금하면 델 / hp에 물어봐야되요.
서버는 한대한대가 고급 데스크톱 가격들이라 보통은 빌려서 사용해요 흔히 임대, 라고 하는 것들이죠
그럼 서버 디스크가 적으면 용량 부족한거 아니냐구요?
그런경우엔 저렇게 비싼 서버로 교체하는것도 방법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데이터 저장용 서버를 따로 두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저렇게 비싼서버를 하나만 운용하는건 장애발생하면 타격이 엄청 크기때문에 1u서버를 로드벨런싱 해서 여러대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궁금한거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다음 영상:24베이 서버에 서버용 ssd 꽂아 봤습니다
다다음 영상: 서울 지하철역 앞에서 노숙해보았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간단하게 정리 너무 좋아요 😄
뻘짓연구소님은 저희와 함께 갈수 없습니다.
형 그나저나 래원팬인 것 같던데 느린심장박동 커버해보는 거 어때?ㅋㅋㅋ
ㅋㅋㅋㅋㅋㅋ 그건 너무 뻘짓이야~
아닠ㅋㅋ 잇섭눈썹 이사람은 어딜가든 있네ㅋㅋ
이런 뻘짓 너무 조아
형 앞으로도 화이팅
일반인이 접할수 없는 뻘짓이다...
궁금하던거였는데 잘봤네요 ㅋㅋ 더 많은 뻘짓 부탁합니다 ㅎㅎ
뻘짓 형님 얼마나 동영상이 많으시면 하드를 24개 쓰시려 하시는 겁니까...?
야1동이 많이 들어서 그런가?
4K로 방주만드시나 봅니다 ㄷㄷ
형 진짜 최고인듯~ 전에는 그냥 구독하기만해놨는데 이제는 알람설정까지 해놓음~~형 언제나 응원해
쿨러에서 비행기 이륙하는소리 날껍니다 ㅡㅡ ㅋㅋㅋ 꼭가동 시켜주세요 ㅎㅎㅎ
가정에서 돌리면 엄청난 전기요금으로 엄마의 따뜻한 등짝 스메싱....
나스 따위로는 감당 못할 정도의 엄청난 양의 히X미 & AV 컬렉션이라니... 2000년대가 김본좌의 시대였다면 2020년대는 뻘본좌의 시대인건가...
와... 상상도 못한 뻘짓! 저 대신 더 많은 뻘짓 기대하겠습니다. ㅎㅎ
지금 보니, 우리 오빠 많이 말랐었네..???
내가 하긴 너무 스케일이 큰데 뭔가 흥미롭기는 한 딱 말그대로 뻘짓 ㅋㅋㅋ 잘보고 가용
2cpu에 중독되신듯
항상 신기한거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버도 흥미롭네요
ㅋㅋㅋㅋㅋㅋ와ㅋㅋㅋㅋㅋㅋ이름이 뻘짓이라고 진짜 뻘짓하네ㅋㅋ 다음에 폰들 다 분해해봐욬ㅋㅋㅋ
계속웃어서ㅈㅅ
재밌게 봤습니다. 다음영상도 기대할게뇨
이땐.....
와 저는 매일 보는 서버들이고 환경이네요
백업 일 하고 있어서 늘 보는 스토리지 서버들, Dell, 퓨어스토리지, 네트워크 스위치, kvm 콘솔 등등 진짜
여기서 이걸 보게 될 줄이야!!! 형 사랑해요!
형 도대체 뭘하길레 나스가 부족하다는거야
심지어 18TB 하드도 있오면서 ㄷㄷ
방주
몇 테라가 나와도 거기에 맞춰 4K, 8K가 나와버리니 용량도, 전송속도도 충분한 때는 오지 않는 듯
@@100-y1s 사실상 저장공간, 전송속도에 맞춰서 해상도가 나오는 거에 가깝지 않을까요?
@@bacon0204 이쯤되면 인류는 몇K까지 상용화시킬 수 있지 궁금하고, 그건 저장매체와 5G, 6G...의 발전에 의해 결정되겠네요
공부하는 사람으로써 흥미롭고 신기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형 왜이리 살이 찐거야
맛있는거 있으면 같이 먹자 혼자 먹지 말고
오 흥미롭네요 다음 구축편도 기대할게요
2u서버도 혼자들면 진짜 힘든데.4u서버는 ㅋㅋㅋ
2:38 긔여운 앵무새 한마리^^
1:23초 fuck? ㄷㄷㄷ
뻘짓님 해명하시죠
재밌어요 ㅋㅋㅋ 다음편도 기대됩니다
나스로 부족해서 서버를 사시는 님은...
뻘짓연구소
이 분 영상을 볼때마다 없는게 없으시네..ㅋㅋㅋㅋㅋ 일반인이지만 궁금한 그런 것들을 잘 리뷰도 해주시고 ㅋㅋㅋㅋ 저런 서버 하나 있으면 좋겠단 생각을 하긴 했는데..당장 쓸일도 없으면서..ㅋㅋㅋㅋㅋㅋ
ㅗㅜㅑ
와우.. 넋놓고 봤습니다.
뻘짓의 끝은 어디인가...
댓글에 남겨주셨듯 리던던트 파워입니다! 설명 너무 굿굿 !!
평소에는 알지못했던 내용들을 많이 알게되서 항상 정말 재밌게 봅니다~
Server의 Power supply가 두가 동시에 작동하는것 아닙니다. 하나는 Fail over용입니다. 그래서 redundant power supply가 있다고 합니다.
너무 좋네요. 다음편 기대하겠습니다~
참 친절히 설명을 잘 해주십니다. 시청자들이 호기심 많은 무지한 사람들이란 것을 어떻게 알고.. ㅎㅎ 뻘짓하다가 시간 낭비하는 좋아하는 1인으로서.. 감사합니다! ^^
엄청나게 기대됩니다.. 윈도우 파일서버라. 기대 기대
항상 유익한 정보를 포함한 영상 정말 감스드립니다.
재밌습니다 ~ ㅎ
계속해 주세요 ^^
서버에 대해 궁금했는데..영상이 재밌어요!
영상 잘봤습니다. 파일서버 구축은 정말 궁금하네요 ^^ 기대하겠습니다!
설명을 아주 알기좋게 해주시네요 ^^
형 항상 재밌게 보고있어 다음편 기대할게 너무 궁금해!
나 밥 먹을때마다 형 영상 보면 유익해서 보기가 너무 좋아 . . 앞으로 계속 유튜브 해줘 형 영상 매일 마다 챙겨 보면서 처음으로 댓글 단다 💓
사랑해요 형
서버실에서 자주 보던 놈이군요.. 유트브에서 서버를 보게 될줄이야~^^ 깔끔한 설명 좋습니다.
재밌다 재밌어...
컴퓨터랑 노트북 사려고 유튭보다가 알게 됐는데, 재밌습니다.
돈들여서 해보기엔 애매한 내용들이었는데 덕분에 재밌게 볼수 있겠네요
아직 hdd를 다 채운건 아니겠지만 규모가 어마어마 하네요. ㅎㅎ
영상에 안 나오지만 귀에 시끄러운 팬 소리가 울리는 기분입니다.
재밌으니까 빨리 다음편 주세요!
가정용 이랑 소비자용으로는 만져보거나 쓸일이 없는데 진짜 처음보네요 앞으로도 더많이 소개시켜주세요
오오~ 신선한 물건 보고갑니다. 힘내세요~
사진으로 볼때는 뭔지 몰랐는데 이게 서버 였군요!!
그럼
"접속자 수 증가로 인한 DB 부하현상이 발생하여
로딩 지연등의 현상이 지속적으로 조금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해당현상의 해결을 위한 서버 증설작업이 진행됩니다."
라는 공지는 저 Cpu 같은걸 물리적으로 늘린다는 건가요?
구독하고 처음 댓글 남깁니다~!!^^ 스타일이 나날이 업그레이드되는 듯요!! 발음도 더 정확해지고요~~~~
뻘짓님 영상과는 무관한데 질문 있습니다 .
Cpu 3600xt 를 4.5 1.35v 오버 했는데
Cpu z 나 hw모니터 두프로그램 엄청 느리게 켜지거나 그런디 문제 있는건가요??
Pbo설정떄는 잘텨젔섰는데 ..ㅜㅜ
다음편 기대할게요ㅋㅋ
일반인은 볼 일도 쓸 일도 없지만 보기엔 재밌는... 닉 값 오지네요
이젠 서버까지 사시다니...더 닉값 하시길 바랍니다
형 그래서 LG 시그니처 R (롤러블 TV) 사비로 협찬 없이 사서 리뷰 한다고?
졸잼!!! 후속작 꼭 만들어주십셔
저는 평소에 볼수없던거라서 아주 재밌고 유익했습니다.
서버용 컴퓨터를 리뷰하는건 본적이 없어서 되게 신선하네요!
스튜디오를 운영하고있는 입장에서, 매년 10~20테라의 사진 데이터들이 생기는데, 사무실에서 저런 서버를 만들면 재밌을거 같기도 하네요 :-)
볼매인 유튜버! 말투도 너무 중독됨ㅋㅋㅋ
韓国語全くわからないけど何となく言ってること分かる
日本人も韓国人もpcオタクが考えることは一緒なんだなって思った
서버업계 종사자로서 이런콘텐츠 환영합니다
아 서버구성이 저렇구나 라는 걸 처음 알았습니다. 유용한 정보영상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 기다리겠습니다 알려주세요ㅎㅎ
와... 진짜 저만큼의 하드가 들어가는것도 신기한데 용량으로 보면 실감이 안날것 같아요ㄷ.. 이번영상도 재밌게 잘봤습니다 :)
파일서버 구축하는 법 기대할게요 ~
닉값 맛집 대단합니다..
오우 서버군요 궁금하긴 했는데 이렇게 보는건또 처음이고 많은걸 알아갑니다
처음보는데도 이해가되네요ㅋㅋㅋㅋ재밌어요 파일구축? 하는것두..